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027Y1 - 용기의 손잡이 - Google Patents

용기의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027Y1
KR200210027Y1 KR2020000024291U KR20000024291U KR200210027Y1 KR 200210027 Y1 KR200210027 Y1 KR 200210027Y1 KR 2020000024291 U KR2020000024291 U KR 2020000024291U KR 20000024291 U KR20000024291 U KR 20000024291U KR 200210027 Y1 KR200210027 Y1 KR 200210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ole
handle
insertion hole
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2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돈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륙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륙제관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륙제관
Priority to KR20200000242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0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027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의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용기(100)의 상부 양측면에 부착되고 중심에 관통공(112)을 갖는 한쌍의 이어(110)와, 메인띠(120)와, 메인띠(120)의 양단에 형성되고 관통공(112)에 삽입되는 삽입구(140)를 갖는 결합부(130)로 이루어진 용기의 손잡이로서, 용기의 손잡이를 플라스틱으로 제조하여 사용자의 손에 부드럽게 하고 사용상 마찰소음 방지 및 운송이나 적재시 손잡이로 인해 옆 용기의 인쇄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용기의 손잡이{HANDLE OF RECEPTACLE}
본 고안은 용기의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페인트, 그리스, 젖갈류 등과 같은 고점도의 내용물을 담기 위한 용기의 손잡이를 플라스틱으로 제조하여 부드럽게 하고 사용상 마찰 소음의 발생을 방지함은 물론이고, 운송 및 적재시 손잡이로 인해 옆 용기의 인쇄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인트나 그리스 또는 젓갈류를 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기의 손잡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10)의 상부 양측면으로 돌출된 이어(20)의 관통공(22)에 라운딩된 철사(30)의 양단을 절곡한 절곡부(32)를 결합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철사(30)는 금속성인 이어(20)와 마찰하여 소음이 발생하고, 철사(30)는 가늘므로 용기(10)가 무거울 경우 철사(30)를 잡는 사용자의 손에 통증을 주며, 운송 및 적재시 옆 용기의 인쇄면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의 손잡이를 플라스틱으로 제조하여 부드럽게 하고 사용상 마찰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며, 타 용기의 인쇄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손잡이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
도 5은 도 4에 도시한 손잡이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6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손잡이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용기 110: 이어
112: 관통공 120: 메인띠
122: 측면보강띠 124: 보강편
130: 결합부 132: 원형커버
140: 삽입구 142: 제 1돌기
144: 제 2돌기 146: 지지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용기의 상부 양측면에 부착되고, 중심에 관통공을 갖는 한쌍의 이어; 메인띠; 및 상기 메인띠의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삽입구를 갖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용기의 손잡이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제 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손잡이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손잡이는, 용기(100)의 상부 양측면에 부착되고 중심에 관통공(112)을 갖는 한쌍의 이어(110)와, 메인띠(120)와, 메인띠(120)의 양단에 형성되고 관통공(112)에 삽입되는 삽입구(140)를 갖는 결합부(130)로 이루어진다.
특히 메인띠(120)는, 양측에 측면보강띠(122)가 형성되고, 삽입구(140)의 선단 외주면에 관통공(112)에 걸리는 제 1돌기(14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손잡이를 용기(100)에 결합할 때에는, 우선 이어(110) 및 용기(100)가 모두 금속일 경우, 이어(110)의 저면을 용기(100)의 상부 대칭되는 양측면에 용접으로 고정한다. 만일 이어(110) 및 용기(100)가 플라스틱의 재질이라면 몰딩이나 접착제로 고정한다. 따라서 이어(110)가 용기(100)에 부착되면, 관통공(112)이 외측면을 향하게 된다.
이어서 결합부(130)의 삽입구(140)를 이어(110)의 관통공(112)에 삽입시킨다. 삽입구(140)가 관통공(112)에 삽입된 뒤에는 삽입구(14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돌기(142)가 관통공(112)의 내측으로부터 걸리게 되어 삽입구(140)가 관통공(112)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손잡이의 메인띠(120) 및 결합부(130)를 부드러운 플라스틱으로 제조할 경우, 사용자의 손에 통증으로 주지 않고, 이어(110)와의 마찰음이 없으며 옆 용기의 인쇄면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손잡이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손잡이는, 용기(100)의 상부 양측면에 부착되고 중심에 관통공(112)을 갖는 한쌍의 이어(110)와, 메인띠(120)와, 메인띠(120)의 양단에 형성되고 관통공(112)에 삽입되는 삽입구(140)를 갖는 결합부(130)로 이루어진다.
특히 메인띠(120)는, 양측에 측면보강띠(122)가 형성되고, 측면보강띠(122)와 결합부(130)의 연결부분에 보강편(124)이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130)에 이어(110)의 외주를 감싸는 원형커버(132)가 형성되고, 삽입구(140)의 선단 외주면에 관통공(112)에 걸리는 제 1돌기(14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손잡이를 용기(100)에 결합할 때에는, 우선 이어(110) 및 용기(100)가 모두 금속일 경우, 이어(110)의 저면을 용기(100)의 상부 대칭되는 양측면에 용접으로 고정한다. 만일 이어(110) 및 용기(100)가 플라스틱의 재질이라면 몰딩이나 접착제로 고정한다. 따라서 이어(110)가 용기(100)에 부착되면, 관통공(112)이 외측면을 향하게 된다.
이어서 결합부(130)의 삽입구(140)를 이어(110)의 관통공(112)에 삽입시킨다. 삽입구(140)가 관통공(112)에 삽입된 뒤에는 삽입구(14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돌기(142)가 관통공(112)의 내측으로부터 걸리게 되어 삽입구(140)가 관통공(112)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원형커버(132)는 이어(110)의 외주면을 감싸게 되어 삽입구(140)의 체결을 더욱 견고하게 하여 외부의 충격에 손잡이가 이탈되지 않게 하는 한편, 외부에서 이어(110)가 보이지 않도록 차폐한다.
이러한 손잡이의 메인띠(120) 및 결합부(130)를 부드러운 플라스틱으로 제조할 경우, 사용자의 손에 통증으로 주지 않고, 이어(110)와의 마찰음이 없으며 옆 용기의 인쇄면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제 3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손잡이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손잡이는, 용기(100)의 상부 양측면에 부착되고 중심에 관통공(112)을 갖는 한쌍의 이어(110)와, 메인띠(120)와, 메인띠(120)의 양단에 형성되고 관통공(112)에 삽입되는 삽입구(140)를 갖는 결합부(130)로 이루어진다.
특히 메인띠(120)는, 양측에 측면보강띠(122)가 형성되고, 측면보강띠(122)와 결합부(130)의 연결부분에 보강편(124)이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130)는 삽입구(140)의 선단 일측면에 관통공(112)에 걸리는 제 2돌기(144)가 형성되고, 삽입구(140)의 선단 타측면에 이어(110)의 내측면에 걸리는 지지편(14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손잡이를 용기(100)에 결합할 때에는, 우선 이어(110) 및 용기(100)가 모두 금속일 경우, 이어(110)의 저면을 용기(100)의 상부 대칭되는 양측면에 용접으로 고정한다. 만일 이어(110) 및 용기(100)가 플라스틱의 재질이라면 몰딩이나 접착제로 고정한다. 따라서 이어(110)가 용기(100)에 부착되면, 관통공(112)이 외측면을 향하게 된다.
이어서 결합부(130)의 삽입구(140) 및 삽입구(140)에 형성된 지지편(146)을 이어(110)의 관통공(112)에 삽입시킨다. 삽입구(140)가 관통공(112)에 삽입된 뒤에는 삽입구(140)의 선단 일측면에 형성된 제 2돌기(144)가 관통공(112)의 내측으로부터 걸리게 되어 삽입구(140)가 관통공(112)에서 빠지지 않게 되며, 지지편(146)은 손잡이를 잡아 올렸을 때 이어(110)의 내측면에 걸려 힘을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손잡이의 메인띠(120) 및 결합부(130)를 부드러운 플라스틱으로 제조할 경우, 사용자의 손에 통증으로 주지 않고, 이어(110)와의 마찰음이 없으며 옆 용기의 인쇄면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용기(100)의 상부 양측면에 부착되고 중심에 관통공(112)을 갖는 한쌍의 이어(110)와, 메인띠(120)와, 메인띠(120)의 양단에 형성되고 관통공(112)에 삽입되는 삽입구(140)를 갖는 결합부(130)로 이루어진 용기의 손잡이로서, 메인띠(120) 및 결합부(130)를 부드러운 플라스틱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손에 통증으로 주지 않고, 이어(110)와의 마찰음의 발생방지 및 운송이나 적재시 옆 용기의 인쇄면을 손상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3개의 실시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용기(100)의 상부 양측면에 부착되고, 중심에 관통공(112)을 갖는 한쌍의 이어(110);
    메인띠(120); 및
    상기 메인띠(120)의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2)에 삽입되는 삽입구(140)를 갖는 결합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손잡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띠(120)는,
    양측에 측면보강띠(122)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보강띠(122)와 상기 결합부(130)의 연결부분에 보강편(1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손잡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30)는,
    상기 삽입구(140)의 선단 외주면에 상기 관통공(112)에 걸리는 제 1돌기(1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손잡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30)는,
    상기 이어(110)의 외주를 감싸는 원형커버(132)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140)의 선단 외주면에 상기 관통공(112)에 걸리는 제 1돌기(1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손잡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30)는,
    상기 삽입구(140)의 선단 일측면에 상기 관통공(112)에 걸리는 제 2돌기(144)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140)의 선단 타측면에 상기 이어(110)의 내측면에 걸리는 지지편(14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손잡이.
KR2020000024291U 2000-08-28 2000-08-28 용기의 손잡이 KR2002100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291U KR200210027Y1 (ko) 2000-08-28 2000-08-28 용기의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291U KR200210027Y1 (ko) 2000-08-28 2000-08-28 용기의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027Y1 true KR200210027Y1 (ko) 2001-01-15

Family

ID=73087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291U KR200210027Y1 (ko) 2000-08-28 2000-08-28 용기의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0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240B1 (ko) * 2012-02-17 2012-11-07 주식회사 승일 연결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원통형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240B1 (ko) * 2012-02-17 2012-11-07 주식회사 승일 연결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원통형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0740B2 (ja) イヤホンコード収納ケース
US20060121962A1 (en) Carrying case for a mobile telephone with cord organization means
KR200210027Y1 (ko) 용기의 손잡이
KR200226946Y1 (ko) 용기의 손잡이
JPS59164069A (ja) 綿棒
JP3175864U (ja) 携帯端末機用カバーケース
JP3603093B2 (ja) 二連針保護容器
JP3077678U (ja) 光プラグ用保護キャップ
JPH10336097A (ja) ハンドストラップ付携帯端末装置
KR200261732Y1 (ko) 분유통뚜껑의 스푼착탈구조
KR200302031Y1 (ko) 낚시용 뜰채의 소켓구조
KR100548790B1 (ko) 핸드폰 줄
KR200328371Y1 (ko) 부착부재가 장착된 뚜껑
JP3100654U (ja) 中啓用保護カバー
KR20170020623A (ko) 외용기와 내용기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열을 차단하는 화장품용기
JP2683862B2 (ja) 宅配輸送時におけるキャディバッグ用ゴルフクラブ保護具
JPS5932900Y2 (ja) 電子体温計のセンサリ−ル
JP2005197552A (ja) ノイズ吸収装置
JPH0232090Y2 (ko)
JP3045505U (ja) フライ用浮力剤の包装容器
JPS6144653Y2 (ko)
GB2380122A (en) Safe ear cleaner
JP3009769U (ja) キーホルダー
JPH0444102Y2 (ko)
KR200358124Y1 (ko) 쓰레받기 겸용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