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049Y1 - 생수통 정립식 냉온수기(upright type water dispenser for portable water bottle) - Google Patents

생수통 정립식 냉온수기(upright type water dispenser for portable water bott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049Y1
KR200211049Y1 KR2019980020256U KR19980020256U KR200211049Y1 KR 200211049 Y1 KR200211049 Y1 KR 200211049Y1 KR 2019980020256 U KR2019980020256 U KR 2019980020256U KR 19980020256 U KR19980020256 U KR 19980020256U KR 200211049 Y1 KR200211049 Y1 KR 2002110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d
bottled
bottle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2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543U (ko
Inventor
오희범
Original Assignee
오희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희범 filed Critical 오희범
Priority to KR20199800202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049Y1/ko
Priority to TW089216306U priority patent/TW422215U/zh
Priority to US09/310,385 priority patent/US6209753B1/en
Priority to EP99304155A priority patent/EP1022251A1/en
Priority to CNB991094689A priority patent/CN1180975C/zh
Priority to JP11278626A priority patent/JP3087122B2/ja
Publication of KR200000085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5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0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049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수통을 세워진 상태로 안치할 수 있도록 한 생수통 정립식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이 소진된 생수통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고, 소비자들이 냉수와 온수 및 냉온수 겸용중 원하는 제품을 선택적으로 구입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성 및 실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생수통 정립식 냉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생수통 정립식 냉온수기는, 중공의 포스트 부재와; 상기 포스트 부재를 직립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 부재와; 물탱크 및 상기 물탱크를 설치하기 위한 물탱크 케이스를 포함하며, 홀더 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포스트 부재에 설치되는 물탱크 어셈블리와; 상기 물탱크에서 가열 또는 냉각되는 물의 배출을 단속하기 위한 콕크와; 상기 포스트 부재의 일측에 정립 상태로 안치되는 생수통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생수통의 물을 상기 물탱크에 공급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생수통으로부터 물을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냉온수기에 의하면, 생수통을 안치시키기 위한 공간이 국한적이지 않으므로 생수통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냉온수기의 구입 단계에서 소비자들이 냉수 또는 온수 또는 냉온수 겸용중 원하는 제품을 선택적으로 구입할 수 있음과 아울러, 물탱크 어셈블리 및/또는 홀더 부재만 추가적으로 구매하면 냉수 및 온수를 모두 취음할 수 있게 되므로 경제성 및 실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종래의 냉온수기에 비해 외관성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생수통 정립식 냉온수기(UPRIGHT TYPE WATER DISPENSER FOR PORTABLE WATER BOTTLE)
본 고안은 생수통을 세워진 상태로 안치할 수 있도록 한 생수통 정립식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이 소진된 생수통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고, 소비자들이 냉수와 온수 및 냉온수 겸용중 원하는 제품을 선택적으로 구입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성 및 실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생수통 정립식 냉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공장 폐수 등으로 인한 상수도원의 오염이 심해짐에 따라 수돗물 대신 시중에서 판매되는 생수를 식수로 사용하는 곳이 증가되는 추세에 있으며, 공공 장소와 사무실 및 일반 가정에서도 생수를 급속 냉각 또는 가열시키는 냉온수기를 설치하여 물을 마시고자 하는 사람의 취향에 따라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하여 마실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냉온수기는 생수통의 주둥이 부분이 냉온수기의 상단에 잠기도록 생수통을 냉온수기의 상단에 거꾸로 세운 후 안치시켜 생수통 내의 물이 냉수 또는 온수의 출수량 만큼 자연 낙하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생수통을 냉온수기의 상단에 거꾸로 세워 안치시키는 경우, 물이 가득 채워진 상태의 생수통을 냉온수기의 상단까지 들어 올리는 데 상당한 힘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노약자나 연소자들은 생수통을 새것으로 교환하는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며, 또한 뚜껑을 개방한 상태에서 생수통을 거꾸로 세우는 과정에서 물이 외부로 쏟아지면서 주위를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유통 과정에서 오염된 생수통의 주둥이 부분이 냉온수기의 상단에 잠기게 됨으로서 위생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도 생수통을 세워진 상태로 냉온수기 본체의 하부에 안치한 후, 생수통의 물을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냉온수통으로 펌핑하도록 구성된 생수통 정립식 냉온수기가 제안된 바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여 종래의 생수통 정립식 냉온수기를 설명한다.
냉온수기(100)의 본체(101) 전면부 상측에는 냉수 및 온수의 배출을 단속하기 위한 콕크(102,103)가 설치되어 있고, 콕크(102,103)의 하측에는 물받이용 트레이(104)가 배치되어 있으며, 본체(101)의 하부에는 생수통 수납부(105) 및 이를 개폐하기 위한 전면 커버(10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생수통 수납부(105)의 하부판에는 생수통을 정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안내역할을 하는 요홈부(106)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 커버(107)에는 내부에 안치되는 생수통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다수의 장공(108)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 커버(107) 및 본체(101)의 소정 부위에는 전면 커버(107)의 폐쇄 상태를 유지시켜 주기 위한 자석(109,109')이 설치되어 있고, 본체(101)에는 전면 커버(107)의 개폐에 따라 작동되어 후술되는 흡입관 승하강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 스위치(110)가 설치되어 있다.
흡입관 승강 장치는 도 2에서와 같이, 모터에 의해 풀리를 정역 구동시킴으로써 풀리의 외주에 흡입관을 감거나 푸는 것에 의해 흡입관을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흡입관(111)은 풀리(112)의 측부에 배치되는 나선상의 꼬임 방지부(111a)와 풀리(112)의 외주에 배치되어 풀리(112)가 회전함에 따라 풀리에 권취되는 승하강부(111b)로 구성되어 있고, 풀리(112)의 외주에는 흡입관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풀리(112)에는 꼬임 방지부(111a)의 일측단과 승하강부(111b)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승하강부(111b)의 권취 작동이 원활히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안내홈(112')에 연통되는 연통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111c는 강성이 큰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로 형성되는 연결관을 나타내고, 도면부호 113은 흡입관을 풀리에 결합시켜 주기 위한 밴드식 파스너(band fastener)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냉온수기의 작용을 도 3을 참조로 설명한다.
냉온수기 본체(101)의 생수통 수납부(105)에 안치되어 있는 생수통(140)의 펌프(114)의 흡입측 및 배출측에 각각 연결된 흡입관(111) 및 공급관(115)을 통해 냉수통(116)으로 펌핑되며, 냉수통(116)의 물은 연결관(117)을 통해 온수통(118) 내부로 유입되고, 냉수통(116) 및 온수통(118) 내부로 유입된 물은 각각 열전 냉각 소자(119)와 다이캐스팅 히터(120)에 의해 냉각 및 가열된다.
상기에서, 온수통(118)으로부터의 뜨거운 열기가 냉수통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냉수통(116)의 상부에 관통 설치되는 커넥터(117')는 황동 등의 금속 재질로 구성되고, 온수통(118)의 상부에 관통 설치되는 커넥터(117")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양 커넥터를 연결하는 연결관(117)은 실리콘 고무 재질의 튜브로 형성된다.
그리고, 냉수통(116) 및 온수통(118)의 내부에는 유량을 감지하여 펌프(114)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플로우트 센서(float sensor ; 121,122)가 설치되어 있어, 냉수통(116) 및 온수통(118)에 생수가 충만되면 이의 신호가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 유닛으로 보내져 펌프(114)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되고, 그 반대일 때는 펌프(114)를 구동시켜 생수통(140)의 생수를 펌프하게 된다.
한편, 소비자가 생수통의 교환을 위해 전면 커버(107)를 개방시키면, 작동 스위치(110)가 작동되어 정역회전 모터(123)에 의해 풀리(112)가 회전되고, 그에 따라 흡입관(111)이 풀리(112)에 감기며 상승하게 된다.
흡입관(111)의 상승이 완료되면 기존의 생수통을 꺼낸 후 새로운 생수통을 안치시키고 전면 커버(107)를 닫으면 작동 스위치(110)가 눌려지게 되어 상기의 역의 과정을 거쳐 흡입관(111)의 생수통 내부로 하강된다.
상기에 있어서, 흡입관(111)의 상승 완료 및 하강 완료는 풀리(112)에 고정되어 있는 접촉자(126,127)에 의해 풀리 고정 브라켓(128)의 상단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마이크로 스위치(124,125)가 작동되므로써 검지되며, 정역회전 모터(123)는 마이크로 스위치(124,125)에 의해 흡입관의 상승 완료 및 하강 완료가 검지되는 경우 컨트롤 유닛에 의해 구동이 정지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129는 생수통(140)의 주둥이 부분을 감싸 생수통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캡을 나타내고, 도면부호 130은 물의 유입구를 형성하는 흡입 블럭을 나타낸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냉온수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먼저, 생수통을 수납하기 위한 생수통 수납부가 본체의 하부 내측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생수통의 교환 작업이 협소한 공간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생수통의 교환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냉수통과 온수통 및 이들을 냉각 또는 가열하기 위한 수단이 냉온수기에 모두 구비되어 있고, 흡입관을 승하강 시키기 위한 장치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제조 원가가 상승되어 냉수 또는 온수만을 사용하기를 원하는 소비자들이 냉온수기를 구매할 경우에는 원하지 않더라도 필요 이상의 장치 구입비를 지불해야 하며, 이로 인해 실용성 및 경제성이 낮아지고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냉온수기 본체가 천편 일률적인 형상(종래의 냉온수기는 일반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디자인이 중요시되는 최근의 경향에 비추어 외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물이 소진된 생수통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고, 소비자들이 냉수와 온수 및 냉온수 겸용중 원하는 제품을 선택적으로 구입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성 및 실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생수통 정립식 냉온수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생수통 정립식 냉온수기의 사시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흡입관 승하강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제2a도는 승하강 장치의 사시도.
제2b도는 승하강 장치의 단면도.
제3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생수통 정립식 냉온수기를 도시한 것으로,
제3a도는 냉온수기의 정단면도.
제3b도는 냉온수기의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생수통 정립식 냉온수기의 정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생수통 정립식 냉온수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적용된 흡입관의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흡입관에 적용된 체크 밸브를 도시한 것으로,
제7a도는 체크 밸브의 단면도.
제7b도는 캡의 사시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의 평면도.
제9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입관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플레이트 20 : 포스트
30 : 펌프 어셈블리 40 : 홀더 부재
50 : 물탱크 어셈블리 60 : 흡입관
70 : 물받이용 트레이 80 : 전원 공급/차단용 스위치 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생수통 정립식 냉온수기는, 중공의 포스트 부재와, 상기 포스트 부재를 직립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 부재와, 물탱크 및 상기 물탱크를 설치하기 위한 물탱크 케이스를 포함하며, 홀더 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포스트 부재에 설치되는 물탱크 어셈블리와, 상기 물탱크에서 가열 또는 냉각되는 물의 배출을 단속하기 위한 콕크와, 상기 포스트 부재의 일측에 정립 상태로 안치되는 생수통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생수통의 물을 상기 물탱크에 공급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생수통으로부터 물을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생수통 정립식 냉온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생수통 정립식 냉온수기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생수통 정립식 냉온수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생수통(140)이 정립 상태로 정위치에 안치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생수통 안치부(11)를 구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후측에는 중공의 포스트(20)가 직립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있고, 포스트(20)의 중간 부분에는 생수통 안치부(11)에 안치된 생수통으로부터 물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 어셈블리(30)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포스트(20)의 상단부에는 홀더 부재(40)에 의해 물탱크 어셈블리(5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에서, 포스트(20)를 중공으로 형성하는 것은 냉온수기에 필요한 전원 공급선 및 후술하는 흡입관의 일부를 포스트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펌프 어셈블리(30)는 좌우측의 두 개의 사출물(31a,31b)로 분할 구성되어 포스트(20)에 결합 고정되는 펌프 케이스(31)와, 펌프 케이스(31)의 내측에 설치되는 펌프(32)로 구성되어 있고, 펌프 케이스(31)의 측면에는 흡입관(60)의 비사용시에 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클립(33)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물탱크 어셈블리(50)는 케이스(51)와, 케이스(51)의 내부에 설치되는 물탱크(52)와, 물탱크(52)를 냉각 또는 가열하기 위한 냉각 수단(53) 또는 가열 수단과, 케이스(51)의 후부에 설치되는 팬(54)으로 구성되어 있는바, 물탱크 어셈블리(50)는 케이스(51)의 내부에 냉각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가 또는 가열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가에 따라 냉수 전용 어셈블리와 온수 전용 어셈블리로 구성되고, 물탱크(52)의 내부에는 유량을 감지하여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55)가 설치되어 있어, 물탱크(52)에 생수가 충만되면 이의 신호가 컨트롤 유닛으로 보내져 펌프(32)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되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펌프(32)를 구동시켜 생수통(140)의 생수를 펌핑하게 된다.
센서(55)에 의해 물탱크 내부의 물이 부족함이 일정 시간 이상 감지되는 경우에는, 생수통(140)의 물이 완전히 소진되어 펌프(32)를 구동시키더라도 물탱크로 물이 유입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므로, 이 경우에 컨트롤 유닛은 경보장치를 작동시켜 물이 소진되었음을 소비자에게 경보함과 동시에 펌프(32)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물탱크 케이스(51)의 전면에는 물탱크(52)의 물을 단속하기 위한 콕크(56)가 설치되어 있고, 물탱크 케이스(51)의 전면과 배면 및 좌우측면에는 물의 냉각시에 발생되는 열을 팬(54)에 의해 케이스(51)의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벤트(57)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냉각 방식으로는 물탱크(52)가 케이스(51)의 내부에 수납됨을 감안하여 작은 부피로 냉각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반도체 냉각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열 수단으로는 물탱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밴드 히터 또는 침수형 히터인 씨즈 히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반도체 냉각 방식은 냉각 기능을 가진 P형 및 N형 반도체를 접합하여 형성한 반도체 냉각 소자(53) 혹은 열전 냉각 소자를 이용하여 냉각을 행하는 것으로, 미설명 도면부호 53'는 소자 접합부의 국소 냉각으로 인한 열수축을 방지하기 위한 콜드 블록(cold block)이고, 도면부호 53"는 전달된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부이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물탱크 케이스(51)의 내부로 물탱크(52)의 주위에는 단열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물탱크 어셈블리(5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홀더 부재(40)는 포스트(20)의 단부가 삽입되는 포스트 삽입홈을 구비하는 몸체(41)와, 일단부에 걸림턱(42')을 구비하며 몸체(41)의 측부에서 소정 각도로 돌출되는 중공의 돌출봉(4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물탱크 케이스(51)에는 돌출봉(42)의 걸림턱(42')이 삽입되는 걸림턱 삽입홈이 구비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탱크 어셈블리(50)와 홀더 부재(40)의 고정 상태를 확실히 하기 위해 돌출봉(42)의 걸림턱(42')이 물탱크 케이스(51)의 걸림턱 삽입홈에 삽입된 후에는 걸림턱(42')을 체결 나사에 의해 고정하여 고정력을 증가시킨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를 도시한 것으로, 포스트 삽입홈을 구비하는 몸체(41)에 두 개의 돌출봉(42)을 소정 각도만큼 돌출 형성하므로써, 냉수 전용 어셈블리와 온수 전용 어셈블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펌프 어셈블리(30)의 상측으로 포스트(20)에는 콕크(56)를 통해 나오는 생수가 바닥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물받이용 트레이(70)가 소정 거리만큼 돌출 설치되어 있고, 베이스 플레이트(10)의 후측부에는 컨트롤 유닛과, 펌프(32) 및 펌프(32)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유닛 등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기 위한 스위치 장치(8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펌프(32)에 연결되어 생수통(140)의 물을 흡입하는 흡입관(60)은 도 6에서와 같이, 일단부가 펌프(32)의 흡수측에 연결되는 연질재의 제 1 호스(61)와 일단부에는 생수통(140)의 내부에 잠겨지는 흡입 블럭(63)이 설치되며 제 1 호스(61)에 연결되는 경질재의 제 2 호스(62)와, 펌프(32)의 출수측과 물탱크(52)를 연결하는 제 3 호스(61')로 구성되어 있고, 제 2 호스(62)에는 생수통(140)의 주둥이 부분을 밀폐하기 위한 연질 PVC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의 밀폐캡(64)이 제 2 호스(62)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밀폐캡(64)에는 생수통(140)의 내부를 대기와 연통시키기 위한 통기공 및 통기공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 부재(6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에서, 밀폐 캡(64)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은 각각의 제조 메이커마다 생수통의 높이가 조금씩 다르더라도 흡입관(60)의 사용이 모두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필터 부재(65)는 부직포 또는 활성탄 및 이들이 수납되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흡입 블럭(63)이 설치되는 제 2 호스(62)의 단부에는 흡입관(60)에 고여있는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 밸브(66)가 구비되는바, 체크 밸브(66)는 도 7에서와 같이, 볼(66a)이 안착되는 밸브 시이트를 하부면에 구비하는 중공의 원통체(66b)와, 오리피스 유로를 구비하며 볼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원통체(66b)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캡(66c)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볼(66a)은 펌프의 작동시에는 캡(66c)의 내측면에 접촉되고, 펌프의 비작동시에는 밸브 시이트에 안착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제 2 호스(62)의 단부에 체크 밸브(66)를 설치하면 펌프(32)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생수통(140)을 교환할 경우에 흡입관(60)에 고여 있던 생수가 역류되어 주위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입관(6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제 2 호스(62')를 두 개의 호스(62a', 62b')로 분할하고, 분할 호스(62a',62b')를 실리콘 재질의 연결 호스(62c')에 의해 연결하며, 밀폐캡(64')을 호스(62a')에 고정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흡입관(60')을 생수통(140)의 내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밀폐캡(64')을 생수통의 주둥이 부분에 고정할 때, 제 2 호스(62')가 연결 호스(62c')부분에서 꺾어지게 되어 생수통의 높이가 조금씩 차이가 있더라도 본 고안의 흡입관(60')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생수통을 포스트(20)의 주위,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생수통 안치부(11)에 안치시키고, 펌프 케이스(31)의 고정 클립(33)에 고정되어 있는 흡입관(60)을 생수통의 내부로 삽입한 후, 흡입관(60)의 밀폐캡(64)을 생수통의 주둥이부에 수동으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생수통의 생수는 펌프(32)에 의해 펌핑되어 흡입관(60)을 통해 물탱크(52)로 공급되는바, 소비자가 구매한 제품이 냉수 전용인 경우에는 물탱크(52)의 물이 냉각 수단에 의해 냉각되고, 상기 구매 제품이 온수 전용인 경우에는 물탱크(52)의 물이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되며, 상기 구매 제품이 냉온 겸용인 경우에는 냉수 전용 어셈블리와 온수 전용 어셈블리에 구비된 각각의 물탱크(52)의 물이 냉각 및 가열된다.
이에 따라, 소비자는 콕크(56)를 조작하여 냉수 또는 온수를 취음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센서(55)에 의해 물탱크 내부의 물이 부족함이 일정 시간 이상 감지되는 경우에는, 생수가 소진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경보장치가 작동됨과 동시에 펌프의 구동이 정지되는바, 소비자는 흡입관(60)을 펌프 케이스(31)의 고정 클립(33)에 고정한 상태에서 생수통을 교환하면 된다.
이와 같은 생수통의 교환 작업시에, 종래에는 생수통 수납부가 냉온수기의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작업 공간이 협소한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생수통을 베이스 플레이트의 생수통 안치부 또는 포스트의 주위 적정장소에 안치시키면 되므로, 생수통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고, 종래에는 펌프의 비작동시에 흡입관(60)내의 생수가 역류되었지만, 본 고안에 있어서는 흡입관(60)의 내부에 체크 밸브(6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생수가 역류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생수통을 안치시키기 위한 공간이 국한적이지 않으므로 생수통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냉온수기의 구입 단계에서 소비자들이 냉수 또는 온수 또는 냉온수 겸용중 원하는 제품을 선택적으로 구입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후에 물탱크 어셈블리 및/또는 홀더 부재만 추가적으로 구매하면 냉수 및 온수를 모두 취음할 수 있게 되므로 경제성 및 실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냉온수기는 종래의 형상에 비해 외관성이 매우 향상되며, 생수통의 교체시에 흡입관내의 생수가 역류되지 않으므로 주위가 오염되는 것이 방지되고, 생수통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필터 부재를 통과하게 되므로 공기내의 오염물질에 의해 생수가 변질되는 것이 방지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중공의 포스트 부재와, 상기 포스트 부재를 직립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 부재와, 물탱크 및 상기 물탱크를 설치하기 위한 물탱크 케이스를 포함하며, 홀더 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포스트 부재에 설치되는 물탱크 어셈블리와, 상기 물탱크에서 가열 또는 냉각되는 물의 배출을 단속하기 위한 콕크와, 상기 포스트 부재의 일측에 정립 상태로 안치되는 생수통의 내부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생수통의 물을 상기 물탱크에 공급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느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생수통으로부터 물을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정립형 냉온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어셈블리는 상기 물탱크의 물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수단을 구비하는 냉수 전용 어셈블리와 상기 물탱크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수단을 구비하는 온수 전용 어셈블리로 각각 구성되며, 상기 냉수 전용 어셈블리와 온수 전용 어셈블리를 교환 설치하는 것에 따라 냉수 또는 온수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정립형 냉온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케이스에는 물의 냉각시에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벤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정립형 냉온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펌프와 상기 제어 수단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 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정립형 냉온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생수통이 안치되는 생수통 안치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정립형 냉온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부재는 상기 포스트 부재의 단부가 삽입되는 포스트 삽입홈을 구비하는 몸체와, 일단부에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몸체에서 소정 각도로 돌출되는 돌출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물탱크 케이스에는 상기 걸림턱이 삽입되는 걸림턱 삽입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정립형 냉온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봉이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정립형 냉온수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물탱크 케이스에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정립형 냉온수기.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부재에는 상기 물탱크 어셈블리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물받이용 트레이가 소정 거리만큼 돌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정립형 냉온수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부재에는 상기 펌프를 설치하기 위한 펌프 케이스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정립형 냉온수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케이스에는 상기 흡입관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정립형 냉온수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은 일단부가 상기 펌프의 흡수측에 연결되는 연질재의 제1호스와, 일단부에는 상기 생수통의 내부에 잠겨지는 흡입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제1호스에 연결되는 경질재의 제2호스와, 상기 펌프의 출수측과 상기 물탱크를 연결하는 제3호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정립형 냉온수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호스에는 상기 생수통의 입구부를 밀폐하기 위한 연질재의 밀폐캡이 구비되며, 상기 밀폐캡에는 상기 생수통의 내부를 대기와 연통시키기 위한 통기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정립형 냉온수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캡의 내측으로는 상기 통기공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정립형 냉온수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부재가 설치되는 상기 제2호스의 단부에는 상기 흡입관에 고여있는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정립형 냉온수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는, 볼이 안착되는 밸브 시이트를 하부면에 구비하는 중공의 원통체와, 오리피스 유로를 구비하며 상기 볼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원통체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정립형 냉온수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호스는 두 개의 호스로 분할되고, 상기 분할 호스는 실리콘 재질의 연결 호스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정립형 냉온수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물이 반도체 냉각 방식에 의해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통 정립형 냉온수기.
KR2019980020256U 1998-10-22 1998-10-22 생수통 정립식 냉온수기(upright type water dispenser for portable water bottle) KR2002110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256U KR200211049Y1 (ko) 1998-10-22 1998-10-22 생수통 정립식 냉온수기(upright type water dispenser for portable water bottle)
TW089216306U TW422215U (en) 1998-10-22 1999-05-05 Water dispenser for upright stand type water bottles
US09/310,385 US6209753B1 (en) 1998-10-22 1999-05-12 Water dispenser for upright stand type water bottles
EP99304155A EP1022251A1 (en) 1998-10-22 1999-05-28 Water dispenser
CNB991094689A CN1180975C (zh) 1998-10-22 1999-05-30 用于直立式水瓶的水分配器
JP11278626A JP3087122B2 (ja) 1998-10-22 1999-09-30 生水桶正立式冷温水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256U KR200211049Y1 (ko) 1998-10-22 1998-10-22 생수통 정립식 냉온수기(upright type water dispenser for portable water bott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543U KR20000008543U (ko) 2000-05-15
KR200211049Y1 true KR200211049Y1 (ko) 2001-02-01

Family

ID=69521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256U KR200211049Y1 (ko) 1998-10-22 1998-10-22 생수통 정립식 냉온수기(upright type water dispenser for portable water bott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04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683B1 (ko) 2011-07-08 2013-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571453B1 (ko) * 2014-05-19 2015-11-24 (주)현대와코텍 정립식 생수통의 캡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683B1 (ko) 2011-07-08 2013-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571453B1 (ko) * 2014-05-19 2015-11-24 (주)현대와코텍 정립식 생수통의 캡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543U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2593B2 (ja) ビン詰め液体ディスペンサー
US5833096A (en) Water dispenser
EP1118582B1 (en) Bottled liquid dispenser
US4456149A (en) Water dispensing system
JP2006056598A (ja) 冷温水器
US6209753B1 (en) Water dispenser for upright stand type water bottles
CN115175869A (zh) 饮料设备和方法
US6868986B1 (en) Bottled water pump
KR200142419Y1 (ko) 생수통 정립식 냉온수기
US20010030201A1 (en) Water delivery 7 dispensing system
KR200211049Y1 (ko) 생수통 정립식 냉온수기(upright type water dispenser for portable water bottle)
US5439145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liquid from an inverted container
US20060054305A1 (en) Heating and refrigerating water device
KR102232820B1 (ko) 정수기
KR100625197B1 (ko) 냉온수기
JP3010969U (ja) 飲用水供給装置
KR100625190B1 (ko) 냉온수기
KR100625195B1 (ko) 냉온수기
KR0148649B1 (ko) 물통 정립형 냉,온수기
EP1236675B1 (en) Bottled liquid dispensers
JPH0685299U (ja) 飲料注出装置における濃縮原液容器の接続構造
US20120325342A1 (en) Water Filtration System
KR20220027107A (ko) 정수기
JP2001097493A (ja) 飲料ディスペンサの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