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690Y1 - 권사장치 - Google Patents

권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690Y1
KR200206690Y1 KR2020000011788U KR20000011788U KR200206690Y1 KR 200206690 Y1 KR200206690 Y1 KR 200206690Y1 KR 2020000011788 U KR2020000011788 U KR 2020000011788U KR 20000011788 U KR20000011788 U KR 20000011788U KR 200206690 Y1 KR200206690 Y1 KR 2002066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cam
drive motor
thread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7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길
Original Assignee
김승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길 filed Critical 김승길
Priority to KR20200000117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6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6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690Y1/ko

Links

Landscapes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이 보빈의 둘레면에 균일하게 권취되고, 권취되는 실의 장력이 자동 조절되며, 권취작업중 단사가 발생되면 동력전달이 차단되어 권취된 실이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권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바디(10)와, 이 바디(10)에 구비된 구동모터(20)와, 상기 바디(10)에 설치되어 구동모터(20)에 의해 연동되는 보빈(30)과, 상기 바디(10)에 힌지 결합되고 일면에는 보빈(30)과 나란한 방향으로 장공(42)이 형성된 캠박스(41)와, 이 캠박스(41) 내부에 구동모터(20)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그 외주면에는 나선형 가이드홈(43a)이 형성된 샤프트 형상의 캠(43)과, 상기 캠박스(41)의 장공(42)을 통해 결합되어 캠(34)의 가이드홈(43a)을 따라 좌우로 왕복이송되는 슬라이더(45)로 구성되며, 공급되는 실을 상기 슬라이더(45)에 의해 보빈(30) 둘레면에 균일하게 권취되도록 하는 권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박스(41) 내부에는 보빈(30)과 나란한 방향으로 가이드수단(46)이 구비되고, 이 가이드수단(46)에는 상기 슬라이더(45)가 미끄럼 결합되어 그 왕복운동을 안내해 주며, 상기 캠박스(41) 내부에는 윤활유가 충전되어 캠(43)과 가이드수단(46)에 공급되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쉽게 마모되지 않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사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권사장치{winding device of thread}
본 고안은 권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이 보빈의 둘레면에 균일하게 권취되고, 권취되는 실의 장력이 자동 조절되며, 권취작업중 단사가 발생되면 동력전달이 차단되어 권취된 실이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권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권사장치는 제조된 실을 소정형태의 보빈에 균일하게 권취하는 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와, 이 바디(10)에 설치된 구동모터(20)와, 이 구동모터(2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보빈(30)과, 이 보빈(30)의 둘레면에 감겨지는 실을 안내해주는 가이더(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공급되는 실을 보빈(30)의 둘레면에 균일하게 권취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가이더(60)가 정해진 경로를 따라 좌우로 왕복 이송되면서 공급되는 실을 보빈(30)의 외주면에 균일하게 감겨지도록 안내해주어야 한다.
상기 가이더(60)는 그 일측단이 바디(10)에 힌지결합되는 아암(61)과, 이 아암(61)의 타측단에 구비되고 그 일면에는 길이방향의 장공(64)이 형성된 캠박스(62)와, 이 캠박스(62) 내부에 설치되고 그 외주면에 나선형 가이드홈(63a)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20)에 의해 회전되는 캠(63)과, 상기 캠박스의 장공(64)을 통해 캠의 가이드홈(63a)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이 가이드홈(64)을 따라 좌우로 왕복이송되는 슬라이더(6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66)는 캠박스(62) 외주면에 보빈(30)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65)에 결합되어 좌우로 왕복이송되면서 감겨지는 실을 안내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권사장치를 장기간 사용하다보면, 상기 가이드레일(65)이 외력에 의해 변형되거나 마모되어 이송경로의 좌우측단으로부터 더 진행되거나 덜 진행되어 보빈(30)에 권취되는 실의 양단부가 견고하게 권취되지 않으며, 권취된 실의 양측단부가 쉽게 허물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권사장치는 보빈(30)이 구동모터(20)에 연결되어 회전되므로, 권취되는 실의 장력에 따라 그 회전력이 조절되지 않으며, 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센서를 별도로 설치하여야하고 이러한 센서는 외력에 민감하게 작동되므로 자주 고장이 발생되어 작업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권사장치는 작업중 실이 끊어지게 되더라도 계속해서 회전되기 때문에 보빈(30)에 감겨진 실이 원심력에 의해 풀어져 이를 다시 권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실이 보빈의 둘레면에 균일하게 권취되고, 권취되는 실의 장력이 자동 조절되며, 권취작업중 단사가 발생되면 동력전달이 차단되어 권취된 실이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권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권사장치의 정면도
도 2는 종래 권사장치의 단면도
도 3은 종래 권사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더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권사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가이더의 단면도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권사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디 20 : 구동모터
23 : 디스크 30 : 보빈
33 : 디스크 40 : 가이더
41 : 캠박스 43 : 캠
43a : 가이드홈 45 : 슬라이더
46 : 가이드바아
본 고안에 따르면, 바디(10)와, 이 바디(10)에 구비된 구동모터(20)와, 상기 바디(10)에 설치되어 구동모터(20)에 의해 연동되는 보빈(30)과, 상기 바디(10)에 힌지 결합되고 일면에는 보빈(30)과 나란한 방향으로 장공(42)이 형성된 캠박스(41)와, 이 캠박스(41) 내부에 구동모터(20)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그 외주면에는 나선형 가이드홈(43a)이 형성된 샤프트 형상의 캠(43)과, 상기 캠박스(41)의 장공(42)을 통해 결합되어 캠(34)의 가이드홈(43a)을 따라 좌우로 왕복이송되는 슬라이더(45)로 구성되며, 공급되는 실을 상기 슬라이더(45)에 의해 보빈(30) 둘레면에 균일하게 권취되도록 하는 권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박스(41) 내부에는 보빈(30)과 나란한 방향으로 가이드수단(46)이 구비되고, 이 가이드수단(46)에는 상기 슬라이더(45)가 미끄럼 결합되어 그 왕복운동을 안내해 주며, 상기 캠박스(41) 내부에는 윤활유가 충전되어 캠(43)과 가이드수단(46)에 공급되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쉽게 마모되지 않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사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동모터(20)의 회전축(21)과 보빈(30)의 일측단에는 서로 대향되는 면에 다수개의 자성체(24,34)가 부착된 한 쌍의 디스크(23,33)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20)는 바디(10)에 힌지결합된 레버(50)의 일측단에 설치되고, 상기 레버(50)의 반대편에는 균형추(53)와 실경유부(52)가 구비되며, 상기 레버(50)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바아(54)가 고정 설치되어 공급되는 실이 레버(50)의 실경유부(52)와 바아(54)를 통과하여 상기 보빈(30)에 권취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사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권사장치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권사장치는 바디(10) 및 구동모터(20)와, 상기 바디(10)에 설치되어 구동모터(20)에 의해 연동되는 보빈(30)과, 상기 바디(10)에 설치되어 보빈(30)에 감겨지는 실을 안내해주는 가이더(40)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더(40)는 바디(10)에 힌지 결합되고 그 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42)이 형성된 캠박스(41)와, 이 캠박스(41) 내부에 상기 구동모터(20)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그 외주면에는 나선형 가이드홈(43a)이 형성된 샤프트 형상의 캠(43)과, 상기 캠박스(41) 내부에 보빈(30)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바아(46)와, 이 가이드바아(46)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캠의 가이드홈(43a)을 따라 좌우로 왕복이송되는 슬라이더(4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캠박스(41) 선단부에는 보빈(30)과 나란한 안내롤러(47)가 구비되며, 상기 캠박스(41) 내부에는 윤활유가 충전되어 캠(43)과 가이드바아(46)에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장치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쉽게 마모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20)의 회전력은 토크조절장치에 의해 보빈(30)에 전달되는데, 상기 토크조절장치는 구동모터의 회전축(21)과 보빈(30)의 일측단에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디스크(23,33)와, 이 디스크(23,33)의 대향면에 설치된 다수개의 자성체(24,34)와, 상기 바디(10)에 그 중앙부가 힌지결합되고 그 일측단에는 구동모터(20)가 타측단에는 균형추(53)와 실경유롤러(52)가 각기 설치된 레버(50)와, 상기 레버(50)의 상부에 일정길이 돌출 설치된 바아(54)로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장치에 공급되는 실은 레버(50)의 실경유롤러(52)와 바아(54) 및 슬라이더(45)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보빈(30)에 권취된다.
따라서, 상기 권사장치는 슬라이더(45)의 왕복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바아(46)가 캠박스(41) 내부의 윤활유에 잠기도록 설치되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상기 가이드바아(46)가 변형되거나 마모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슬라이더(45)가 정해진 이송경로를 정확하게 왕복 이송되면서 실을 보빈(30)의 둘레면에 균일하게 권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권사장치는 감겨지는 실의 장력이 증가되면, 실경유롤러(52)가 실의 장력에 의해 상승되면서 레버(50)에 설치된 구동모터(20)를 하강시키게 된다. 따라서, 구동모터(20)와 보빈(30)에 설치된 디스크(23,33)의 편심거리가 증가되면서 자력이 미치는 대향 면적이 좁아져 보빈(30)에 전달되는 회전력이 줄어들게 되며, 실의 장력이 줄어들어 적절히 조절된다.
반대로 실에 작용되는 장력이 감소되면, 실의 장력에 의해 상승되었던 실경유롤러(52)가 아래로 하강되면서 레버(50)에 설치된 구동모터(20)를 상승시키게 된다. 따라서, 구동모터(20)와 보빈(30)에 설치된 디스크(23,33)의 편심정도가 줄어들면서 자력이 미치는 대향면적이 넓어져 보빈(30)에 전달되는 회전력이 증가되므로, 감겨지는 실의 장력이 증가되어 적절히 조절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권사장치는 가이드바아(46)가 캠박스(41)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캠박스(41)에는 윤활유가 채워져 있어 장치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상기 가이드바아(46)가 변형되거나 마모되지 않기 때문에 공급되는 실을 보빈(30)의 둘레면에 균일하게 권취되도록 안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사장치는 실의 장력이 자동적으로 조절되므로, 실이 장력에 의해 끊어지지 않게 되며, 만일 작업중 단사가 발생되더라도 구동모터(30)의 동력이 자동적으로 차단되므로 보빈(30)에 감겨진 실이 풀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Claims (2)

  1. 바디(10)와, 이 바디(10)에 구비된 구동모터(20)와, 상기 바디(10)에 설치되어 구동모터(20)에 의해 연동되는 보빈(30)과, 상기 바디(10)에 힌지 결합되고 일면에는 보빈(30)과 나란한 방향으로 장공(42)이 형성된 캠박스(41)와, 이 캠박스(41) 내부에 구동모터(20)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그 외주면에는 나선형 가이드홈(43a)이 형성된 샤프트 형상의 캠(43)과, 상기 캠박스(41)의 장공(42)을 통해 결합되어 캠(34)의 가이드홈(43a)을 따라 좌우로 왕복이송되는 슬라이더(45)로 구성되며, 공급되는 실을 상기 슬라이더(45)에 의해 보빈(30) 둘레면에 균일하게 권취되도록 하는 권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박스(41) 내부에는 보빈(30)과 나란한 방향으로 가이드수단(46)이 구비되고, 이 가이드수단(46)에는 상기 슬라이더(45)가 미끄럼 결합되어 그 왕복운동을 안내해 주며, 상기 캠박스(41) 내부에는 윤활유가 충전되어 캠(43)과 가이드수단(46)에 공급되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쉽게 마모되지 않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20)의 회전축(21)과 보빈(30)의 일측단에는 서로 대향되는 면에 다수개의 자성체(24,34)가 부착된 한 쌍의 디스크(23,33)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20)는 바디(10)에 힌지결합된 레버(50)의 일측단에 설치되고, 상기 레버(50)의 반대편에는 균형추(53)와 실경유부(52)가 구비되며, 상기 레버(50)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바아(54)가 고정 설치되어 공급되는 실이 레버(50)의 실경유부(52)와 바아(54)를 통과하여 상기 보빈(30)에 권취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사장치.
KR2020000011788U 2000-04-25 2000-04-25 권사장치 KR2002066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788U KR200206690Y1 (ko) 2000-04-25 2000-04-25 권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788U KR200206690Y1 (ko) 2000-04-25 2000-04-25 권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690Y1 true KR200206690Y1 (ko) 2000-12-15

Family

ID=73085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788U KR200206690Y1 (ko) 2000-04-25 2000-04-25 권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6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59017B1 (en) Doctoring apparatus
WO2007134555A2 (en) Method and device for yarn traversing upon winding the yarn on a bobbin
EP2366649A2 (en) Yarn winding machine
EP012810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yarn in turret-type winder
KR200206690Y1 (ko) 권사장치
US4561603A (en) Yarn traverse apparatus and method
DE3920374A1 (de) Verfahren und wickelein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kreuzspule mit stufenpraezisionswicklung
CS212799B2 (en) Cross-wound cone spooler
US4379528A (en) Thread reeling apparatus
US3633836A (en) Winding machine with a reciprocating yarn guide
DE19832811A1 (de) Verfahren zum Aufwickeln eines Fadens
JP2006517503A (ja) リングスピンドル用の糸案内装置
BR102017003048B1 (pt) Dispositivo de vaivém de fio para um dispositivo de bobinagem de uma máquina têxtil produzindo bobinas cruzadas
US3802382A (en) Waxing or paraffining apparatus for yarn winders
EP0965553A2 (en) Traverse apparatus having rotating wings
KR100282034B1 (ko) 진행하는필라멘트를스풀링하기위한스풀링기계
JPH05162924A (ja) 糸条巻取装置
US6349896B1 (en) Method of controlling strand guide position during package buildup
US4565332A (en) Method and device for avoiding the formation of ribbon windings when winding cheeses
US4113194A (en) Traverse bar and slide
KR200272454Y1 (ko) 와이어권취기
SU82157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ачи нити
JP2652702B2 (ja) パーンの成形方法とその装置
KR960000469B1 (ko) 펀의 성형방법
KR100341548B1 (ko) 커버링기의 커버링사 능진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