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664Y1 - 스트랜드 제조장치용 노즐 - Google Patents
스트랜드 제조장치용 노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7664Y1 KR200207664Y1 KR2020000020505U KR20000020505U KR200207664Y1 KR 200207664 Y1 KR200207664 Y1 KR 200207664Y1 KR 2020000020505 U KR2020000020505 U KR 2020000020505U KR 20000020505 U KR20000020505 U KR 20000020505U KR 200207664 Y1 KR200207664 Y1 KR 20020766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zzle
- resin
- strand
- unit
- discharg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08—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continuous length, e.g. cords, rovings, mats, fabrics, strands or yarns
- B29K2105/10—Cords, strands or rovings, e.g. oriented cords, strands or rov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31—Filamentary material, i.e. comprised of a single element, e.g. filaments, strands, threads, fibres
Landscapes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트랜드 제조장치용 노즐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수지 압출부의 배출부로 배출되는 용융수지를 최적의 상태로 압출시켜 최상의 스트랜드 상으로 압출시킴과 아울러 생산성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성을 수지 압출부, 수지 냉각부, 커터부, 이송관부, 탈취부 및 건조부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지 압출부의 배출부로 체결될 수 있도록 인입홈부에 다수의 노즐공과 그 외측으로 다수의 조립공이 형성되어 스트랜드 상으로 용융수지를 압출시키는 노즐을 구비한 통상의 스트랜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인입홈부에 형성된 노즐공은 길이방향의 양측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연속반복되게 교호로 천공되어 지고, 상기 노즐 내부로 상기 수지 압출부의 배출부로 부터 배출되는 용융수지의 온도변화에 따른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히팅부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제조장치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스트랜드 제조장치용 노즐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수지 압출부의 배출부로 배출되는 용융수지를 최적의 상태로 압출시켜 최상의 스트랜드 상으로 압출시킴과 아울러 생산성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스트랜드 제조장치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트랜드 제조장치라 함은 용융수지를 압출기로 부터 노즐을 통하여 스트랜드(strand)상으로 즉, 국수가락과 같이 압출시키면서 그 압출된 열가소성 수지를 냉각시킨 다음 다시 입자형태로 컷팅 및 건조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그 형태에 따라 공지된 여러 종류가 사용되고 있다.
도 4는 종래 스트랜드 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로, 배출부 측으로 스트랜드 상으로 수지를 압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노즐(100)이 체결되어 지는 수지 압출부(1)와;
상기 수지 압출부(1)의 하부로 최초 압출되는 불량 스트랜드 수지를 외부로 배출하고 그 후 정상적인 스트랜드 수지 만을 스티킹(sticking) 없이 공급할 수 있도록 상단으로 안내가이드부(210)가 설치되고, 그 안내가이드부(210)를 거친 스트랜드 수지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냉각수 공급부(220)와 공급된 냉각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배수부(230)가 설치된 수지 냉각부(2)와;
상기 수지 냉각부(2)의 하부로 수지 냉각부(2)를 거친 스트랜드 수지를 필요로 하는 길이로 컷팅할 수 있도록 한쌍의 인취롤(310)과 컷터(320) 및 냉각수 공급부가 설치되어 지는 커터부(3)와;
상기 커터부(3)와 연결되어 냉각수와 함께 컷팅된 수지를 이송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이송관부(4)와;
상기 이송관부(4)를 거쳐 이송된 수지와 수분을 분리시킴과 아울러 후술하는 건조부로 원활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정렬시키는 일반적인 진동모터와 그 진동모터에 의해 유동되는 진동판 및 상기 수분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구가 설치된 탈취부(5)와;
상기 탈취부(5)를 거친 수지에 묻어 있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건조시킨 후 제품으로 생산하는 건조부(6)로 구성되어 진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트랜드 제조장치에 있어서의 노즐(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의 중앙으로 형성된 인입홈(102)에 다수의 노즐공(104)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측에는 상기한 수지 압출부(1)의 배출부 측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다수의 조립공(106)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일반적인 고정볼트로 체결된 후, 수지 압출부(1)로 부터 배출되는 용융수지를 노즐공(104)을 통하여 스트랜드 상으로 압출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노즐(100)은 그 인입홈(102)으로 형성된 다수의 노즐공(104)이 비교적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그 노즐공(14)의 갯수가 적은 관계로, 근래에 들어 작은 직경을 갖는 제품을 선호하는 추세에 적합하지 않을 뿐더러 생산적인 차원에서 생산성 저하라는 문제점 또한 크게 대두되었다.
또한, 상기 수지 압출부(1)의 배출부로 배출되는 고온의 용융수지가 금속재로 제작된 노즐(100)과 접하면서 온도변화에 의해 그 용융수지 만의 특성이 변화하게 되었고, 그로 인해 노즐공(104)을 통하여 스트랜드 상으로 압출되는 과정에서 원활하게 압출되지 않거나 노즐공(104)이 쉽게 막히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함과 아울러 스트랜드 상으로 압출시에도 많은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빈번히 초래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수지 압출부의 배출부로 배출되는 용융수지를 최적의 상태로 압출시켜 최상의 스트랜드 상으로 압출시킴과 아울러 생산성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지 압출부, 수지 냉각부, 커터부, 이송관부, 탈취부 및 건조부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지 압출부의 배출부로 체결될 수 있도록 인입홈부에 다수의 노즐공과 그 외측으로 다수의 조립공이 형성되어 스트랜드 상으로 용융수지를 압출시키는 노즐을 구비한 통상의 스트랜드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인입홈부에 형성된 노즐공은 길이방향의 양측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연속반복되게 교호로 천공되어 지고, 상기 노즐 내부로 상기 수지 압출부의 배출부로 부터 배출되는 용융수지의 온도변화에 따른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히팅부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팅부는 노즐 길이방향의 양단 측면으로 양측에 나사체결홈이 형성되는 각각의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으로 인입되는 히터와 그 히터가 고정되어 상기 나사체결홈으로 체결되는 브라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스트랜드 제조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노즐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요부 단면도.
도 4는 종래 스트랜드 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도 4에 따른 노즐을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지 압출부
100 : 노즐
102 : 인입홈 104 : 노즐공
106 : 조립공
2 : 수지 냉각부 3 : 커터부
4 : 이송관부 5 : 탈취부
6 : 건조부
10 : 히팅부
11 : 나선체결홈 12 : 삽입홈
14 : 히터 16 : 브라켓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스트랜드 제조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노즐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요부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 압출부(1), 수지 냉각부(2), 커터부(3), 이송관부(4), 탈취부(5) 및 건조부(6)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지 압출부(1)의 배출부로 체결될 수 있도록 인입홈부(102)에 다수의 노즐공(104)과 그 외측으로 다수의 조립공(106)이 형성되어 스트랜드 상으로 용융수지를 압출시키는 노즐(100)을 구비한 통상의 스트랜드 제조장치에 있어,
본 고안은 상기 노즐(100)의 인입홈부(102)에 형성되는 노즐공(104)은 길이 방향의 양측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연속반복되게 교호로 천공되어 지고, 상기 노즐(100) 내부로 상기 수지 압출부(1)의 배출부로 부터 배출되는 용융수지의 온도변화에 따른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히팅부(1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히팅부(10)는 노즐(100) 길이방향의 양단 측면으로 양측에 나사체결홈(11)이 형성되는 각각의 삽입홈(12)과;
상기 삽입홈(12)으로 인입되는 통상적인 히터(14)와 그 히터(14)가 일반적인 방식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나사체결홈(11)으로 고정스크류 등으로 체결되는 브라켓(16)으로 구성되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노즐(100)의 양단 측면으로 형성되는 히팅부(10)는 그 양단의 대각선상에 대칭되게 설치하여 노즐(100) 전체를 균일하게 히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히팅부(10)의 히팅 온도는 용융수지가 노즐(100)과 접할 시에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을 정도로 히팅온도를 갖도록 일반적인 제어방식에 의하여 셋팅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구성에서 먼저, 수지 압출부(1)에 수용되어 있던 용융수지는 배출부 측으로 배출되어 지면서 그 배출부 측으로 다수의 조립공(106)에 의해 고정볼트로 체결되어 있는 노즐(100)로 배출되어 지고, 이때, 노즐(100)은 길이 방향의 양단 대각선상으로 대칭되게 설치되어 있는 히팅부(10)에 의해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는 용융수지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히팅되어 진 상태이므로, 즉 삽입홈(12)으로 삽입되어 브라켓(16)으로 체결된 히터(14)가 히팅됨에 따라 그 히팅열이 노즐(100)로 전열되면서 점차적으로 히팅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수지 압출부(1)로 부터 용융수지를 배출하기 전에 미리 히팅되어 있는 노즐(100)에 의하여 그 노즐(100)로 배출되는 용융수지에 변형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원활하게 압출할 수 있는 조건을 갖게 됨과 아울러 그 노즐공(104)을 폐쇄시키는 조건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노즐(100)의 노즐공(104)으로 부터 최초 압출되는 스트랜드 상의 수지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도 부수적으로 갖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노즐(100)로 배출되어 진 융융수지는 다시 인입홈부(102)로 형성된 길이 방향의 양측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연소반복되게 교호로 천공되어 있는 노즐공(104)을 통하여 작은 직경을 갖는 스트랜드 상의 수지를 균일하게 압출시키고, 그 후 순차적으로 수지 냉각부(2), 커터부(3), 이송관부(4), 탈취부(5) 및 건조부(6) 등을 거쳐 근래 작은 직경을 갖는 원하는 제품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노즐공(104)은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연소반복되게 교호로 천공됨에 따라 그 동일한 단면적에서 최대한의 많은 갯수로 노즐공(104)이 형성됨에 따라 생산성 또한 최대로 높일 수 있는 부수적인 조건도 구비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트랜드 제조장치에서 수지 압출부의 배출부로 배출되는 용융수지를 최적의 상태로 압출시킬 수 있도록 노즐을 미리 히팅시킴으로써, 용융수지를 스트랜드 상으로 압출시 불량율을 최소화 함과 아울러 최상의 균일한 형태의 스트랜드 상으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노즐에 형성되는 노즐공을 작은 직경를 가지면서 연속반복되게 교호로 천공시켜 형성시킴으로써, 근래 선호하는 작은 직경을 갖는 제품으로의 생산이 가능한 효과 및 그로 인한 생산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 수지 압출부, 수지 냉각부, 커터부, 이송관부, 탈취부 및 건조부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지 압출부의 배출부로 체결될 수 있도록 인입홈부에 다수의 노즐공과 그 외측으로 다수의 조립공이 형성되어 스트랜드 상으로 용융수지를 압출시키는 노즐을 구비한 통상의 스트랜드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100)의 인입홈부(102)에 형성된 노즐공(104)은 길이 방향의 양측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연속반복되게 교호로 천공되어 지고, 상기 노즐(100) 내부로 상기 수지 압출부(1)의 배출부로 부터 배출되는 용융수지의 온도변화에 따른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히팅부(10)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제조장치용 노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10)는 노즐(100) 길이방향의 양단 측면으로 양측에 나사체결홈(12)이 형성되는 각각의 삽입홈(12)과; 상기 삽입홈(12)으로 인입되는 히터(14)와 그 히터(14)가 고정되어 상기 나사체결홈(12)으로 체결되는 브라켓(1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랜드 제조장치용 노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0505U KR200207664Y1 (ko) | 2000-07-18 | 2000-07-18 | 스트랜드 제조장치용 노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0505U KR200207664Y1 (ko) | 2000-07-18 | 2000-07-18 | 스트랜드 제조장치용 노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7664Y1 true KR200207664Y1 (ko) | 2000-12-15 |
Family
ID=19665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20505U KR200207664Y1 (ko) | 2000-07-18 | 2000-07-18 | 스트랜드 제조장치용 노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7664Y1 (ko) |
-
2000
- 2000-07-18 KR KR2020000020505U patent/KR20020766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02410B2 (en) | Device for cooling plastic profiles | |
JPH11348096A (ja) | 多層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ボ―ド又はチュ―ブの押出し装置 | |
SK56395A3 (en) | Device for producing cellulose foils | |
US6582643B1 (en) | Method for producing hollow extrusions | |
EP0807011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hollow molded product | |
JP2003504246A (ja) | プラスチック押し出し材を供給し処理する方法及び装置 | |
KR200207664Y1 (ko) | 스트랜드 제조장치용 노즐 | |
US20060115549A1 (en) | Internal bubble cooling unit for extruded thin wall thermoplastic sheet | |
CA2280092C (en) | Method and apparatus of cooling product within a mold | |
KR100236545B1 (ko) | 폐 플라스틱 재생방법 및 재생기 | |
JPH06182850A (ja) | 可変幅のシート押出ダイ | |
KR200394647Y1 (ko) | 다공관 제조용 내부냉각 장치 | |
JPH0662821A (ja) | 未膨化細紐状食品の押出製造方法及び冷却ダイ | |
US20100117258A1 (en) | Apparatus and method | |
CA1081423A (en) | Extruding followed by cooling and lubricating of the extrudate | |
KR20080101589A (ko) | 내주면에 쐐기형 돌기가 형성된 파이프 압출성형장치 | |
RU2543886C2 (ru) | Калибратор влажного тип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оконной рамы и устрой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такой калибратор | |
JP2002001799A (ja) | 樹脂成形品のサイジング装置 | |
KR200273525Y1 (ko) | 압출 튜브용 에어 냉각장치 | |
KR200208714Y1 (ko) | 수지 냉각부의 냉각수 공급장치 | |
JPH03262624A (ja) | 合成樹脂押出機のダイス | |
KR19990078957A (ko) | 압출기의 스크린 체인저 | |
JPH0665287B2 (ja) | 食品の押出成形方法及び押出成形装置 | |
KR20040003776A (ko) | 압출성형용 다이 | |
CA2204548C (en) | Heated die lips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1001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