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278Y1 - 트렌치구축용 피시블록 - Google Patents

트렌치구축용 피시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278Y1
KR200208278Y1 KR2020000018995U KR20000018995U KR200208278Y1 KR 200208278 Y1 KR200208278 Y1 KR 200208278Y1 KR 2020000018995 U KR2020000018995 U KR 2020000018995U KR 20000018995 U KR20000018995 U KR 20000018995U KR 200208278 Y1 KR200208278 Y1 KR 2002082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finishing
trench
wall port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명
Original Assignee
김진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명 filed Critical 김진명
Priority to KR2020000018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2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2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2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고안은 주변의 마감바닥층과 일체성이 확보되는 견고한 구조로서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서 시공품질이 우수한 트렌치를 얻을 수 있게 하여 주며, 트렌치를 시공하는 데 따른 작업공정을 획기적으로 개선시켜서 시공성이 향상된 트렌치구축용 PC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고안의 기술구성상의 특징은; 전체적으로 콘크리트를 소재로하여 성형되며 최하부에 소정의 폭과 길이로서 수평한 접지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수평접지부(11)와, 상기 수평접지부(11)의 일측단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서 수직으로 세워져서 외부에 노출되는 마감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마감측벽부(12)와, 상기 마감측벽부(12)의 상부 끝단으로부터 상기 수평접지부(11)의 타측단을 향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연이어져서 구속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구속측벽부(13)로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트렌치구축용 피시블록{Precast Block for Trench}
본고안은 다량의 용수를 소비하는 각종의 건축물 바닥에서 사용후에 버려지는 폐수를 배수시켜 주는 트렌치를 시공하기 위한 트렌치구축용 PC블록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다량의 용수를 소비하는 각종의 건축물(주차장, 세차장, 대형주방)의 바닥에는 사용후에 버려진 폐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트렌치를 구축하여 왔다.
이와 같은 트렌치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기 시공된 바닥콘크리트의 상부면에 형틀을 소요높이로 조립하여서 설치하고, 조립된 형틀의 높이에 맞추어서 주변의 바닥콘크리트 상부에 시멘트몰탈을 포설하여서 수평하게 마감바닥층을 설치하고, 마감바닥층의 내측으로부터 형틀을 탈형시켜서 노출된 배수통로 내부 바닥을 시멘트몰탈로서 물구배를 형성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서, 건축물 바닥에 폐수를 원할하게 배수시켜 주는 트렌치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트렌치 시공방법에 있어서는 형틀을 조립하여서 트렌치를 시공한 후에는 반드시 형틀을 해체시켜야 하므로, 작업공정상 번거로움과 불편을 가중시켜서 불필요하게 많은 작업인원과 작업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형틀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트렌치의 성형면에 대하여 마감작업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하게 훼손시켜서 시공품질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철재마감판을 이용한 트렌치 시공방법이 개발되어서 공사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는 추세에 있다.
도1은 종래의 트렌치 시공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개방형의 철재마감판(1)을 이용하여 바닥콘크리트(2)와 수직벽(3)이 직각으로 만나는 모서리에 상부가 개방된 배수통로(110)를 가지는 트렌치(100)를 구축한 것을 일예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의 트렌치 시공방법은 기 시공된 바닥콘크리트(2)의 해당위치에 고정앵커(1a)들을 가지는 철재마감판(1)을 소요높이로서 고정시켜서 설치하고, 철재마감판(1)의 직하부에 벽돌(4a)을 조적하여서 구획된 배수통로(110)를 확보하여 주도록 구획받침(4)을 설치한 후에, 철재마감판(1)에 맞추어 바닥콘크리트(2)의 상부에 시멘트몰탈을 수평하게 포설하여서 마감바닥층(5)을 설치하고, 배수통로(110) 내부에 노출된 구획받침(4)의 내면을 시멘트몰탈로 마감하는 동시에 바닥콘크리트(2) 상부면에 시멘트몰탈로서 물구배(6)를 형성하는 작업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서 시공을 완료하게 되었다.
이러한 트렌치 시공방법에 의하면, 바닥콘크리트(2)에 고정시켜서 설치되는 철재마감판(1)과, 벽돌(4a)을 조적하여서 설치된 구획받침(4)으로서 건축물의 바닥에 트렌치(100)를 별도의 형틀없이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형틀을 조립하고 다시 해체하여야 하는 작업공정상의 번거로움과 불편을 해소하여 줄 뿐만 아니라, 형틀을 탈형하는 과정에서 트렌치(100)의 성형면이 훼손됨을 미연에 방지하여 주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트렌치 시공방법은 첫째 철재마감판(1)의 높낮이를 정밀하게 맞추어서 설치하는 일이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여서 이후에 마감바닥층(5)을 수평하게 설치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주변의 마감바닥층(5)과 이질의 철재마감판(1)이 쉽게 재료분리되어서 구조적으로 매우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둘째 재질적인 특성상 쉽게 부식되는 철재마감판(1)을 사용함에 따라 수명이 단축되는 동시에 녹물이 발생되어서 주변이 더럽게 오염되고, 더욱이 철재마감판(1)을 지탱하여 주는 고정앵커(1a)를 따라 수분이 침투되어서 누수가 발생되었으며,
셋째 철재마감판(1)은 앵커고정시키고 구획받침(4)은 벽돌(4a)을 조적하여서 설치하는 작업성격이 전혀 다른 이중의 작업공정을 수행하게 되고, 배수통로(110)에 노출된 구획받침(4)의 내면을 시멘트몰탈로서 마감하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하게 되는 만큼 작업자의 부담이 가중되고 작업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2는 한쌍의 고정앵커(1a)를 가지는 덮개형의 철재마감판(1)들을 이용하여서 건축물의 바닥 중앙부에 통수덮개판(7)이 덮여지는 배수통로(110)를 가지는 트렌치(100)를 구축한 것을 또 다른예로서 보여 주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또 다른 트렌치 시공방법의 경우에도 상기에서 적시된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그대로 내포하는 기술적인 한계가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보다 개량된 트렌치구축용 부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에 있다.
본고안은 첫째 주변의 마감바닥층과 일체성이 확보되는 견고한 구조로서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서 시공품질이 우수한 트렌치를 얻을 수 있게 하여 주며, 둘째 트렌치를 시공하는 데 따른 작업공정을 획기적으로 개선시켜서 시공성이 향상된 트렌치구축용 PC블록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의 트랜치 시공방법을 나타낸 단면도
도2는 종래의 또 다른 트랜치 시공방법을 나타낸 단면도
도3는 본발명 실시예의 트랜치구축용 PC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발명 실시예의 트랜치구축용 PC블록의 시공예를 나타낸 발췌 사시도
도5a는 본발명 변형예의 트랜치구축용 PC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5b는 본발명 변형예에 따른 트랜치구축용 PC블록의 시공예를 나타낸 것임
도6a는 본발명 일실시예의 트랜치구축용 PC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6b는 본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치구축용 PC블록의 시공예를 나타낸 것임
도7a은 본발명 다른실시예의 트랜치구축용 PC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7b는 본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트랜치구축용 PC블록의 시공예를 나타낸 것 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트렌치구축용 PC블록 11: 수평접지부 11a: 수직연장부
12: 마감측벽부 12a: 수평연장부 13: 구속측벽부
13a: 경사구속면 13b: 절곡구속면 13c: 굴곡홈
14: 돌출턱부 15: 걸침턱부
본고안의 트렌치구축용 PC블록(10)은 도3의 도시와 같이, 전체적으로 콘크리트를 소재로하여 성형되며 최하부에 소정의 폭과 길이로서 수평한 접지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수평접지부(11)와, 상기 수평접지부(11)의 일측단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서 수직으로 세워져서 외부에 노출되는 마감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마감측벽부(12)와, 상기 마감측벽부(12)의 상부 끝단으로부터 상기 수평접지부(11)의 타측단을 향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연이어져서 구속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구속측벽부(13)로서 구성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다시말해서, 본고안의 트렌치구축용 PC블록(10)은 콘크리트를 소재로하여 성형되며 최하부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접지부(11)를 가지며, 그 수평접지부(11)의 일측에는 마감면을 이루는 마감측벽부(12)를 그 수평접지부(11)의 타측에는 구속면을 이루는 구속측벽부(13)를 가지는 트렌치구축용 PC블록(10)을 해당위치에 조적하여서 트렌치(100)를 시공하게 됨으로써, 주변의 바닥콘크리트(120) 상부에 시멘트몰탈을 포설하여서 설치되는 마감바닥층(130)과 일체성이 확보되는 견고한 구조의 트렌치(100)를 단순작업공정으로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형의 트렌치구축용 PC블록(10)은 도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바닥콘크리트(120)와 수직벽(140)이 직각으로 만나는 코너부에 상부가 개방된 배수통로(110)를 가지는 트렌치(100)를 시공하는 데 매우 적합하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50은 접착몰탈이고, 160은 통수덮개판이다.
상기 수평접지부(11)는 최하부에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접지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서, 트렌치구축용 PC블록(10)을 해당위치의 바닥콘크리트(120) 위에 수평하게 조적하여서 안치시킬 수 있게 하여 준다.
이러한 수평접지부(11)는 트렌치구축용 PC블록(10)을 작업자가 조적하여서 안치시키는 단순작업으로서 트렌치(100)를 시공할 수 있게 하여 주며, 트렌치구축용 PC블록(10)의 수평을 정확히 유지시켜서 주변에 설치되는 마감바닥층(130)과 수평을 맞추는 데 도움이 된다.
상기 마감측벽부(12)는 상기 수평접지부(11)의 일측단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마감면을 이루도록 형성하여서, 해당위치의 바닥콘크리트(120)와 직각으로 연접되어 일정한 높이로서 구획된 배수통로(110)를 가지는 트렌치(100)를 시공할 수 있게 하여 준다.
이러한 마감측벽부(12)는 트렌치(100)의 배수통로(110)를 구획하여 주는 동시에 마감면의 역할을 수행하여서, 트렌치(100)를 시공할 때에 노출된 배수통로(110) 내면의 마감작업을 생략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구속측벽부(13)는 상기 마감측벽부(12)의 상부 끝단으로부터 상기 수평접지부(11)의 타측단을 향하여 연이어지는 구속면을 이루도록 형성하여서, 시멘트몰탈을 포설하여서 설치되는 주변의 마감바닥층(130)과 일체가되어서 구속되게 하여 준다.
따라서, 상기 구속측벽부(13)는 기성품으로서의 트렌치구축용 PC블록(10)과 현장타설되는 주변의 마감바닥층(130)을 일체화시켜 주어서, 현장타설된 마감바닥층(130)으로부터 트렌치구축용 PC블록(10)이 재료분리되어서 이탈됨을 방지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본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구속측벽부(13)는 상기 마감측벽부(12)의 상부 끝단으로부터 상기 수평접지부(11)의 타측단을 향하여 소정의 기울기로서 하향 경사지게 연이어지는 경사구속면(13a)을 이루도록 형성하여서, 현장타설되는 주변의 마감바닥층(130)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서 확실하게 구속되도록 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구속측벽부(13)는 도5a 및 도5b의 변형예에서와 같이, 그 구속측벽부와 연하는 상기 마감측벽부(12)의 끝단부에는 수평연장부(12a)를 상기 수평접지부(11)의 끝단부에는 수직연장부(11a)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마감측벽부(12)의 수평연장부(12a)로부터 상기 수평접지부(11)의 수직연장부(11a)가 절곡되어서 연이어지는 절곡구속면(13b)을 이루도록 형성하여서, 현장타설되는 주변의 마감바닥층(130)이 단차지게 맞물려져서 더욱 확실하게 구속되도록 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구속측벽부(13)의 구속면을 따라 연속 반복적으로 굴곡되는 굴곡홈(13c)을 형성하여서, 상기 마감측벽부(12)의 타측에 설치되는 마감바닥층(130)이 상기 구속측벽부(13)의 구속면에 형성되는 굴곡홈(13c)을 통하여 굴곡 접촉되어서 재료분리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6a 및 도6b는 본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마감측벽부(12)와 구속측벽부(13)가 만나는 상부 끝단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턱부(14)를 포함하여서 된 트렌치구축용 PC블록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본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트렌치구축용 PC블록(10)에 의하면, 상기 돌출턱부(14)와 접촉되는 마감바닥층(130)의 상부 가장자리를 소요 단면두께로서 설치할 수 있게 하여서, 그 마감바닥층(130)의 상부 가장자리가 쉽게 파손됨을 방지하여 주는 잇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7a는 본고안의 다른실시예로서 상기 마감측벽부(12)의 상부 일정위치에 단차지게 절곡 형성되는 걸침턱부(15)를 포함하여서 된 트렌치구축용 PC블록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본고안 다른실시예의 덮개형의 트렌치구축용 PC블록(10)은 도7b의 도시와 같이, 평활한 바닥콘크리트(120)의 중간에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하도록 1쌍을 조적하여서, 상부에 통수덮개판(70)이 덮여지는 배수통로(110)를 가지는 트렌치(100)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고안 효과를 종합하여 보면, 첫째 주변에 설치되는 마감바닥층과 정확하게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줄 뿐만 아니라, 마감바닥층과 재료분리됨을 미연에 방지하여서 구조적으로 견고한 트렌치를 시공할 수 있게 하여 주며, 둘째 내식성이 뛰어난 콘크리트를 소재하여 만들어져서 시공된 트렌치의 수명을 연장시켜 주는 동시에 녹물 발생으로 인한 주변의 오염을 방지하여 주며, 셋째 해당위치의 바닥콘크리트에 간편하게 조적하여서 별도의 마감작업없이 트렌치를 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공정을 단순화시켜서 작업자의 부담을 줄여주는 동시에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주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6)

  1. 전체적으로 콘크리트를 소재로하여 성형되며 최하부에 소정의 폭과 길이로서 수평한 접지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수평접지부(11)와, 상기 수평접지부(11)의 일측단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서 수직으로 세워져서 외부에 노출되는 마감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마감측벽부(12)와, 상기 마감측벽부(12)의 상부 끝단으로부터 상기 수평접지부(11)의 타측단을 향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연이어져서 구속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구속측벽부(13)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구축용 PC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측벽부(13)는 상기 마감측벽부(12)의 상부 끝단으로부터 상기 수평접지부(11)의 타측단을 향하여 소정의 기울기로서 하향 경사지게 연이어지는 경사구속면(13a)을 이루도록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구축용 PC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측벽부(13)는 그 구속측벽부와 연하는 상기 마감측벽부(12)의 끝단부에는 수평연장부(12a)를 상기 수평접지부(11)의 끝단부에는 수직연장부(11a)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마감측벽부(12)의 수평연장부(12a)로부터 상기 수평접지부(11)의 수직연장부(11a)가 절곡되어서 연이어지는 절곡구속면(13b)을 이루도록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구축용 PC블록.
  4. 제1항 또는 제2항 및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측벽부(13)의 구속면을 따라 연속 반복적으로 굴곡되는 굴곡홈(13c)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구축용 PC블록.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측벽부(12)와 구속측벽부(13)가 만나는 상부 끝단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턱부(14)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구축용 PC블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측벽부(12)의 상부 일정위치에 단차지게 절곡 형성되는 걸침턱부(15)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구축용 PC블록.
KR2020000018995U 2000-07-03 2000-07-03 트렌치구축용 피시블록 KR2002082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995U KR200208278Y1 (ko) 2000-07-03 2000-07-03 트렌치구축용 피시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995U KR200208278Y1 (ko) 2000-07-03 2000-07-03 트렌치구축용 피시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278Y1 true KR200208278Y1 (ko) 2000-12-15

Family

ID=19663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995U KR200208278Y1 (ko) 2000-07-03 2000-07-03 트렌치구축용 피시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2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724B1 (ko) * 2002-09-23 2004-07-30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트렌치공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724B1 (ko) * 2002-09-23 2004-07-30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트렌치공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80439B1 (en) Improved drainage system for basements
KR101170103B1 (ko) 조립식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트렌치 구조
KR101087644B1 (ko)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저류조용 벽체부 구축물 구조
KR200208278Y1 (ko) 트렌치구축용 피시블록
KR102227414B1 (ko) 지하 외벽-슬래브 접합 구조
KR100694586B1 (ko) 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지하외벽 구조
KR20020003771A (ko) 트렌치구축용 피시블록 및 그를 이용한 트렌치 시공방법
RU2219315C1 (ru) Стена
KR100441724B1 (ko) 트렌치공사방법
JPH09295313A (ja) 沈埋函の製作方法
KR100821742B1 (ko) 측벽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
JP4591769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自由勾配側溝
JPS5817972A (ja) 水泳プ−ル構築用構造体及び水泳プ−ルの構築方法
JP3052307B2 (ja) コンクリート製張出道構造物
JP3098989B2 (ja) 側溝用ブロック
JP3563128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並びに基礎の施工方法
JP2023119217A (ja) ルーフドレン
SU1682472A1 (ru) Ленточный фундамент
JP2725022B2 (ja) スラブ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
RU99118847A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монолитных каркасов
JPS5926741B2 (ja) 基礎築造装置
KR0165570B1 (ko) 조립식 판넬 옹벽
KR100389535B1 (ko) 지하철 지하구조물 방수 시공 공법 및 그 패널
JP2004084414A (ja) 建設中の建物の中に流入する雨水を排水する排水装置
KR200226684Y1 (ko) 지하철 지하구조물 방수 시공 공법의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