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194Y1 - 보수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보수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194Y1
KR200211194Y1 KR2020000024478U KR20000024478U KR200211194Y1 KR 200211194 Y1 KR200211194 Y1 KR 200211194Y1 KR 2020000024478 U KR2020000024478 U KR 2020000024478U KR 20000024478 U KR20000024478 U KR 20000024478U KR 200211194 Y1 KR200211194 Y1 KR 2002111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band
bolts
holes
connecting block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4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국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국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국일
Priority to KR20200000244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1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1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194Y1/ko

Links

Landscapes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체를 이송하는 관에서 누설되는 유체를 긴급하게 차단하고 연결블록으로부터의 볼트 이탈을 방지하고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보수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누수관(50)의 외부를 감싸는 스틸밴드(60)와, 스틸밴드(6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누수관(50)의 파손부위(52)를 기밀하게 막기 위한 실링패드(62)와, 스틸밴드(60)의 단부와 결합되고, 복수의 구멍(72)(74)(76)이 병렬로 형성되어 있는 연결블록(70)과, 이 연결블록(70)의 반대편에 위치되어 스틸밴드(60)의 다른쪽 단부와 결합되고, 구멍(72)(74)(76)과 중심이 일치되는 'U'자 모양의 홈(82)(84)(86)을 갖는 또 다른 연결블록(80)과, 양측의 연결블록(70)(80)에 각각 걸리어 죄는 힘에 의해 스틸밴드(60)에 인장력을 가하는 볼트(90)(91)(92) 및 너트(94)(95)(96)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연결블록(80)에서 볼트(90)(91)(92)의 머리부(90h)(91h)(92h)가 걸리는 볼트자리부(84k)(84g)(84f)와, 상기 볼트자리부에 접촉하는 볼트(90)(91)(92)의 머리부(90h)(91h)(92h) 접촉면(90a)(91a)(92a)을 각각 오목한 형태와 볼록한 형태로 형성하고, 볼트(90)(91)(92)가 끼워지는 연결블록(70)상의 구멍(72)(74)(76)을 장공형태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수용 클램프{repair clamp}
본 고안은 수도관과 같이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관에서 누설되는 유체를 긴급하게 차단하는데 사용되는 보수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틸밴드의 양단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블록으로부터 볼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볼트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여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보수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관과 같이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관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부식에 의해 노화되어 누수가 발생되거나 관이 매설된 주변에서의 공사중 부주의로 인하여 파손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신속하게 누수를 막지 못하게 되면, 지반침하 또는 주변지역에 수해를 입히게 된다.
이러한 긴급한 상황에서 누수를 차단하기 위해 종래에는 첨부도면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수용 클램프가 제안되었는데, 이것은 누수관(20)의 외부를 감싸기 위한 스틸밴드(22)와, 이 스틸밴드(22)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누수관(20)의 파손부위(20a)를 기밀하게 막기 위한 실링패드(24)와, 스틸밴드(22)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서로 대향하는 발톱모양의 연결블록(26)(28)과, 상기 연결블록(26)(28)에 각각 걸리어 죄는 힘에 의해 상기 스틸밴드(22)에 인장력을 가하는 볼트(30)(31)(32) 및 너트(34)(35)(36)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연결블록(26)(28)중에서 한쪽의 연결블록(26)에는 볼트(30)(31)(32)가 관통되는 원형 또는 정방형의 구멍(26a)(26b)(26c)이 복수개 병렬로 형성되어 있었고, 다른 한쪽의 연결블록(28)에는 상기 구멍(26a)(26b)(26c)에 대응하는 'U'자 모양의 홈(28a)(28b)(28c)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었다.
또한, 'U'자 모양의 홈(28a)(28b)(28c)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블록(28)에서 볼트(30)(31)(32)의 머리부(30h)(31h)(32h)가 걸리는 부분과, 볼트(30)(31)(32)의 머리부(30h)(31h)(32h) 접촉면은 모두 평평한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보수용 클램프를 이용한 누수차단작업은 누수관(20)의 파손부위(20a)를 스틸밴드(22)를 이용하여 감아서 싼 다음, 스틸밴드(22)의 양단을 당겨서 연결블록(26)(28)을 서로 근접시킨 상태에서 한쪽의 연결블록(26)에 형성된 구멍(26a)(26b)(26c)에 끼워져 있는 볼트(30)(31)(32)의 머리부(30h)(31h)(32h)를 반대편의 연결블록(28)에 형성된 홈(28a)(28b)(28c)에 걸고, 볼트(30)(31)(32)에 미리 결합되어 있던 너트(34)(35)(36)를 죄어 스틸밴드(22)에 인장력을 가함으로써 스틸밴드(22)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실링패드(24)가 누수관(20)의 파손부위(20a)를 압박하도록 하여 누수를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보수용 클램프는 연결블록(28)에서 볼트(30)(31)(32)의 머리부(30h)(31h)(32h)가 걸리는 부분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틸밴드(22)가 가지고 있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볼트(30)(31)(32)가 홈(28a)(28b)(28c)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결블록(26)에 형성된 구멍(26a)(26b)(26c)이 원형 또는 정방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볼트(30)(31)(32)가 축의 직각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어서 볼 트(30)(31)(32) 머리부(30h)(31h)(32h)를 홈(28a)(28b)(28c)에 거는 과정에서 볼트(30)(31)(32) 뿐만 아니라 스틸밴드(22)도 함께 움직여야 되며, 이러한 점 때문에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1차 긴급체결작업을 지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1 및 도2의 도면중 미설명 부호 40,41,42는 와셔를 나타낸 것이며, 26g,28g는 상기 연결블록(26)(28)에 형성된 장홈을 나타낸 것이고, 22n,22m은 상기 스틸밴드(22)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장홈(26g)(28g)에 끼워지는 절곡부를 나타낸 것이다.
또, 첨부도면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스틸밴드(22)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누수관(20)의 파손부위(20a)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작용을 하는 실링패드(24)의 표면에는 정방형의 요입부(24g)가 격자형태로 형성되어 누수관(20)의 표면에 밀착될 때 도3에서 점으로 표시된 부분이 누수관(20)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면서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실링패드(24)는 요입부(24g)가 정방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누수관(20)과의 접촉면적을 더 이상 늘릴 수 없어서 기밀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통상 고무재질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누수관(20)을 통해 화학성의 약품이 누출되는 경우 실링패드(24)가 용융되거나 손상이 발생하여 보수를 어렵게 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 와셔(40)(41)(42)를 일반적인 평와셔 또는 일측이 개구된 스프링 와셔를 사용하기 때문에 보수작업 후 관을 통하여 흐르는 유체에 의하거나 또는 외부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너트(34)(35)(36)가 풀리면서 밀폐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누수를 차단하기 위한 스틸밴드의 양단에 인장력을 가하기 위한 볼트가 연결블록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볼트를 연결블록에 거는 과정에서 볼트의 움직임을 보다 자유롭게 하여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실링패드의 기밀성 및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너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보수용 클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누수관의 외부를 감싸고 양단에 절곡부가 형성된 스틸밴드와, 스틸밴드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누수관의 파손부위를 기밀하게 막기 위한 실링패드와, 스틸밴드의 한쪽 절곡부가 끼워지는 장홈을 갖고, 복수의 구멍이 병렬로 형성되어 있는 한쪽의 연결블록과, 이 한쪽의 연결블록의 반대편에 위치되어 스틸밴드의 다른쪽 절곡부가 끼워지는 장홈을 갖고, 상기 구멍과 중심이 일치되는 'U'자 모양의 홈을 갖는 또 다른 연결블록과, 와셔를 사이에 두고 양측의 연결블록에 각각 걸리어 죄는 힘에 의해 상기 스틸밴드에 인장력을 가하는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구성을 가지며, 이에 상기 한쪽의 연결블록에서 볼트의 머리부가 걸리는 볼트자리부와, 볼트자리부에 접촉하는 볼트의 머리부 접촉면을 각각 오목한 형태와 볼록한 형태로 형성하고, 볼트가 끼워지는 반대편의 연결블록상의 구멍을 장공형태로 형성하여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도 1 은 종래 보수용 클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종래 보수용 클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은 종래 실링패드의 구조를 전개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4 는 종래 실링패드의 구조를 나타낸 도3의 A-A선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보수용 클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보수용 클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실링패드의 구조를 전개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실링패드의 구조를 나타낸 도7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50 : 누수관 60 : 스틸밴드
52 : 파손부위 62 : 실링패드
62g : 요입부 72,74,76 : 구멍
70,80 : 연결블록 82,84,86 : 홈
90,91,92 : 볼트 94,95,96 : 너트
90h,91h,92h : 머리부 84k,84g,84f : 볼트자리부
90a,91a,92a : 접촉면 200,200a,202,202a : 리벳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5 및 도6는 본 고안에 따른 보수용 클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및 분해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수관(50)의 외부를 감싸고 양단에 절곡부(68)(69)가 형성된 스틸밴드(60)와, 스틸밴드(6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누수관(50)의 파손부위(52)를 기밀하게 막기 위한 실링패드(62)와, 스틸밴드(60)의 한쪽 절곡부(68)가 끼워지는 장홈(79)을 갖고, 복수의 구멍(72)(74)(76)이 병렬로 형성되어 있는 한쪽의 연결블록(70)과, 이 한쪽의 연결블록(70)의 반대편에 위치되어 스틸밴드(60)의 다른쪽 절곡부(69)가 끼워지는 장홈(89)을 갖고, 상기 구멍(72)(74)(76)과 중심이 일치되는 'U'자 모양의 홈(82)(84)(86)을 갖는 또 다른 연결블록(80)과, 와셔(120)(121)(122)를 사이에 두고 양측의 연결블록(70)(80)에 각각 걸리어 죄는 힘에 의해 상기 스틸밴드(60)에 인장력을 가하는 볼트(90)(91)(92) 및 너트(94)(95)(96)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구성을 가지며, 이에 상기 한쪽의 연결블록(80)에서 볼트(90)(91)(92)의 머리부(90h)(91h)(92h)가 걸리는 볼트자리부(84k)(84g)(84f)와, 볼트자리부(84k)(84g)(84f)에 접촉하는 볼트(90)(91)(92)의 머리부(90h)(91h)(92h) 접촉면(90a)(91a)(92a)을 각각 오목한 형태와 볼록한 형태로 형성하고, 볼트(90)(91)(92)가 끼워지는 반대편의 연결블록(70)상의 구멍(72)(74)(76)을 장공형태로 형성하여 구성하였다.
즉, 상기 볼트(90)(91)(92)의 머리부(90h)(91h)(91h)에 형성된 볼록한 접촉면(90a)(91a)(92a)은 측면에서 볼 때 반원형의 모양을 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이 볼트(90)(91)(92)가 끼워지는 장공 형태의 구멍(72)(74)(76)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 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연결블록(80)에 형성된 볼트자리부(84k)(84g)(84f)를 오목한 것이 아닌 볼록한 형태로 형성하고, 이 볼트자리부(84k)(84g)(84f)에 접촉되는 볼트(90)(91)(92)의 머리부(90h)(91h)(92h) 접촉면(90a)(91a)(92a)을 볼록한 형태가 아닌 오목한 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블록(70)(80)과 스틸밴드(60)의 연결은 일반적인 구성으로, 연결블록(70)(80)의 한쪽면에 안쪽으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장홈(79)(89)을 각각 형성하고, 스틸밴드(60)의 양단부를 'U'자 형태로 절곡한 다음 다시 그 끝부분을 반대편으로 접어서 절곡부(68)(69)를 형성하고, 이 절곡부(68)(69)를 연결블록(70)(80)에 형성된 장홈(79)(89)에 끼워서 결합한 것이다.
연결블록(70)(80)에 형성되어 있는 장홈(79)(89)에 스틸밴드(60)의 절곡부(68)(69)가 끼워진 상태에서 절곡부(68)(69)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의 전후방에서 리벳(200,200a)(202,202a)을 압입하여 연결블록(70)(80)이 서로 결합되어 스틸밴드(60)에 인장력이 가해질 때 절곡부(68)(69)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틸밴드(60)와 연결블록(70)(80)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하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첨부도면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패드(62)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입부(62g)를 정육각형의 모양으로 형성하고, 이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좌우로 연속되는 모양으로 배열하여 누수관(50)과의 표면접촉면적을 넓힘으로써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그 재질은 고무, 테프론 수지 또는 흑연질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와셔(120)(121)(122)는 예컨대, 얇은 스프링 강판을 부채꼴모양으로 일부분을 가압하여 원주면이 방형파 또는 정현파 모양을 이루는 스프링와셔로 구성하였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수를 차단하기 위한 작업은 누수관(50)의 파손부위(52)를 스틸밴드(60)를 이용하여 감아서 싼 다음, 스틸밴드(60)의 양단부를 당긴 상태에서 볼트(90)(91)(92)의 머리부(90h)(91h)(92h)를 반대편의 연결블록(80)으로 당겨서 이동시키고, 이 연결블록(80)에 형성되어 있는 'U'자 모양의 홈(82)(84)(86)에 끼우게 되면, 볼트(90)(91)(92)의 머리부(90h)(91h)(92h)가 연결블록(80)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한 볼트자리부(84k)(84g)(84f)에 걸리게 된다.
이때 연결블록(70)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72)(74)(76)이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볼트(90)(91)(92)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되어 반대편의 연결블록(80)에 거는 작업이 보다 수월하게 된다.
이후 볼트(90)(91)(92)의 머리부(90h)(91h)(92h)에 형성된 볼록한 접촉면(90a)(91a)(92a)이 연결블록(80)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한 볼트자리부(84k)(84g)(84f)에 위치되어 걸리게 되면, 스틸밴드(60)가 가지고 있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볼트(90)(91)(92)가 홈(82)(84)(86)으로부터 이탈되려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는데, 이때 볼트(90)(91)(92)의 머리부(90h)(91h)(92h)에 형성된 볼록한 접촉면(90a)(91a)(92a)과 연결블록(80)에 형성된 오목한 볼트자리부(84k)(84g)(84f)가 서로 맞물려 있는 형태로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볼트(90)(91)(92)가 홈(82)(84)(86)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후 너트(94)(95)(96)를 조이게 되면, 볼트(90)(91)(92)와 너트(94)(95)(96)의 체결력에 의해 스틸밴드(60)가 보다 강하게 인장력을 받게 되는 동시에 스틸밴드(6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실링패드(62)가 누수관(50)의 파손부위(52)에 강하게 밀착되면서 파손부위(52)를 기밀하게 유지하게 되며, 연결블록(70)과 너트(94)(95)(96)의 사이에 위치되는 와셔(120)(121)(122)는 진동에 의해 너트(94)(95)(96)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때, 스틸밴드(60)의 전후의 절곡부(68)(69)(후방은 미도시) 구멍에 압입되어 있는 리벳(200,200a)(202,202a)은 연결블록(70)(80)에 의해 강한 인장력을 받게 되는 스틸밴드(60)의 절곡부(68)(69)가 구멍 안쪽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틸밴드(60)와 연결블록(70)(80)의 결속력을 보다 강하게 유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실링패드(62)는 그 표면에 정육각형 모양의 요입부(62g)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좌우로 연속하여 배열되어 있고, 누수관(50)과의 표면접촉면적이 증대되어 있기 때문에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즉, 동일한 직경의 원에 내접하는 정사각형과 정육각형을 서로 비교할 때 정사각형이 갖고 있는 네 변의 길이 종합보다 정육각형이 갖고 있는 여섯 변의 길이 종합이 길기 때문에 누수관(50)의 표면접촉면적이 증대되어 기밀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 실링패드(62)를 고무 외에 테프론 수지나 흑연질로 구성하게 되면, 누수관(50)의 파손부위(52)에서 고열 또는 화학성이 강한 유체가 누출되는 경우 실링패드(62)가 내열성 또는 내식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링패드(62)의 손상이 없이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는 세개의 볼트(90)(91)(92)에 대한 실시예이기는 하지만, 연결블록(70)에 병렬로 형성되는 장공형태의 구멍(72)(74)(76) 및 다른 한쪽의 연결블록(80)에 형성되는 'U'자 모양의 홈(82)(84)(86)은 누수관(50)의 길이 또는 직경 등의 사용 용도에 따라 한 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삽입되는 볼트(90)(91)(92) 및 너트(94)(95)(96)의 갯수도 형성되는 구멍과 홈의 갯수와 일치하게 하고, 서로 맞접하는 볼트자리부(84k)(84g)(84f)와 머리부(90h)(91h)(92h) 접촉면(90a)(91a)(92a)을 오목 또는 볼록하게 한 개 이상 형성하여 구성하는 변형은 일반적인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므로 상기한 실시예가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이 분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볼트가 걸리는 연결블록의 볼트자리부와 볼트의 머리부 접촉면이 각각 오목하고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누수관의 파손부위를 막기 위해 스틸밴드를 당겨서 볼트를 임시로 거는 과정에서 스틸밴드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볼트가 홈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더욱이 볼트가 끼워지는 연결블록상의 구멍이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볼트를 반대편의 연결블록에 거는 과정에서 볼트의 중심과 홈의 중심이 약간 어긋나 있는 경우에도 볼트를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걸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게 되고, 1차 긴급체결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마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링패드의 표면에 형성되는 홈이 정육각형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누수관과의 표면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어 기밀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실링패드를 테프론 수지나 흑연질로 구성하게 되면, 누수관으로부터 누출되는 고열의 유체 또는 화학성이 강한 화공약품에도 견딜 수 있기 때문에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연결블록과 너트의 사이에 위치되는 와셔가 탄성력이 강한 스프링 와셔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너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누수관(50)의 외부를 감싸고 양단에 절곡부(68)(69)가 형성된 스틸밴드(60)와, 스틸밴드(6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누수관(50)의 파손부위(52)를 기밀하게 막기 위한 실링패드(62)와, 스틸밴드(60)의 한쪽 절곡부(68)가 끼워지는 장홈(79)을 갖고, 복수의 구멍(72)(74)(76)이 병렬로 형성되어 있는 한쪽의 연결블록(70)과, 이 한쪽의 연결블록(70)의 반대편에 위치되어 스틸밴드(60)의 다른쪽 절곡부(69)가 끼워지는 장홈(89)을 갖고, 상기 구멍(72)(74)(76)과 중심이 일치되는 'U'자 모양의 홈(82)(84)(86)을 갖는 또 다른 연결블록(80)과, 와셔(120)(121)(122)를 사이에 두고 양측의 연결블록(70)(80)에 각각 걸리어 죄는 힘에 의해 상기 스틸밴드(60)에 인장력을 가하는 볼트(90)(91)(92) 및 너트(94)(95)(96)로 구성된 보수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연결블록(80)에서 볼트(90)(91)(92)의 머리부(90h)(91h)(92h)가 걸리는 볼트자리부(84k)(84g)(84f)와, 볼트자리부(84k)(84g)(84f)에 접촉하는 볼트(90)(91)(92)의 머리부(90h)(91h)(92h) 접촉면(90a)(91a)(92a)을 각각 오목한 형태와 볼록한 형태로 형성하고, 볼트(90)(91)(92)가 끼워지는 반대편의 연결블록(70)상의 구멍(72)(74)(76)을 장공형태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용 클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패드(62)는 고무, 테프론 수지 또는 흑연질로 구성되고, 그 표면에 정육각형의 모양으로 된 요입부(62g)가 전후좌우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용 클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밴드(60)의 양단에 형성된 절곡부(68)(69)의 구멍에 압입되어 이 절곡부(68)(69)가 상기 연결블록(70)(80)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장홈(79)(89)의 내벽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리벳(200,200a)(202,202a)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용 클램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120)(121)(122)는 부채꼴 모양으로 포밍된 스프링 와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용 클램프.
KR2020000024478U 2000-08-29 2000-08-29 보수용 클램프 KR2002111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478U KR200211194Y1 (ko) 2000-08-29 2000-08-29 보수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478U KR200211194Y1 (ko) 2000-08-29 2000-08-29 보수용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194Y1 true KR200211194Y1 (ko) 2001-01-15

Family

ID=73057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478U KR200211194Y1 (ko) 2000-08-29 2000-08-29 보수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1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597B1 (ko) 2011-08-19 2014-01-10 안국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파이프이음용 결속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597B1 (ko) 2011-08-19 2014-01-10 안국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파이프이음용 결속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95502B (fi) Korvakkeeton kiristinpanta
US6830268B2 (en) Pipe repair clamp
JP5319708B2 (ja) シール手段を備えている熱交換器のヘッダータンク
US6334465B2 (en) Device for stopping a leak in a pipe
US6098701A (en) Plate heat exchanger
JPH07224978A (ja) 管の接続構造
CN1113552A (zh) 带有锯齿状锁定结构的卡箍
KR200211194Y1 (ko) 보수용 클램프
JPS61109997A (ja) 管修理用クランプ
KR20050013496A (ko) 플랜지를 이용한 관 이음장치
CA2911611C (en) Pipe clamp assembly with stiffening element
KR102201374B1 (ko) 이음관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 방법
US3863964A (en) Pipe joint with improved fastener assembly
KR200390480Y1 (ko) 앵글이 부가된 에지리스 타입 파이프 커플링
KR20100028519A (ko) 금속 주름관 연결부위의 실링장치
KR20210001307U (ko) 에어컨 실외기용 수지코팅 알루미늄관 연결장치
US3612107A (en) Gas proof tube closure seal
KR200238937Y1 (ko) 파이프 누수차단장치
KR200419768Y1 (ko) 파이프 커플링
CN210034398U (zh) 核电设备及带凸台接管的高效机械密封装置
JP3978831B2 (ja) ホース固定装置
KR200237783Y1 (ko) 에지리스 타입 파이프 커플링
KR200365425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100558189B1 (ko) 관 연결 장치
KR200405201Y1 (ko) 파이프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