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441Y1 - 수동변속기용 에어 브리더 - Google Patents

수동변속기용 에어 브리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441Y1
KR200210441Y1 KR2019970028845U KR19970028845U KR200210441Y1 KR 200210441 Y1 KR200210441 Y1 KR 200210441Y1 KR 2019970028845 U KR2019970028845 U KR 2019970028845U KR 19970028845 U KR19970028845 U KR 19970028845U KR 200210441 Y1 KR200210441 Y1 KR 2002104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ssage hole
air passage
manual transmission
brea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88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5539U (ko
Inventor
김한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288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441Y1/ko
Publication of KR199900155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5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4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4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7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venting gearboxes, e.g. air breat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동변속기의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에어 브리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중심을 관통하도록 공기통로홀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통로홀의 양측에서 연통되도록 공기배출홀이 형성된 캡과, 상기 공기배출홀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기통로홀에 설치된 링형태의 자석과,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서로 밀착되어 상기 공기통로홀을 차단하고 상기 공기통로홀로 유입된 공기압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공기배출홀을 개방하도록 상기 공기통로홀에 구비된 볼과, 상기 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캡의 상단부에 장착된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동변속기용 에어 브리더를 제공함으로써 제품의 오동작이 방지되어 변속기 내부의 압력이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동변속기용 에어 브리더
본 고안은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속기 케이스 내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변속기 내부의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변속기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동변속기용 에어 브리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속기는 클러치와 추진축 사이에 설치되어 엔진의 동력을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알맞도록 엔진 회전을 적절히 변속하여 회전력을 증대시키거나 고속 회전으로 바꾸어 주며, 또한 엔진을 무부하 상태로 두거나 자동차를 후진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변속기는 운전자가 수동으로 변속을 하는 수동변속기(MTM)와 주행 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는 자동 변속기(ATM)의 2가지 형식이 있다. 상기 수동변속기는 기어식으로 3∼5단 변속의 것이 사용되고, 상기 자동 변속기는 토크 컨버터 또는 유체 커플링에 유성 기어 장치를 사용한 자동 변속기를 조합한 형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수동변속기의 내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1) 및 출력축(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축(1)과 출력축(2)에는 상호 치합되어 변속 동력을 전달하는 다수의 기어류(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축(1) 및 출력축(2)과 각 기어류(3) 및 변속기 케이스(4) 사이에는 다수의 베어링류가 설치되어 각 축(1,2) 및 각 기어류(3)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돕고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각 축(1,2) 및 각 기어류(3)와 베어링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서는 마찰 접동부에 윤활 및 냉각 작용을 하는 윤활유가 필요하므로 변속기 케이스(4) 내부에는 일정량의 윤활 오일이 항상 내재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변속기 케이스(4)에 내재된 오일은 각 기어류(3)의 회전에 따라 주변으로 비산되면서 각 마찰 접동부에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변속기 케이스(4)에 내재되는 오일의 대부분은 상당량이 하측 부분에 모여 있으므로 변속기 케이스(4) 하측에 디프 케이스(4')가 설치된 경우에는 디프 케이스(4')에 고여 있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수동변속기는 변속기 케이스(4)의 내부 압력이 높아지면 그 압력을 해소할 수 있도록 변속기 케이스(4)의 상측에 에어 브리더(10)가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에어 브리더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 소정의 직경을 가진 제 1 공기통로홀(11)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상기 제 1 공기통로홀(11)보다 큰 직경의 제 2 공기통로홀(13)과 상기 제 2 공기통로홀(13)의 양측에서 연통된 공기배출홀(15)이 형성된 캡(10)과, 상기 캡(10)의 제 2 공기통로홀(13)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공기통로홀(11)로 유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상승되는 볼(20)과, 상기 볼(2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5)과, 상기 스프링(25)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캡(10)의 상단부에 장착된 플레이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에어 브리더의 작동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변속기 케이스(4) 내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상으로 상승되면 제 1 공기통로홀(11)로 유입되는 공기압에 의해서 상기 볼(20)이 스프링(25)의 탄성력을 이기고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공기배출홀(15)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 상기 공기배출홀(15)이 개방되면 상기 제 1 공기통로홀(11)로 유입된 공기압이 상기 공기배출홀(15)을 통해 변속기 케이스(4)의 외부로 배출되어 변속기 내의 압력이 저감된다. 상기와 같이 공기배출홀(15)을 통해 공기압을 배출하여 변속기 내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볼(20)이 원위치로 복원되어 상기 제 1 공기통로홀(11)이 차단된 상태가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에어 브리더는 장기간 사용하면 상기 스프링(25)의 탄성력이 약화되어 작동불량이 야기되므로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어 변속기 내부압의 효과적인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통로홀을 개방/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볼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부품을 스프링 대신 자석으로 대체함으로써 제품의 오동작이 방지되어 변속기 내부의 압력이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수동변속기용 에어 브리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동변속기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에어 브리더가 도시된 구성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에어 브리더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에어 브리더가 도시된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에어 브리더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석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캡 51 : 공기통로홀
53 : 공기배출홀 55 : 자석
60 : 볼 65 : 플레이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에어 브리더의 특징은 중심을 관통하도록 공기통로홀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통로홀의 양측에서 연통되도록 공기배출홀이 형성된 캡과, 상기 공기배출홀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기통로홀에 설치된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의 자력에 의해 서로 밀착되어 상기 공기통로홀을 차단하고 상기 공기통로홀로 유입된 공기압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공기배출홀을 개방하도록 상기 공기통로홀에 구비된 볼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은, 상기 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캡의 상단부에 장착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성체는 링형태의 자석인데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기 볼이 공기통로홀을 개방/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볼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부품을 스프링 대신 자석으로 대체하여 스프링의 탄성력 약화로 인한 오동작이 방지됨과 동시에 제품의 구조가 단순화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에어 브리더가 도시된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에어 브리더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석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에어 브리더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을 관통하도록 공기통로홀(51)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통로홀(51)의 양측에서 연통되도록 공기배출홀(53)이 형성된 캡(50)과, 상기 공기배출홀(53)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기통로홀(51)에 설치된 링형태의 자석(55)과, 상기 자석(55)의 자력에 의해 서로 밀착되어 상기 공기통로홀(51)을 차단하고 상기 공기통로홀(51)로 유입된 공기압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공기배출홀(53)을 개방하도록 상기 공기통로홀(51)에 구비된 볼(60)과, 상기 볼(6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캡(50)의 상단부에 장착된 플레이트(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에어 브리더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변속기 케이스 내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상으로 상승되면 공기통로홀(51)로 유입되는 공기압에 의해서 상기 볼(60)이 자석(55)의 자력을 이기고 상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자석(55)이 상승되면 자석(55)에 형성된 홀(56)과 상기 공기배출홀(53)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 상기 공기배출홀(53)이 개방되면 상기 공기통로홀(51)로 유입된 공기압이 상기 공기배출홀(53)을 통해 변속기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되어 변속기 내의 압력이 저감된다. 상기와 같이 공기배출홀(53)을 통해 공기압을 배출하여 변속기 내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자석(55)과 볼(60) 사이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 상기 볼(60)이 원위치로 복원되어 상기 공기통로홀(51)이 차단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동작되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에어 브리더는 볼(60)이 공기통로홀(51)을 개방/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볼(6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부품을 스프링 대신 자석(55)으로 대체함으로써 스프링의 탄성력 약화로 인한 오동작이 방지됨과 동시에 제품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제품의 조립성이 개선되고 제품의 성능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중심을 관통하도록 공기통로홀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통로홀의 양측에서 연통되도록 공기배출홀이 형성된 캡과, 상기 공기배출홀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기통로홀에 설치된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의 자력에 의해 서로 밀착되어 상기 공기통로홀을 차단하고 상기 공기통로홀로 유입된 공기압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공기배출홀을 개방하도록 상기 공기통로홀에 구비된 볼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용 에어 브리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캡의 상단부에 장착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용 에어 브리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링형태의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용 에어 브리더.
KR2019970028845U 1997-10-17 1997-10-17 수동변속기용 에어 브리더 KR2002104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845U KR200210441Y1 (ko) 1997-10-17 1997-10-17 수동변속기용 에어 브리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845U KR200210441Y1 (ko) 1997-10-17 1997-10-17 수동변속기용 에어 브리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539U KR19990015539U (ko) 1999-05-15
KR200210441Y1 true KR200210441Y1 (ko) 2001-03-02

Family

ID=53896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8845U KR200210441Y1 (ko) 1997-10-17 1997-10-17 수동변속기용 에어 브리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44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585A (ko) * 2002-10-15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의 에어 브리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539U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4942A (en) Air breather plug assembly for use in power transmission unit
US717205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ubricating and cooling gear mechanisms
CN107336597B (zh) 车辆的供油系统及其控制方法
US5855116A (en) Combination valve including improved neutral valve for use in a hydrostatic transmission
KR200210441Y1 (ko) 수동변속기용 에어 브리더
CN100353092C (zh) 手动换档变速器的润滑结构
KR100616798B1 (ko) 작업기계용 유압구동장치
CN104685251A (zh) 通气构造
KR950033120A (ko) 로크-업 장치의 유압회로
EP1239190B1 (en) Transmission unit
KR19980036318A (ko) 수동변속기의 오일 공급구조
KR100422524B1 (ko) 자동변속기의 윤활장치
KR970010124B1 (ko)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의 오일 바이패스 장치
KR19980041594U (ko) 자동차 변속기 하우징의 연반구 튜브
KR100188734B1 (ko) 자동변속기에 사용되는 유압식 클러치
KR200333362Y1 (ko) 연성기판용 고정클립
KR100289304B1 (ko) 수동변속기의입력축윤활구조
KR20020044926A (ko) 변속기의 오일가이드
KR950006987Y1 (ko) 자동차 변속기의 에어브리더 구조
KR100193253B1 (ko) 오일필터용 공기흡입 방지구조
KR19980031256A (ko) 차량용 트랜스미션의 누수방지 브리더
KR950009136Y1 (ko) 오일회수통로가 구비된 동력 축출장치
KR19980051366U (ko) 자동변속기용 클러치 어셈블리
KR19990005523U (ko) 오일팬 내부의 금속성 이물질 제거장치
JP2003042271A (ja) 動力伝達装置のオイル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