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055Y1 - 진공용기 뚜껑구조 - Google Patents

진공용기 뚜껑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055Y1
KR200209055Y1 KR2020000020359U KR20000020359U KR200209055Y1 KR 200209055 Y1 KR200209055 Y1 KR 200209055Y1 KR 2020000020359 U KR2020000020359 U KR 2020000020359U KR 20000020359 U KR20000020359 U KR 20000020359U KR 200209055 Y1 KR200209055 Y1 KR 2002090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vacuum
container body
close contact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중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제로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제로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제로팩
Priority to KR2020000020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0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0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055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용기의 뚜껑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뚜껑의 저면에 용기본체의 상측 결합단 테두리와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요철식 밀착홈부를 중심으로부터 외곽쪽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확장 배열시켜 용기본체와 결합될 때 밀착홈부의 경사면이 용기본체의 상측 결합단에 밀려들어가면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용기내의 진공효율을 높여 저장된 식품 등의 내용물을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단일화된 용기뚜껑을 다양한 크기의 용기본체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용기 뚜껑구조{Cover structure for vacuum container}
본 고안은 진공용기의 뚜껑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뚜껑의 저면에 용기본체의 상측 결합단 테두리와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요철식 밀착홈부를 중심으로부터 외곽쪽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확장 배열시켜 용기본체와 결합될 때 밀착홈부의 경사면이 용기본체의 상측 결합단에 밀려들어가면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용기내의 진공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단일화된 용기뚜껑을 다양한 크기의 용기본체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용기 뚜껑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오랜 기간 보관하는 방법으로는 온도를 낮추거나, 공기를 빼 진공상태를 유지하여 음식물을 보관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즉, 온도를 낮추어 보관하는 방법은 공지의 냉매를 압축 및 팽창시켜 주위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냉장고 등과 같은 장치를 사용하고 있고, 진공상태를 유지하여 음식물을 보관하는 방법은 진공포장기와 진공포장지를 사용하여 진공 상태를 만든 후 이를 봉합하는 장치와, 고정된 형태의 진공용기에 진공펌프를 연결하여 진공용기 내부의 공기 빼냄으로써 진공상태를 만들어 음식물을 보관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진공상태를 이용한 방법은 음식물의 산화를 방지하고 식품고유의 향기를 그대로 보존할 수 있어 가정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진공포장된 음식물을 저온 상태에서 보관하는 방법이 현재로서는 최적의 음식물 보관방법이라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진공용기(101)를 보인 것으로서, 이 진공용기(101)는 식품 등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본체(110)와, 그 용기본체(110)의 상부에 덮여져 내부를 밀폐시키는 용기뚜껑(12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용기뚜껑(120)의 중앙부에는 진공덮개(150)를 이용하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흡출함과 동시에 진공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진공밸브(121)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진공덮개(150)는 진공용기(101)내에 진공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진공포장기 등의 진공펌프에 연결되는 바, 진공밸브(121)에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원통 마개 형상을 하고 있고, 상단부가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튜브(151)가 결합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진공을 해제하기 위한 압력해제 스위치(153)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진공용기(101)를 이용하여 식품 등을 진공 보관하고자 할 경우 내용물을 용기본체(110) 내부에 넣은 상태에서 용기뚜껑(120)을 용기본체(110)에 덮은 다음, 진공덮개(150)를 용기뚜껑(120)의 진공밸브(121)에 밀착 결합시킨다. 그리고, 진공펌프를 동작시키게 되면 진공용기(101)내의 공기는 진공밸브(121)를 통해 외부로 흡출되어 내부를 진공으로 만듦으로써 내장된 내용물을 진공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진공용기(101)내의 내용물을 꺼낼 경우에는 진공밸브(121)를 눌러 내부를 진공 해제시킨 다음 용기뚜껑(120)을 쉽게 열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진공용기(101)에서 용기뚜껑(120)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저면에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패킹부(23)의 바닥면이 단순히 평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용기본체(110)와 결합시 밀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용기본체(110)의 상측 결합단(111)과 접촉하는 용기뚜껑(120)의 패킹부(121) 바닥면은 단순히 면접촉만 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므로 부분적으로 들뜨거나 전체적인 밀착력이 저하되어 진공용기(101)내의 기밀성 즉 진공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진공용기(101)의 용기뚜껑(120)은 용기본체(110)의 상측 결합단(111)과 접하는 부위에만 결합홈을 형성하여 단순한 평면상태의 팽킹부(123)에 비하여 용기본체(110)와의 기밀성을 높이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특정 크기의 용기본체(110)에만 결합홈이 결합될 수 있게 되므로 다양한 크기의 용기본체에는 적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용기내의 진공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단일화된 용기뚜껑을 다양한 크기의 용기본체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용기 뚜껑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진공용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공용기를 보인 부분 절개 단면도.
도 3은 종래 진공용기의 용기뚜껑의 패킹부 저면을 보인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용기 뚜껑이 적용되는 진공용기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진공용기를 보인 부분 절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의 저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A부를 확대 발췌하여 용기뚜껑과 용기본체의 다양한 결합상태를 각각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진공용기 10 : 용기본체
11 : 상측 결합단 20 : 용기뚜껑
21 : 진공밸브 25 : 밀착홈부
26 : 경사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일측부에 진공밸브를 가지며 용기본체의 상부에 씌워져 용기내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용기뚜껑에 있어서, 상기 용기뚜껑의 저면에 용기본체의 상측 결합단 테두리와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밀착홈부가 중심으로부터 외곽쪽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확장 배열되는 진공용기 뚜껑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본 고안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밀착홈부는 밀착력 향상을 위해 삼각 톱니형 단면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둥근 웨이브형 단면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착홈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상측 결합단 테두리 형태에 따라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뚜껑(20)이 적용되는 진공용기(1)를 보인 것으로, 식품 등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본체(10)와, 그 용기본체(10)의 상부에 덮여져 내부를 밀폐시키는 용기뚜껑(20)으로 구성된다. 또한, 그 용기뚜껑(20)의 중앙부에는 진공덮개(50)를 이용하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흡출함과 동시에 진공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진공밸브(21)가 구비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용기뚜껑(20)의 패킹부(23) 저면에는 용기본체(10)의 상측 결합단(11) 테두리와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밀착홈부(25)가 중심으로부터 외곽쪽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확장 배열된다. 즉, 밀착홈부(25)는 용기뚜껑(20)의 패킹면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요철(凹凸)된 다중 골을 형성함으로써 용기본체(10)의 상측 결합단(11)과 다중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밀착홈부(25)는 용기본체(10)의 상측 결합단(11)과의 더욱 기밀한 밀착구조를 위해 다양한 단면구조를 가질 수 있는 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둥근 웨이브형 단면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 경사면(26)을 형성하는 삼각 톱니형 단면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밀착홈부(2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용기본체(10)의 상측 결합단(11) 테두리 형태에 따라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타원 또는 사각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밀착홈부(25)를 형성하는 패킹부(23)은 용기뚜껑(2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실리콘으로 성형되어 뚜껑 저면에 부착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용기 뚜껑구조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진공용기(1)를 이용하여 식품 등을 진공 보관하기 위해 내용물이 내장된 용기본체(10)의 상측 결합단(11)에 용기뚜껑(20)을 덮고, 진공덮개(50)를 진공밸브(21)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진공펌프를 동작시킴으로써 진공용기(1)를 진공상태로 만들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 7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상측 결합단(11)이 용기뚜껑(20)의 밀착홈부(25) 정중앙에 위치될 경우에는 밀착홈부(25)의 양측 경사면(26)이 용기본체(10)의 상측 결합단(11) 양측 모서리에 각각 접촉됨으로써 이중으로 밀착 결합되어 진공용기(1)내의 기밀성을 높이게 된다.
한편, 도 7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상측 결합단(11)이 용기뚜껑(20)의 밀착홈부(25) 중앙에서 안쪽 혹은 바깥쪽으로 약간 벗어날 경우에는 밀착홈부(25)의 일측 경사면(26)은 탄력적으로 변형되어 그 접촉되는 용기본체(10)의 모서리부분을 강하게 압박하면서 밀착됨으로써 진공용기(1)내의 기밀성을 높이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7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10)의 상측 결합단(11)이 용기뚜껑(20)의 밀착홈부(25) 사이의 중앙에 위치될 경우에는 역시 밀착홈부(25)를 형성하는 산부분(27)이 탄력적으로 변형되어 그 접촉되는 용기본체(10)의 상측 결합단(11)면을 강하게 압박하면서 밀착됨으로써 진공용기(1)내의 기밀성을 높이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용기뚜껑(20)의 밀착홈부(25)는 중심쪽으로부터 외곽쪽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직경 혹은 폭이 작은 용기본체부터 큰 용기본체까지 모두 수용하여 상술한 도 7의 설명에서와 같이 기밀된 결합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용기뚜껑의 저면에 용기본체의 상측 결합단 테두리와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밀착홈부를 중심으로부터 외곽쪽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확장 배열시켜 용기본체와 결합될 때 밀착홈부의 경사면이 용기본체의 상측 결합단에 밀려들어가면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진공용기내의 진공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은 단일화된 용기뚜껑을 다양한 크기의 용기본체에 적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높은 진공효율로 인해 식품 등의 내용물을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일측부에 진공밸브를 가지며 용기본체의 상부에 씌워져 용기내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용기뚜껑에 있어서,
    상기 용기뚜껑의 저면에 용기본체의 상측 결합단 테두리와 대응하는 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요철식 밀착홈부가 중심으로부터 외곽쪽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확장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뚜껑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홈부는 삼각 톱니형 단면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뚜껑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홈부는 둥근 웨이브형 단면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뚜껑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홈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상측 결합단 테두리 형태에 따라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뚜껑구조.
KR2020000020359U 2000-07-15 2000-07-15 진공용기 뚜껑구조 KR2002090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359U KR200209055Y1 (ko) 2000-07-15 2000-07-15 진공용기 뚜껑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359U KR200209055Y1 (ko) 2000-07-15 2000-07-15 진공용기 뚜껑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055Y1 true KR200209055Y1 (ko) 2001-01-15

Family

ID=73086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359U KR200209055Y1 (ko) 2000-07-15 2000-07-15 진공용기 뚜껑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0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404B1 (ko) 2007-01-11 2008-02-13 주식회사 락앤락 진공밸브 작동식 밀폐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404B1 (ko) 2007-01-11 2008-02-13 주식회사 락앤락 진공밸브 작동식 밀폐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91429B1 (ja) 真空吸引密閉容器
JP3451051B2 (ja) 食品保存容器
KR200209055Y1 (ko) 진공용기 뚜껑구조
JPH07237658A (ja) 食品容器
CN215206411U (zh) 一种真空硅胶袋
WO2023134726A1 (en) Sealing bag
US20210163206A1 (en) Vacuum storage container
JPS589887Y2 (ja) 真空密閉装置
KR101187030B1 (ko) 보관용기
US20070039485A1 (en) Sealing and opening structure of a food container
CN211076990U (zh) 密封盒盖及密封保鲜盒
KR200334238Y1 (ko) 진공 밀폐형 용기 뚜껑
KR200412892Y1 (ko) 진공보관 케이스용 밸브
KR100726355B1 (ko) 진공보관 케이스용 밸브
CN212196783U (zh) 真空杯
KR20110115403A (ko) 밀폐용기
KR200204641Y1 (ko) 부압 발생 용기
CN210556105U (zh) 一种便于取料的新型盒子
CN208278634U (zh) 一种新型防烫保鲜盒
JP3225210U (ja) 真空鮮度保存容器
KR100878107B1 (ko) 식품 보관용기
KR200490689Y1 (ko) 제조와 세척이 용이한 서로 다른 음식물을 보관하는 음식물보관용기
CN216735666U (zh) 一种按压式抽真空装置
CN208868592U (zh) 一种便捷式真空密封盖和食品罐
KR950003867Y1 (ko) 포장용기용 속마개의 가스배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