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187B1 - 도로 융설용 케이블 - Google Patents

도로 융설용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7187B1
KR101157187B1 KR1020110107716A KR20110107716A KR101157187B1 KR 101157187 B1 KR101157187 B1 KR 101157187B1 KR 1020110107716 A KR1020110107716 A KR 1020110107716A KR 20110107716 A KR20110107716 A KR 20110107716A KR 101157187 B1 KR101157187 B1 KR 101157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cable
road
lin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자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에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에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에너텍
Priority to KR1020110107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1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01C11/26Permanently installed heating or blowing devices ; Mounting thereof
    • E01C11/265Embedded electrical heating elements ;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1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by application of heat for melting snow or ice, whether cleared or not, combined or not with clearing or removing mud or water, e.g. burners for melting in situ, heated clearing instruments; Cleaning snow by blowing or suction only
    • E01H5/102Self-contained devices for melting dislodged snow or ice, e.g. built-in melting chambers, movable melting tan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케이블이 인장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져 파손 방지 및 반영구적인 수명이 가능하고, 발열효율, 보온성이 월등히 향상된 도로 융설용 케이블이 개시된다. 개시된 도로 융설용 케이블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과, 상기 전원선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도록 구성되되, 심선 외면에 저항선이 권선되는 권선형 도체와, 상기 권선형 도체의 외주면을 감싸 설치된 절연내피로 구성되는 발열선과, 상기 전원선 및 발열선의 외주면을 따라 권취되어,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고 상기 발열선에서 발생되는 열을 확산시키도록 구성되는 확산밴딩부와, 상기 공기층 내에 배치되고, 강선으로 마련되어 인장력 및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1개 이상의 보강선과, 상기 확산밴딩부의 외면에 피복되어 상기 전원선, 발열선 및 확산밴딩부를 보호하고, 확산 밴딩부를 통해 전달되는 열을 외부로 확산시키도록 구성되는 금속 피복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 융설용 케이블{HEATING CABLE FOR SNOW MELTING}
본 발명은 도로 융설용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기 전원시 높은 온도로 가동되고 일정온도에 도달하였을 때는 낮은 전류만을 흐르게 하여 절전효율이 월등히 향상될 뿐만 아니라, 케이블이 인장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져 파손 방지 및 반영구적인 수명이 가능하고, 발열효율, 보온성이 월등히 향상된 도로 융설용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도로가 눈길이나 빙판길로 변한 경우 각종 차량사고가 다발적으로 일어남에 따라 인적 및 재산적으로 막대한 손실을 입게 된다. 또한, 도로가 눈길이나 빙판길로 변하면 차량의 흐름이 막힐 뿐만 아니라 사고라도 나게 되면 차량의 흐름이 더욱 정체되어 엄청난 물류비용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염화칼슘과 같은 제설제나 모래 등을 뿌려 길이 미끄럽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많은 비용 및 인력이 요구된다. 또한, 염화칼슘은 차체의 부식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토양에 침투될 경우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및 생태계를 악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모래의 경우는 하수구에 흘러들어갈 경우 하수구가 막히게 되고, 지표면을 덮음으로써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될 뿐만 아니라 도로가 건조된 후에는 미세먼지를 발생시킴으로써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노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발열 케이블을 배치하여 발열 케이블을 발열시킴으로써 발열 케이블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노면에 전달되도록 하여 도로의 제설 및 제빙작업을 행하는 방법이 개시되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노면에 설치되는 발열 케이블은 발열 케이블이 가늘고 비교적 약한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차량이 주행할 때의 노면의 하중, 가압이나 진동에 의하여 발열 케이블이 단선될 문제점이 있었고, 이와 같이 발열 케이블이 단선될 때마다 도로를 파헤쳐 다시 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노면에 설치되는 발열 케이블은 상술한 노면의 하중, 가압이나 진동에 의한 발열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노면 하부에 10cm 이상의 깊이에 매설할 수 없기 때문에 발열 효율이 떨어져 전력이 과도하게 소비되고 열손실이 많은 등 에너지 낭비가 심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발열 케이블은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확산 또는 전도하여 노면에 전달할 수 있는 구조가 없었기 때문에, 열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 전원시 높은 온도로 가동되고 일정온도에 도달하였을 때는 낮은 전류만을 흐르게 하여 절전효율이 월등히 향상되도록 구성된 도로 융설용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내부가 인장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져 케이블의 파손 방지 및 반영구적인 수명이 가능하게 구성된 도로 융설용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내부가 열확산 및 열전달이 우수한 구조를 가져 발열효율, 보온성이 월등히 향상된 도로 융설용 케이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노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매립되어 발생되는 열을 통해 도로의 제설 및 제빙작업을 수행하는 도로 융설용 케이블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과, 일단이 각각 상기 전원선과 연결되어 상기 전원선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및 제2 발열선과, 상기 제1 및 제2 발열선의 타단을 각각 직렬로 연결하는 선 상에서 발열선에 직접 연결되어 노면 온도에 반응하여 상기 발열선의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및 제2 바이메탈로 구성되되, 초기 전원시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바이메탈이 접지되어 제1 및 제2 발열선이 모두 가동되도록 구성되고, 노면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면 제1 바이메탈은 단락되어 제2 발열선만이 가동되어 절전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융설용 케이블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선 및 발열선의 외주면에는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고 상기 발열선에서 발생되는 열을 확산시키도록 구성되는 확산밴딩부가 권취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확산밴딩부는 알루미늄띠로 구성되어, 상기 전원선 및 발열선 외주면에 나선형상으로 권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기층 내에는 강선으로 마련되어 인장력 및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1개 이상의 보강선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기층에는 카본이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확산밴딩부의 외면에는 상기 전원선, 발열선 및 확산밴딩부를 보호하고, 확산 밴딩부를 통해 전달되는 열을 외부로 확산시키도록 금속 피복층이 구성되되, 상기 금속피복층은 스테인리스선으로 편조되어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융설용 케이블은 초기 전원시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바이메탈이 모두 접지되어 제1 및 제2 발열선이 모두 가동되도록 구성되고, 노면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면 제1 바이메탈은 단락되어 제2 발열선만이 가동되어 절전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에너지효율이 월등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융설용 케이블은 케이블 내부에 강선으로 마련되는 보강선이 설치되기 때문에 케이블 내부가 인장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져, 아스팔트의 누름이나 가압 또는 파손에 의해 케이블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고, 케이블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이 현저히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융설용 케이블은 발열선 및 전원선을 감싸면서 설치되는 확산밴딩부 및 금속피복층을 통해 발열선에서 발생되는 열이 노면측으로 확산 및 전달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발열효율, 보온성이 월등히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융설용 케이블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융설용 케이블에서 전원선과 발열선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융설용 케이블의 정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융설용 케이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융설용 케이블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융설용 케이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융설용 케이블에서 전원선과 발열선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융설용 케이블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융설용 케이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융설용 케이블은 노면에서 소정 깊이로 매립되어 발열시킴으로써 눈이 쌓인 도로의 제설 및 제빙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초기 전원시 높은 온도로 가동되고 일정온도에 도달하였을 때는 낮은 전류만을 흐르게 하여 절전효율이 월등히 향상될 뿐만 아니라, 내부에 인장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져 케이블의 파손 방지 및 반영구적인 수명이 가능하고, 케이블 내부가 열확산 및 열전달이 우수한 구조를 가져 발열효율, 보온성이 월등히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융설용 케이블은 전원선(10), 발열선(20), 바이메탈(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선(10)은 후술하는 발연선(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활을 수행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때 사용하는 공지의 전원선이 모두 채용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 상기 전원선(10)은 내부에 동과 주석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전선(11)과, 이 전선을 감싸 설치되는 테프론, PVC, 실리콘, 나일론 등으로 마련되는 피복(1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원선(10)으로 인가되는 전원은 보통 교류 전원을 인가시키지만, 직류 전원을 인가시켜도 무방하고, 바람직하게는 교류 전원을 인가시키는 것 구성의 단순화와 전력 세기에 있어서 용이하다.
상기 발열선(20)은 일단이 각각 상기 전원선(10)과 연결되어 상기 전원선(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및 제2 발열선(21,22)으로 마련된다. 즉 상기 발열선(20)은 심선(21a,22a) 외면에 저항선(21b,22b)이 권선되는 권선형 도체(21c,22c)와, 상기 권선형 도체(21c,22c)의 외주면을 감싸 설치된 절연내피(21d,22d)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심선(21a,22a)은 탄화수소와 함께 사용하도록 특별히 적용된 동축, TFH 유형 케이블이고, 통상 구리,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과 같은 높은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된, 다수의 나선형으로 감긴 개별적인 전기 전도성 도선 또는 다수의 가닥으로 구성된 전선심(전형적으로 8ga. 내지 18ga. 의 크기)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저항선(21b,22b)은 특정 온도가 되면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저항값이 증가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심선(21a,22a)을 흐르는 전류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방사되는 자기장은 저항선에 흐르는 전류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방사되는 자기장이 서로 흡수(감쇄)되어 인체에 유해한 자기장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바이메탈(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의 변화에 따라 팽창 및 수축하는 정도가 다른 두 종류의 금속판(31a,31b,32a,32b)이 서로 부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발열선(21,22)의 타단을 각각 직렬로 연결하는 선 상에 접지된 상태로 구성되는 제1 및 제2 바이메탈(31,32)로 마련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바이메탈(31,32)은 도 2(a)의 상태에서 노면의 온도가 올라가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판(31a,31b,32a,32b) 중 열팽창계수가 큰 쪽이 많이 팽창하면서 휘어져 제1 및 제2 발연선을 단락시키고 노면의 온도가 내려가면 도 2(a)와 같이 원상태로 돌아와 제1 및 제2 발열선을 접지시켜, 상기 제1 및 제2 발열선의 온/오프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이메탈(30)은 열팽창계수가 상이한 복수개의 금속판을 붙여서 구성한 온도센서로서, 열을 가했을 때 휘는 성질을 이용하여 노면온도에 따라 발열선의 온/오프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노면온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올라가거나 또는 과열되면 발열선(20)과 전원선(10)을 단락시켜 전류의 공급을 중단하고, 온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발열선(20)에 접지되어 전원선(10)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게 하여 발열선(20)이 다시 발열하게 함으로써 발열 온도가 일정 온도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바이메탈(31,32)은 서로 다른 온도에서 제1 및 제2 발열선(21,22)과 각각 접지 또는 단락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전원시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바이메탈(31,32)이 모두 접지되어 제1 및 제2 발열선(21,22)이 모두 가동되도록 구성되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면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면 제1 바이메탈(31)은 단락되어 제2 발열선(22)만이 가동되어 절전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면의 눈이나 얼음이 다 녹으면, 제1 및 제2 바이메탈(31,32)은 모두 단락되어 제1 및 제2 발열선(21,22)선 모두 발열이 중단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 바이메탈(31)은 제1 발열선(21)에 노면 온도가 O도 내지 3도 이상이면 단락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바이메탈(31)은 노면 온도가 5도 이상이면 단락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노면에 눈이 쌓이거나 제빙 상태의 초기 전원에서는 제1 및 제2 바이메탈(31,32)이 제1 및 제2 발열선(21,22)에 접지되어 제1 및 제2 발열선(21,22)이 모두 발열되도록 구성되고, 노면의 온도가 0도 이상이면 제1 바이메탈(31)은 제1 발열선(21)에서 단락되어 제2 발열선(22)만이 가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노면 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1 및 제2 발열선(21,22)을 가동할 수 있으므로 절전 기능을 가져 에너지 효율이 월등히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선(10) 및 발열선(20)의 외주면에는 내부에 공기층(A)을 형성하고 상기 발열선(20)에서 발생되는 열을 확산시키도록 확산밴딩부(40)가 구성된다. 즉, 상기 확산밴딩부(40)는 전원선(10) 및 발열선(20)을 길이방향을 따라 권취되어, 확산밴딩부(40)의 내면과 전원선(10) 및 발열선(20) 사이에는 공기층(A)이 형성되는 데, 이 공기층(A)은 상기 발열선(20)의 발열에 따라 가열되어 케이블 내부의 발열 및 보온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가 된다. 그리고, 상기 확산밴딩부(40)는 발열선(20) 및 공기층(A)을 밀폐시켜 케이블의 내부가 보온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발열선(20)에서 발생되는 열을 그 외면을 통해 넓은 면적으로 확산시켜 열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확산밴딩부(40)는 알루미늄띠로 구성되어, 상기 전원선(10) 및 발열선(20)의 외주면에 나선형상으로 권취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루미늄띠는 열전도율이 우수하기 때문에 내부의 발열선(20)에서 발생되는 열을 완벽하게 외부로 확산시킬 수 있으며, 알루미늄띠를 통해 전원선(10) 및 발열선(20)에 전원이 인가될 때 발생되는 전기장이 접지로 바이패스되어 인체에 유해한 전기장이 발열선 외부로 방사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공기층(A) 내에는 강선(51)으로 마련되어 인장력 및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보강선(50)이 구성된다. 즉, 상기 보강선(50)은 케이블 내부가 인장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도록 강선(51)을 배치시키는 구조로, 아스팔트의 누름이나 가압에 의한 케이블의 파손이 방지되고 및 반영구적인 수명이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선(50)은 지름이 적어도 3.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보강선(50)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공기층(A) 중 측방 영역에 한쌍으로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강선(50)은 고강도 비자성 스테인리스강선으로서, 중량 %로 C 0.07-0.12%, Si 0.05-1.00%, Mn 4.5-12.0%, Cr 16.0-19.5%, Ni 2.5-6.0%, Cu 0.10-3.0%, Nb 0.05-0.15%, N 0.20-0.40%, Al 0.01-0.10%를 함유하고 잔부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한 데, 전원선(10) 및 발열선(20)으로 전력을 공급할 때 전력손실이 작은 고강도 비자성 스테인리스강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강선(50)은 인장강도가 150kg/㎟ 이상이고, 신율은 2.0% 이상이며, 투자율은 1.02㎛ 이 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선(50)의 외면에는 테프론, PVC, 실리콘, 나일론 등으로 마련되는 절연피복(52)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선(50)은 전술한 고강도 비자성 스테인리스강선이 다수가닥 연선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공기층(A)에는 카본(C)이 충진되어, 발열효율이 향상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발열선(20)에서 전달되는 열에 의해 카본이 가열되어 케이블 내부에서 더 많은 열이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카본(C)은 분말 또는 액상 페이스트 형태로 상기 공기층(A)에 투입시킬 수 있으며, 액상의 카본페이스트가 공기층(A)에 침투되어 굳어지면 전원선, 발열선, 보강선의 결합력및 밀착력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확산밴딩부(40)의 외면에는 상기 전원선(10), 발열선(20) 및 확산밴딩부(40)를 보호하고, 확산밴딩부(40)를 통해 전달되는 열을 외부로 확산시키도록 상기 금속피복층(60)이 구성된다. 즉, 금속피복층(60)은 금속성 재질로 마련되어 강도가 강하고, 케이블의 최외곽에 위치하여 내부에 위치한 전원선(10), 발열선(20)을 보호하고, 상기 확산밴딩부(40)에서 전달되는 열을 신속하게 지표면 쪽으로 유도하면서 노면이 고르게 열을 받도록 열을 확산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금속피복층(60)은 스테인리스선으로 편조되어 다수의 구멍(61)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열전도율이 우수하고 강도가 우수한 스테인리스선을 편조하여 금속피복층(60)을 제조하면, 확산밴딩부(40)에서 전달되는 열을 신속하게 지표면 쪽으로 유도하면서 노면이 고르게 열을 받도록 열을 확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구멍(61)을 통해 확산밴딩부(40)에서 발생되는 열을 직접적으로 전달시켜 발열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금속피복층(60) 내부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케이블의 수명을 장수명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융설용 케이블은 노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설치하여 전원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여 발열선을 발열시킴으로써 케이블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노면에 확산 및 전도를 통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도로의 제설 및 제빙작업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노면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융설용 케이블은 초기 전원시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바이메탈이 모두 접지되어 제1 및 제2 발열선이 모두 가동되도록 구성되고, 노면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면 제1 바이메탈은 단락되어 제2 발열선만이 가동되어 절전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에너지효율이 월등히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내부에 강선으로 마련되는 보강선이 설치되기 때문에 케이블 내부가 인장력 및 내구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아스팔트의 누름이나 가압 또는 파손에 의해 케이블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고, 케이블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이 현저히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열선 및 전원선을 감싸면서 설치되는 확산밴딩부 및 금속피복층을 통해 발열선에서 발생되는 열이 노면측으로 확산 및 전달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발열효율, 보온성이 월등히 향상되며, 전기장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전원선 20: 발열선
30: 바이메탈 40: 확산밴드부
50: 보강선 60: 금속피복층
A: 공기층 C: 카본

Claims (5)

  1. 노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매립되어 발생되는 열을 통해 도로의 제설 및 제빙작업을 수행하는 도로 융설용 케이블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과,
    일단이 각각 상기 전원선과 연결되어 상기 전원선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및 제2 발열선과,
    온도의 변화에 따라 팽창 및 수축하는 정도가 다른 두 종류의 금속판이 서로 부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발열선의 타단을 각각 직렬로 연결하는 선 상에 접지된 상태로 구성되어, 노면의 온도가 올라가면 상기 금속판 중 열팽창계수가 큰 쪽이 많이 팽창하면서 휘어져 제1 및 제2 발연선을 단락시키고 노면의 온도가 내려가면 원상태로 돌아와 제1 및 제2 발열선을 접지시켜, 상기 제1 및 제2 발열선의 온/오프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및 제2 바이메탈로 구성되되,
    초기 전원시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바이메탈이 접지되어 제1 및 제2 발열선이 모두 가동되도록 구성되고, 노면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면 제1 바이메탈은 단락되어 제2 발열선만이 가동되어 절전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융설용 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선 및 발열선의 외주면에는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고 상기 발열선에서 발생되는 열을 확산시키도록 구성되는 확산밴딩부가 권취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확산밴딩부는 알루미늄띠로 구성되어, 상기 전원선 및 발열선 외주면에 나선형상으로 권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융설용 케이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층 내에는 강선으로 마련되어 인장력 및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1개 이상의 보강선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융설용 케이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층에는 카본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융설용 케이블.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밴딩부의 외면에는 상기 전원선, 발열선 및 확산밴딩부를 보호하고, 확산 밴딩부를 통해 전달되는 열을 외부로 확산시키도록 금속 피복층이 구성되되,
    상기 금속피복층은 스테인리스선으로 편조되어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융설용 케이블.
KR1020110107716A 2011-10-20 2011-10-20 도로 융설용 케이블 KR101157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716A KR101157187B1 (ko) 2011-10-20 2011-10-20 도로 융설용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716A KR101157187B1 (ko) 2011-10-20 2011-10-20 도로 융설용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7187B1 true KR101157187B1 (ko) 2012-06-20

Family

ID=46689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716A KR101157187B1 (ko) 2011-10-20 2011-10-20 도로 융설용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718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5884A (ko) * 2014-12-16 2015-01-15 (주)세한에너지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KR20150005885A (ko) * 2014-12-16 2015-01-15 (주)세한에너지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KR20150005883A (ko) * 2014-12-16 2015-01-15 (주)세한에너지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KR101548983B1 (ko) * 2014-11-12 2015-09-01 주식회사 솔고파이로일렉 Ptc 히팅케이블 및 그 제조 방법
KR101905672B1 (ko) * 2016-11-17 2018-10-1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금속 매트릭스 복합재의 전기적 발열을 이용한 제빙장치
KR20200000602A (ko) 2018-06-25 2020-01-03 주식회사 에너피아 발열선 케이블 연결장치
KR102509949B1 (ko) * 2022-06-03 2023-03-14 주식회사 이음이엔지 캠핑 트레일러 또는 카라반을 포함하는 이동형 캠핑시설 무인 대여시스템 및 운영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1382U (ko) * 1996-10-17 1998-07-15 최문해 저압전선
KR19990078926A (ko) * 1999-02-27 1999-11-05 김희곤 노면 결빙 방지 시설 및 그 시스템
JP2001003307A (ja) * 1999-06-24 2001-01-09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融雪システム
KR20090039313A (ko) * 2007-10-18 2009-04-22 영창실리콘 주식회사 요철구조의 절연층을 구비한 로드 히팅케이블
JP2010027577A (ja) * 2008-07-24 2010-02-04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導電体および導電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1382U (ko) * 1996-10-17 1998-07-15 최문해 저압전선
KR19990078926A (ko) * 1999-02-27 1999-11-05 김희곤 노면 결빙 방지 시설 및 그 시스템
JP2001003307A (ja) * 1999-06-24 2001-01-09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融雪システム
KR20090039313A (ko) * 2007-10-18 2009-04-22 영창실리콘 주식회사 요철구조의 절연층을 구비한 로드 히팅케이블
JP2010027577A (ja) * 2008-07-24 2010-02-04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導電体および導電体の製造方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983B1 (ko) * 2014-11-12 2015-09-01 주식회사 솔고파이로일렉 Ptc 히팅케이블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05884A (ko) * 2014-12-16 2015-01-15 (주)세한에너지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KR20150005885A (ko) * 2014-12-16 2015-01-15 (주)세한에너지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KR20150005883A (ko) * 2014-12-16 2015-01-15 (주)세한에너지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KR101579285B1 (ko) * 2014-12-16 2015-12-22 (주)세한에너지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KR101579287B1 (ko) * 2014-12-16 2015-12-22 (주)세한에너지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KR101579284B1 (ko) * 2014-12-16 2015-12-22 (주)세한에너지 배관용 동파 방지장치
KR101905672B1 (ko) * 2016-11-17 2018-10-10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금속 매트릭스 복합재의 전기적 발열을 이용한 제빙장치
KR20200000602A (ko) 2018-06-25 2020-01-03 주식회사 에너피아 발열선 케이블 연결장치
KR102509949B1 (ko) * 2022-06-03 2023-03-14 주식회사 이음이엔지 캠핑 트레일러 또는 카라반을 포함하는 이동형 캠핑시설 무인 대여시스템 및 운영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7187B1 (ko) 도로 융설용 케이블
US8686290B2 (en) Submarine electric power transmission cable armour transition
US7285726B2 (en) Subsea power cable
CA2577488A1 (en) Electric submarine power cable and system for direct electric heating
JPWO2007032391A1 (ja) 車両用導電体
CN201045710Y (zh) 一种海底交联电力电缆
KR101156949B1 (ko) 축열식 히팅 케이블
JP7474741B2 (ja) 電力伝送ケーブル
CN207409304U (zh) 耐高温防腐变频器电缆
CN205595468U (zh) 一种预绞式梯形截面跳线接续条
CN210245116U (zh) 一种抗拉拽电缆
CN103531280B (zh) 海底电缆及其施工方法
CN207182967U (zh) 一种高强度阻燃电机引接线
KR20130039791A (ko) 축열식 히팅 케이블
JP2000268648A (ja) 直流ソリッド電力ケーブルおよび直流ソリッド電力ケーブル線路ならびに直流ソリッド電力ケーブル線路の監視方法
CN205692591U (zh) 一种柔性抗断裂工业用电缆
CN204834122U (zh) 一种阻水型电力电缆
CN205122245U (zh) 防拖拽多层结构电缆
CN215496142U (zh) 一种交联聚乙烯绝缘电力电缆
RU64433U1 (ru) Многослойный анод
CN216979379U (zh) 一种铠装感温光缆
CN219979201U (zh) 一种防冻型电缆
CN209641423U (zh) 一种耐高压的电缆
CN205984367U (zh) 一种耐油电缆
CN206363792U (zh) 一种复合潜油泵电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