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804Y1 - 스팀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스팀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804Y1
KR200206804Y1 KR2020000018524U KR20000018524U KR200206804Y1 KR 200206804 Y1 KR200206804 Y1 KR 200206804Y1 KR 2020000018524 U KR2020000018524 U KR 2020000018524U KR 20000018524 U KR20000018524 U KR 20000018524U KR 200206804 Y1 KR200206804 Y1 KR 2002068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arrier wall
supplied
water level
storage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5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재
Original Assignee
장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재 filed Critical 장기재
Priority to KR20200000185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8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8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804Y1/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빵 등과 같은 밀가루 반죽의 내용물을 오븐기와 같은 제빵기를 이용하여 익혀줄 때 공급되는 수분(스팀)을 효율적으로 발생시켜 주어 항상 일정한 량의 수분이 공급될수 있도록 한 스팀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일측에 입수관(11)및 배수관(12)이 갖추어진 상태에서 물이 저장되는 저장실(10a)이 갖추어진 함체(10)와; 상기 저장실내에 물을 가열시켜 주는 히터(30)와; 상기 저장실내의 입수관측에 입수되는 물이 저장실내로 직접 급수되지 못하도록 하는 차단벽(40)과; 상기의 차단벽 하단부에 급수된 물이 하부를 통해 저장실내로 급수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연통부(50)와; 상기 차단벽 상단으로 부터 내측방향으로 향하여 상향 경사져 상승하는 수증기가 부딪힐수 있도록 하는 경사벽(60)과; 상기 차단벽의 차단벽 상단부 일면에 끝단이 상기의 차단벽 하부로 연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소정의 공간부를 주어 수증기가 회류하여 배출관(13)을 통해 배출될수 있도록 하는 제2차단벽(70)과; 입수관 직 상부에 위치하는 함체의 일면에 갖추어진 통공(14)에 의해 물이 유입되는 수위조절통(81) 상면에 수위의 상,하한을 감지하는 감지센서(82)(83)으로 갖추어져 있는 수위감지부(80)와; 수위조절통의 상단부 일측과 함체를 연통시켜 주어 수위조절통내에 발생되는 에어를 배출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에어배출관(90)으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팀발생장치{An apparatus for generating steam}
본 고안은 스팀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만두, 호빵 등과 같은 밀가루 반죽의 내용물을 오븐기와 같은 제빵기를 이용하여 익혀줄 때 공급되는 수분(스팀)을 효율적으로 발생시켜 주어 항상 일정한 량의 수분이 공급될수 있도록 한 스팀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가루 반죽된 내용물은 오븐기나 제빵기 등과 같은 기계적인 기기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익혀주게 되는데, 상기 내용물을 익혀줄때 조리실내에 스팀이 공급되지 않게되면 내용물을 익혀주기 위한 열기에 의해 내용물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증발되어 내용물이 딱딱하게 되어 먹을수 없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조리실내로 일정량의 수분(스팀)을 지속적으로 공급시켜 조리실내에서 익혀진 내용물이 공급되는 수분에 의해 부드러운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내용물이 익혀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스팀발생장치는 본체의 후방측 또는 상면 적당한 위치에 설치되어 일정한 주기로 하여 물이 가열되는 히터로 떨어지도록 하여 가열된 높은 온도의 열기를 갖고있는 히터에 의해 물이 증발되면서 발생되는 수분(수증기)이 가열실내로 공급되어 익혀지고 있는 제품에 수분이 공급됨에 따라 제품(빵)이 딱딱해지지 않고 부드러운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익혀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팀발생장치는 일정한 주기로 물이 가열되어 있는 히터로 떨어지도록 하여 순간적으로 스팀(수증기)이 발생되도록 하고 있어 가열실내에서 익혀지고 있는 제품에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시켜 주지 못하고 간혈적인 공급으로 인해 제품이 일률적으로 부드럽지 않고 수분이 충분히 공급되지 못한 부분은 딱딱해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고, 순간적인 스팀발생을 위해 가열히터로 공급되는 물이 떨어지지 않을때에는 히터의 과열로 인해 히터가 단선 또는 누전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및 부품을 수시로 교체시켜 주어야 하는 등의 제반결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히터에 의해 담수되어 있는 물을 가열시켜 주도록 하여 이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가 공급될수 있도록 하여 항상 일정량의 스팀이 공급될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함체 11:입수관
12:배출관 20:온도감지센서
30:열선 40:차단벽
50:연통부 60:경사벽
70:제2차단벽 80:수위감지부
81:수위조절통 82,83:감지센서
90:에어배출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로서, 직 사각 모양을 갖는 중간지점과 하단에 각각 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물이 공급되고 배수될수 있는 입수관(11)및 배수관(12)이 갖추어진 함체(10)내에 하부로 부터 연결되어 담수되어 있는 물을 온도조절센서(20)의 작동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어 물을 가열시켜 주는 히터(30)가 갖추어지고, 상기 함체의 일측 즉, 입수관측에 입수되는 물이 히터에 의해 가열된 물과 직접적으로 혼합되는 일이 없도록 하여 가열된 물이 급수되는 온도가 낮은 물에 의해 온도가 일시에 낮아지지 않도록 하는 차단벽(40)을 형성하며, 상기의 차단벽 하단에 일체로 연결시켜 함체의 내벽면에 근접될수 있도록 절곡시켜 준 상태에서 끝단이 함체의 바닥면에 접지되지 않도록 하여 급수된 물이 하부의 개방면을 통해 유입될수 있도록 하는 연통부(50)를 형성하여 준다.
또한, 상기 차단벽의 상단에는 내측 방향으로 향한 상태에서 끝단이 상향 경사지도록 하여 가열되는 물로 부터 발생되어 상승하는 수증기가 부딪혀 상기의 수증기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중 일부의 수분이 맺혀 하부로 떨어질수 있도록 하는 경사벽(60)을 형성하되, 상기 경사벽의 끝단이 함체(10)의 벽면과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떨어진 상태를 유지시켜 수증기가 통과할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벽의 차단벽 상단부 일면에 끝단이 상기의 차단벽 하부로 연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소정의 공간부를 주어 수증기가 회류하여 배출관(13)을 통해 배출될수 있도록 하는 제2차단벽(70)을 형성하여 준다.
또한, 입수관 직 상부에 위치하는 함체의 일면에는 급수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항상 일정량의 물이 함체내에 담겨져 있도록 하는 수위감지부(80) 즉, 함체의 일면에 갖추어져 저장되어 있는 물이 통공(14)을 통해 유입될수 있도록 하는 수위조절통(81)을 형성하고, 상기 수위조절통의 상면에 각각 하위수위와 상위수위를 감지하여 주는 감지센서(82)(83)로 갖추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의 수위조절통(81) 일측면 상단부와 이의 상부에 위치하는 함체(10)와 상호 연통되도록 하여 수위조절통내에 발생되는 에어가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에어배출관(90)을 형성하여 준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수관(11)을 통해 급수되는 물은 함체(10)의 내부 일면에 갖추어져 있는 차단벽(40)에 의해 통로를 따라 하부로 흘러 하단에 갖추어져 있는 연통부(50)를 통해 저장실(10a)내로 유입되어 저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급수되는 물은 일정수위가 되면 통공(14)을 통해 수위조절통(81)으로 유입되어 동일한 수위로 상승하다가 감지센서(82)에 의해 감지되면 입수관(11)을 열어주고 있던 솔레노이드밸브를 차단시켜 물의 급수를 차단시켜 주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원의 공급에 의해 히터(30)가 가열되면 상기 가열되는 히터(30)의 온도에 의하여 함체(10)내에 저장되어 있는 물이 끓게 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물이 끓게되면 이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가 상부로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상부로 상승하던 수증기는 차단벽(40)의 상단으로 부터 연결되어 내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져 있는 경사벽(60) 저면에 부딪혀 수증기에 함유되어 있는 일부의 수분이 경사벽에 잔류하게 되는 것이고, 그러하지 않은 수증기는 경사벽(60)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개방면을 통해 함체(10)의 상면에 부딪혀 배출구(13)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배출구 전방측에 제2차단벽(70)이 있어 수증기가 바로 배출구(13)로 유입되지 못하고 제2차단벽(70)에 의해 이와 차단벽(40) 사이에 갖추어져 있는 공간부를 통해 하향되다가 제2차단벽 끝단을 지나게 되면 배출구(13)측으로 상승하여 배출구(13)를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히터(30)에 의해 저장되어 있는 물이 끓게되면 함체(10)내에 저장되어 있는 물이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저장되어 있는 물의 수위는 수위감지부(80)에 의해 정확한 수위를 감지하여 주고있다가 설정된 이하의 수위가 되면 입수관(11)을 통해 자동으로 물이 급수될수 있게된다.
즉, 설정된 최대수위는 감지센서(82)에 의해 감지되어 솔레노이드밸브를 차단시켜 입수관(11)으로 물이 입수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가 수위가 점차적으로 줄어들 경우 이는 감지센서(83)가 감지하고 있다가 일정 이하의 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솔레노이드밸브를 열어주어 입수관(11)을 통해 함체(10)내로 물이 급수되도록 하는데, 이때 입수관(11)을 통해 함체(10)내로 급수가 이루어지는 물은 함체(10)내에 갖추어져 있는 차단벽(40)에 의해 차단된 상태에서 하부로 흘러내리다가 함체(10)의 하단부에 갖추어져 있는 연통부(50)를 통해 저장실(10a)내로 급수가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상기 저장실(10a)에서 히터(30)에 의해 가열되어 있는 물이 급수되는 차가운 물에 의해 급속도로 온도가 낮아지지 않아 외부로 부터 차가운 물이 급수될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일정량의 수증기를 배출시켜 줄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위조절통(81)내에 물의 수위가 변위될때 물이 저장되지 않은 부위에는 에어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수위조절통(81)내에 발생된 에어는 함체(10)와 연결되어 있는 에어배출관(90)을 통해 함체(10)내로 배출되어 스팀과 함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되어있어 정확한 수위를 조절시켜 줄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히터에 의해 지속적으로 끓게되는 물로 부터 발생된 수증기에 다량으로 함유되어 수분중 일 부분의 수분을 제거시켜 준 상태에서 일정량의 수분이 지속적으로 배출될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고, 물의 량이 적어 차거운 새로운 물을 공급시켜 주더라도 공급되는 물이 히터에 의해 끓고있는 물과 직접적으로 혼합되지 않고 끓는 물중 일부에 위치하고 있는 물에만 혼합되어 미지근하게 데워진 상태에서 일측 하부로 부터 공급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고있어 새로운 물의 공급시에도 변화됨이 없이 일정량의 수분을 공급시켜 줄수 있게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직 사각 모양을 갖고 일측에 입수관(11)및 배수관(12)이 갖추어진 상태에서 물이 저장되는 저장실(10a)이 갖추어진 함체(10)와; 상기 저장실내에 온도조절센서(20)의 작동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어 물을 가열시켜 주는 히터(30)와; 상기 저장실내의 입수관측에 입수되는 물이 저장실내로 직접 급수되지 못하도록 하는 차단벽(40)과; 상기의 차단벽 하단에 일체로 연결시켜 급수된 물이 하부를 통해 저장실내로 급수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연통부(50)와; 상기 차단벽 상단으로 부터 내측방향으로 향하여 상향 경사져 상승하는 수증기가 부딪힐수 있도록 하는 경사벽(60)과; 상기 차단벽의 차단벽 상단부 일면에 끝단이 상기의 차단벽 하부로 연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소정의 공간부를 주어 수증기가 회류하여 배출관(13)을 통해 배출될수 있도록 하는 제2차단벽(70)과; 입수관 직 상부에 위치하는 함체의 일면에 갖추어진 통공(14)에 의해 물이 유입되는 수위조절통(81) 상면에 수위의 상,하한을 감지하는 감지센서(82)(83)으로 갖추어져 있는 수위감지부(80)와; 수위조절통의 상단부 일측과 함체를 연통시켜 주어 수위조절통내에 발생되는 에어를 배출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에어배출관(90)으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장치.
KR2020000018524U 2000-06-29 2000-06-29 스팀발생장치 KR2002068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524U KR200206804Y1 (ko) 2000-06-29 2000-06-29 스팀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524U KR200206804Y1 (ko) 2000-06-29 2000-06-29 스팀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804Y1 true KR200206804Y1 (ko) 2000-12-15

Family

ID=73056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524U KR200206804Y1 (ko) 2000-06-29 2000-06-29 스팀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80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610B1 (ko) 2006-07-21 2007-05-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스팀오븐레인지의 급수시스템
KR100749791B1 (ko) * 2006-03-02 2007-08-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착물 제거 장치의 스팀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0824006B1 (ko) * 2006-12-29 2008-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오븐의 스팀 발생장치
EP3805648A1 (de) * 2019-10-07 2021-04-14 BSH Hausgeräte GmbH Verdampfersystem für ein haushaltsgerät sowie haushaltsgerä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791B1 (ko) * 2006-03-02 2007-08-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착물 제거 장치의 스팀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0715610B1 (ko) 2006-07-21 2007-05-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스팀오븐레인지의 급수시스템
KR100824006B1 (ko) * 2006-12-29 2008-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오븐의 스팀 발생장치
US8369695B2 (en) 2006-12-29 2013-02-05 Lg Electronics Inc. Steam generator of steam oven
EP3805648A1 (de) * 2019-10-07 2021-04-14 BSH Hausgeräte GmbH Verdampfersystem für ein haushaltsgerät sowie haushaltsgerä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7161B2 (en) Steam oven
US7487714B2 (en) Steam cooker
US5640946A (en) Steamer apparatus
US8109204B2 (en) Steam cooker and steam generator
CA2359782C (en) Atmospheric steamer
US7049551B2 (en) Natural convection steam cooking device
CN1315390C (zh) 过热蒸汽炉
US7802564B2 (en) Steam cooking apparatus
US20070187388A1 (en) Steam generating device and steam cooking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KR200206804Y1 (ko) 스팀발생장치
US7730830B2 (en) Steam cooking apparatus
KR100826925B1 (ko) 가열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06085317A2 (en) Combination heating and steaming oven
JP5329303B2 (ja) 加熱調理器
EP4063748A1 (en) Oven for cooking foods and steam generation device for an oven for cooking foods
JP2003227612A (ja) スチームオーブン
JP5059711B2 (ja) 加熱調理器
US20060068068A1 (en) Accelerated steam generation method for convection steam cooking device
JP2006038255A (ja) 加熱調理器
JP4405318B2 (ja) 蒸気調理器
KR102490846B1 (ko) 스팀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조리기기
JP4473063B2 (ja) 蒸気調理器
JP2005241190A (ja) 蒸気調理器および蒸気発生装置
CN116807251A (zh) 蒸汽烤箱
JPH0898768A (ja) 蒸気発生装置、そ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