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570Y1 - 호스를 부설한 물통 - Google Patents

호스를 부설한 물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570Y1
KR200206570Y1 KR2020000019035U KR20000019035U KR200206570Y1 KR 200206570 Y1 KR200206570 Y1 KR 200206570Y1 KR 2020000019035 U KR2020000019035 U KR 2020000019035U KR 20000019035 U KR20000019035 U KR 20000019035U KR 200206570 Y1 KR200206570 Y1 KR 2002065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bucket
winding pulley
water tank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90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식
Original Assignee
김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식 filed Critical 김종식
Priority to KR20200000190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5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5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5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스를 부설한 물통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물통의 저면 또는 정면이나 측면 중 어느 한 곳에 호스 권취장치, 또는 구조를 설치 또는 형성하여 물통에 들어있는 물을 이용하려할 때 길이가 긴 호스에 의해 물통과 제법 떨어진 곳에서도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호스를 부설한 물통.{A water tank}
본 고안은 호스를 부설한 물통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물통의 저면 또는 정면이나 측면중 어느 한곳에 호스 권취장치 또는 구조를 설치 또는 형성하여 물통에 들어있는 물을 이용하려 할 때 길이가 긴 호스에 의해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물통은 물을 담아 운반하거나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으로 통상 상단중앙부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 일측에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 근자에 와서는 위와 같은 통상의 구조를 벗어난 여러 가지 유형의 물통을 선보이고 있는데, 예를 들면 주입구 반대측에 배수용 호스를 설치한 것과, 물통의 일측 하부에 배수공을 형성하여 이곳에 선단에 밸브를 가진 호스를 연결한 것 및 상기 호스가 깔끔하게 지지 및 정돈되도록 물통 일측면에 호스 삽입 요홈을 형성한 것 등이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물통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따른 수밖에 없게된다.
즉. 물통에 별도의 호스를 연결하였기에 물통내부에 들어있는 물의 배수는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반면, 호스길이가 물통의 높이보다 길 수 없는 구성이기 때문에 호스사용에 한계가 따르고, 또 호스를 통하여 물을 배출시킬 때 물통내부에 항상 물이 잔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잔류량을 배출시켜 주기 위해서는 항상 물통을 기울여줄 수밖에 없게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물통으로부터 다소 떨어진 곳에서 물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호스 길이가 짧기 때문에 사용이 곤란하고, 따라서 이 경우에는 물통을 직접 들고 가서 사용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따랐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호스를 물통의 높이보다 훨씬 깊게 형성하되, 물통에 간단하게 취부 시킴으로서 사용하지 않을 경우나 운반, 보관시 간편하게 권취시켜 물통과 함께 일체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사용하고자 할 때는 호스를 손쉽게 안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하며, 더불어 물통내의 물을 배출할 때 밑바닥에 물이 잔류하지 않고 모두 깔끔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운반, 보관 사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물통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물통(1)의 바닥면을 ''형 의 경사면(2)을 형성하고 저면의 중앙 배수구(3)에 호스 권취용풀리(4)와 일측에 가이드(5)를 설치하되, 상기 호스 권취용풀리(4)에는 손잡이(6)를 설치하여 호스 권취용풀리(4)의 회전을 원활하게 시킬 수 있게 하고, 물통(1)의 저면 모서리 부분에 받침돌부(7)를 형성함으로써 호스(17)의 인출 및 권취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다.
한편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물통은 호스권취용풀리(4)를 설치하기 용이하면서 외관 또한 단정하게 하여야 함으로 원통형이나 정사각형 또는 6각이나 8각등의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도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로서,
이는 호스 권취를 태엽스프링(9)에 의해 자동으로 할 수 있게끔 하기 위한 것으로, 호스 권취용풀리(4)의 저면에 태엽스프링(9)을 설치하거나 또는 호스권취용풀리(4)의 중심부에 설치하여 호스 사용 후 권취 시킬 때 자동으로 권취 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물통의 정면 부위에 호스 수장부(11)를 형성하여 덮개(12)로 덮을 수 있게 하고, 호스 주장부(11)에는 좌우측에 지그재그방식으로 호스걸이(13)을 다수 돌출형성시켜, 사용하지 않을 때는 호스를 걸어 보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은 구성을 반드시 물통의 정면에만 형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물통의 측면에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물통(1)에 길이가 긴 호스(17)를 설치 사용하되, 물통 내부의 물 빠짐이 좋고, 또. 물통의 위치로부터 다소 떨어진 곳에서도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즉. 물통에 물을 담은 상태에서 소정의 받침대나 테이블 위에 물통을 올려놓고 호스만 잡아 빼면 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호스 끝에는 노즐(15)과 밸브(16)를 설치하여 호스 끝에서 밸브(16)를 개방 시켜주면 노즐(15)끝으로 물이 배출되게되고, 밸브(16)를 잠구면 단수되게 하면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되며, 이러한 구성은 공지된 것이므로 본 고안에서는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겠다.
또. 호스(17)의 권취 방법은 호스 권취용풀리(4)를 사용할 경우, 수 작업으로 일일이 회전시켜 권취 하거나 또는 태엽스프링(9)을 이용할 경우는 권척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통상의 스톱퍼장치를 설치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된다.
또 제3실시예와 같은 경우에는 물통(1)의 정면 또는 측면 위치에 호스 수장부(11)를 형성하여 덮개(12)로 덮을 수 있게 하고, 호스수장부(11)에는 좌,우측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호스걸이(13)를 다수 돌출 형성시켜 사용하지 않을 때는 호스(17)를 걸어 보관하고 사용 할 때는 호스(17)를 인출하여 사용하여도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구성은 물통외에 기름통이나 기타 식품통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고안의 구성과 같거나 유사한 구성을 다른 분야에 사용하는 경우도 모두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물통에 길이가 긴 호스(17)를 설치 구성함에 따라 물통과 다소 떨어진 위치에서도 손쉽게 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보관, 운반 시에는 호스를 권취시켜 보관 및 운반함으로써 외관이 매우 깔끔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물통(1)의 바닥면을 ''형의 경사면(2)으로 형성하고, 저면의 중앙배수구(3)에 호스권취용풀리(4)와 일측에 가이드(5)를 설치하되, 상기 호스권취용풀리(4)에 손잡이(6)를 설치하여 호스권취용풀리(4)의 회전을 원활하게 시킬 수 있게 하고, 물통(1)의 저면 모서리 부분에 받침돌부(7)를 형성함으로써, 호스(8)의 인출 및 권취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를 부설한 물통.
  2. 1항에 있어서,
    호스 권취를 태엽스프링(9)에 의해 할 수 있도록 호스 권취용 풀리(4)의 저면 또는 호스 권취용 풀리(4)의 중심부에 설치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를 부설한 물통.
  3. 1항에 있어서,
    물통(1)의 정면 또는 측면 위치에 호스 수장부(11)를 형성하여 덮개(12)로 덮을 수 있게 하고, 호스 수장부(11)에는 좌,우측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호스걸이(13)를 다수 돌출 형성시켜 사용하지 않을 때는 호스를 걸어 보관하고, 사용할 때는 호스를 인출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를 부설한 물통.
KR2020000019035U 2000-07-03 2000-07-03 호스를 부설한 물통 KR2002065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035U KR200206570Y1 (ko) 2000-07-03 2000-07-03 호스를 부설한 물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035U KR200206570Y1 (ko) 2000-07-03 2000-07-03 호스를 부설한 물통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6892A Division KR20020003270A (ko) 2000-11-10 2000-11-10 호스를 부설한 물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570Y1 true KR200206570Y1 (ko) 2000-12-01

Family

ID=19663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035U KR200206570Y1 (ko) 2000-07-03 2000-07-03 호스를 부설한 물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5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6356A (en) Toilet plunger accessory
US7168591B1 (en) Trash bag dispenser
US5960995A (en) Adjustable and collapsible drip collection device
US3395828A (en) Paint can attachment device
US5147119A (en) Sock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US5131532A (en) Contact lens case
US5690138A (en) Receptacle for a dripping spigot
KR200206570Y1 (ko) 호스를 부설한 물통
CA2030984C (en) Fluid collector and container
KR20020003270A (ko) 호스를 부설한 물통.
US6785999B1 (en) Fish containment device
US20060266875A1 (en) A Simplified Tissue Roll Stacking and Deployment Apparatus
US7121415B1 (en) Utensil receptacle
US20110041281A1 (en) Spill resistant tiltable paint pan
US6012250A (en) Floral display holder
JP5415897B2 (ja) じょうろ
KR200403935Y1 (ko) 분필 디스펜서
JP3020752U (ja) 灯油ポンプ用垂れ受け容器
JPH1014737A (ja) ぼた落ち防止付きラー油差しの蓋。
KR200316813Y1 (ko) 수저통
JP3024200U (ja) タンク用ラック、および灯油タンク用ラック
JPH0617590U (ja) シャワー装置
KR200192273Y1 (ko) 분할수납되는 물통
KR200220270Y1 (ko) 비누갑
JP3754664B2 (ja) 生花輸送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