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221Y1 - 배선용 차단기의 경보겸용 보조스위치의 배선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의 경보겸용 보조스위치의 배선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221Y1
KR200208221Y1 KR2019980015656U KR19980015656U KR200208221Y1 KR 200208221 Y1 KR200208221 Y1 KR 200208221Y1 KR 2019980015656 U KR2019980015656 U KR 2019980015656U KR 19980015656 U KR19980015656 U KR 19980015656U KR 200208221 Y1 KR200208221 Y1 KR 2002082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erminal block
lead wire
alarm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6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5002U (ko
Inventor
임종득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20199800156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221Y1/ko
Publication of KR200000050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0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2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221Y1/ko

Link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보겸용 보조스위치의 배선연결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리드선을 교체하거나, 길이를 현장상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종래 배선용 차단기의 단점인 리드선의 종류와 길이에 따른 제약을 해소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과부하 검출작용에 의해 개폐기구부를 트립시키는 네일(1)의 회동시 이에 연동하여 경보스위치로서 작용하고, 접점의 개리에 따른 가동자 샤프트(2)의 회동시 이에 연동하여 보조스위치로서 작용하는 경보겸용 보조스위치(3)가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경보겸용 보조스위치의 케이스(11)에, 상기 케이스 내부에 내장되는 마이크로 스위치(4)의 상단으로 돌출되는 각 접점단자(5) 일측면에 접하는 돌기부(310)및, 상기 접점단자에 접하는 돌기부(310) 반대편에 위치함과 동시에 각 접점단자의 타측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하는 돌기부(300)가 일체로 형성되고, 접점단자(5)와 돌기부(300) 사이에는 외부의 전원등에 일단이 연결되는 리드선(6)의 타단이 연결되는 단자대(7)의 하단부가 압입되어 상기 접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단자대의 상단면에 형성된 체결공(710)에는 리드선의 타단이 단자대(7)와 접속되도록 체결나사(9)가 체결되고, 체결나사와 단자대 사이에는 단자대에 체결나사를 체결시 리드선을 가압하여 리드선의 단자대에 대한 접속력을 증대시키는 가압편(10)이 설치되는 배선용 차단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의 경보겸용 보조스위치의 배선연결구조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보겸용 보조스위치의 배선연결 구조를 개선하여 리드선의 종류와 길이에 따른 제약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는 공장, 빌딩 등의 수배전 설비 중에서 주로 배전반에 설치되어 무부하 상태에서는 부하측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개폐장치의 역할을 하고, 부하 사용중에는 부하전로에 이상 현상이 발생하여 부하 전류를 초과하는 대전류가 흐를 경우 전로의 전선 및 부하측 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전원측으로부터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차단기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배선용 차단기는 프레임의 크기, 극수, 동작방식등이 상이하여 여러 가지 구조의 것이 제작되고 있으나, 몰드케이스·접촉자·트립장치·개폐기구·소호장치·단자 등을 기본적인 요소로 하여 구성된다.
한편, 배선용 차단기에는 차단기의 정상·트립을 표시하거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경보겸용 보조스위치 및, 원방조작장치등이 구비되어 사용의 편리성을 높이게 된다.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용 차단기의 리셋·트립상태를 표시하는 경보스위치로도 사용되고,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단기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보조스위치로도 사용되는 경보겸용 보조스위치(3)가 설치된다.
이 때, 상기 경보겸용 보조스위치(3)는 각 기능에 맞도록 별도로 제작된 레버의 교환에 의해 경보스위치 기능을 하거나 보조스위치 기능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의 경보겸용 보조스위치(3)는 부품을 수납하는 케이스(11), 케이스 커버(12), NO(노말 오픈)·NC(노말 클로우즈)·C(공통)접점을 가지는 마이크로 스위치(4), 알람레버(14a) 및 개폐상태 표시레버(14b), 상기 레버에 대해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들, 마이크로 스위치(4)의 접점 위치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리드선(6)으로 구성된다.
한편, 통상적으로 리셋·트립여부를 알려주는 경보스위치로 사용될 경우에는 스위치가 개폐용 핸들 가까이 위치하게 되고, 차단기의 온·오프상태를 표시하는 보조스위치(3)로 사용될 때에는 스위치가 핸들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경보겸용 보조스위치(3)의 작용을 도 1a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의 차단기에 있어 경보겸용 보조스위치(3)를 경보스위치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제1고정축(15) 상에 알람레버(14a)가 탄력설치된다.
따라서, 과부하 발생시, 과부하검출부(도시는 생략함)가 이를 검출하여 개폐기구부(도시는 생략함)를 연동시키도록 네일(1)을 회동시킴에 따라 상기 네일(1)이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알람레버(14a) 선단을 타격할 경우, 상기 알람레버(14a)는 케이스(11) 내측면 상의 스프링 지지측벽과 알람레버(14a)의 일측지지면 사이에 설치된 압축스프링(13)을 압축시키면서 제1고정축(15)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알람레버(14a)의 회동에 따라, 마이크로 스위치(4)의 버튼(4a)에 가해진 누름력이 해제되어 마이크로 스위치(4)의 접점이 바뀌게 되므로써 제어판넬(도시는 생략됨) 등에 경보등이 켜지거나 경보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경보겸용 보조스위치(3)를 경보스위치가 아닌 보조스위치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케이스(11) 및 케이스 커버(12)를 분리시킨 후, 상기 알람레버(14a)를 탈거시키고 대신 차단기 개폐상태 표시레버(14b)를 제2고정축(16)상에 설치한다.
이 때, 상기 차단기 개폐상태 표시레버(14b)의 회전축인 제2고정축(16)상에는, 상기 개폐상태 표시레버의 일측에 자신의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1고정축(15) 상에 걸린 토션스프링(17)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가동자 샤프트(2)의 타격력을 받아 제2고정축(16)을 중심으로 레버(14b)가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 상기 토션스프링(17)은 토션모멘트를 받게 된다.
즉, 차단기의 오프시 개폐기구부가 동작하여 가동자 샤프트(2)의 타격부(2a)가 차단기 개폐상태 표시레버(14b)의 선단을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타격할 경우, 상기 레버(14b)는 토션스프링(17)에 복원력을 부여하면서 제2고정축(16)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단기 개폐상태 표시레버(14b)의 회동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4)의 버튼(4a)에 가해진 누름력이 해제되어 마이크로 스위치(4)의 접점이 바뀌게 됨에 따라, 차단기의 오프상태가 제어판넬 등에 표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는 공급자가 지정하여 주는 리드선(6)이 보조스위치(3)의 각 접점단자(5)에 납땜되어 있고, 리드선(6)의 길이(약 60∼70㎝)가 정해져 있으므로 인해, 다음과 같은 불편함이 수반된다.
즉, 전원 등에 연결되는 리드선의 길이가 짧을 경우에는 납땜으로 리드선을 연결하여 연장하여야 하고, 선의 길이가 너무 긴 경우에는 남는 부분을 절단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리드선(6)이 경보겸용 보조스위치(3)의 각 접점단자(5)에 납땜되어 있으므로 인해,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종류의 리드선으로의 교체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요컨데, 종래에는 리드선(6)의 길이가 공급자에 의해 이미 결정되어진 상태로 제공되고, 리드선(6)의 일단이 경보겸용 보조스위치(3)의 접점단자(5)에 납땜되어 리드선의 교체가 불가능한 상태이므로 인해, 길이가 맞지 않거나 리드선을 교체할 필요가 있을 경우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경보겸용 보조스위치의 배선연결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리드선을 교체하거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종래 배선용 차단기의 단점인 리드선의 종류와 길이에 따른 제약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내지 도 2b는 종래 배선용 차단기에 경보겸용 보조스위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도 1a는 정상상태시 경보스위치로서의 동작 상태도
도 1b는 트립상태시 경보스위치로서의 동작 상태도
도 2a는 차단기 오프시의 보조스위치로서의 동작 상태도
도 2b는 차단기 온시의 보조스위치로서의 동작 상태도
도 3은 도 1b의 경보겸용 보조스위치를 나타낸 상세 사시도
도 4a 내지 도 5b는 본 고안이 적용된 배선용 차단기에 경보겸용 보조스위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도 4a는 정상상태시 경보스위치로서의 동작 상태도
도 4b는 트립상태시 경보스위치로서의 동작 상태도
도 5a는 차단기 오프시의 보조스위치로서의 동작 상태도
도 5b는 차단기 온시의 보조스위치 동작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경보겸용 보조스위치를 나타낸 상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단자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네일 2:가동자 샤프트
2a:타격부 3:보조스위치
300:돌기부 310:지지돌기
4:마이크로 스위치 4a:버튼
5:접점단자 6:리드선
7:단자대 700:랜싱면
710:체결공 8:리벳
9:체결나사 10:가압편
10a:통공 11:케이스
12:케이스 커버 13:압축스프링
14a:알람레버 14b:개폐상태 표시레버
15:제1고정축 16:제2고정축
17:토션스프링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과부하 검출부의 과부하 검출작용에 의해 개폐기구부를 트립시키는 네일의 회동시 이에 연동하여 경보스위치로서 작용하고, 접점의 개리에 따른 가동자 샤프트의 회동시 상기 가동자 샤프트와 연동하여 보조스위치로서 작용하는 경보겸용 보조스위치가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경보겸용 보조스위치의 케이스에, 상기 케이스 내부에 내장되는 마이크로 스위치의 상단으로 돌출되는 각 접점단자 일측면에 접하는 지지돌기 및, 상기 접점단자에 접하는 지지돌기 반대편에 위치함과 동시에 각 접점단자의 타측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돌기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접점단자와 돌기부 사이에는 외부의 전원등에 일단이 연결되는 리드선의 타단이 연결되는 "ㄱ"자형의 단자대의 하단부가 압입되어 상기 접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단자대의 상단면에 형성된 체결공에는 리드선의 타단이 단자대와 접속되도록 체결나사가 체결되고, 상기 체결나사와 단자대 사이에는 단자대에 체결나사를 체결시 리드선을 가압하여 리드선의 단자대에 대한 접속력을 증대시키는 가압편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경보겸용 보조스위치의 배선연결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4a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5b는 본 고안이 적용된 배선용 차단기에 경보겸용 보조스위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도 4a는 정상상태시 경보스위치로서의 동작 상태도이고, 도 4b는 트립상태시 경보스위치로서의 동작 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5a는 차단기 오프시 보조스위치로서의 동작 상태도이고, 도 5b는 차단기 온시 보조스위치로서의 동작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경보겸용 보조스위치를 나타낸 상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과부하 발생시, 과부하 검출부의 작용에 의해 연동하여 개폐기구부를 트립시키도록 된 네일(1)의 회동시 이에 연동하여 경보스위치로서 작용하고, 접점의 개리에 따른 가동자 샤프트(2)의 회동시 상기 가동자 샤프트(2)와 연동하여 보조스위치로서 작용하는 경보겸용 보조스위치(3)가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경보겸용 보조스위치(3)의 케이스(11)에, 상기 케이스(11) 내부에 내장되는 마이크로 스위치(4)의 상단으로 돌출되는 각 접점단자(5) 일측면에 접하는 돌기부(310) 및, 상기 접점단자(5)에 접하는 돌기부(310) 반대편에 위치함과 동시에 각 접점단자(5)의 타측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돌기부(30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접점단자(5)와 돌기부(300) 사이에는 외부의 전원등에 일단이 연결되는 리드선(6)의 타단이 연결되는 "ㄱ"자형의 단자대(7)의 하단부가 압입되어 상기 접점단자(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단자대(7)의 상단면에 형성된 체결공(710)에는 리드선(6)의 타단이 단자대(7)와 접속되도록 체결나사(9)가 체결된다.
이 때, 상기 체결나사(9)와 단자대(7) 사이에는, 면중앙에 통공(10a)이 구비되어 상기 단자대(7)에 체결나사(9)를 체결시 리드선(6)을 가압하여 리드선의 단자대에 대한 접속력을 증대시키는 가압편(1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ㄱ"자형의 단자대(7)의 하단부는 상기 접점단자(5)와 돌기부(300) 사이에 압입시, 압입이 용이하도록 끝부분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테이퍼(taper)진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배선용 차단기에 설치된 경보겸용 보조스위치(3)가 경보스위치로서 작용할 때의 과정 및 보조스위치로서 작용할 때의 과정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고 배선 연결 과정에 대해 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배선용 차단기는 사용자에게 공급되기 전에 미리 마이크로 스위치(4)의 접점단자(5)와 리드선(6)이 납땜되어 있던 종래의 차단기와는 달리, 사용자가 직접 리드선(6)의 길이를 현장 상황에 따라 알맞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접점단자(5)와 돌기부(300) 사이의 틈으로 압입되는 단자대(7)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돌기부(300)와 돌기부(310)가 재질 특성상 갖는 탄성에 의해 상기 접점단자(5)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리드선(6)의 길이를 현장 상황에 따라 알맞게 조절한 후, 단자대(7)에 체결된 체결나사(9)를 느슨하게 풀어낸 상태에서 상기 단자대(7)와 가압편(10) 사이로 리드선(6)의 일측 선단이 위치하도록 한 다음, 상기 체결나사(9)를 단자대(7)의 체결공(710)을 통해 견고히 체결하므로써 단자대(7)에 리드선(6)을 접속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단자대(7)에 리드선(6)이 접속됨에 따라, 상기 리드선(6)은 마이크로 스위치(4)의 접점단자(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단자대(7)에 리드선(6)이 접속됨에 따라, 본 고안의 배선용 차단기는 레버만 교환해주면 보조스위치 또는 경보스위치로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배선용 차단기는 사용자 자신이 작업 현장에서 알맞게 리드선(6)의 길이를 설정하여 단자대(7)에 간단히 접속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리드선(6)의 종류를 사용자가 원하는 것으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종래 차단기의 배선연결 구조처럼 공급자가 지정하여 주는 리드선(6)이 보조스위치(3)의 각 접점단자(5)에 납땜되는 배선연결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단자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단자대(7)의 하면 중앙에 랜싱부(lancing portion)(700)가 형성되어, 상기 단자대(7)를 돌기부(300)와 접속단자(5) 사이로 압입시, 단자대(7)와 접점단자(5) 사이의 접속 상태를 보다 확실히 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배선용 차단기는 리드선(6)의 교체를 원할 경우, 현장에서 사용자가 손쉽게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사용자가 자신이 알맞게 리드선(6)의 길이를 설정하여 단자대(7)에 간단히 접속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인해 기기의 현장 적응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경우에 있어 전원 등에 연결되는 리드선의 길이가 너무 길거나 짧을 때 초래되는 불편함이 해소되며, 리드선(6)이 경보겸용 보조스위치(3)의 각 접점단자(5)에 납땜됨에 따른 리드선 교체의 어려움이 해소된다.
요컨데, 본 고안의 배선용 차단기는 경보겸용 보조스위치의 리드선 연결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리드선(6)을 교체하거나, 리드선(6)의 길이를 현장 상황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종래 배선용 차단기의 단점인 리드선의 종류와 길이에 따른 제약을 해소하므로 인해 기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과부하 검출부의 과부하 검출작용에 의해 개폐기구부를 트립시키는 네일의 회동시 이에 연동하여 경보스위치로서 작용하고, 접점의 개리에 따른 가동자 샤프트의 회동시 상기 가동자 샤프트와 연동하여 보조스위치로서 작용하는 경보겸용 보조스위치가 구비된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경보겸용 보조스위치의 케이스에, 상기 케이스 내부에 내장되는 마이크로 스위치의 상단으로 돌출되는 각 접점단자 일측면에 접하는 지지돌기 및, 상기 접점단자에 접하는 지지돌기 반대편에 위치함과 동시에 각 접점단자의 타측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돌기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접점단자와 돌기부 사이에는 외부의 전원등에 일단이 연결되는 리드선의 타단이 연결되는 "ㄱ"자형의 단자대의 하단부가 압입되어 상기 접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단자대의 상단면에 형성된 체결공에는 리드선의 타단이 단자대와 접속되도록 체결나사가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경보겸용 보조스위치의 배선연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의 하면 중앙부에 랜싱부가 형성되어,
    상기 단자대를 돌기부와 접속단자 사이의 틈으로 압입시, 상기 단자대와 접점단자 사이의 접속이 보다 확실히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경보겸용 보조스위치의 배선연결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나사의 머리부와 단자대 사이에,
    상기 단자대에 체결나사를 체결시, 리드선을 가압하여 리드선의 단자대에 대한 접속력을 증대시키는 가압편이 위치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경보겸용 보조스위치의 배선연결구조.
KR2019980015656U 1998-08-20 1998-08-20 배선용 차단기의 경보겸용 보조스위치의 배선연결구조 KR2002082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656U KR200208221Y1 (ko) 1998-08-20 1998-08-20 배선용 차단기의 경보겸용 보조스위치의 배선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656U KR200208221Y1 (ko) 1998-08-20 1998-08-20 배선용 차단기의 경보겸용 보조스위치의 배선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002U KR20000005002U (ko) 2000-03-15
KR200208221Y1 true KR200208221Y1 (ko) 2001-01-15

Family

ID=69520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656U KR200208221Y1 (ko) 1998-08-20 1998-08-20 배선용 차단기의 경보겸용 보조스위치의 배선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22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367B1 (ko) * 2012-10-10 2014-01-14 주식회사 대륙 배선용차단기용 경보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002U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1906A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trip indicator unit
US6040746A (en) Actuation mechanism for trip actuated breaker auxiliary multiple microswitch
US6714116B1 (en) Circuit breaker switch
KR200208221Y1 (ko) 배선용 차단기의 경보겸용 보조스위치의 배선연결구조
KR200208220Y1 (ko) 배선용 차단기의 경보겸용 보조스위치의 배선연결구조
JP2550102B2 (ja) 回路遮断器
KR200208218Y1 (ko) 배선용 차단기의 경보겸용 보조스위치
KR100277920B1 (ko)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장치
JP4203616B2 (ja) 開閉器の端子装置
KR100459215B1 (ko) 배선용 차단기 단자와 압착단자의 접속구조
KR200208214Y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상태 표시레버
KR200208222Y1 (ko) 배선용 차단기의 알람레버 겸용 개폐상태 표시레버
JP4215625B2 (ja) 回路遮断器
US6838960B2 (en) Circuit breaker
KR20000001064U (ko)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 스위치
KR19990020994U (ko) 배선용 차단기의 경보용 마이크로 스위치 작동구조
JP3329027B2 (ja) 回路遮断器
KR100263698B1 (ko)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스위치
KR100509584B1 (ko) 전자식 배선용 차단기
KR20000001062U (ko)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 스위치
KR100268013B1 (ko)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스위치
JP3328996B2 (ja) 回路遮断器
JP2610818B2 (ja) タイマ機能付回路しや断器
JPH0751720Y2 (ja) 回路遮断器の付属スイッチ
JPH0896693A (ja) 漏電遮断器の漏電引外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