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941Y1 - 내진용 수도 배관 연결 시스템 - Google Patents

내진용 수도 배관 연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941Y1
KR200210941Y1 KR2020000022909U KR20000022909U KR200210941Y1 KR 200210941 Y1 KR200210941 Y1 KR 200210941Y1 KR 2020000022909 U KR2020000022909 U KR 2020000022909U KR 20000022909 U KR20000022909 U KR 20000022909U KR 200210941 Y1 KR200210941 Y1 KR 2002109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w rate
meter
pressure
main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9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호
Original Assignee
대명기계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명기계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명기계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29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9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9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941Y1/ko

Links

Landscapes

  • Pipe Accessorie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빌딩,학교, 관공서, 가정 내에 설치되는 내진용 수도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수도배관은 통상의 주철파이프와 계량기로 이루어져 배관시공시 절곡부를 용접하거나 ㄴ보 등으로 접속하므로 절곡되는 각도가 자유롭지 못하고 강도가 강하여 약한 지진발생시에도 배관의 이음부가 터지거나 비틀림이 발생되어 전반적인 배관공사를 다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다수의 주름부(1')를 갖는 스텐레스재의 수도 파이프(1)와; 인입되는 원수의 수압을 감압시켜 일정한 유량과 유속을 유지시키는 감압밸브(2)와; 물 사용량을 표시하는 통상의 계량기(3)와; 각 단위세대 내로 인입된 수돗물이 역순환되어 계량기내로 공기가 유입되므로 계량기의 고장원인이 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체크밸브(4)와; 각 단위세대 내로 분배되도록하고 다수의 주름부(5')를 갖는 스텐레스재의 분배파이프(5)를 포함하여 일정한 유량의 유지와 외부의 충격에 완충대응 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써, 지진발생시에도 견딜 수 있도록 하고, 간선배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수압을 감압시켜 일정한 유량을 유지시켜 유속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Description

내진용 수도 배관 연결 시스템{a system join pipe arrangement waterworks aseismatic}
본 고안은 수도배관에 관한 것으로써, 공급되는 원수의 압력을 감압시켜 일정한 수압을 유지하도록 하고, 배관연결시 용접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지진등에 의한 외부 충격이 가해져도 파손되지 않고 자체적으로 신축작용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 방진 수도배관 연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수도배관 구조는 간선배관에서 각 가정의 단위세대 내로 수도배관을 분배한 후 개폐밸브, 계량기를 거쳐 주방, 화장실, 마당, 베란다, 다용도실 등으로 분관되도록 배관되었다. 따라서 수도사업소에서 공급되는 지역 간선배관의 수압에 따라서 각 단위세대로 인입된 배관내의 수압도 변하게 되므로 수압이 불규칙하게 이루어지는 관계로 소음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기존에는 수도파이프가 주철로 이루어져 이를 배관시 절곡지점에서는 T자관 또는 ㄴ보를 사용하거나 이음부에 용접을 하는 방식으로 단위세대 또는 건물내에 배관하였다.
따라서 주철로된 수도배관의 절곡부 또는 이음부가 신축성이 없고 쉽게 부식되므로 수도사업소의 정수장에서 아무리 깨끗하게 정수하고 소독하더라도 각 가정이나 빌딩에서 나오는 수돗물은 세균에 감염되거나 금속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직접 먹지 못하고 끓여 먹거나 별도의 생수를 사먹는 실정이다.
또한 현재의 수도배관 시스템은 지진등의 외부 압력이 가해지면 신축성이 없는 관계로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어 향후 이를 대비한 수도배관 시스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스텐레스의 재질로 다수의 주름부를 갖는 수도 파이프를 형성하여 수도배관시 절곡부분을 용접 하거나 ㄴ보를 사용하지 않고 주름부를 이용하여 지형에 따라 자유롭게 절곡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지진 등의 외부충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계량기와 원수가 유입되는 간선라인 사이에는 개폐밸브와 감압밸브를 설치하여 원수의 수압이 일정한 유량을 갖도록 하여 불규칙한 유량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고, 각 단위세대 내의 계량기 일측에는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내부의 압력에 의해 계량기로 역순환되는 것을 방지하여 현재 대부분의 계량기 고장원인인 계량기내 공기 유입을 방지함으로서 계량기의 수명을 연장하고 계량기를 보호하도록 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수도배관에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지진 등의 외부충격에 수도배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방진 수도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수도배관 연결상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수도배관 연결상태 정면 구성도.
도3은 본 고안의 수도배관 연결부재 예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수도배관 분선부재 예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수도파이프 2:감압밸브
3:계량기 4:체크밸브
5:분배파이프 1',5':주름부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도1은 본 고안의 수도배관 연결상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수도배관 연결상태 정면 구성도 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수도배관으로서 다수의 주름부를 갖는 수도파이프 예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의 수도배관으로서 다수의 주름부를 갖는 분선배관 파이프 예시도 이다.
본 고안은 다수의 주름부(1')를 갖는 스텐레스재의 수도 파이프(1)와;
인입되는 원수의 수압을 감압시켜 일정한 유량과 유속을 유지시키는 감압밸브(2)와;
물 사용량을 표시하는 통상의 계량기(3)와;
각 단위세대 내로 인입된 수돗물의 역순환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체크밸브(4)와;
각 단위세대 내로 분배되도록 하고 다수의 주름부(5')를 갖는 스텐레스재의 분배파이프(5)를 포함하여 일정한 유량의 유지와 외부의 충격에 완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6은 외부에 설치된 간선배관이며, 7은 가정내로 인입되는 물을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도록 된 개폐밸브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간선배관(6)으로부터 분선되어 각 단위세대, 빌딩, 학교, 관공서 등으로 분관되는 파이프는 스텐레스재로 다수의 주름부(1')가 형성된 수도파이프(1)를 사용하여 인입되도록 분관하고, 개폐밸브(7), 감압밸브(2), 주름부(1')를 갖는 수도파이프(1)의 순서로 배관하여 가정내의 계량기(3)와 연결한다.
이렇게 계량기(3)까지 배관한 후 가정내의 계량기(3) 일측에 체크밸브(4)를 설치하고 체크밸브(4) 일측에는 주름부(5')를 갖는 2방향 내지는 3방향 분배파이프(5)를 연결하여 가정내에 수도 배관하게 된다. 이때 분배 파이프(5)와 연결되어 주방, 욕실, 다용도실, 베란다, 마당 등에 배관되는 파이프 역시 스텐레스재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주름부를 갖는 도3과 같은 수도파이프(1)로 배관된다.
상기 주름부(1')를 갖는 수도파이프(1)는 내압시험을 거쳐 수도 배관으로 사용하는데 있어서 아무런 하자가 없도록 된 것이다.
본 고안은 수도배관을 주름부(1')가 형성된 수도 파이프(1)를 사용함으로써 시공할 때 지형의 절곡 형태에 알맞도록 자유자재로 절곡할 수 있으며 사람의 힘으로 절곡시킬 수 있게 된 것이다.
도1 및 도2와 같이 설치된 본 고안의 배관 시스템은 수도사업소의 간선배관(6)에서 유입된 물이 개폐밸브(7), 감압밸브(2), 계량기(3), 체크밸브(4)를 거쳐 가정내로 인입된다.
상기와 같이 가정으로 인입되는 수돗물은 간선배관(6)에서 불규칙한 유량과 유속으로 인입되어 감압밸브(2)에 도달하면 감압밸브(2)에서 수압을 감압시켜 일정한 유량으로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감압밸브(2)에서 일정한 유량으로 유지된 물은 계량기(3)와 체크밸브(4)를 거쳐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물유입시 일정한 유량과 유속으로 물이 흐르게 되므로 소음을 방지하고 이음부에 불규칙한 유속에 의한 충격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계량기(3) 일측에 체크밸브를 설치함으로서 가정에서 물을 사용하지 않고 모든 개폐밸브를 닫았을 경우 배관내의 수압에 의하여 계량기(3)측으로 역순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수도 계량기의 미터는 내부에 물이 유입된 상태에서만 정상회전을 하여 작동하게 되며 역순환에 의하여 공기가 유입된 상태에서는 계량기 미터의 내부기어가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회전부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체크밸브는 계량기미터가 물의 역순환에 의하여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수도파이프(1)는 다수의 주름부(1')가 형성되어 배관시 지형에 따라서 절곡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지만 그보다 더 큰 장점은 지진발생시 지축이 흔들려 수도배관에 충격을 주는 동시에 비틀림이 발생시 주름부(1')(5')에 의하여 신축이완 작용을 하게 되므로 수도배관이 터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수도배관의 파이프를 스텐레스로 형성하고 다수의 주름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시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시공시 배관되는 지형의 절곡부에 알맞도록 시공자가 자유자재로 절곡하여 배관함으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배관자재를 간소화시킬 수 있으며, 감압밸브를 설치함으로써 가정내의 수도배관 내부에 균일한 유량과 유속을 유지시켜 수압에 의한 내부 충격과 소음을 방지하며, 체크밸브에 의하여 수압의 역순환을 방지하게 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지진으로 인하여 수도배관에 충격이 가해지고, 비틀림이 발생되는 것을 파이프 주름부의 신축작용과 감압밸브의 감압에 의해 터지는 것을 방지하는 내진용 수도배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었다.

Claims (1)

  1. 다수의 주름부(1')를 갖는 스텐레스재의 수도 파이프(1)와;
    인입되는 원수의 수압을 감압시켜 일정한 유량과 유속을 유지시키는 감압밸브(2)와;
    물 사용량을 표시하는 통상의 계량기(3)와;
    각 단위세대 내로 인입된 수돗물의 역순환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체크밸브(4)와;
    각 단위세대 내로 분배되도록 하고 다수의 주름부(5')를 갖는 스텐레스재의 분배파이프(5)를 포함하여 일정한 유량의 유지와 외부의 충격에 완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수도 배관 시스템.
KR2020000022909U 2000-08-11 2000-08-11 내진용 수도 배관 연결 시스템 KR2002109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909U KR200210941Y1 (ko) 2000-08-11 2000-08-11 내진용 수도 배관 연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909U KR200210941Y1 (ko) 2000-08-11 2000-08-11 내진용 수도 배관 연결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415A Division KR100380971B1 (ko) 2000-08-10 2000-08-10 내진용 수도 배관 연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941Y1 true KR200210941Y1 (ko) 2001-01-15

Family

ID=73057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909U KR200210941Y1 (ko) 2000-08-11 2000-08-11 내진용 수도 배관 연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9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8257B1 (ko) 아파트용 엘보 일체형 플렉시블 조인트 스프링클러 장치
KR200210941Y1 (ko) 내진용 수도 배관 연결 시스템
KR100380971B1 (ko) 내진용 수도 배관 연결 시스템
KR20070029781A (ko) 배관연결구 및 이 배관연결구를 이용한 벽체매립형 수전함연결시스템
CN102797936A (zh) 可吸收水锤作用的管接头
KR100647525B1 (ko) 하수관 연결용 엘보
JPH01214626A (ja) 真空二重管
JP3923149B2 (ja) 配管ヘッダーと配管ユニット
KR101256888B1 (ko) 건축용 배관의 익스펜션 조인트
CN219345838U (zh) 一种多接口排水管
JP3545488B2 (ja) 組立式浴室の裏配管構造
CN213982418U (zh) 一种用于管道连接的金属软管及可调角度的多段式管道
JP3069121U (ja) セラミックス内臓チュ―ブ
CN208816848U (zh) 双u型抗震管夹
CN214699711U (zh) 一种用于建筑预制构件衔接位置的管道连接装置
CN217557088U (zh) 排水管
CN219263271U (zh) 一种用于小区供暖二级网入户井的多功能阀门
CN210020942U (zh) 一种有效利用锅炉蒸汽的灭火系统
CN208009594U (zh) 用于建筑物给排水系统的排水装置
KR100753948B1 (ko) 호스 연결 구조물
JP3545489B2 (ja) 組立式浴室に用いられるハ−フパンの裏配管構造
JP2002070093A (ja) 給水・排水・給湯一体型配管工法
RU12154U1 (ru) Система холодного водоснабжения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я
JPH0118544Y2 (ko)
CN204753740U (zh) 一种多功能下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