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365Y1 - 맛살제조용 몰드 - Google Patents

맛살제조용 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365Y1
KR200208365Y1 KR2020000021366U KR20000021366U KR200208365Y1 KR 200208365 Y1 KR200208365 Y1 KR 200208365Y1 KR 2020000021366 U KR2020000021366 U KR 2020000021366U KR 20000021366 U KR20000021366 U KR 20000021366U KR 200208365 Y1 KR200208365 Y1 KR 2002083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taste
manufacturing
blocks
mold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3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설
Original Assignee
서정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설 filed Critical 서정설
Priority to KR20200000213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3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3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3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10Fish meal or powder; Granules, agglomerates or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0Shapes for preparing foodstuffs, e.g. meat-patty moulding devices, pudding moul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량의 맛살을 동시에 제조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맛살제조용 몰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프레임(2)과, 이 프레임(2)에 설치된 컨베이어장치(4)와, 이 컨베이어장치(4)에 장착되어 순환되며 그 내부에는 맛살재료가 투입되는 성형부(26)가 형성된 다수개의 맛살제조용 몰드(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맛살제조용 몰드(6)에 맛살재료를 주입한 후, 스팀박스(12)로 익혀서 그 단면이 대략 장원형태인 맛살을 제조할 수 있도록 된 맛살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몰드(6)는 제1 및 제2 블록(20,22)으로 분할제작되어 그 연접면(24)에 상기 성형부(26)가 형성되며, 이 성형부(26)는 장축방향이 제1 및 제2 블록(20,22)의 연접면(24)과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살제조용 몰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맛살제조용 몰드{mold}
본 고안은 맛살제조용 몰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량의 맛살을 동시에 제조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맛살제조용 몰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육과 밀가루를 혼합하여, 일정한 형태로 성형한 후, 일정온도로 익혀서 제조되는 맛살은 신선한 생선의 맛을 느낄 수 있으므로, 최근들어, 그 소비량이 급격히 늘어가고 있다. 특히, 이러한 맛살은 그 단면형상이 대략 장원형태와 같이, 폭이 두께에 비해 넓게 형성되는 것이 주를 이룬다.
이러한 맛살을 제조하는 맛살제조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2)과, 이 프레임(2)의 상면에 원형의 이동경로를 이루도록 설치된 컨베이어장치(4)와, 이 컨베이어장치(4)에 장착된 다수개의 맛살제조용 몰드(6)와, 이 맛살제조용 몰드(6)의 내부에 오일을 도포하는 오일도포장치(8)와, 맛살제조용 몰드(6)에 맛살재료를 공급하는 재료공급장치(10)와, 몰드(6)를 가열하여 몰드(6)내부에 공급된 맛살재료를 익히는 스팀박스(12)와, 스팀박스(12)를 통과하여 익혀진 맛살을 몰드(6)에서 빼내는 맛살 수거장치(14)로 구성된다.
상기 맛살제조용 몰드(6)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6)와, 이 베이스(16) 진행방향의 좌우측 상면에 그 하단이 힌지결합된 한쌍의 몰드블록(18,19)으로 구성된다. 이 몰드블록(18,19)은 제1 블록(20)과 제2 블록(22)으로 분할제작되어 상호 조립 및 이격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 그 연접면(24)에는 맛살형태의 성형부(26)가 형성된다. 상기 성형부(26)는 맛살의 형태와 대응되도록, 일측의 길이가 긴 장원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그 상측에 개구부(28)가 형성되어, 이 개구부(28)를 통해 내부에 맛살재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성형부(26)는 맛살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길이가 긴 장축방향이 제1 및 제2 블록(20,22)의 연접면(24)과 평행을 이루는 장원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28)를 통해 성형부(26)에 맛살재료를 투입하고, 상기 컨베이어장치(4)를 이용하여 맛살제조용 몰드(6)를 순환시키면서, 상기 스팀박스(12)로 몰드(6)를 가열하여 맛살재료가 익게 되며, 맛살재료가 완전히 익은 후에는 상기 맛살 수거장치(14)로 익혀진 맛살을 꺼낼 수 있으며, 상기 오일도포장치(8)로 성형부(26)의 내부에 오일을 도포하여, 익혀진 맛살을 손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맛살제조용 몰드(6)는 한꺼번에 많은 수의 맛살제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맛살제조장치의 전체의 사이즈를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맛살제조용 몰드(6)에 형성되는 성형부(26)는 맛살의 장축방향이 제1 및 제2 블록(20,22)의 연접면(24)과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하나의 몰드블록(18,19)에 3개 정도의 성형부(26) 밖에 형성할 수 없었다. 또한, 상기 맛살제조용 몰드(6)는 상기 컨베이어장치(4)를 따라 원형의 궤적을 그리며 순환되므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몰드(6)를 상호 인접시켜 설치하거나, 몰드(6)에 더 많은 수의 성형부(26)를 형성하여 몰드(6)의 진행방향 길이가 늘어날 경우, 몰드(6)의 내측단부가 상호 간섭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몰드(6)를 상호 소정간격 이격시켜 설치하여야 하므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고, 한꺼번에 많은 양의 맛살을 성형할 수 없으므로, 생산성이 떨어지며, 많은 양의 맛살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맛살제조장치 전체의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한꺼번에 많은 양의 맛살을 제조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맛살제조장치 전체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맛살제조용 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맛살제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맛살제조용 몰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맛살제조용 몰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맛살제조용 몰드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맛살제조용 몰드를 이용한 맛살제조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른 맛살제조용 몰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프레임 4. 컨베이어장치
6. 맛살제조용 몰드 12. 스팀박스
16. 베이스 18,19. 몰드블록
20,22. 제1 및 제2 블록 24. 연접면
26. 성형부
본 고안에 따르면, 프레임(2)과, 이 프레임(2)에 설치된 컨베이어장치(4)와, 이 컨베이어장치(4)에 장착되어 순환되며 그 내부에는 맛살재료가 투입되는 성형부(26)가 형성된 다수개의 맛살제조용 몰드(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맛살제조용 몰드(6)에 맛살재료를 주입한 후, 스팀박스(12)로 익혀서 그 단면이 대략 장원형태인 맛살을 제조할 수 있도록 된 맛살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몰드(6)는 제1 및 제2 블록(20,22)으로 분할제작되어 그 연접면(24)에 상기 성형부(26)가 형성되며, 이 성형부(26)는 장축방향이 제1 및 제2 블록(20,22)의 연접면(24)과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살제조용 몰드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몰드(6)는 베이스(16)와, 이 베이스(16)의 진행방향 좌우측에 설치된 한쌍의 몰드블록(18,19)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몰드(6)가 순환되는 진행경로의 외측에 배치된 몰드블록(18)은 내측에 배치된 몰드블록(19)에 비해, 더 많은 수의 성형부(2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살제조용 몰드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맛살제조용 몰드(6) 및 이 몰드가 설치되는 맛살제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이 맛살제조장치는 프레임(2)과, 이 프레임(2)에 설치된 컨베이어장치(4)와, 이 컨베이어장치(4)에 장착되어 순환되며 그 내부에는 맛살재료가 투입되는 성형부(26)가 형성된 다수개의 맛살제조용 몰드(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맛살제조용 몰드(6)에 맛살재료를 주입한 후, 스팀박스(12)로 익혀서 그 단면이 대략 장원형태인 맛살을 제조할 수 있도록 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맛살성형용 몰드(6)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6)와, 이 베이스(16)의 진행방향 좌우측에 위치되도록 그 하단이 상기 베이스(16)에 힌지결합된 한쌍의 몰드블록(18,19)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 몰드블록(18,19)은 그 연접면(24)에 맛살형태의 성형부(26)가 형성된 제1 및 제2 블록(20,22)으로 구성되어 상호 조립 및 이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성형부(26)는 제조할 맛살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그 단면이 장원형태로 형성되며, 길이가 긴 장축방향이 제1 및 제2 블록(20,22)의 연접면(24)과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몰드(6)에 있어서, 몰드(6)가 순환되는 원형의 경로의 외측에 배치되는 몰드블록(18)은 내측에 배치되는 몰드블록(19)에 비해, 더 많은 수의 성형부(26)가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맛살성형용 몰드는 맛살의 장축방향이 제1 및 제2 블록(20,22)의 연접면(24)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성형되어, 맛살의 장축방향이 제1 및 제2 블록(20,22)의 연접면(24)과 평행하게 형성된 종래의 몰드블록(18,19)에 비해, 같은 길이의 몰드블록(18,19)의 내부에 더 많은 수의 성형부(26)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몰드(6) 이동경로의 내외측에 위치된 몰드블록(18,19)에 각기 다른 수의 성형부(26)를 형성하여, 몰드블록(18,19)의 길이가 각기 다르게 구성되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몰드(6)를 상호 인접시켜 설치하여도, 컨베이어장치(4)의 순환경로 상에서 맛살성형용 몰드(6)의 내측단이 상호 간섭되지 않는다.
따라서, 하나의 몰드(6)에 더 많은 성형부(26)를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각각의 맛살성형용 몰드(6)를 상호 인접설치하여, 적은 면적에 많은 수의 몰드(6)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동시에 많은 수의 맛살을 성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맛살제조장치 전체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제1 및 제2 블록(20,22)의 연접면(24)에 형성되는 성형부(26)의 장축방향을 상기 연접면(24)과 대략 직각되도록 형성하고, 각 몰드블록(18,19)에 각기 다른 수의 성형부(26)를 형성하므로써, 한꺼번에 많은 양의 맛살을 제조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맛살제조용 몰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프레임(2)과, 이 프레임(2)에 설치된 컨베이어장치(4)와, 이 컨베이어장치(4)에 장착되어 순환되며 그 내부에는 맛살재료가 투입되는 성형부(26)가 형성된 다수개의 맛살제조용 몰드(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맛살제조용 몰드(6)에 맛살재료를 주입한 후, 스팀박스(12)로 익혀서 그 단면이 대략 장원형태인 맛살을 제조할 수 있도록 된 맛살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몰드(6)는 제1 및 제2 블록(20,22)으로 분할제작되어 그 연접면(24)에 상기 성형부(26)가 형성되며, 이 성형부(26)는 장축방향이 제1 및 제2 블록(20,22)의 연접면(24)과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살제조용 몰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6)는 베이스(16)와, 이 베이스(16)의 진행방향 좌우측에 설치된 한쌍의 몰드블록(18,19)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몰드(6)가 순환되는 진행경로의 외측에 배치된 몰드블록(18)은 내측에 배치된 몰드블록(19)에 비해, 더 많은 수의 성형부(2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살제조용 몰드.
KR2020000021366U 2000-02-17 2000-07-26 맛살제조용 몰드 KR2002083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366U KR200208365Y1 (ko) 2000-02-17 2000-07-26 맛살제조용 몰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04353 2000-02-17
KR2020000004353 2000-02-17
KR2020000021366U KR200208365Y1 (ko) 2000-02-17 2000-07-26 맛살제조용 몰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365Y1 true KR200208365Y1 (ko) 2000-12-15

Family

ID=26636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366U KR200208365Y1 (ko) 2000-02-17 2000-07-26 맛살제조용 몰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36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3933A (ja) ゴルフボール射出成形用金型
FR2759321B1 (fr) Procede de fabrication et moule de bande de roulement
KR200208365Y1 (ko) 맛살제조용 몰드
FI56785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framstaellning av kontinuerliga foerslutningsrader foer dragked ur termoplastiskt konstaemne
JPS6427919A (en) Production of mold
KR900001907B1 (ko) 슬라이드 파스너 스트링어의 제조방법
RU99126469A (ru) Кондитерское изделие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H0425002B2 (ko)
EP1321061A2 (en) Slide fastener with separable bottom stop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S599331B2 (ja) 長尺のスライドフアスナ−ストリングガ−を製造する方法
CN210120892U (zh) 一种鸡蛋干模具盒
ATE41347T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verbundprofils aus metallischen innen- und aussenteilen und einem kunststoff-isoliersteg.
KR200301478Y1 (ko) 떡 제조장치
JPH05293858A (ja) 平面型フィルタの製造方法
KR100353970B1 (ko) 단추 성형용 코아 및 그 제조방법
KR100392439B1 (ko) 공예용 성형틀
JP4915640B2 (ja) もなか皮の製造型
KR960008527Y1 (ko) 연속제작이 용이한 스팽글 펀칭 금형
JP2763422B2 (ja) 樹脂成形品及び樹脂成形品成形用金型
KR200229613Y1 (ko) 합성수지제 안경코받침 제조장치
KR100329505B1 (ko) 신발 솔 제조용 세로형 금형구조
JPH08267517A (ja) 金型構造
KR0121098B1 (ko) 사랑의 열매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00372A (ko) 스티로폼 박스 성형용 금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티로폼박스
KR100237811B1 (ko) 칠러 세팅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