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955Y1 -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 Google Patents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955Y1
KR200211955Y1 KR2020000023398U KR20000023398U KR200211955Y1 KR 200211955 Y1 KR200211955 Y1 KR 200211955Y1 KR 2020000023398 U KR2020000023398 U KR 2020000023398U KR 20000023398 U KR20000023398 U KR 20000023398U KR 200211955 Y1 KR200211955 Y1 KR 2002119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line
elastic bar
elastic
bar
sepa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3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승무성
Original Assignee
승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승무성 filed Critical 승무성
Priority to KR20200000233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9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9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955Y1/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급커버나 사고의 위험이 많은 구간의 도로 중앙선상에 탄력성이 좋고 유연하게 잘 휘어져 파손의 우려가 적고, 복원력이 좋은 스프링봉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차량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ELASTIC BAR FOR CENTER LINE SEPARATE}
본 고안은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스프링봉을 도로의 중앙선상에 설치하여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는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급증하는 차량으로 인해 차량간에 접촉사고를 비롯한 중앙선을 넘어 마주오는 차량과 정면충돌하여 소중한 인명을 앗아가는 대형사고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급커버나 사고의 위험이 많은 구간의 도로 중앙에 탄력성이 좋고 유연하게 잘 휘어져 파손의 우려가 적고, 복원력이 좋은 스프링봉을 설치하여 차량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이 고안된바 있다.
종래의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공개번호 제 1999-0033700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은 고무재질로 구성하되 상호 끼움고정식으로 결합되는 상하 고무봉 및 표지병으로 구성하고, 상부 고무봉의 외면에는 고휘도 반사테이프가 부착되며 하단에는 자바라형 주름관이 형성되고, 하부 고무봉의 하단에는 스프링이 고정부착되어 도로의 중앙선에 매립고정되는 표지병에 형성되는 암나사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표지병의 암나사 하측으로는 배수공이 형성되고, 표지병의 외면에는 수개의 반사경을 부착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원가가 상승하고, 끼움고정식으로 결합되어 결합부의 취야함이 예상되며,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예상된다.
상기 고무재질의 탄력봉이 뜨거운 날씨와 차량에서 발생하는 열, 그리고 추운 날씨의 변화에 취약한 단점이 예상된다.
또한, 주행중인 차량의 접촉 시, 봉의 연결부가 쉽게 파손되고, 파손된 탄력봉이 도로에 방치되어 주행중인 차량에 사고의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예상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탄력성이 좋고 유연하게 잘 휘어지며 복원력이 좋은 스프링봉과 고정구로 구성되어진 간단한 구조의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스프링봉에 야광물질을 도포하여 야간에도 식별이 용이한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을 분리하여 중앙을 절개하여 도시한 중앙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중앙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스프링봉 12: 안착부
20: 고정구 22: 돌출테
24: 삽입구 26: 요입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을 분리하여 중앙을 절개하여 도시한 중앙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도로의 중앙선에 설치되는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에 관한 것으로, 스프링봉(10)의 일측이 나팔관 형상으로 점차적으로 확장되게 안착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12)의 넓은 밑면이 지면과 접하며 수평을 이룬다.
하부에 오목하게 요입부(26)가 형성된 고정구(20)의 중앙에는 삽입구(24)가 형성된 돌출테(22)가 돌설되어 형성된다. 상기 요입부(26)와 삽입구(24)는 상호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구(20)의 외측으로 다수개의 고정구가 형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중앙단면도이다.
상기 스프링봉(10)이 삽입구(24)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구(20)는 안착부(12)가 지면과 탄접되게 노면(30)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돌출테(22)의 하단부가 확장부(12)의 상단을 눌러 확장부(12)의 밑면이 노면(30)과 탄접되며, 상기 고정구(20)는 앙카볼트 등의 체결구로 노면(30)에 체결된다.
상기 스프링봉(10)에는 야광물질이 도포되어 어두운 야간에 운전자로 하여금 중앙선을 뚜렷하게 식별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을 도로의 중앙선상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스프링봉으로 구성되어 충격에 잘 휘어지고 보원력이 뛰어나 파손의 우려가 적은 장점이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져 자제 및 제조원가가 현저히 절감되며, 설치 및 수리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스프링봉에 양광물질이 도포되어 야간에 운전자로 하여금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도로의 중앙선에 설치되는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에 있어서;
    스프링봉(10)의 일측이 점차적으로 확장되게 안착부(12)가 형성되며;
    하부에 요입부(26)가 형성된 상기 고정구(20)의 중앙에는 삽입구(24)가 형성된 돌출테(22)가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봉(10)이 삽입구(24)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구(20)는 안착부(12)가 지면과 탄접하게 노면(30)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봉(10)에는 야광물질이 도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KR2020000023398U 2000-08-18 2000-08-18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KR2002119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398U KR200211955Y1 (ko) 2000-08-18 2000-08-18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398U KR200211955Y1 (ko) 2000-08-18 2000-08-18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955Y1 true KR200211955Y1 (ko) 2001-02-01

Family

ID=73087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398U KR200211955Y1 (ko) 2000-08-18 2000-08-18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9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639B1 (ko) * 2022-06-28 2023-03-10 주식회사 정스틸 개선된 복원력을 지닌 차량 진입 방지용 볼라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639B1 (ko) * 2022-06-28 2023-03-10 주식회사 정스틸 개선된 복원력을 지닌 차량 진입 방지용 볼라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605B1 (ko) 시선유도봉
NZ566105A (en) Road traffic-control signboard assembly having automatic return function
JP3162007B2 (ja) 道路標識柱
KR200211955Y1 (ko)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KR100443709B1 (ko)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CN214788494U (zh) 汽车车灯用滚花螺母
KR200284962Y1 (ko)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KR100377803B1 (ko) 차량 통행 규제기구
KR200249096Y1 (ko) 중앙선 분리용 탄력봉
KR102168269B1 (ko) 다목적 시선 유도봉
KR200260056Y1 (ko) 도로 차선 규제봉
KR200403523Y1 (ko) 차선분리 탄력봉
KR101149719B1 (ko) 차선지시봉
KR20060099890A (ko) 차선 규제봉
KR102077973B1 (ko) 중앙분리대 방현망용 델리네이터
CN207775785U (zh) 有效防撞的护栏
KR200428444Y1 (ko) 중앙분리대
JP5227256B2 (ja) 道路用標示体
CN215165011U (zh) 一种市政道路隔离带
KR200252829Y1 (ko) 차선유도 탄력봉
KR102629872B1 (ko) 차선 규제봉
JP2002038432A (ja) 復元可能な標識柱
CN214009173U (zh) 一种防水圈
JP2581399B2 (ja) 道路標識柱
KR100748260B1 (ko) 도로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20418

Effective date: 200311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