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615B1 -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 - Google Patents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615B1
KR102591615B1 KR1020220024085A KR20220024085A KR102591615B1 KR 102591615 B1 KR102591615 B1 KR 102591615B1 KR 1020220024085 A KR1020220024085 A KR 1020220024085A KR 20220024085 A KR20220024085 A KR 20220024085A KR 102591615 B1 KR102591615 B1 KR 102591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assembled
container
liquid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4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6824A (ko
Inventor
최완기
최강산
Original Assignee
(주)포디크리에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디크리에이터 filed Critical (주)포디크리에이터
Priority to KR1020220024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615B1/ko
Publication of KR20230126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6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36Table-ware or table equipment, e.g. dishes, cutlery or t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47G2019/2238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with illumin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65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use of drinking cups or 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영배 기능을 구현함은 물론, 둘 이상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고, 용기 본체 미 사용시에 무드 램프로 활용이 가능한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하단이 마개로 마감 개폐되며,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일단에 조립되어 사이펀 기능으로 차오르는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계영배 조정 수단을 갖는 컵 부재와; 상기 용기 본체의 타단에 조립되어 용기 본체 내부에서 수용되는 액체를 믹싱 또는 조명을 밝히도록 설치되는 연결 작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컵 부재는 용기 본체에 조립되어 일체로 사용하거나 별개로 분리 사용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를 개시한다.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The multifunction container having relaying ship function}
본 발명은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 본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계영배 기능을 구현함은 물론, 둘 이상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고, 용기 본체 미 사용시에 무드 램프로 활용이 가능한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술을 마실 줄 아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술자리를 통해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면서 스트레스를 해소하게 된다. 그런데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즐거워야되는 술자리가 과음으로 인해 엉망이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며, 따라서 술 문화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물론, 과음은 건강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와 같이 과음으로 이어지는 술 문화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112854호에서는 술을 과음하지 말라는 의미의 교훈을 주는 술잔이 개시되어 있다.
그 구성을 보면, 측벽과 바닥부로 이루어진 술잔에 있어서, 바닥부의 상면에는 내부에 채워진 술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바닥부의 외측 하단에는 유입구보다 낮은 위치에 유입구로 유입된 술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배출로가 형성되되, 상기 배출로는 유입구로부터 이어져서 바닥부의 가장자리부까지 이어지는 바닥배출로와, 바닥배출로가 연장되어 측벽내의 상부로 일정높이까지 연장된 상승배출로와, 상승배출로의 상단에서 연장되며 하향 만곡되어 측벽 내의 하부로 연장되어 배출구로 이어지는 하강배출로로 구성된 술잔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측벽에 배출로를 형성하는 구조를 갖는 종래의 술잔은 제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술을 따르는 사람이 술을 어디까지 채워야 배출이 안 되는지를 육안으로 구분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사이펀은 기압차와 중력차를 이용하여 액체를 옮기는 관이다. 이러한 사이펀은 특별한 외부적인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도 액체의 이송, 액체의 분리, 혼합 및 소규모 발전, 저류지의 수위조절 등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높아 다양한 부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사이펀은 그 높이가 항시 고정된 상태로 액체를 옮기기 때문에 액체 이송량과 수위를 다양하게 조절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관련하여 사이펀의 높이가 변화되면서 액체를 이송시키는 기술이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996-0041049호(발명의 명칭 : 액체 정량 공급 장치,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1에는 용기 본체에 위치한 사이펀의 한쪽 끝부분에 부구를 설치하여 용기 본체 내부의 물의 양에 따라 부구가 상하 승강하는 것에 연동하여 사이펀이 상하로 이송하면서 용기 본체 내부의 액체를 용기 본체 외부로 이송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1은 액체의 표면과 사이펀의 배출구 높이차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일정 시간 동안에 일정한 양의 액체를 이송시키도록 한 것으로서 액체의 이송량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또한 사이펀의 높이 조절이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하는 방식이 아닌 용기 본체 내부의 액체 양에 따라 조절되는 것이어서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사이펀 원리를 이용한 잔인 계영배가 아주 오래전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계영배는 잔 내부에 사이펀을 설치하여 술이 잔 내부에 일정한 높이(사이펀의 높이)로 차오르면 잔 외부로 새어나가도록 만든 잔으로서 과음을 경계하거나 또는 넘침을 경계하기 위해 만들어진 잔이다.
그러나 계영배에 구비된 사이펀 역시 잔 내부에 그 높이가 항시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어서 잔에 고정된 사이펀의 높이 이상으로 술을 따르면 술이 밖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술의 양을 미리 알게 된다.
따라서 계영배와 같이 내부에 사이펀이 고정되게 구비된 종래의 잔은 이를 복불복 게임, 즉 게임자가 잔에 따라지는 액체, 가령 술 또는 까나리액젓 등과 같은 액체의 양을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승패에 따라 서로 다른 양을 마시도록 하는 게임용으로 활용하는 경우에 게임자들의 오락적 재미 또는 흥미를 유발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A 10-1996-0041049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Y1 20-0362753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본체와 분리하여 계영배 잔으로 사용하거나 용기 본체와 일체로 사용 가능한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계영배 기능을 통하여 둘 이상의 혼합액을 용기 본체 내에서 자동으로 혼합하여 음용이 가능하게 하는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 본체의 내측에 조립되는 믹싱 수단을 제공하여 자동으로 내용물을 혼합할 수 있도록 하는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 본체의 내측에 조립되는 조명 수단을 제공하여 무드램프로 사용하거나 용기 본체 내용물이 램프를 통해 비취도록 하여 용기 본체 내용물의 상품성을 극대화하는 제품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 본체 내에 조립되는 조명 수단과 믹싱 수단을구비하는 장치를 분해와 조립 가능한 모듈화로 제공하여 하나의 용기 본체에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용기 본체에서 다양한 연출과 기능을 제공하여 편리성, 휴대성 및 상품화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하단이 마개로 마감 개폐되며,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일단에 조립되어 사이펀 기능으로 차오르는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계영배 조정 수단을 갖는 컵 부재와; 상기 용기 본체의 타단에 조립되어 용기 본체 내부에서 수용되는 액체를 믹싱 또는 조명을 밝히도록 설치되는 연결 작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컵 부재는 용기 본체에 조립되어 일체로 사용하거나 별개로 분리 사용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컵 부재의 상단을 마감하도록 설치되는 뚜껑과; 상기 연결 작동부를 연결하도록 마감되는 바닥 마개를 포함하되, 상기 뚜껑은 외측 안쪽 둘레부에 용기 본체와 체결되기 위한 나사부와; 뚜껑의 안쪽으로 일부 융기 형성되어 컵 부재의 상단 안쪽을 지지하는 내측 둘레부와; 내측 둘레부의 중심 바닥면에서 일부 돌출 형성되어 컵 받침대를 조립하기 위한 돌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컵 부재는 상단에서 내부 안쪽으로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으로 형성되는 액체 수용부와; 액체 수용부의 하단으로 연장 돌출되어 액체 수용부를 받쳐주는 컵 받침대와 조립되기 위한 받침 연결부와; 상기 액체 수용부를 관통해서 상기 받침 연결부에 조립 형성되며, 계영배 조정 수단으로 사이펀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피스톤 부재와; 상기 피스톤 부재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계영배 조정 수단으로 사이펀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실린더 캡; 및 상기 받침 연결부의 하측에 끼움 조립되어 컵 부재를 받쳐주도록 설치되는 컵 받침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컵 받침대는 용기 본체에 조립시 일단이 뚜껑의 돌기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조립공과; 타단이 컵 부재의 하단부와 연결 조립되기 위한 삽입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 연결부는 액체 수용부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하측으로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며, 그 하측 끝단에는 상기 피스톤 부재의 일단이 걸려 조립되기 위한 걸림 단턱홈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 연결부는 그 내경 안쪽 양측면에 장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캡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도록 하기 위한 계영배 조정 가이드 홈을 더 가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영배 조정 가이드 홈은 일단에서 한번 절곡되어 단차 형성되는 제1 절곡 형성부와, 타단에서 한 번 더 절곡되어 단이지는 제2 절곡 형성부를 가지며, 이 제1,2 절곡 형성부에 의해 실린더 캡은 상부 또는 하부 이동 후 걸려서 그 위치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 캡은 몸체의 하단 둘레부에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받침 연결부에 형성되는 계영배 조정홈을 따라 걸림 작동하기 위한 걸림 돌기와; 몸체의 다른 하단 둘레부에 양측으로 관통 형성되어 액체를 흘려보내기 위한 배수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작동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일단에 조립되는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에 조립되는 내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의 밑단에서 조립되는 자석부재와; 상기 내부 케이스에 장착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상측으로 조립되는 램프 소켓과; 상기 램프 소켓에 결합되어 불을 밝히는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서 조명 수단으로서 불을 밝혀 빛을 비추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를 포함하는 연결 작동부는 상기 컵 부재의 하부에 조립 설치되어 용기 본체 내부에서 조명 수단으로서 불을 밝히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작동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일단에 조립되는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에 조립되는 내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의 밑단에서 조립되는 자석부재와; 상기 내부 케이스에 장착되는 배터리와; 상기 램프의 상측으로 조립되어 전기 접촉하는 접속 커넥터와; 상기 접속 커넥터의 상측에 접촉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단 중심에 조립 설치되는 축 베어링과; 상기 회전축에 축설되어 외부 케이스 외측에서 축 회전하는 스크루 부재를 포함하고, 용기 본체 내부에서 스크루 부재가 단극모터로 구동되는 믹싱 수단으로서 액체를 혼합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용기 본체와 분리하여 계영배 잔으로 사용하거나 용기 본체와 일체로 사용 가능한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영배 기능을 통하여 둘 이상의 혼합액을 용기 본체 내에서 자동으로 혼합하여 음용이 가능하게 하는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 본체의 내측에 조립되는 믹싱 수단을 제공하여 자동으로 내용물을 혼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 본체의 내측에 조립되는 조명 수단을 제공하여 무드램프로 사용하거나 용기 본체 내용물이 램프를 통해 비취도록 하여 용기 본체 내용물의 상품성을 극대화하는 제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 본체 내에 조립되는 조명 수단과 믹싱 수단을 구비하는 장치를 분해와 조립 가능한 모듈화로 제공하여 하나의 용기 본체에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용기 본체에서 다양한 연출과 기능을 제공하여 편리성, 휴대성 및 상품화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를 보인 실시 예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를 보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에 따른 주요 요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에 따른 정면도 및 A-A선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에 따른 전체 부품 분해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에 따른 컵 부재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에 따른 컵 부재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에 따른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에 따른 컵 부재가 용기 본체 상단에서 조립된 것을 보인 단면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에 따른 컵 부재의 사용을 보인 단면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에 따른 믹싱 수단 및 조명 수단을 갖는 연결 작동부를 보인 전체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결합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에 따른 용기 본체에서 조명 수단을 이용하는 것을 보인 단면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를 보인 실시 예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 (100)는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 본체(110)와; 용기 본체(110)의 상단에 결합 조립되는 컵 부재(120)와; 용기(100)의 하단에 결합 조립되어 액체를 혼합하는 믹싱 수단 및 불을 밝히는 조명 수단을 갖는 연결 작동부(130)을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용기 본체(110)는, 상/하단이 마개로 마감 개폐되며,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110)는 상/하단이 모두 개방된 형태로 개방되는 상단 개구부(111)와 하단 개구부(112)가 형성되며, 각 개구부에는 외측 둘레부에 체결을 위한 나사부(111a)(112a)가 각각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110)의 내측은 일정 길이와 폭을 갖고 액체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용기 본체는 병 형태로서 원형, 사각 등 그 형태를 반듯이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110)의 상/하단 개구부(111)(112)에는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단의 뚜껑(113)과 하단의 바닥 마개(11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뚜껑(113)은 내측 둘레부에 용기 본체(110)의 상단 개구부(111)의 나사부(111a)에 대응하여 체결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나사부(113a)와; 상기 뚜껑(113)의 안쪽으로 일부 융기 형성되어 컵 부재(120)의 상단 안쪽을 지지하는 내측 둘레부(113b)와; 내측 둘레부(113b)에서 안쪽으로 중심 바닥면에서 일부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113c)를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바닥 마개(115)는 그 내측에서 일부 돌출되어 안쪽으로 걸림홈 구조의 조립 끼움부(115a)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립 끼움부(115a)에는 상기 연결 작동부(130)의 일단 바닥과 억지끼움 형태로 조립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컵 부재(120)는 상기 용기 본체(110)의 일단에 조립되어 사이펀 기능으로 차오르는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계영배 조정 수단을 갖는 구조로서, 상단에서 내부 안쪽으로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으로 형성되는 액체 수용부(121)와; 액체 수용부(121)의 하단으로 연장 돌출되어 액체 수용부를(121)를 받쳐주는 받침 연결부(123)와; 상기 액체 수용부(121)를 관통해서 상기 받침부(123)에 조립 형성되며, 계영배 조정 수단으로 사이펀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피스톤 부재(125)와; 상기 피스톤 부재(125)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계영배 조정 수단으로 사이펀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 캡(127); 및, 상기 받침 연결부(123)의 하측에 끼움 조립되어 컵 부재(120)를 받쳐주도록 설치되는 컵 받침대(129)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 수용부(121)는 내측 안쪽으로 곡면 경사부(121a)로 형성되어 액체를 수용하는 공간(S)를 가지며, 상단 개구부 일단에는 용기 본체(110)의 상단에 안착할 수 있도록 일부 돌출되는 둘레턱(121b)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 연결부(123)는 상기 액체 수용부(121)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하측으로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며, 그 하측 끝단에는 상기 피스톤 부재(125)의 일단이 걸려 조립되기 위한 걸림 단턱홈(123a)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 연결부(123)는 그 내경 안쪽 양측면에 장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캡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도록 하기 위한 계영배 조정 가이드 홈(123b)을 더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계영배 조정 가이드 홈(123b)은 일단에서 한번 절곡되어 단차 형성되는 제1 절곡 형성부(123b-1)와, 타단에서 한 번 더 절곡되어 단이지는 제2 절곡 형성부(123b-2)를 가지며, 이 제1,2 절곡 형성부(123b-1)(123b-2)에 의해 상기 실린더 캡(125)은 상부 또는 하부 이동 후 걸려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 부재(125)는 상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고, 그 내측으로 액체가 이동되는 직경이 작은 배수통로(P)로 형성되는 상단 연결체(125a)와; 상기 상단 연결체(125b)의 하부로 직경이 큰 배수통로 연장 형성되는 하단 연결체(125b)와; 상기 하단 연결체(125b)의 끝단 둘레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받침 연결부(123)의 걸림 단턱홈(123a)에 결합 조립되기 위한 하단 둘레 연결체(125c)를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 캡(127)은 상단은 밀폐되어 있고, 내측 공간(S)에서 하단으로 개방 형성되며, 그 하단 둘레부에 양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받침 연결부(123)의 계영배 조정 가이드 홈(123b)을 따라 걸림 작동하기 위한 걸림 돌기(127a)가 형성되고, 그 하단 둘레부의 다른 양측 면에는 관통 형성되어 액체를 흘려보내기 위한 배수공(127b)을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 캡(127)의 걸림 돌기(127a)가 상기 받침 연결부(123)의 계영배 조정 가이드 홈(123a)을 따라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실린더 캡(125)이 상부로 들리면서 액체 수용부(121) 내에서 배수공(127b)을 개방하여 액체가 배수공을 통과한 후, 배수통로를 따라 이동하여 계영배 조정 수단으로 사이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컵 받침대(129)는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일측면에 관통되어 상기 뚜껑(113)의 돌기부(113c)를 끼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조립공(129a)과;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타측 안쪽으로 요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컵 부재(120)의 하단부와 연결 조립되기 위한 삽입홈(129b)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컵 받침대(129)는 컵 부재(120)를 용기 본체(110)와 일체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뚜껑(113)의 돌기부(113c)에 조립공(129a)을 끼움 조립하여 보관하고, 상기 컵 부재(120)를 용기 본체(110)에서 분리하여 개별 잔 형태로 사용할 경우에는 용기 본체(110)의 상단에서 분리하여 컵 부재(120)의 받침 연결부(123) 하단에 결합 조립하여 컵 받침대로 사용할 수 있다.
연결 작동부(130)는 상기 용기 본체의 일단에 조립되는 외부 케이스(131)와; 상기 외부 케이스(131)의 내측에 조립되는 내부 케이스(132)와; 상기 내부 케이스(132)의 밑단에서 조립되는 자석부재(133)와; 상기 내부 케이스(132)에 장착되는 배터리(134)와; 상기 배터리(124)를 내부로 수용하면서 접지를 위한 접지 케이스(135)와; 상기 배터리(134)의 상측으로 조립되는 램프 소켓(136)과; 상기 램프 소켓(136)에 결합되어 불을 밝히는 램프(140)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서 조명 수단으로서 불을 밝혀 빛을 비추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케이스(131)는 중앙에 원통형의 중심부(131a)가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131a)에서 하측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원형 둘레 형태로 형성되어 용기 본체의 하단부와 조립되는 하단 조립부(131b)가 형성되며, 상기 하단 조립부(131b)의 내측에는 체결을 위한 나사부(131c)가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131a))의 상단 끝단에는 관통되어 축이 결합되기 위한 축공(131d)이 형성되며, 상기 하단 조립부(131b)의 바닥에는 상기 바닥 마개(115)의 조립 끼움부(115a)에 억지끼움 형태로 조립 가능하게 결합 돌기부(131e)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부 케이스(132)는 상단으로 램프 소켓(136)과 결합되는 램프(140)를 수용하도록 다소 큰 직경을 갖는 상단 연결부(132a)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 연결부(132a)에서 일체로 연결되는 하단으로 다소 직경이 작은 통관 형태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하단 연결부(132b)가 형성되며, 상기 하단 연결부(132b)의 내측에는 상기 배터리(134)가 내설하도록 형성하게 된다.
또한, 자석부재(133)는 단극 모터 구성을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이 단극 모터의 구성은 이하 통상적인 구성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배터리(134)는 램프의 전원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외측에는 상기 내부 케이스(132)에 배터리(134)와 함께 수납되는 원통형의 보조 케이스(134a)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접지 케이스(135)는 하단은 자석부제(133)의 상단에 밀착되고 상단은 램프 소켓(136)의 하단에 밀착이 이루어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램프소켓(136)은 상기 배터리(134)와 전기적으로 인가되어 램프(140)에 불을 밝히도록 형성하는 것으로서 내측은 램프와 결속되는 나사산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램프(140)는 상기 배터리(134)를 통한 전원을 램프소켓(136)의 결속 연결로 용기 내에서 빛을 비추도록 하는 조명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램프(140)는 나사부가 있는 베이스에 필라멘트가 있는 일반적인 전구 램프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연결 작동부(130)는 상기 용기 본체(110)의 일단에 조립되는 외부 케이스(131)와; 상기 외부 케이스(131)의 내측에 조립되는 내부 케이스(132)와; 상기 내부 케이스(132)의 밑단에서 조립되는 자석부재(133)와; 상기 내부 케이스(132)에 장착되는 배터리(134)와; 상기 램프(140)의 상측으로 조립되어 전기 접촉하는 접속 커넥터(137)와; 상기 접속 커넥터의 상측에 접촉되는 회전축(138)과; 상기 회전축(138)의 상단 중심에 조립 설치되는 축 베어링(139)과; 상기 회전축(138)에 축설되어 외부 케이스 외측에서 축 회전하는 스크루 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용기 본체 내부에서 스크루 부재(150)가 하부의 자석부재, 배터리, 접속 커넥터, 축 베어링 및 회전축을 연계하는 하나의 단극 모터 구성으로부터 스크루 부재가 구동되는 믹싱 수단으로서 액체를 혼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 커넥터(137)는 하단으로 램프소켓(136)과 접지되도록 양측으로 복수개 설치되며, 상측으로는 회전축(138)의 하단부를 접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138)은 상기 외부 케이스(131)의 상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축공(131d)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축 베어링(139)은 상기 외부 케이스(131)의 상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축공(131d)의 상측 주변부에 안착하여 회전축(138)의 축 회전 구동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루 부재(150)는 내측으로 공간을 갖는 원통 또는 원뿔 형태로서, 상측단 내측에는 상기 회전축(138)의 일단부가 끼움 고정되도록 하는 결합공(151)이 형성되며, 원통형의 외주면에는 스크루 형태의 나선형 홈(153)이 형성되어 회전 시에 액체의 혼합에 따른 액체의 회전력을 증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의한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설명은 상기 구조 설명에 따른다.
본 발명에 따른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를 통하여 계영배 잔의 구성을 통해 둘 이상의 혼합 액체를 용기 내에서 믹싱 수단으로 혼합하여 칵테일 등과 같은 술 또는 음료를 음용할 수 있고, 용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조명 수단을 통해서는 음료가 담긴 용기 또는 빈 용기를 통해서 무드 램프나 상품성을 홍보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첫째로, 용기 본체(110)를 통하여 계영배 잔으로 컵 부재(120)를 사용할 경우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용기 본체(110) 상측에 뚜껑(113)을 개방한 상태에서 계영배 잔 형태의 컵 부재(120)를 통하여 액체를 마실 수 있다. 이때 컵 부재(120) 만을 따로 용기 본체(110)에서 분리하여 따로 용기 잔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 계영배 잔의 형태를 취할 경우에 상기 컵 부재(120)의 실린더 캡을(127)을 일부 좌우로 돌리면서 상부로 들어 오려서 상기 받침 연결부(123)에 형성된 계영배 조정 가이드 홈(123b)을 상측으로 개방하여 액체 수용부(121) 내측에서 개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 캡(127)의 걸림 돌기(127a)가 상기 받침 연결부(123)의 계영배 조정 가이드 홈(123a)을 따라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실린더 캡(125)이 상부로 들리고, 액체 수용부(121) 내에서 배수공(127b)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액체 수용부(121)에 70% 이상 액체가 차 오르면 액체는 배수공(127b)을 따라 상기 피스톤 부재(125)와 실린더 캡(127)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승한다.
끝으로, 액체는 파스톤 부재(125)의 내측 배수통로(P)를 따라 용기 본체(110)의 내부로 빠져나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계영배 잔 구조를 제공하여 용기 본체(110)에 담긴 액체와 컵 부재(120)를 통해서 다른 액체를 혼합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용기 본체(110) 하단에는 설치된 믹싱 수단을 통해서 용기 내에서 둘 이상 혼합된 액체를 손쉽게 혼합하여 바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믹싱 수단은 단극 모터 구조를 갖는 연결 작동부(130)를 통하여 가능하다.
상기 바닥 마개(115)에 삽입된 자석부재(133)와, 자석부재(133)의 상측으로 연계 설치되는 외부 케이스(131)와, 내부 케이스(132) 상측으로 차례로 구성되는 배터리(134), 접속 커넥터(137), 회전축(138), 축 베어링(139) 및 스크루 부재(150)로 단극 모터 구성으로 연계되어 상기 스크루 부재(150)의 회전에 의해 용기 본체(110) 내의 혼합물을 회전으로 자동 혼합할 수 있다.
여기서 용기 본체(110) 내의 혼합물은 상기 컵 부재(120)의 계영배 잔 구성을 통하여 용기 본체 내부로 홉입되는 둘 이상의 액채 혼합물을 스크루 부재(150)를 통해 자동으로 혼합 구성할 수 있다.
둘째로, 용기 본체(110)를 장착된 연결 작동부(130)의 조명 수단을 이용하여 내용물이 있는 용기 또는 빈 용기를 통해서 무드 램프나 상품성을 홍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외부 케이스(131)와, 내부 케이스(132) 상측으로 차례로 구성되는 배터리(134), 접지 케이스(135), 램프 소켓(136) 및 램프(140)로 구성을 통하여 램프에 불이 들어오게 하여 조명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 수단에 의한 작동은 상기 내부 케이스(132), 배터리(134), 접지 케이스(135), 램프 소켓(136) 및 램프(140)를 용기의 하단 연결 작동부(130)에서 분리하여 상기 용기 본체(110)의 상단 컵 부재(120)의 하단부인 피스톤 부재(125)의 하단 연결체(125b) 내측으로 결합 조립하여 램프에 불을 밝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더불어, 계영배 공간에 쵸콜릿, 사탕, 알약 등을 담아 용기 본체 내의 음료와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이는 근래에 들어 다양한 형태의 음료와 병형할 수 있는 내용물을 함께 섭취 가능하게 하여 소비자의 욕구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는 용기 본체의 내측에 조립되는 조명 수단을 제공하여 무드램프로 사용하거나 용기 본체 내용물이 램프를 통해 비취도록 하여 용기 본체 내용물의 상품성을 극대화하는 제품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계영배 기능을 통하여 둘 이상의 혼합액을 용기 본체 내에서 자동으로 혼합하여 음용이 가능하게 하는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 본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
110 : 용기 본체
111 : 상단 개구부
112 : 하단 개구부
113 : 뚜껑
115 : 바닥 마개
120 : 컵 부재
121 : 액체 수용부
123 : 받침 연결부
125 : 피스톤 부재
127 : 실린더 캡
129 : 컵 받침대
130 : 연결 작동부
131 : 외부 케이스
132 : 내부 케이스
133 : 자석부재
134 : 배터리
135 : 접지 케이스
136 : 램프 소켓
137 : 접속 커넥터
138 : 회전축
139 : 축 베어링
140 : 램프
150 : 스크루 부재

Claims (10)

  1. 상/하단이 마개로 마감 개폐되며,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일단에 조립되어 사이펀 기능으로 차오르는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계영배 조정 수단을 갖는 컵 부재와; 상기 용기 본체의 타단에 조립되어 용기 본체 내부에서 수용되는 액체를 믹싱 또는 조명을 밝히도록 설치되는 연결 작동부를 포함하는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로서,
    상기 컵 부재는 용기 본체에 조립되어 일체로 사용하거나 별개로 분리 사용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컵 부재의 상단을 마감하도록 설치되는 뚜껑과; 상기 연결 작동부를 연결하도록 마감되는 바닥 마개를 포함하되,
    상기 뚜껑은 외측 안쪽 둘레부에 용기 본체와 체결되기 위한 나사부와; 뚜껑의 안쪽으로 일부 융기 형성되어 컵 부재의 상단 안쪽을 지지하는 내측 둘레부와; 내측 둘레부의 중심 바닥면에서 일부 돌출 형성되어 컵 받침대를 조립하기 위한 돌기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컵 부재는,
    상단에서 내부 안쪽으로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으로 형성되는 액체 수용부와;
    액체 수용부의 하단으로 연장 돌출되어 액체 수용부를를 받쳐주는 컵 받침대와 조립되기 위한 받침 연결부와;
    상기 액체 수용부를 관통해서 상기 받침 연결부에 조립 형성되며, 계영배 조정 수단으로 사이펀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피스톤 부재와;
    상기 피스톤 부재의 상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계영배 조정 수단으로 사이펀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실린더 캡; 및,
    상기 받침 연결부의 하측에 끼움 조립되어 컵 부재를 받쳐주도록 설치되는 컵 받침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컵 받침대는
    용기 본체에 조립시 일단이 뚜껑의 돌기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조립공과;
    타단이 컵 부재의 하단부와 연결 조립되기 위한 삽입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연결부는 액체 수용부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하측으로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며, 그 하측 끝단에는 상기 피스톤 부재의 일단이 걸려 조립되기 위한 걸림 단턱홈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 연결부는 그 내경 안쪽 양측면에 장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 캡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도록 하기 위한 계영배 조정 가이드 홈을 더 가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계영배 조정 가이드 홈은 일단에서 한번 절곡되어 단차 형성되는 제1 절곡 형성부와, 타단에서 한 번 더 절곡되어 단이지는 제2 절곡 형성부를 가지며, 이 제1,2 절곡 형성부에 의해 실린더 캡은 상부 또는 하부 이동 후 걸려서 그 위치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캡은
    몸체의 하단 둘레부에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받침 연결부에 형성되는 계영배 조정홈을 따라 걸림 작동하기 위한 걸림 돌기와;
    몸체의 다른 하단 둘레부에 양측으로 관통 형성되어 액체를 흘려보내기 위한 배수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작동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일단에 조립되는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에 조립되는 내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의 밑단에서 조립되는 자석부재와;
    상기 내부 케이스에 장착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상측으로 조립되는 램프 소켓과;
    상기 램프 소켓에 결합되어 불을 밝히는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서 조명 수단으로서 불을 밝혀 빛을 비추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를 포함하는 연결 작동부는
    상기 컵 부재의 하부에 조립 설치되어 용기 본체 내부에서 조명 수단으로서 불을 밝히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작동부(130)는
    상기 용기 본체의 일단에 조립되는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측에 조립되는 내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의 밑단에서 조립되는 자석부재와;
    상기 내부 케이스에 장착되는 배터리와;
    상기 램프의 상측으로 조립되어 전기 접촉하는 접속 커넥터와;
    상기 접속 커넥터의 상측에 접촉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단 중심에 조립 설치되는 축 베어링과;
    상기 회전축에 축설되어 외부 케이스 외측에서 축 회전하는 스크루 부재를 포함하고,
    용기 본체 내부에서 스크루 부재가 단극모터로 구동되는 믹싱 수단으로서 액체를 혼합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
KR1020220024085A 2022-02-24 2022-02-24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 KR102591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085A KR102591615B1 (ko) 2022-02-24 2022-02-24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085A KR102591615B1 (ko) 2022-02-24 2022-02-24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824A KR20230126824A (ko) 2023-08-31
KR102591615B1 true KR102591615B1 (ko) 2023-10-20

Family

ID=87847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4085A KR102591615B1 (ko) 2022-02-24 2022-02-24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61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4995B2 (ja) * 1991-08-21 2001-08-0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光応答興奮性人工膜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1049A (ko) 1995-05-25 1996-12-17 차희장 액체 정량 공급 장치
KR200362753Y1 (ko) 2004-06-08 2004-09-22 함영철 술잔
KR20120086147A (ko) * 2011-01-25 2012-08-02 이운용 술잔
JP3194995U (ja) * 2014-07-17 2014-12-25 李 保鋒 造形物付き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4995B2 (ja) * 1991-08-21 2001-08-0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光応答興奮性人工膜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6824A (ko) 2023-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5431A (en) Rotating mixer and tray
US8196906B2 (en) Liquid aerator
US7234418B2 (en) Hummingbird feeder
CA2573910C (en) Child's drinking cup
KR101728277B1 (ko) 첨가물 수납공간이 구비된 텀블러
CN110114278A (zh) 具有贮存器以及重复性测量和支配机构的随手杯盖子
CA2624862A1 (en) Drinking container
KR101972810B1 (ko) 첨가물 수납공간이 구비된 텀블러
US7165697B1 (en) Concentric two-compartment drinking vessel
KR102591615B1 (ko) 계영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용기
KR101142306B1 (ko) 정량 배출용기
KR101815293B1 (ko) 주류 혼합장치
KR101144182B1 (ko) 산소 및 탄산음료 제조기
KR101628344B1 (ko) 용기 캡
KR20220001940U (ko) 대구경 인입구를 가지는 텀블러 용기
JP2008127070A (ja) 調味料液同時注出容器
CN201052875Y (zh) 一种饮料瓶盖组件
KR20050100507A (ko) 발광컵
KR200195551Y1 (ko) 음료용기의 구조
CN214803973U (zh) 一种茶蜜水杯
CN220045560U (zh) 一种双腔果汁杯
KR200271145Y1 (ko) 캔에 탈착가능한 혼합주 제조용기
KR20120008665U (ko) 휴대용 믹싱용기조립체
KR20160107654A (ko) 칵테일원액 믹스캡
KR20060078561A (ko) 산소 및 탄산음료 제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