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099Y1 -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 Google Patents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099Y1
KR200208099Y1 KR2020000020610U KR20000020610U KR200208099Y1 KR 200208099 Y1 KR200208099 Y1 KR 200208099Y1 KR 2020000020610 U KR2020000020610 U KR 2020000020610U KR 20000020610 U KR20000020610 U KR 20000020610U KR 200208099 Y1 KR200208099 Y1 KR 2002080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electric vehicle
platform
safety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6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춘영
Original Assignee
황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춘영 filed Critical 황춘영
Priority to KR20200000206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0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0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0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철이나 지하철(이하 '전동차'라 함)등의 출입문측에 설치하여 승객의 승하차를 안전하고도 용이하게 하면서 전동차와 플랫홈 사이에 벌어진 간격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모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토록 한 것이다.
이는 전동차(1)의 출입문(2)과 승강장의 플랫홈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여 승객의 승하차에 따른 안전을 도모토록 함에 있어서, 전동차(1)의 외측면에 케이스(3)에 의해 보호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는 출입문(2)에 밀착되어 회전구동되는 구동로울러(11)와, 구동로울러(11)와 이맞물림되면서 고정브라켓트(13a)와 유동브라켓트(12a) 그리고 스프링(14)에 의해 설치되는 제1 및 제2기어(12)(13)와, 제2기어(13)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워엄기어(15), 워엄기어(15)과 이맞물림되어 동력의 방향을 전환토록 하는 제3기어(16), 제3기어의 회전축과 연결된 워엄기어(17), 워엄기어(17)와 이맞물림되는 제4기어(18), 그리고 제4기어(18)와 이맞물림되는 작동기어(19)로 이루어진 동력부(10)와; 상기 동력부(10)의 동력에 의해 회전작동되면서 일측의 연결간(22)에 의해 연결봉(19a)으로써 작동기어(19)와 연결되고 타측은 또다른 연결간(22)으로써 전동차(1)에 고정된 브라켓트(23)와 축결합되는 발판(21)을 갖추어 이루어진 안전발판부(20):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Safety ladder for train platform}
본 고안은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철이나 지하철(이하 '전동차'라 함)등의 출입문측에 설치하여 승객의 승하차를 안전하고도 용이하게 하면서 전동차와 플렛홈 사이에 벌어진 간격으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모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차는 여러 개의 차량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으로 정거장에 정차할 경우 승강장의 플랫홈과 전동차의 출입문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것이었고, 이 공간은 승하차하는 승객의 안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었다.
특히, 정거장의 플랫홈이 곡면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전동차와의 간격이 더욱 심화되어 승객의 발이 끼워지거나 우산, 지팡이 등 승객이 휴대한 물건이 끼워져 안전사고를 유발시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전동차의 진입시 전자적인 장치에 의하여 전동차와 플랫홈 사이의 공간으로 보조적인 발판이 출몰되도록 한 안전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전자적인 장치를 채택한 것임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등 실제로는 적용되지 못하고 실험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특히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보조적인 안전발판을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력이 필연적으로 요구됨으로써 작동성이 좋지 못하고 설치에 따른 어려움도 야기되었다.
이러한 구조외에 승강장의 플랫홈상에 안전발판을 설치하여 전동차가 진입시 전동차의 출입문측으로 출몰되도록 한 구조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 역시 구조가 복잡하여 상기한 문제점이 야기 되었을 뿐만 아니라, 각 역사에 따라 구조가 다양하면서도 전동차와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여러가지 복잡한 감지장치가 요구되는 등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전동차의 출입문과 승강장의 플랫홈 사이의 공간에 승하차하는 승객의 발이 빠지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면서도 별도의 동력없이 출입문이 개폐작동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안전발판이 출몰되도록 함으로써 그 구성을 간단히하고, 작동의 원활함을 기하도록 하는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동차의 출입문이 개폐되는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안전발판이 작동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즉 출입문의 슬라이드 작동에 따른 직선동력을 회전동력으로 전환함과 동시에 충분히 감속전달한 후, 안전발판을 전동차의 출입문과 승강장 사이의 공간으로 회전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승하차에 따른 안전을 도모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전동차의 출입문이 열린 상태의 구성도
도 2는 도1의 전동차 출입문이 닫힌 상태의 구성도
도 3은 도1의 요부만을 확대하여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동부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5는 도4의 평면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동차 2 : 출입문
3 : 케이스 10 : 동력부
11 : 구동로울러 20 : 안전발판부
12 : 제1기어 12a : 고정브라켓트
13 : 제2기어 13a : 유동브라켓트
14 : 스프링 15 : 워엄기어
16 : 제3기어 17 : 제2워엄기어
18 : 제4기어 19 : 작동기어
19a : 연결봉 21 : 발판
22 : 연결간 23 : 브라켓트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 1 및 도 2 에서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은 전동차(1)의 외측에 설치되어 출입문(2)의 개폐작동에 따라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10)와, 상기 동력부(10)의 동력에 따라 회동작동되어 승객의 승하차에 따른 안전을 도모토록 하는 안전발판부(20)로 구성된다.
상기 동력부(10)는 전동차(1)의 외측면에 케이스(3)에 의해 보호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이는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는 출입문(2)에 밀착되어 회전구동되는 구동로울러(11)가 갖추어져 형성됨과 동시에 구동로울러(12)에는 회전력을 감속전달토록 하는 제1 및 제2기어(12)(13)가 이맞물림된다.
구동로울러(11)는 출입문(2)과의 밀착력을 좋게하기 위하여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 및 제2기어(12)(13)는 첨부된 도면의 도4 및 도5 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트(13a)와 유동브라켓트(12a)에 의해 설치된다.
고정브라켓트(13a)는 전동차(1)에 고정되고, 유동브라켓트(12a)는 스프링(14)에 의해 고정브라켓트(13a)에 축결합됨으로써 제1기어(12)와 동일축으로 연결된 구동로울러(11)를 항상 출입문(2)측으로 밀착작동시키게 된다.
또 상기 제2기어(13)의 회전축에는 워엄기어(15)가 연결되고, 이 워엄기어(15)는 동력의 방향전환을 위한 제3기어(16)와 이맞물림된다.
제3기어(16)는 평기어로서 워엄기어(15)와 이맞물림됨으로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감속하면서 직각방향으로 전환하게 된다.
상기 제3기어(16)의 회전축에는 또다른 제2워엄기어(17)가 연결됨과 동시에 이 제2워엄기어(17)에는 제4기어(18)가 이맞물림되고, 제4기어(18)에는 안전발판부(20)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작동기어(19)가 이맞물림 형성된다.
상기 안전발판부(20)는 출입문(2)의 개폐작동에 의해 회동작동되어 전동차(1)의 출입문(2)과 승강장 사이의 공간을 폐쇄토록 하는 발판(21)이 갖추어져 구성된다.
발판(21)은 판체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의 연결간(22)이 작동기어(19)의 연결봉(19a)과 연결됨과 동시에 타측은 전동차(1)에 고정된 브라켓트(23)와 축결합되어 원활한 회전작동이 이뤄진다.
즉, 상기 발판(21)은 작동기어(19)의 정,역회전 작동에 따라 출입문(2)의 회측에서 직각방향으로 회전작동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의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동차(1)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동력부(10)는 케이스(3)에 의해 고정설치되면서 구동로울러(11)가 출입문(2)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 동력부(10)에 의해 작동되는 안전발판부(20)는 출입문(2)의 외측에서 가로질러 설치된다.
즉, 전동차(1)의 출입문(2)이 닫힌 상태에서는 안전발판부(20)의 발판(21)이 상향으로 작동되어 출입문(2)을 가로지런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전동차(1)의 운행에는 아무런 지장을 주지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동차(1)가 승강장내로 진입되어 도1에서와 같이 출입문(2)이 열리게 되면, 출입문(2)과 밀착된 동력부(10)의 구동로울러(11)가 출입문(2)의 슬라이드 작동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구동로울러(11)는 첨부된 도면의 도4 및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출입문(2)측으로 작용되어 출입문(2)과 긴밀히 밀착되므로 출입문(2)의 슬라이드 작동에 따라 원활하게 회전작동된다.
이 회전동력은 제1 및 제2기어(12)(13), 워엄기어(15), 제3기어(16)를 통해 전달되어 방향이 전환되면서 제2워엄기어(17) 및 제4기어(18)를 거쳐 충분히 감속된 상태로 작동기어(19)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작동기어(19)는 90°만큼 정회전작동되고, 이에 연결봉(19a)으로서 연결된 발판(21) 역시 하향으로 작동되어 승강장과 전동차(1)간의 공간으로 펼쳐지게 된다.
즉, 발판(21)은 일측의 연결간(22)으로써 작동기어(19)와 연결됨과 동시에 타측은 전동차(1)에 고정된 브라켓트(23)와 축결합됨으로써 원활한 회전작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승강장과 전동차(1)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면서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승객은 상기 발판(21)에 의해 발이 빠지지 않고 안전하게 승하차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전동차(1)가 출발하기 위하여 출입문(2)이 닫히게 되면, 출입문(2)이 역방향으로 슬라이드 작동됨으로써 동력부(10)의 구동로울러(11)는 전술한 역방향으로 회전작동된다.
이에 따라 구동로울러(11)의 회전동력은 각기어들을 통하여 작동기어(19)로 전달되어지고, 작동기어(19) 역시 역회전되면서 안전발판부(20)의 발판(21)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게 되므로 전동차(1)는 안전하게 운행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서는 미도시되어 있지만, 발판(21)의 작동에 따른 회전각도를 정확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적당위치에 센서나 안전스톱퍼 등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전동차의 출입문과 승강장의 플랫홈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토록 함에 있어서, 별도의 동력이 필요없이 전동차의 출입문의 개폐작동에 따른 동력을 이용하여 안전발판이 절첩되도록 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특히, 전동차의 특별한 구조변화없이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설치가 용이하고 기계식임으로 작동의 원활함과 고장수리가 용이한 장점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발판이 펼쳐질 경우 승강장의 플랫홈의 상부에 안착되는 구조임으로써 전동차의 출입문과 승강장과의 이격 거리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가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전동차(1)의 출입문(2)과 승강장의 플랫홈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여 승객의 승하차에 따른 안전을 도모토록 함에 있어서,
    전동차(1)의 외측면에 케이스(3)에 의해 보호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는 출입문(2)에 밀착되어 회전구동되는 구동로울러(11)와, 구동로울러(11)와 이맞물림되면서 고정브라켓트(13a)와 유동브라켓트(12a) 그리고 스프링(14)에 의해 설치되는 제1 및 제2기어(12)(13)와, 제2기어(13)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워엄기어(15), 워엄기어(15)과 이맞물림되어 동력의 방향을 전환토록 하는 제3기어(16), 제3기어의 회전축과 연결된 제2워엄기어(17), 제2워엄기어(17)와 이맞물림되는 제4기어(18), 그리고 제4기어(18)와 이맞물림되는 작동기어(19)로 이루어진 동력부(10)와;
    상기 동력부(10)의 동력에 의해 회전작동되면서 일측의 연결간(22)에 의해 연결봉(19a)으로써 작동기어(19)와 연결되고 타측은 또다른 연결간(22)으로써 전동차(1)에 고정된 브라켓트(23)와 축결합되는 발판(21)을 갖추어 이루어진 안전발판부(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KR2020000020610U 2000-07-19 2000-07-19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KR2002080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610U KR200208099Y1 (ko) 2000-07-19 2000-07-19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610U KR200208099Y1 (ko) 2000-07-19 2000-07-19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099Y1 true KR200208099Y1 (ko) 2000-12-15

Family

ID=19665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610U KR200208099Y1 (ko) 2000-07-19 2000-07-19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09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900A (ko) * 2001-07-20 2003-01-29 박수진 전동차량 안전발판
WO2005037622A1 (en) * 2003-10-15 2005-04-28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Safety stepping board device for train
WO2005065059A2 (en) * 2004-01-08 2005-07-21 Hong Chol Park Safety apparatus for train gat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900A (ko) * 2001-07-20 2003-01-29 박수진 전동차량 안전발판
WO2005037622A1 (en) * 2003-10-15 2005-04-28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Safety stepping board device for train
WO2005065059A2 (en) * 2004-01-08 2005-07-21 Hong Chol Park Safety apparatus for train gate
WO2005065059A3 (en) * 2004-01-08 2005-09-01 Hong Chol Park Safety apparatus for train g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2462C2 (ru) Раздвижная или поворотно-раздвижная дверь (варианты)
US5755468A (en) Power striker with over-ride capabilities
JPH0672246A (ja) 車両用アンダーミラー装置の駆動制御装置
KR200208099Y1 (ko) 전동차 승강장의 안전발판
ATE527425T1 (de) Betätigungseinheit für türen, insbesondere aufzugtüren mit nicht geradlinigen profilen
KR100919456B1 (ko) 정전시에 자동으로 열리는 차량용 차단기
KR950011224A (ko) 차량용 백미러
KR20110111869A (ko) 자동차의 전동 접이식 도어 스텝
JP2007331616A (ja) 列車用乗降補助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装着した列車
KR102035722B1 (ko)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JPH09130929A (ja) 閉鎖配電盤用遮断器移動装置
CN204984050U (zh) 一种车门装置及汽车
KR20010035496A (ko)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자동 개폐장치
JPH0786297B2 (ja) 天窓開閉装置の手動操作機構
KR100440285B1 (ko) 차량의 슬라이딩도어 안전장치
KR100432002B1 (ko) 자동차 사이드 미러의 빗물 제거장치
JP5067686B2 (ja) 電動錠前システム
CN218367701U (zh) 一种车用安全通道
KR200204153Y1 (ko) 자동차의 발판
KR200146420Y1 (ko) 햇빛차단용 선바이저의 자동작동장치
CN210309873U (zh) 一种具有车顶门的汽车
KR200379692Y1 (ko) 열차 승강구용 안전장치
KR0166511B1 (ko) 차량의 교차로 감시장치
KR970004322Y1 (ko) 자동차용 원격제어 햇빛 차단장치
KR200359661Y1 (ko) 열차 승강구용 안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