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506Y1 - 수,풍력 발전기 - Google Patents

수,풍력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506Y1
KR200211506Y1 KR2020000023639U KR20000023639U KR200211506Y1 KR 200211506 Y1 KR200211506 Y1 KR 200211506Y1 KR 2020000023639 U KR2020000023639 U KR 2020000023639U KR 20000023639 U KR20000023639 U KR 20000023639U KR 200211506 Y1 KR200211506 Y1 KR 2002115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power
vehicle
power generator
water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6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용
Original Assignee
이승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용 filed Critical 이승용
Priority to KR20200000236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5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5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506Y1/ko

Links

Landscapes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풍력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차체(10) 설치되며, 내부로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지지대(23)와 덮개(22)및 지지판(24)으로 구성된 몸체(21)와;
몸체(21)내부로 풍속에 따라 회전되도록 되어 있는 다수개의 회전판(25)과;
상기 몸체(21)의 덮개(22) 및 지지판(24) 중앙으로 형성되며 회전판(25)과 연결되어 회전판(25)이 회전시에 발전기(30)를 구동시킬수 있는 구동축(26)으로 구성되며,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수,풍력 발전기에 의하여 전기자동차 및 선박등이 운행하는데 있어 외부로부터 충전 받지 않고도 자체적으로 메인 축전지(50)를 충전하게 되어 사용자에게는 경제적 이득을 주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수,풍력 발전기 {Water and wind power generator}
본 고안은 수,풍력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이나 선박의 주행중 발생되는 풍력 및 수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환 및 저장시켜 자동차나 선박의 구동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는 무공해, 저소음의 차량으로 환경친화적인 측면이 강조되어 환경박람회 및 선진국등에서 부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전기에너지를 구동원으로 사용하는 전기 자동차는 내부에 메인 축전지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 축전지의 전류를 이용하여 엔진을 가동시키게 되어있다.
또, 자동차의 실내 전기장치도 상기 메인 축전지의 전류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전기 자동차는 환경문제등에 있어서 유리하므로 선진국등에서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자동차는 차내의 모든 전기장치가 메인 축전지에 의존하게 되며, 상기 메인 축전지가 방전되는 경우에는 차량을 움직일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메인 축전지가 방전되기 전에 충전소 등을 찾아 다니게 되며, 또, 1회 충전하게되는 경우 5~6시간 정도의 많은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또, 한정된 메인 축전지에 의하여 가솔린 자동차에 비해 주행속도및, 가속성, 등판성능 등이 뒤쳐져 있는 상황이다.
상기의 이유등으로 주행거리에 제한을 받고 있어 사용자들에게 외면받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이나 선박의 주행중 발생되는 풍력 및 수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환 및 저장시켜 자동차나 선박의 구동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수,풍력 발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기자동차에 적용할 경우 메인 축전지를 충전하기 위하여 충전소등을 찾아 다니지 않아도 되어 충전소등을 구비하기 위한 금전적 손해도 감소 할 수 있는 수,풍력 발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주행속도를 높이게 되면 풍속도 빠르게 되어 메인 축전지에 충전이 향상되므로 속도향상에 기여하며 주행거리등에서도 제한을 두지 않게 되므로 경제성을 향상시킨 수,풍력 발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프로펠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자가 전기발전 장치의 블럭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차체 20 - 회동부재
21 - 몸체 22 - 덮개
23 - 지지대 24 - 지지판
25 - 회전판 26 - 구동축
30 - 발전기 40 - 레귤레이터
50 - 메인 축전지 60 - 엔진부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차체(10) 설치되며, 내부로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지지대(23)와 덮개(22)및 지지판(24)으로 구성된 몸체(21)와;
몸체(21)내부로 풍속에 따라 회전되도록 되어 있는 다수개의 회전판(25)과;
상기 몸체(21)의 덮개(22) 및 지지판(24) 중앙으로 형성되며 회전판(25)과 연결되어 회전판(25)이 회전시에 발전기(30)를 구동시킬수 있는 구동축(26)으로 구성된 회동부재(20)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주행중에는 풍향에 의해 발생된 전류가 메인 축전지(50)로 충전이 계속 되므로 주행거리 및 속도가 향상되어 전기자동차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회동부재(20)가 차체(10)상부에 설치되어 차량 진행시 풍속에 의해 발전기(30)를 구동시키며 발전기(30)에서 발생한 전류를 레귤레이터(40)로 보내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수,풍력 발전기의 블럭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선박에 수,풍 발전기를 설치한 정면도이다.
즉, 도 1~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수,풍력 발전기는 차량 상부로 회동부재(20)를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회동부재(20)는 차체(10)상부에 설치되며, 내부로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지지대(23)와 덮개(22)및 지지판(24)으로 구성된 몸체(21)와, 몸체(21)내부로 풍속에 따라 회전되도록 되어 있는 다수개의 회전판(25)과, 상기 몸체(21)의 덮개(22) 및 지지판(24) 중앙으로 형성되며 회전판(25)과 연결되어 회전판(25)이 회전시에 발전기(30)를 구동시킬수 있는 구동축(26)으로 구성되어 형성된다.
상기 회동부재(20)는 주행중인 차량으로 인해 전방에서 불어오는 풍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회동부재(20)가 회전하게 되면 하부에 위치한 발전기(30)를 구동시켜 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또, 상기 발전기(30)에서 발생된 전류는 레귤레이터(40)로 보내지게 되며, 레귤레이터(40)는 모인 전류를 정전압으로 출력시켜 메인 축전지(50)에 보내어지게 된다.
상기 메인 축전지(50)에 충전된 전류는 주행중인 전기자동차의 엔진부(60)에 공급되어 엔진을 구동시키게 되며, 상기 엔진의 구동에 의해 전기자동차가 진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엔진의 구동으로 인하여 차량의 이동시 발생되는 풍속에 의해 발전되는 전류를 다시 공급받게 되며, 충전시킬수 있게 된다.
또, 전기자동차의 시동을 걸게되는 경우에도 메인 축전지(50)에서 전류가 공급되며, 저속운행시에는 메인 축전지에서 전류를 엔진부(60)로 보내게 된다.
그러므로, 매연등의 배출가스등이 생기지 않는 환경친화적인 자동차가 생산되므로 환경개선에 도움을 가져오게 된다.
또한, 전기자동차의 단점인 주행거리의 제한을 해소하게 되며, 속도가 높을수록 충전이 쉽게 되므로 가속능력 및 등판능력이 향상된다.
도 3과 같이, 상기 수,풍력 발전기는 선박등의 하부에 설치되어 주행중 발생되는 수력에 의한 회전력을 전지에너지로 변화시켜 선박의 구동에너지로 사용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수,풍력 발전기에 의하여 전기자동차 및 선박등이 운행하는데 있어 외부로부터 충전 받지 않고도 자체적으로 메인 축전지(50)를 충전하게 되어 사용자에게는 경제적 이득을 주게 된다.
또, 주행거리에 대한 제한이 없어지게 되며, 내연기관의 문제점인 배기가스배출을 제거하므로서 환경문제 개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차체(10) 설치되며, 내부로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지지대(23)와 덮개(22)및 지지판(24)으로 구성된 몸체(21)와;
    몸체(21)내부로 풍속에 따라 회전되도록 되어 있는 다수개의 회전판(25)과;
    상기 몸체(21)의 덮개(22) 및 지지판(24) 중앙으로 형성되며 회전판(25)과 연결되어 회전판(25)이 회전시에 발전기(30)를 구동시킬수 있는 구동축(26)으로 구성된 회동부재(20)를 특징으로 하는 수,풍력 발전기.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20)는 차량의 상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중 발생되는 풍력에 의해 발전되어 메인축전지(50)가 충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풍력 발전기.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20)는 선박의 하부에 설치되어, 선박의 주행중 발생되는 수력에 의해 발전되어 메인축전지(50)가 충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풍력 발전기.
KR2020000023639U 2000-08-21 2000-08-21 수,풍력 발전기 KR2002115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639U KR200211506Y1 (ko) 2000-08-21 2000-08-21 수,풍력 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639U KR200211506Y1 (ko) 2000-08-21 2000-08-21 수,풍력 발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506Y1 true KR200211506Y1 (ko) 2001-01-15

Family

ID=73087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639U KR200211506Y1 (ko) 2000-08-21 2000-08-21 수,풍력 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5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427B1 (ko) * 2002-07-27 2005-06-20 주장식 풍력을 이용한 선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427B1 (ko) * 2002-07-27 2005-06-20 주장식 풍력을 이용한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03537A1 (en) Propuision and recharge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with a propeller system
WO2017211018A1 (zh) 一种自发电驱动式交通工具
KR200211506Y1 (ko) 수,풍력 발전기
CN1263833A (zh) 风能汽车
CN202123939U (zh) 太阳能驱动的汽车
KR20190019881A (ko) 주행풍 발전기를 구비한 주행장치의 기어박스
KR20090002921U (ko) 풍력 발전기 자동차
KR200268814Y1 (ko) 풍력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전력공급장치
CN203246316U (zh) 磁力耦合的串联结构汽车混合动力系统
CN203344732U (zh) 发动机发电机齿轮箱驱动的汽车混合动力系统
JP2000002175A (ja) 風力発電機自動車
CN101947921A (zh) 多能源混合汽车
CN201126993Y (zh) 一种利用转动轮毂及轮轴的发电装置
JP3113246U (ja) 電力車の風力発電動力装置
KR200359550Y1 (ko) 풍력발전을 보조동력원으로 이용하는 전기자동차
JPH06237501A (ja) 風力発電を使用した電気自動車及びソーラーカー
CN111231662A (zh) 一种混合动力汽车
CN2583856Y (zh) 车载发电装置
Patil et al. Augmentation in Battery & e-Vehicle Performance Using Accelerometer
JP3241111U (ja) Wind power generator of car(wpgc)
KR200335762Y1 (ko) 맞바람을 이용한 전기발생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CN202167943U (zh) 一种新型混合动力用辅助发电单元
JPH09163505A (ja) ハイブリッド自動車
CN2663194Y (zh) 双动力节能汽车
JP2002138945A (ja) モーター式発電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