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148Y1 - 전기온돌장치의 히팅케이블 - Google Patents

전기온돌장치의 히팅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148Y1
KR200211148Y1 KR2020000023009U KR20000023009U KR200211148Y1 KR 200211148 Y1 KR200211148 Y1 KR 200211148Y1 KR 2020000023009 U KR2020000023009 U KR 2020000023009U KR 20000023009 U KR20000023009 U KR 20000023009U KR 200211148 Y1 KR200211148 Y1 KR 2002111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cable
heating
heat
maximum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0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곤
Original Assignee
인성축열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성축열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성축열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30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1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1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148Y1/ko

Links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축열식 전기온돌장치에 사용되는 히팅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축열식 전기온돌장치의 히팅케이블은 중심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터와, 상기 히터를 중심부에 두고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 상태에서 동심원상의 공간에 충진되는 미네랄 인슐레이티드와, 이 미네랄 인슐레이티드가 충진된 외부를 커버하기 위하여 구리등의 합금으로 피복된 피복부로 이루어진 발열부; 내열유리편조배선과 콜드리드로 이루어지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발열부와의 사이에 전원공급가능하게 접속연결되는 조인트부를 포함하는 히팅케이블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열부와 전원공급부사이에 연결되는 조인트는 상기 발열부와 콜드리드부 사이의 제 1연결부; 및 상기 콜드리드부와 내열유리 편조배선 사이의 제 2연결부로 이루어진 조인트구조를 제공한다.
상기한 조인트,발열부,콜드리드부 및 내열유리편조배선으로 이루어지는 히팅케이블은 발열부 전부가 바닥에 매설되고 그 도입부만 전원공급가능하도록 노출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전기온돌장치의 히팅케이블{Electric heating cable}
본 고안은 전력의 사용이 많지 않은 심야시간동안 전력난방을 하고 그 난방후의 잔열이 난방하지 않는 시간동안에도 어느 정도 유지되도록 하는 축열식 전기온돌장치의 히팅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심야의 온돌난방에 사용되는 히팅케이블을 미네랄 인슐레이티드(Mineral Insulated, 일종의 절연재임)로 절연하여 중간부분에서의 연결을 위한 노출부분이 제거된 절곡가능한 히팅케이블을 제공하며, 이와같은 히팅케이블에 의한 전기온돌장치가 종래 심야전력이용의 히팅케이블이 갖는 단점을 개선한 축열식 전기온돌장치의 히팅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심야전력을 이용한 난방발열수단으로 알려진 종래의 히팅케이블 및 이를 사용한 심야전력용 전기온돌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존의 축열온돌 난방시스템에는 히팅케이블의 규격화 및 제품화가 되어있지 않고 축열난방의 시공 방법도 이론적 근거가 부족한 상태에서 축열식 온돌난방을 시공해왔다. 기존의 축열난방에 이용되어온 히팅케이블은 두가지가 있는데,
첫째, 절연물이 실리콘 외장에 내열 PVC외장으로 구성된 이중 구조히팅케이블이 있었는데 시간이 많이 지나면, 먼저 PVC가 온도에 못이겨 파괴되어 기름이 빠지면서, 경화현상이 일어나고, 그 내부의 절연물인 실리콘은 강도에 약해서, 축열층 구조의 석분이나 자갈등이 있는 환경에서는 찢어지는 현상으로 지금은 거의 사용을 못하고 있다.
둘째, 통칭 씨즈히터로 알려지며, 외관은 스텐으로 만들어졌고 내부절연물은 미네랄 인슐레이티드을 넣어서, 기존의 PVC히팅케이블에 비하여, 발열부의 수명이나, 강도 및 절연물등이 오래가는 제품으로 인정되어 왔다. 그러나 히터의 길이가 3m가 가장 길고 6m까지는 제작 되지만 중간 중간에는 히팅케이블이 아닌 리드선으로 연결된 노출연결부를 필수적으로 구성하여 현장 시공된다.
그동안 히팅케이블의 제작은 평형별 모델이 없고, 씨즈히터의 경우 3m --6m로 제작되어 중간 노출된 조인트를 연결하고 리드선을 쓰기 때문에 히터를 축열층에 시공할 때, 시공이 번거롭고, 연결부분 때문에, 절연성능이 떨어지는 한계를 갖고 있다.
상기 씨즈히터 구조의 히팅케이블에서는 씨즈히터 온도가 기존 히팅케이블보다 높기 때문에(기존 히팅케이블 80℃에서 씨즈히터 약220℃), 1차 바닥 단열층의 구조상 바닥 스치로폴 등의 단열재가 녹는 것을 막기위하여(스치로폴의 융점온도 75℃이상이면 변형되거나 녹는다.)보온덮개(후포)를 보강하였고, 은박지도 깔았다. 그리고 축열재층를 형성할 때에 자갈을 넣었다. 그러나 자갈을 깔더라도 높은 온도 때문에 1차 자갈 4--5cm를 깔고 2차 자갈 약 10cm 정도를 깔아서, 방바닥온도가 최대한 높은 온도가 올라가지 않도록 경험적인 단순판단에 따라 시공을 하였다. 마감층에 있어서도, 기존에는 스치로폴 등을 썼지만 씨즈히터의 경우에는 통상 후포를 사용하였다. 이는 씨즈히터 발열온도가 너무 높아 상부 스치로폴이 녹을 수 있기 때문이었다.
심야 축열 온돌난방에 사용되는 씨즈히터와 실리콘/내열 PVC히터등은 기본적으로 시공자가 시공할 때, 하자부담등으로 인하여, 상당히 고심해 온게 사실이다. 축열난방 구조시공도 후자에 언급된 히터구조로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인건비가 많이들어 시공비가 부담되었다.
최근에는 주택뿐만 아니라, 교회, 성당 연수원 등의 넓은 바닥도 난방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방식은 3m - 6m의 히터 케이블의 중간을 연결해서 넓은 바닥을 처리하며, 전원이 공급되는 일부분(약 40cm정도) 및 상기 노출된 연결부등에서는 난방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리드선을 히터케이블 가까운 곳에서 늘려서 벽쪽의 조인트박스까지 연결해야 하는 취약점이 있으며, 수분이 많은 화장실 바닥 등은 연결점이 많아서 절연이 파괴되어 누전 될 가능성이 많은 등 시공상의 여러 문제점이 상존해왔다.
이와같이 심야 축열용 전기난방시스템을 적용하는 데에 있어서 히팅케이블의 노출조인트는 시공상의 불편은 물론 이 부분의 잦은 고장으로 인한 하자 발생이 많고, 이를 사후 관리함에 따른 하자부담이 가중되며, 그에 따른 인건비도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히팅케이블의 중간 연결부분없는 굴곡가능한 히팅케이블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축열식 전기온돌장치의 히팅케이블이 매입된 단층구조와 그 연결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 축열식 전기온돌장치의 히팅케이블 배열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 히팅케이블이 적용된 표준시공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고안 전기온돌장치의 히팅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고안 히팅케이블의 각 부분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고안에 적용된 히팅케이블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고안에 적용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6c와 6d는 상기 도 6a와 도 6b의 히팅케이블 내부 히터 혹은 도선의 수를 복수로 실시한 경우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표준시공도 110:방습단열층
120:단열층 130:보온덮개층
140:축열층 150:와이어 메쉬
160:축열층 170:방열온도조절보온덮개층
180:크랙 방지용 와이어 메쉬 190:마감미장
200:히팅케이블 210:히터
220:피복부 230,314:미네랄인슐레이티드
240:HDPE층 300:제 1조인트
301:미네랄인슐레이티드주입구 302:마그네슘캡슐
303:밀봉부 304:마그네슘파우다
310:콜드리드 312:도선(니켈+크롬)
314:미네랄인슐레이티드 316:피복부
320:내열유리편조배선 322:도선
324:절연재 326:비닐피복
330:제 2조인트 331:주입구
332:마그네슘캡슐 333:밀봉부
334:에폭시135 335:압착슬리브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기온돌장치의 히팅케이블은 히터와, 상기 히터를 중심으로 일정 폭으로 미네랄 인슐레이티드를 충진시킨 절연부와, 상기 절연부의 외주면을 피복처리한 피복부로 이루어진 발열부; 콜드리드(cold lead,피복없는 경질부분으로 섬유복합재로 피복된 전원선과 히터선과의 사이에 연결된 전선부분)부; 상기 발열부와 콜드리드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1조인트부; 내열유리편조배선부; 상기 콜드리드부와 내열유리편조배선부사이를 연결하는 제 2조인트를 포함하는 히팅케이블로 달성된다. 상기 제 1조인트부분은 히팅케이블과 콜드리드사이에 히터선과 도선을 연결한 상태에서 마그네슘 파우다가 충진된 마그네슘 캡슐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조인트부분은, 상기 콜드리드와 내열유리편조배선사이에 도선과 연선을 연결한 뒤 압착슬리브로 커버한 상태에서 에폭시135수지가 충진된 마그네슘캡슐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팅케이블은, 중심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터; 상기 히터를 중심부에 두고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 상태에서 동심원상 외부를 형성하도록 구리,카프로니켈,알로이,스테인레스로 피복된 피복부; 및 상기 히터와 피복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동심원상의 공간에 충진되는 미네랄인슐레이티드를 포함하는 히팅케이블로서 달성된다.
상기한 피복부는 구리로 되어 있거나, 구리 약68%와 철 1%(최대),망간1.5%(최대),니켈 30%의 비율로 합금된 금속재료로 하거나, 그 외측으로 HDPE를 더 형성하거나, 철 31%, 니켈40%, 크롬21%, 탄소0.05%(최대),몰리브덴3%, 망간0.6%(최대), 실리콘0.4%(최대), 구리1.8%의 비율로 합금된 금속재료이거나, 철 약 66%,니켈 12%, 크롬17%, 탄소0.03%(최대),몰리브덴2%, 망간2%(최대),황0.03%(최대),실리콘1%의 비율로 합금된 금속재료이거나, 철 약 66%, 탄소 0.08%(최대), 망간2%(최대), 인 0.045%(최대), 황 0.03%(최대), 실리콘 1%(최대), 크롬 19%, 니켈 12%의 비율로 합금된 금속재료로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축열난방장치의 평수에 따른 히팅케이블의 길이는 다음 공식에 의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① 총 저항값 = 기준평수 ×800 =,
②길이=,
여기에서 총 저항값을 구하기 위한 기준평수는 해당 난방면적을 나타내고, V는 전압을, R은 저항값을 각각 나타낸다. 전체 히팅케이블의 길이를 구하기 위한 열선간격은 0.2,실제난방발열면적율 0.8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중 도 2는 본 고안 축열식 전기온돌장치의 히팅케이블 배열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히팅케이블이 적용된 표준시공도의 개략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의한 본 고안 축열식 전기온돌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은 방습, 단열, 보온 및 축열이 이루어지는 단층구조(100)와, 상기 단층구조(100)의 어느 일부에 전원연결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를 엔드레스로 형성한 히팅케이블(200)로 이루어진다.
첨부 도면중 도 3에 따르는 본 고안 전기식 난방장치의 표준 시공예에 따르면 상기 표준시공도(100)가 방습단열층(110)과, 발포 폴리스티렌계의 단열층(120)과, 후포를 이용한 1차 보온덮개층(130)과, 자갈을 이용한 1차 축열층(140)과, 와이어 메쉬(150)와, 자갈을 이용한 2차 축열층(160)과, 후포를 이용한 2차 방열온도조절보온덮개층(170) 및 크랙 방지용 와이어 메쉬(180) 처리후 마감미장(190)함을 보여준다.
한편, 첨부 도면 도 4a 내지 도 4f는 본 고안 축열식 전기온돌장치의 히팅케이블과 그 조인트구조를 나타낸다. 상세하게는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 발열부와 콜드리드부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c와 도 4d는 각각 도 4a와 도 4b의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의 히터와 도선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시한다. 도 4e와 도 4f는 본 고안 히팅케이블의 콜드리드부와 내열유리편조배선의 연결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고안 히팅케이블의 각 부분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도 5a는 본 고안 발열부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 제 1조인트의 단면도이고, 도 5c는 본 고안 콜드리드부의 단면도이고, 도 5d는 본 고안 제 2조인트의 단면도이고, 도 5e는 본 고안 내열유리편조배선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6a는 본 고안에 적용된 히팅케이블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고안에 적용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6c와 6d는 상기 도 6a와 도 6b의 히팅케이블 내부 히터 혹은 도선의 수를 복수로 실시한 경우이다.
이 도면들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히팅케이블(200)은 중심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터(210)와, 상기 히터(210)를 중심부에 두고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 상태에서 동심원상 외부를 형성하도록 구리로 피복된 피복부(220) 및 상기 히터(210)와 피복부(220)와의 사이에 형성된 동심원상의 공간에 충진되는 마그네슘파우더(230)를 형성하여서 된다.
상기 피복부(220)는 구리 약68%와 철 1%(최대),망간1.5%(최대),니켈 30%의 비율로 합금된 금속재료로 실시한다.
혹은 첨부 도면 도 6b와 도 6d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구리 약68%와 철 1%(최대),망간1.5%(최대),니켈 30%의 비율로 합금된 금속재료의 외측으로 HDPE(240)를 더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피복부는 철 31%, 니켈40%, 크롬21%, 탄소0.05%(최대),몰리브덴3%, 망간0.6%(최대), 실리콘0.4%(최대), 구리1.8%의 비율로 합금된 금속재료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피복부는 철 약 66%,니켈 12%, 크롬17%, 탄소0.03%(최대),몰리브덴2%, 망간2%(최대),황0.03%(최대),실리콘1%의 비율로 합금된 금속재료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피복부는 철 약 66%, 니켈12%, 탄소 0.08%(최대), 망간2%(최대), 인 0.045%(최대), 황 0.03%(최대), 실리콘 1%(최대), 크롬 19%의 비율로 합금된 금속재료로 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 제 1조인트(300)는 히팅케이블(200)과, 콜드리드(310)사이에 형성된다. 즉, 히팅케이블(200)의 히터(210)끝과 도선(312)의 끝을 은납으로 연결부(306)를 형성하고, 여기에 원통형 마그네슘 캡슐(302)을 씌운 뒤 캡슐(302)의 양단을 밀봉하여 밀봉부(303)를 형성한 뒤 주입구(301)을 통하여 마그네슘파우더(304)를 채우고 밀봉한다.
콜드리드(310)는 피복부(316)내측으로 미네랄 인슐레이티드(314)를 충진하고, 그 중심부에 도선(312)을 위치시킨다.
내열유리편조배선(320)은 연선(322)을 중심으로 절연재(324)를 외주에 형성한 뒤 비닐재료로 피복된 피복부(326)를 형성하여서 된다.
이와같은 내열유리편조배선(320) 및 콜드리드(310)사이에는 제 2조인트(330)가 실시된다.
도선(312)와 연선(322)은 납땜으로 연결하여 연결부(336)를 형성하고, 그 위에 압착슬리브(335)를 씌운 뒤 마그네슘 캡슐(332)를 씌우고, 양단을 밀봉하여 밀봉부(333)를 형성한다. 이후 주입공(331)을 통하여 내부 공간에 에폭시135(334)를 처리함으로써 완성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 축열난방장치의 히팅케이블 제조는 다음의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다.
즉, 내열유리 편조배선을 적당한 길이(150cm)로 절단한다. 약 15cm의 길이로 콜드리드를 깎는다. 상기 1차 가공된 내열유리편조배선과 콜드리드를 압착슬리브로 연결한다. 상기 연결된 내열유리편조배선과 콜드리드연결부를 융점온도 280℃의 에폭시 135(폴리아미드50%,아마인30%,첨가제20%)로 용접한다. 수축튜브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를 방습 및 절연한다. 메거를 이용하여 절연저항 검사를 실시한다. 케이블 롤을 안착기에 배치한다. 롤을 풀면서 모델(평형별)별로 케이블을 권취한다. 케이블을 클리핑한다. 내열 PVC(HDPE 자켓)을 벗겨 케이블 피복을 컷팅한다. 마그네시아 캡슐작업 전 수축튜브를 끼운다. 마그네시아 캡슐을 바이스에 물린 뒤 마그네시아 충진 캡슐을 끼운다. 케이블, 콜드리드의 연결부와 마그네시아 충진 캡슐 좌우를 각각 용접한다. 투입구를 통하여 습기가 없고 철분이 없는 마그네슘을 투입한다. 투입구를 나사로 막은 다음 줄로 갈은 뒤 납땜하고 다시 줄로 연마한다. 72시간 수중 절연 테스트를 한 뒤 절연검사기구를 동원하여 용접 및 마그네슘 절연 체크 및 저항검사를 한다. 절연 방습된 케이블을 제자리에 놓고 수축튜브로 제품을 완성한다.
본 고안 축열난방장치의 평수에 따른 히팅케이블의 길이와 저항값 및 소요전력이 전술한 공식에 의하여 결정된다.
즉,
1)1.5평(0.8 - 1.6평)인 경우는 첨부 도면 도 6a에서 도시하는 바와같고,
①소비전력: 1.5×800 = 1200(W)(평당소비전력 기준치:800W/평이고, 한국전력 규정임)
②총 저항값:P(W)=, 1200=, R = 40(Ω).
③길이=,≒ 20(m)
즉, 1.5평(0.8-1.6 평)형에서는 길이가 약 20m이고, 저항이 40Ω이며, 소요전력이 약 1200W인 히팅케이블을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2)1.8평(1.7 - 1.9평)는 첨부 도면 도 6b에서 도시하는 바와같고,
①소비전력: 1.8×800 = 1440(W)
②총 저항값:1440 ==, R ≒ 33.6(Ω).
③길이 ==≒ 24m
1.8평(1.7-1.9평)형에서는 길이가 약 24m이고, 저항이 약 33Ω이며, 소요전력이 약 1440W인 히팅케이블을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3)2.1평(2.0 - 2.2평)는 첨부 도면 도 6c에서 도시하는 바와같고,
①소비전력: 2.1×800 = 1,680(W)
②총 저항값:1,680 ==, R≒ 28.8(Ω).
③길이 ==≒ 27.8(m)
2.1평(2.0-2.2)형에서는 길이가 약 28m이고, 저항이 약 29Ω이며, 소요전력이 약 1680W인 히팅케이블을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4)2.5평(2.3 - 2.7평)는 첨부 도면 도 6d에서 도시하는 바와같고,
①소비전력: 2.5×800 = 2,000(W)
②총 저항값:2,000 ==, R ≒ 24.2(Ω).
③길이 ==≒33(m)
즉, 2.5평(2.3-2.7평)형에서는 길이가 약 33m이고, 저항이 약 24Ω이며, 소요전력이 약 2000W인 히팅케이블을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5)3평(2.8-3,3)는 첨부 도면 도 6e에서 도시하는 바와같고,
①소비전력:3×800=2400(W)
②총 저항값:2400 ==, R ≒ 20.2(Ω).
③길이 ==≒ 40 (m)
즉, 3평(2.8-3.3평)형에서는 길이가 약 40m이고, 저항이 약 20Ω이며, 소요전력이 약 2400W인 히팅케이블을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6)3.5평(3.4-3.7평)는 첨부 도면 도 6f에서 도시하는 바와같고,
①소비전력: 3.5×800=2800
②총 저항값: 2800==, R ≒17 (Ω).
③길이 === 46.3(m)
3.5평형에서는 길이가 약 46m이고, 저항이 약 17Ω이며, 소요전력이 약 2800W인 히팅케이블을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7)4.1평(3.8-4.4평)은 첨부 도면 도 6g에서 도시하는 바와같고,
①소비전력: 4.1×800 = 3280
②총 저항값: 3280==, R ≒ 14.8 (Ω).
③길이 ==≒ 54(m)
4.1평형에서는 길이가 약 54m이고, 저항이 약 15Ω이며, 소요전력이 약 3300W인 히팅케이블을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8)4.9평(4.5-5.2평)은 첨부 도면 도 6h에서 도시하는 바와같고,
①소비전력: 4.9×800 = 3920(W)
②총 저항값: 3920==, R ≒ 12 (Ω).
③길이 ==≒ 65(m)
4.9평(4.5-5.2평)형에서는 길이가 약 65m이고, 저항이 약 12Ω이며, 소요전력이 약 3900W인 히팅케이블을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9)5.9평(5.3-6.4평)은 첨부 도면 도 6i에서 도시하는 바와같고,
①소비전력: 5.9×800 = 4720
②총 저항값: 4720==, R ≒ 10.3 (Ω).
③길이 ==≒ 78(m)
5.3-6.4 평형에서는 길이가 약 78m이고, 저항이 약 10.3Ω이며, 소요전력이 약 4720W인 히팅케이블을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10)6.9평(6.5-7.3평)
①소비전력: 6.9×800 = 5520
②총 저항값: 5520==, R ≒ 9 (Ω).
③길이 ==≒ 91(m)
6.9평형에서는 길이가 약 91m이고, 저항이 약 9Ω이며, 소요전력이 약 5520W인 히팅케이블을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11)8.4평(7.4-8.8평)기준
①소비전력: 8.4×800 = 6720
②총 저항값: 6720==, R ≒ 7.2 (Ω).
③길이 ==≒ 111(m)
8.4 평형에서는 길이가 약 111m이고, 저항이 약 7.2Ω이며, 소요전력이 약 6720W인 히팅케이블을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기존의 축열식 전기온돌장치의 한계를 극복하여 하자없는 히팅케이블시공으로 반 영구적으로 사용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그동안 제품규격화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여(씨즈히터의 경우) 현장조립 등의 구조적 방법을 이제는 규격화된 제품으로 시공하게 되어 누구나 쉽게 시공할 수 있으며, 인건비가 줄어서 경제성이 있고, 연결부분이 마지막 한곳에서 가능하므로 절연성능이 완벽해서 품질의 향상을 가져왔고, 미네랄 인슐레이티드 절연케이블 제조공정을 계량화하여, 제품화 할 수 있게 되어 대량생산 및 보급시공이 이루어지는 효과도있다.

Claims (10)

  1. 전기온돌장치의 히팅케이블에 있어서,
    히터와, 상기 히터를 중심으로 일정 폭으로 미네랄 인슐레이티드를 충진시킨 절연부와, 상기 절연부의 외주면을 피복처리한 피복부로 이루어진 발열부;
    콜드리드부;
    상기 발열부와 콜드리드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 1조인트부;
    내열유리편조배선부;
    상기 콜드리드부와 내열유리편조배선부사이를 연결하는 제 2조인트를 포함하는 히팅케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제 1조인트부분은,
    히팅케이블과 콜드리드사이에 히터선과 도선을 연결한 상태에서 마그네슘 파우다가 충진된 마그네슘 캡슐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케이블
  3. 제 1항에 있어서,제 2조인트부분은,
    상기 콜드리드와 내열유리편조배선사이에 도선과 연선을 연결한 뒤 압착슬리브로 커버한 상태에서 에폭시135수지가 충진된 마그네슘캡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케이블.
  4. 제 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와 연결되는 도선이 복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케이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케이블은,
    중심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터;
    상기 히터를 중심부에 두고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 상태에서 동심원상 외부를 형성하도록 구리,카프로니켈,알로이,스테인레스로 피복된 피복부; 및
    상기 히터와 피복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동심원상의 공간에 충진되는 미네랄인슐레이티드를 포함하는 히팅 케이블.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부는 구리 약68%와 철 1%(최대),망간1.5%(최대),니켈 30%의 비율로 합금된 금속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케이블.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부가 철 31%, 니켈40%, 크롬21%, 탄소0.05%(최대),몰리브덴3%, 망간0.6%(최대), 실리콘0.4%(최대), 구리1.8%의 비율로 합금된 금속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케이블.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부는 철 약 66%,니켈 12%, 크롬17%, 탄소0.03%(최대),몰리브덴2%, 망간2%(최대),황0.03%(최대),실리콘1%의 비율로 합금된 금속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케이블.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부는 철 약 66%, 니켈12%, 탄소 0.08%(최대), 망간2%(최대), 인 0.045%(최대), 황 0.03%(최대), 실리콘 1%(최대), 크롬 19%의 비율로 합금된 금속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 케이블.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부는 그 외측으로 HDPE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팅케이블.
KR2020000023009U 2000-08-12 2000-08-12 전기온돌장치의 히팅케이블 KR2002111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009U KR200211148Y1 (ko) 2000-08-12 2000-08-12 전기온돌장치의 히팅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009U KR200211148Y1 (ko) 2000-08-12 2000-08-12 전기온돌장치의 히팅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148Y1 true KR200211148Y1 (ko) 2001-01-15

Family

ID=73087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009U KR200211148Y1 (ko) 2000-08-12 2000-08-12 전기온돌장치의 히팅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14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0720A (ko) 2015-03-11 2016-09-22 쥴온돌(주) 와이어메쉬 단열재와 이를 이용한 온돌구조
KR20210148687A (ko) * 2020-06-01 2021-12-08 주식회사 한국엠아이씨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이에 대한 보수 구조체 및 보수방법
KR20230107957A (ko) 2022-01-10 2023-07-18 주식회사 온돌 조립식 전기 온돌의 단위 판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0720A (ko) 2015-03-11 2016-09-22 쥴온돌(주) 와이어메쉬 단열재와 이를 이용한 온돌구조
KR20210148687A (ko) * 2020-06-01 2021-12-08 주식회사 한국엠아이씨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이에 대한 보수 구조체 및 보수방법
KR102356396B1 (ko) * 2020-06-01 2022-01-28 주식회사 한국엠아이씨 스노우 멜팅용 히팅케이블, 이에 대한 보수 구조체 및 보수방법
KR20230107957A (ko) 2022-01-10 2023-07-18 주식회사 온돌 조립식 전기 온돌의 단위 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0733A (en) Water impervious rubber or plastic insulated power cable
US3849630A (en) Electric heating device
KR20170006213A (ko) 내구성이 향상된 탄소섬유 발열 케이블과 전선 케이블의 연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발열 파이프 장치
KR101622953B1 (ko) 발열케이블
CN105304203A (zh) 电缆
KR101157187B1 (ko) 도로 융설용 케이블
KR200211148Y1 (ko) 전기온돌장치의 히팅케이블
CN106710680B (zh) 一种高耐寒高弹性的电力电缆及其制备方法
CN212851074U (zh) 一种环保型耐高温加热电缆
KR20150117245A (ko) 발열케이블
KR200433759Y1 (ko) 발열전선이 개선된 전열온수관
CN206100504U (zh) 单导发热电缆
US20040256375A1 (en) Electrical water heating device with large contact surface
KR20120101062A (ko) 밀봉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
JP4057308B2 (ja) 難燃性複合長尺体
NO321923B1 (no) Varmekabel
KR100639161B1 (ko) 축열식 전기온돌에의 히팅케이블 구조
JP3816208B2 (ja) センサーケーブルの製造方法
CN103403969A (zh) 连接电缆的阳极密封及其使用方法
CN206401045U (zh) 一种高耐寒高弹性的电力电缆
KR101345801B1 (ko) 전기방식이 적용된 이중보온관 및 그 제조 방법
CN112474766A (zh) 一种标准化原位热脱附加热元件的制作方法
US1983862A (en) Soil warm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0213579Y1 (ko) 축열식 전기온돌장치
JP2006317072A (ja) 蓄熱式床下暖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