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2273Y1 - 분할수납되는 물통 - Google Patents

분할수납되는 물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2273Y1
KR200192273Y1 KR2020000005814U KR20000005814U KR200192273Y1 KR 200192273 Y1 KR200192273 Y1 KR 200192273Y1 KR 2020000005814 U KR2020000005814 U KR 2020000005814U KR 20000005814 U KR20000005814 U KR 20000005814U KR 200192273 Y1 KR200192273 Y1 KR 2001922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ucket
dividing
water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8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석
Original Assignee
이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석 filed Critical 이호석
Priority to KR20200000058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22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22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22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 B65D7/0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of curved cross-section, e.g. cans of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통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작은 내용적의 분할용기로 구성된 물통으로서 조립된 상태에서는 단일의 물통이지만 분리하면 작은량의 용기로 분할되는 물통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다수의 분할용기 하나의 통으로 묶기 위한 용기받침과 분할용기의 상부를 협지하고 각 분할용기로 물을 배분하는 분배통을 용기받침의 측면에 설치한 클립을 이용하여 연결하면 분배통의 중앙에 천공된 손잡이관통공으로 용기받침의 중앙에 설치된 손잡이가 끼워지고 상부로 노출되어 통상의 물통과 같이 사용하며, 물을 받을때는 분배통에 부설된 투입구를 이용하여 물을 받으면 내부에 형성된 수로를 따라 흘러가서 일정수위에 달하면 경사부에 천공된 경사홀을 통하여 투입부에 조립된 분배용기에 고르게 담기도록 하여 휴대하면 물통이 되고 이동후에는 상부의 분배통을 분리하여 물이 담긴 분배용기를 용기 받침에서 빼내어 각각 별도로 보관할 수 있는 물통이다.

Description

분할 수납되는 물통 {Water container having divided structure}
본 고안은 휴대용 물통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작은 내용적의 분할용기를 다수 조합하여 하나의 대용량 물통으로 구성된 것으로 휴대 할 때는 하나의 단일체로 되고 물을 받을 때 자동으로 내부의 분할용기에 고르게 물이 분할되어 수납되도록 하며 이동후에는 내부의 분할용기별로 보관할 수 있도록 된 물통이다.
종래의 물통에 있어서는 물통전체의 단일 용적에 의하여 물이 수납되게 되어 있음으로 물을 받은 후 작은 용기에 담아 냉장고 등에 보관하는 경우 별도의 작은 용기를 구비하여야 되는 불편과 상기 작은 보관용 용기에 상기 종래의 물통에서 옮겨 담아야 되는 수고가 수반된다.
따라서, 별도의 작은 용기를 갖추어야하는 경제적 부담과 그 작은 용기에 옮겨 담아야 되는 불편이 있으며, 상기 작은 보관용 용기는 사용하지 않을 때 특별한 보관 공간을 필요로 하며 매번 옮겨 담는 불편에 의하여 물을 담은 물통을 실내에 방치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는데,
상기 방치되는 물은 일반적으로 공기 좋은 산에서 받아온 약수 또는 식수인 경우 건 냉한 내장고 등에 보관되지 않으면 쉽게 변질 될 수 있기에 오히려 건강에도 악영향을 주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처음 약수를 받을 때부터 미리 작은 분할용기에 고르게 담기도록 하여 이동후 가정에서 상기 분할용기만을 분리하여 냉장고와 같은 저장소에 간단하고 매우 편리하게 저장할 수 있는 물통을 제공하는 목적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상부 분배통의 일부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배 투입구를 표현한 정면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분배 투입구를 표현한 측면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수로와 손잡이 구조를 표현한 중앙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분할용기 2 ; 용기입구
10 ; 분배통 11 ; 투입구
12 ; 손잡이관통공 13 ; 배수구
14 ; 클립홀 15 ; 배수구마개
16 ; 투입구마개 17 ; 수로
18 ; 경사부 19 ; 경사홀
20 ; 투입부 21 ; 안내경사홈
22 ; 관통공분할벽 30 ; 용기받침
31 ; 손잡이 32 ; 손잡이판
33 ; 이동밴드 34 ; 칸막이
35 ; 클립 36 ; 클립고리
100 ; 물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분할용기를 하나의 단일 물통으로 구성하기 위한 수단과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이동 수단 및 상기 분할용기에 고르게 물이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분배수단으로 되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주요 부품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는 분할용기에 고르게 물이 수납되도록 하기 위한 분배수단을 표현한 분배통의 내부를 보인 일부 전단 사시도 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의 작용을 표현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분할용기(1)는 상부의 용기입구(2)가 비교적 좁은 통상의 용기형태로서 일반적인 용기와 크게 구분되지 않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8개가 하나의 구성체로 사용되지만 용량별로 분할용기가 증감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물통(100)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상자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서 크게 분할수납을 위한 분배통(10)과 분할용기(1)를 다수 수납하는 용기받침(30) 그리고 상기 다수의 분할용기(1)들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분배통(10)은 중앙에 수직방향의 관통공분할벽(22)으로 둘러싸인 손잡이관통공(12)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면에 투입구마개(16)가 체결되는 투입구(11)가 천공되어 있으며 양측 면에는 클립홀(14)이 각각 천공되고 상기 투입구(11)의 반대편 측면에는 배수구마개(15)로 밀폐되는 배수구(1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분배통(10)의 내부에는 도 2와 같이 저면 중앙에 가로방향으로 배수구(13) 쪽이 낮아지게 경사진 수로(17)가 형성되고 이에 상측 양단으로 연장된 경사부(1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부(18)중앙에는 수직으로 천공된 경사홀(19)이 사용되는 분할용기(1)와 동일한 개수만큼 천공되어 있되 경사홀(19)의 하단은 분할용기(1)의 용기입구(2)에 끼워지는 투입부(20)가 돌출 되어 있으며 이의 외주에는 깔때기형상의 안내경사홈(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받침(30)은 상기한 분배통(10)과 대응되는 형상이데 마치 사각용기와 유사하며 내부바닥에는 분할용기(1)가 안정되게 수납되도록 하는 칸막이(34)가 격자형태로 형성되며 이의 칸막이(34)중앙에는 상부로 길게 연장되는 이동밴드(33)가 형성되고 이의 상부끝단에는 손잡이판(32)과 손잡이(31)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분배통(10)의 손잡이관통공(12)과 일치되어 끼움 되도록 하였으며 양측 면에는 상기 분배통(10)의 측면에 천공된 클립홀(14)에 걸리는 클립고리(36)를 포함하는 통상의 클립(35)이 부설되어 있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조립된 모습에서는 용기받침(30)에 안치된 분할용기(1)들의 저면을 받치고 상기 분할용기(1)의 용기입구(2)는 분배통(10)의 저면에 형성된 안내경사홈(21)의 깔때기 형상에 의하여 자동으로 중앙으로 안내되어 투입부(20)에 원만히 조립된 상태가 되면 용기받침(30)의 손잡이(31)가 분배통(10)의 손잡이관통공(12)을 통하여 상부로 노출되게 되며 분배통(10)과 용기받침(30)의 양쪽 측면에 형성된 클립(35)에 의하여 상기 분배통(10)과 용기받침(30)을 조임 결착하여 단일의 물통(100)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물통(100)은 상부로 노출된 손잡이(31)를 이용하여 휴대하게 됨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물통(100)에 물을 받을 때는 상부에 부설된 투입구(11)를 밀폐한 투입구마개(16)를 개방하여 물을 받을수 있는데, 물을 상기 투입구(11)에 투입하면 먼저 물이 수로(17)를 따라 수평으로 수위가 상승하게 되고 도 4에서와 같이 수위가 경사홀(19)의 위치에 도달하면 경사홀(19)의 낮은 부분으로 물이 흘러내려 투입부(20)에 끼워진 분할용기(1)의 용기입구(2)를 통하여 수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이 분할용기(1)에 수납되는 과정에서 경사홀(19)이 경사부(18)의 경사에 의하여 입구부가 기울어져 있음으로 물은 낮은 부분으로 흘러 들어감으로 높은 쪽으로는 분배용기(1) 내부의 용기가 원활히 배출된다.
따라서, 물의 투입이 원활히 이루어짐과 아울러 각각의 분배용기(1)에 고르게 동일한 수위로 물이 수납되게 된다.
위와 같이 물의 수납이 완료되면 투입구마대(16)로 분배통(10)의 투입구(11)를 밀폐시키면 물의 수납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물의 수납이 완료된 후에는 수로(17)에 남아 있는 물을 제거하게 되는데 이는 수로(17)의 끝부분에 형성된 배수구(13)를 밀폐하고 있는 배수구마대(15)를 개방하여 배수하게 된다.
이때, 수로(17)에서 배수되는 물은 수로(17)가 배수구 측으로 경사져 있음으로 원활히 흘러서 배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용하는 본 고안은 물을 받을 때 미리 작은 용량의 용기에 수납하여 받아온 후 사용하는 곳에서 용기받침(30)과 분배통(10)을 결착하고 있는 클립(35)을 해제하면 분배통(10)과 분할용기(1)가 분리됨으로 분할용기(1)를 개별적으로 분리 할 수 있게 되어 냉장고 등과 같은 건 냉한 저장소에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단일 용적공간에 의하여 수납된 물을 별도의 작은 용기에 옮겨 담는 불편을 해소한 것이며, 또한 가정에서 작은 용기에 물 또는 기타의 액체를 나누어 담아야 하는 경우 본 고안의 분배통에 그 작은 용기를 끼우고 분배하려는 액체를 투입부(11)에 넣으면 편리하게 분배할 수 있음으로 다용도로 사용 할 수 있는 매우 진보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물을 수납하는 통상의 물통에 있어서,
    작은 용적의 통상적인 분할용기(1)를 다수 보유하고;
    상기 분할용기(1)와 같은 수의 분할 투입부를 형성한 분배통(10)과;
    상기 분할용기(1)를 수납하는 용기받침(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수납되는 물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분배통(10)은 중앙에 관통공분할벽(22)으로 둘러싸인 손잡이관통공(12)과 투입구(11)가 천공되고 측면에는 배수구(13)와 클립홀(14)이 천공되고;
    상기 분배통(10)의 내부는 상기 배수구(13) 쪽으로 기울어지는 수로(17)가 형성되고 상측 양단으로 연장된 경사부(1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부(18) 중앙에는 수직으로 경사홀(19)을 다수 천공되고 연장되는 투입부(20)가 돌출 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부(20)의 외주에는 안내경사홈(21)을 일체로 형성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수납되는 물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받침(30)은 내부바닥에 칸막이(34)를 격자형태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상부로 이동밴드(33)를 연장하고 상부끝단에 손잡이판(32)과 손잡이(31)를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 면에는 클립고리(36)를 포함하는 통상의 클립(35)을 부설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수납되는 물통.
KR2020000005814U 2000-03-02 2000-03-02 분할수납되는 물통 KR2001922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814U KR200192273Y1 (ko) 2000-03-02 2000-03-02 분할수납되는 물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814U KR200192273Y1 (ko) 2000-03-02 2000-03-02 분할수납되는 물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2273Y1 true KR200192273Y1 (ko) 2000-08-16

Family

ID=19644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814U KR200192273Y1 (ko) 2000-03-02 2000-03-02 분할수납되는 물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227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7475A (en) Portable cooler
US4974426A (en) Cooler
US20100212351A1 (en) Cooler chest for dispensing beverages
US481569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ice cubes
US20130153085A1 (en) Multi-compartment beverage container
JP2005527438A (ja) 冷蔵庫用の液体ディスペンサー
US7549299B2 (en) Water reservoir for a refrigerator
JPS58179784A (ja) 冷蔵庫用の角氷製氷器
CN105008141B (zh) 颜料容器
KR200192273Y1 (ko) 분할수납되는 물통
US70744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vidual frozen beverage mold and dispenser
US5842606A (en) Beverage server
KR200497485Y1 (ko) 대구경 인입구를 가지는 텀블러 용기
CA2253645A1 (en) Ice cube tray and filling device
US6257465B1 (en) Ice dispenser
CN209291078U (zh) 新型瓶盖
KR200230333Y1 (ko) 이중용기
JP3076986U (ja) 粘性液容器
KR102591615B1 (ko)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
KR101245441B1 (ko) 내용물 과도 배출 방지용 담금 병 용기
JPH0573477U (ja) 製氷ポット
KR0118044Y1 (ko) 냉장고 물분배기의 배수장치
KR200206570Y1 (ko) 호스를 부설한 물통
KR200401445Y1 (ko) 얼음통
KR100818691B1 (ko) 차류 정량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