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630Y1 - 철도차량의 냉난방용 덕트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냉난방용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630Y1
KR200209630Y1 KR2019980023794U KR19980023794U KR200209630Y1 KR 200209630 Y1 KR200209630 Y1 KR 200209630Y1 KR 2019980023794 U KR2019980023794 U KR 2019980023794U KR 19980023794 U KR19980023794 U KR 19980023794U KR 200209630 Y1 KR200209630 Y1 KR 2002096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ct
sliding fixing
lower sliding
discharg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37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1377U (ko
Inventor
김인홍
박재홍
장순묵
구영서
Original Assignee
정훈보
한국철도차량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훈보, 한국철도차량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훈보
Priority to KR20199800237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630Y1/ko
Publication of KR200000113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3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6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630Y1/ko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설치가 용이하며 덕트 자체를 이용하여 철도차량의 실내에 공급되는 냉난방된 공기를 골고루 분배시킬 수 있는 철도차량의 냉난방 덕트에 관한 것으로, 덕트의 일측편을 형성하며, 토출되는 공기의 량을 적절히 조절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공기 배출구 (14) 가 관통하는 공기배출판 (12) 과, 공기배출판 (12) 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형성되고, 덕트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상,하부 슬라이딩고정부 (8),(10) 및, 상,하 슬라이딩고정부 (8),(10) 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상,하 슬라이딩고정부 (8),(9) 가 끼워져 고정되는 상,하부 슬라이딩고정홈 (4a),(4b) 으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철도차량의 냉난방용 덕트
본 고안은 철도차량의 냉난방 덕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가 용이하며 덕트 자체를 이용하여 철도차량의 실내에 공급되는 냉난방된 공기를 골고루 분배시킬 수 있는 철도차량의 냉난방 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에 사용되는 냉난방 덕트는, 덕트를 일정 길이로 FRP, 알루미늄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한 후, 상기의 덕트를 철도차량의 천장 등에 부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일정 길이로 제조된 덕트를 서로 맞추어 조립하여 고정시킬 때에는 덕트와 덕트의 사이가 완전하게 맞물린 상태에서 조립되지 않아 덕트와 덕트간의 접촉부 사이로 공기가 누설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덕트의 기밀을 유지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상기의 덕트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FRP,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되어 있어 철도차량의 중량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철도차량의 골조에, 덕트의 재질이 FRP, 알루미늄 플레이트로 제조된 것은, 나사 또는 리벳 등을 이용하여 일일이 체결하는 고정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철도차량의 복잡한 골조의 구조로 인해 작업공정수가 증가되어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조립의 공정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덕트로 냉난방된 공기를 철도차량의 내부에 골고루 배분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냉난방 덕트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철도차량용 냉난방 덕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본 고안의 공기배출구 (14) 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본 고안의 철도차량용 냉난방 덕트가 설치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상부슬라이딩고정홈 6: 하부슬라이딩고정홈
8: 상부슬라이딩고정부 10: 하부슬라이딩고정부
12: 공기배출판 14: 배출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철도차량용 냉난방 덕트는, 덕트의 일측편을 형성하며, 토출되는 공기의 량을 적절히 조절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공기 배출구가 관통하는 공기배출판과, 공기배출판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형성되고, 덕트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상,하부 슬라이딩고정부 및, 상,하 슬라이딩고정부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상,하 슬라이딩고정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상,하부 슬라이딩고정홈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철도차량용 냉난방 덕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철도차량용 냉난방 덕트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공기배출구 (14) 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철도차량용 냉난방 덕트가 설치된 단면도이다.
철도차량용 냉난방 덕트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 (2) 의 일측편상에 덕트 (2) 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공기배출구 (14) 가 형성된 공기배출판 (12)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배출구 (14) 는, 덕트 (2)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철도차량의 내부에 골고루 분산시키도록, 도 2 와 같이 덕트의 길이방향으로 (a) 와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공기배출구 (14) 의 수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아니면 (b) 와 같이 그 수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도록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덕트 (2) 의 중앙으로 공기가 공급될 때에는 중앙에서 좌우측으로 점차적으로 공기배출구 (14) 의 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되도록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의 공기배출구 (14)를, 철도차량에 냉난방을 공급하는 방식에 따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덕트 (2) 의 공기배출판 (12) 에 형성된 공기배출구 (14) 는 덕트 (2) 로 공급되는 공기가 어느 부분으로 공급되느냐에 따라, 공기배출판 (12) 상에 공기배출구 (14) 의 개수를 증가 및 감소시켜 형성하므로, 덕트 (2) 의 공기배출판 (12)을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량을 제어할 수 있어 철도차량의 실내에 냉난방된 토출 공기를 골고루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덕트 (2) 의 일측편에 형성된 공기배출판 (12) 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의 상하부측에는 상기 덕트 (2)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부슬라이딩고정부 (8) 및 하부슬라이딩고정부 (10)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부슬라이딩고정부 (8) 및 하부슬라이딩고정부 (10) 에 대향되는 위치의 철도차량에는, 상부슬라이딩고정홈 (4) 및 하부슬라이딩고정홈 (10) 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슬라이딩 고정부 (8),(10)를 끼워 고정하고 있다.
또한, 상기 덕트 (2) 는 유연성 소재로 이루어져, 도 3 과 같이 차량 본체 (24) 의 상부측에 차단판 (22) 에 의해 감싸져 있으며, 그 하측 방향으로는 차단판 (22) 과 함께 완충공간 (20) 을 형성하도록 분배기 (28)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완충공간 (20)을 형성하므로써, 덕트 (2) 의 공기배출구 (14)를 통하여 골고루 분산되어 토출된 공기를 정압으로 안정시킬 수 있으며, 이어서 분산기 (28)를 통해 철도차량의 실내로 공기를 분산시켜 공급시킨다.
즉, 상기와 같이 형성된 완충공간 (20) 으로, 덕트 (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골고루 분산시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슬라이딩고정홈 (4) 과 하부슬라이딩고정홈 (6)을, 철도차량의 차단판 (22) 및 천장 내장판등에 고정시킨 후, 상기와 같이 고정된 상부슬라이딩고정홈 (4) 과 하부슬라이딩고정홈 (6) 에 덕트 (2) 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슬라이딩고정부 (8) 와 하부슬라이딩고정부 (10) 를 철도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끼워 넣으면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공기배출판 (12) 에 공기배출구 (14)를, 도 2 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배치하므로써, 철도차량의 실내에 덕트 (2)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골고루 분산시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철도차량용 냉난방 덕트에 의해, 조립의 공정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덕트로 냉난방된 공기를 덕트 자체에 공기배출구를 형성하여 철도차량의 내부에 골고루 배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덕트는 설치 작업이 어렵고 덕트와의 접촉부의 기밀을 유지하기 곤란하여 공기의 균일한 토출을 기대할 수 없는 반면에, 본 고안의 덕트는 유연성 소재로 되어 있기 때문에, 유동성 있기 쉽게 구부릴 수 있어 설치시 작업공간의 영향을 받지 않아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가가 매우 저렴하다.
그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덕트는 유연성 소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주행시나 설치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3)

  1. 일측면이 개방된 가요성 수지로 이루어진 철도차량용 냉난방 덕트로써,
    덕트의 일측편을 형성하며, 토출되는 공기의 량을 적절히 조절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공기 배출구 (14) 가 관통하는 공기배출판 (12) 과,
    공기배출판 (12) 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형성되고, 덕트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상,하부 슬라이딩고정부 (8),(10) 및,
    상,하 슬라이딩고정부 (8),(10) 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상,하 슬라이딩고정부 (8),(9) 가 끼워져 고정되는 상,하부 슬라이딩고정홈 (4a),(4b)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냉난방 덕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판 (12) 의 공기 배출구 (14) 는, 길이방향의 어느 일단측에서 점차로 그 수효가 증가 또는 감소 되도록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냉난방 덕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판 (12) 의 공기 배출구 (14) 는, 공기 배출판 (12) 의 중앙에서 양측으로 점차로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냉난방 덕트.
KR2019980023794U 1998-12-01 1998-12-01 철도차량의 냉난방용 덕트 KR2002096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794U KR200209630Y1 (ko) 1998-12-01 1998-12-01 철도차량의 냉난방용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794U KR200209630Y1 (ko) 1998-12-01 1998-12-01 철도차량의 냉난방용 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377U KR20000011377U (ko) 2000-07-05
KR200209630Y1 true KR200209630Y1 (ko) 2001-01-15

Family

ID=69509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3794U KR200209630Y1 (ko) 1998-12-01 1998-12-01 철도차량의 냉난방용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63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377U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6157B2 (en) Apparatus and methods of attaching panels to support structures
US10556602B2 (en) Car air conditioning duct and railcar
DE3681383D1 (de) Heiz- und/oder klimaanlage fuer kraftfahrzeuge.
US10995651B2 (en) Exhaust system for a combustion engine of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KR200209630Y1 (ko) 철도차량의 냉난방용 덕트
US6752712B1 (en) Slotted air distribution nozzle restrictor assembly
ATE107585T1 (de) Klimaanlage, insbesondere für eisenbahnwagen.
SE8303579L (sv) Bromssystem for ett relsfordon
CN221053816U (zh) 一种具有高散热性的汽车曲轴箱
ES2088710A1 (es) Dispositivo para la fijacion de un grupo impulsor, en especial a tableros de vehiculos automoviles.
KR200217960Y1 (ko) 철도차량용 에어콘 확산기
CN220731720U (zh) 一种储能电源排线结构
CN215322559U (zh) 一种带检修口的列车空调铝箔复合板风道
US3606444A (en) Air scoop means for automotive vehicles
RU2029687C1 (ru)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кондиционер
KR20080078298A (ko) 차량 공조케이스와 덕트의 결합구조
CN108800674A (zh) 一种新能源汽车空调用冷凝器
RU197141U1 (ru) Воздуховод для установки в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CN217374067U (zh) 一种能够便于进行安装的防护罩
CN217552572U (zh) 一种顶棚成型模具
KR19980034873U (ko) 자동차 냉온방 에어 밴트 덕트의 구조
JP2001180482A (ja) 鉄道車輛の側天井ユニット
KR0129045Y1 (ko) 차량용 증발기의 브래킷
SU893596A1 (ru) Кондиционер дл кабины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11397423A (zh) 散热器及空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