KR200212470Y1 - 스팀 다리미 구조 - Google Patents

스팀 다리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470Y1
KR200212470Y1 KR2019980025236U KR19980025236U KR200212470Y1 KR 200212470 Y1 KR200212470 Y1 KR 200212470Y1 KR 2019980025236 U KR2019980025236 U KR 2019980025236U KR 19980025236 U KR19980025236 U KR 19980025236U KR 200212470 Y1 KR200212470 Y1 KR 2002124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intermediate plate
iron
steam iron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2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2310U (ko
Inventor
엄재천
Original Assignee
엄재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재천 filed Critical 엄재천
Priority to KR20199800252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470Y1/ko
Publication of KR200000123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3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4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470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스팀 다리미의 개폐밸브에 흡입홀을 형성함으로써, 조립공정을 향상시키고, 제작단가가 저렴하며, 흡입유로을 단순화시켜 불순물 생성 가능성을 낮추고, 또한 중간판의 배출홈을 평판으로 형성함으로써, 중간판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스팀의 방출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스팀 다리미는 상부 케이싱 및 하부 케이싱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싱에는 스팀을 흡입하는 개폐밸브 하우징을 고착하고, 하부 케이싱에는 오버 플로우 되는 스팀을 모으는 중간판을 고착한 스팀 다리미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 하우징본체의 외측벽면에는, 스팀 다리미 본체내로 들어온 스팀을 흡입하는 흡입홀을 형성하고, 상기 중간판은 오버 플로우 된 스팀이 모이는 부분을 평판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스팀 다리미의 조립시 부품수가 줄어들어 조립공정을 향상시키고, 제작단가가 저렴해지며, 개폐밸브의 흡입유로를 단순화 시켜 스팀 유로상에서의 불순물 생성 및 액화를 낮추어 의류 훼손 및 부품의 노화를 방지하고, 중간판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분사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분사소음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팀 다리미구조
본 고안은 스팀 다리미의 중간판 및 흡입유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스팀 다리미의 개폐밸브 하우징에 고착하던 흡입관을 없애고, 흡입홀을 형성함으로써, 다리미의 조립공정을 향상시키고, 제작단가를 저렴하게 한 것이며, 개폐밸브의 흡입유로를 단순화시켜 스팀 유로상에서의 불순물 생성 가능성을 낮추고, 스팀 분사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분사 소음을 줄여주고, 또한, 종래 중간판에 형성되던 배출홈을 없애고, 평판으로 형성함으로써, 중간판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스팀 방출율을 향상시키는 스팀 다리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보일러 스팀 다리미의 케이싱 및 유로 배치구조는 도 1 내지 도 3 과 같다.
주요부분은 도 1 에서와 같이 스팀 다리미 본체를 구성하는 하부 케이싱(1)과, 하부 케이싱(1)에 고착되어 스팀의 배출유로(4a)를 형성한 중간판(4)과, 상기 하부 케이싱(1)과 결합되어 내부를 유체 유동공간(9)으로 만들어 주는 상부 케이싱(2)과, 상, 하부 케이싱(1)(2)안으로 스팀을 넣어주는 스팀 공급측(3)과, 상기 스팀 공급측(3)에서 공급된 스팀을 푸쉬핸들(5)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개폐밸브 하우징(6)과, 상기 개폐밸브 하우징(6) 본체에 고착되어 스팀 공급측(3)을 통해 들어온 스팀을 흡입하는 흡입관(6a)과, 상기 흡입관(6a)을 통해 흡입된 스팀은 푸쉬핸들(5)의 조작에 의해 개폐밸브 하우징(6)과 연결된 배출관(6b)을 지나 중간판(4)의 배출홀(4b)로 보내고, 이때 오버 플로우 되는 스팀은 중간판(4)에 형성된 배출홈(4c)에 모인후 스팀 방출관(7) 및 스팀 컨트롤러에 의해 방출된다.
상기 스팀 공급측(3)은 외부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을 다리미 본체 안으로 도입하는 호스니플(8)과, 호스니플(8)과 연결되어 도입되는 스팀을 케이싱(1)(2)안 유체 유동공간(9)에 분사 시켜 주는 연장관(10) 및 이 연장관(10)의 단부를 분배면으로 구성하는 노즐(10a)로 이루어진다.
이때, 이 노즐(10a)을 통해 도입된 스팀은 개폐밸브 하우징(6)에 고착된 흡입관(6a)을 통해 흡입되고, 상기 개폐밸브 하우징(6)은 사용자가 사용할 때 선택적으로 푸쉬핸들(5)을 눌려서 배출관(6b)을 통해 중간판(4)의 배출유로(4a)로 보내져 하부 케이싱(1)의 노즐(미도시)에 의해 외부로 분사시킨다.
그리고, 다리미 본체안 유체 유동공간(9)에서 조성된 스팀의 유동압력이 기준 이상 이면 오버 플로우된 스팀을 배출시키기 위해 배출콕크(11)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이 배출콕크(11)는 전자밸브나 첵밸브등 기준 압력을 초과하는 압력에서 유로가 열리는 다양한 밸브를 선택해서 장착한 것이며, 스팀 컨트롤러는 다리미 본체내 스팀을 중간판(4)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출홈(4c)을 통해 선택적으로 배출 시키게 끔 유동공간(9)과 서로 상통시켜 유로를 만들어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스팀 다리미 구조를 살편보면 도 2 에서 와같이 외부에서 만들어진 스팀은 먼저 호스(12)를 따라 호스니플(8)과 연장관(10) 그리고 노즐(10a)을 통해 상부 케이싱(2)안으로 들어오고, 들어온 스팀은 상, 하부 케이싱(1)(2)사이에 마련된 유동공간(9)에서 유동한다.
스팀의 분배형태는 분사식이며 스팀의 유동경로를 살펴보면, 호스(12)-호스니플(8)-연장관(10)-흡입관(6a)-개폐밸브 하우징(6)-배출관(6b)-중간판(4)의 배출홀(4b)-배출유로(4a)등으로 구분되는 몇단계의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이 외부에서 다리미 본체내로 불순물과 순도가 불안정한 스팀이 함께 들어오게 되므로 이때, 불안전한 순도의 스팀은 다리미 본체내의 하부에 가라않고, 순도가 안정적인 스팀은 다리미 본체내의 상부에 모이게 되어 개폐밸브 하우징의 흡입관(6a)에 흡입되게 된다.
즉, 불순물과 순도가 불안정한 스팀은 중간판(4)의 상단면에 쌓이고, 이 스팀은 중간판(4)에 형성된 배출홈(4c)에 모이게 된다.
모인 스팀은 스팀 방출관(7)의 노즐(7a)을 통해 배출콕코(11)에 의해 외부로방출되게 된다.
그러나, 개폐밸브 하우징본체에 고착된 흡입관은 (ㄴ)자 형상으로 되어 있어 이 흡입관의 노즐 위치는 케이싱 안에서 중앙 상부에 위치시켜 순도가 가장 안정적인 스팀만을 흡입하게 되어 있으나, 스팀 흡입시 스팀 유동을 지연 시켜 스팀이 액화되어 이 흡입관 또는 서로 상통하는 유로상에서 액상의 유체를 잔류시키는 점으로서, 이는 나중에 스팀 방출 때 스팀과 혼합되어 스팀의 순도를 떨어뜨리고, 스팀에 불순물이 들어가 스팀 순도가 저하되는 요인도 있을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으로 나타나는 문제는 대표적으로 스팀 유로상에서 물이 잔류되어 스팀 유로의 부식을 촉진하고, 이 물이 부식 부패된 채로 그대로 스팀과 함께 방출되어 옷감을 훼손 시키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스팀 분사시 분사소음이 많이 생기고, 분사량이 일정치 못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중간판의 배출홈을 형성하기 위해 중간판에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의 형상에 맞게 스크랩을 만들고, 이 스크랩을 다시 중간판에 용접하여 고착해야하므로 중간판 제작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는 전체적으로 제품작업률을 떨어뜨려 제작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하부 케이싱으로 구성된 스팀 다리미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싱에 고착되는 개폐밸브 하우징본체의 외측벽면에는 스팀 다리미 본체내로 들어온 스팀을 흡입하는 흡입홀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케이싱에 고착되는 중간판은 오버 플로우 된 스팀이 모이는 부분을 평판으로 형성함으로써, 다리미의 조립공정을 향상시키고, 제작단가를 저렴하게 하며, 스팀 유로 상에서의 불순물 생성 가능성을 낮추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중간판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스팀 방출율을 향상시키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 보일러 스팀 다리미의 요부 사시도 이고,
도 2 는 종래 보일러 스팀 다리미의 스팀유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3 은 종래 보일러 스팀 다리미의 중간판을 보인 것으로서,
(가)는 사시도
(나)는 결합상태 측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스팀 다리미의 스팀유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5 는 본고안에 따른 스팀 다리미의 중간판을 보인 것으로서
(가)는 사시도
(나)는 결합상태 측면도 이고,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스팀 다리미의 스팀방출관의 노즐형상을 나타낸 것으로서,
(가)는 종래 스팀방출관의 노즐 형상
(나)는 본 고안 스팀방출관의 노즐 형상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하부 케이싱 2 : 상부 케이싱
3 : 스팀 공급측 4 : 중간판
4a: 배출유로 4b: 배출홀
4c: 배출홈 5 : 푸쉬핸들
6 : 개폐밸브 하우징 6a: 흡입관
6b: 배출관 7 : 스팀 방출관
7a: 노즐 8 : 호스니플
20:흡입홀 30: 스팀 방출관
30a: 노즐 40: 중간판
40a:배출유로 40b:배출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스팀 다리미는 상부 케이싱 및 하부 케이싱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싱에는 스팀을 흡입하는 개폐밸브 하우징을 고착하고, 하부 케이싱에는 오버 플로우 되는 스팀을 모으는 중간판을 고착한 스팀 다리미구조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 하우징본체의 외측벽면에는
스팀 다리미 본체내로 들어온 스팀을 흡입하는 흡입홀을 형성하고,
상기 중간판은
오버 플로우 된 스팀이 모이는 부분을 평판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팀 방출관의 노즐 형상을 타원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스팀 다리미의 개폐밸브 하우징에 흡입홀을 형성하고, 하부 케이싱에 고착되는 중간판을 평판으로 형성함으로써, 다리미의 조립공정을 향상시킬수 있다.
그 결과, 부품수가 적어 제작단가가 저렴하고, 개폐밸브의 흡입유로를 단순화시켜 스팀 유로 상에서의 불순물 생성 가능성을 낮추게 하면서도 분사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분사할 때 생기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중간판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스팀방출율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잘이해 할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전시용 프레임구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스팀 다리미의 스팀유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스팀 다리미의 중간판을 보인 것으로서, (가)는 사시도이고, (나)는 결합상태 측면도이며,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스팀 다리미의 스팀방출관의 노즐형상을 보인 것으로서, (가)는 종래 스팀방출관의 노즐형상이고, (나)는 본 고안 스팀방출관의 노즐형상이다.
먼저, 도 4 에서와 같이 상부 케이싱(2)에 고정된 스팀 공급측(3)은 외부와 연결되어 있고, 이 스팀 공급측(3)을 통해 스팀이 공급되고, 이 스팀은 호스니풀(8)을 지나 연장관(10)을 통해 다리미 본체안의 유동공간(9)으로 분사된다.
상기 유동공간(9)에 있는 스팀중 불순물 있는 불안정한 스팀은 하부 케이싱(1)에 고착된 중간판(40)상단면에 쌓이게 되고, 순도가 일정한 스팀은 상부 케이싱(2)에 고착된 개폐밸브 하우징 본체(6)의 외벽면에 형성된 흡입홀(20)로 흡입된다.
흡입된 스팀은 개폐밸브 하우징(6)에 설치된 푸쉬핸들(5)의 선택에 따라 배출관(6b)을 지나 중간판(40)의 배출홀(40b)을 통과한 후 배출유로(40a)에서 하부 케이싱(1)의 노즐(미도시)을 통해 외부로 분사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 5 의 (가)(나)와 같이 중간판(40)에는 평판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평판으로 중간판(40) 상단면에 쌓인 불순물이나 오버 플로우 된 스팀이 모이고, 모인 스팀은 상부 케이싱(2)에 고착된 스팀 방출관(30)의 노즐(30a)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한편 비교예로서 종래의 도 6 의 (가)의 스팀 방출관(30)의 노즐(30a)형상이 원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중간판(40)에 모인 스팀의 방출율이 떨어졌다.
이와 같이 스팀의 방출율을 높이기 위해 도 6 의 (나)와 같이 스팀 방출관(30)의 노즐(30a)형상을 타원형으로 형성하면, 모인 스팀을 잘 빨아들이므로 스팀의방출율이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기술, 즉 개폐밸브 하우징(6)에 고착된 흡입관(6a)과, 중간판(4)에 형성된 배출홈(4c)과, 스팀 방출관(7)의 노즐(7a) 형상을 원형으로 형성한 구성과 달리, 본 고안은 개폐밸브 하우징(6)의 외벽면에 흡입관(6a) 대신 흡입홀(20)을 형성하고, 중간판(40)은 배출홈(4c) 대신 평판으로 형성하고, 스팀 방출관(30)의 노즐(30a)형상을 타원형으로 형성한 구성이므로, 조립공정을 향상시키고, 제작단가가 저렴하며, 흡입유로을 단순화시켜 불순물 생성 가능성을 낯추고, 중간판 제작을 용이하게 하며, 스팀의 방출율을 증가시켜 주면서도 스팀 분사소음을 줄이고 분사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킨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된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져서는 안된다. 이와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것은,
스팀 다리미의 개폐밸브 하우징본체에 흡입홀을 형성하고, 다리미내에 설치되는 중간판을 평판으로 형성함으로써, 스팀 다리미의 조립시 부품수가 줄어들어 조립공정을 향상시키고, 제작단가가 저렴해지며, 개폐밸브의 흡입유로를 단순화 시켜 스팀 유로상에서의 불순물 생성 및 액화를 낮추어 의류 훼손 및 부품의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스팀 분사소음을 저감시키고, 스팀 분사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간판을 평판으로 제작하여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과 제작단가를 절약할수 있고, 스팀의 방출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부 케이싱 및 하부 케이싱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싱에는 스팀을 흡입하는 개폐밸브 하우징을 고착하고, 하부 케이싱에는 오버 플로우 되는 스팀을 모으는 중간판을 고착한 스팀 다리미구조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 하우징본체의 외측벽면에는
    스팀 다리미 본체내로 들어온 스팀을 흡입하는 흡입홀을 형성하고,
    상기 중간판은
    오버 플로우 된 스팀이 모이는 부분을 평판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다리미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배출측관의 노즐 형상을 타원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다리미구조.
KR2019980025236U 1998-12-16 1998-12-16 스팀 다리미 구조 KR2002124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236U KR200212470Y1 (ko) 1998-12-16 1998-12-16 스팀 다리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236U KR200212470Y1 (ko) 1998-12-16 1998-12-16 스팀 다리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310U KR20000012310U (ko) 2000-07-05
KR200212470Y1 true KR200212470Y1 (ko) 2001-02-15

Family

ID=69507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236U KR200212470Y1 (ko) 1998-12-16 1998-12-16 스팀 다리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4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422B1 (ko) 2012-10-18 2014-06-20 정진성 증기 다리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422B1 (ko) 2012-10-18 2014-06-20 정진성 증기 다리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310U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604906U (zh) 具有自清洁功能的吸尘器
EP0757004A4 (en) SPRAYER PUMP FOR LIQUIDS
US6302931B1 (en) Apparatus for injecting compressed air into dust collector
KR200212470Y1 (ko) 스팀 다리미 구조
CN215858069U (zh) 一种后排式虹吸座便器
CN211948743U (zh) 一种虹吸式蹲便器
US6167899B1 (en) Water transporting device
CN204124576U (zh) 新型可拆卸可充式喷液瓶
CN220344345U (zh) 一种清洗机
CN217517731U (zh) 一种马桶冲洗装置的排气结构
CN214973036U (zh) 一种铁水脱硫喷枪防堵塞装置
CN219538191U (zh) 一种集污箱及具有该集污箱的基站
CN211659303U (zh) 一种废气治理系统预处理清洗机
KR200167888Y1 (ko) 에어 건의 밸브 구조
CN210086410U (zh) 一种改良的马桶结构
CN218911658U (zh) 水箱组件和坐便器
CN211471899U (zh) 一种熨烫斗节能结构
CN216174864U (zh) 风淋室除尘器
JP4222533B2 (ja) タンクレス便器
RU2414815C2 (ru) Электронный пульсатор для доильных установок
CN220024950U (zh) 清洗机
WO2022267527A1 (zh) 一种带有增流装置的马桶冲刷系统
CN217364561U (zh) 具有喷洒排沫功能的食材净化机
CN212175959U (zh) 一种马桶冲刷装置
CN212592041U (zh) 一种吸引结构及具有该吸引结构的内窥镜操作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