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378Y1 - 관체수밀 접속용 탄성고무링 - Google Patents

관체수밀 접속용 탄성고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378Y1
KR200205378Y1 KR2019980007569U KR19980007569U KR200205378Y1 KR 200205378 Y1 KR200205378 Y1 KR 200205378Y1 KR 2019980007569 U KR2019980007569 U KR 2019980007569U KR 19980007569 U KR19980007569 U KR 19980007569U KR 200205378 Y1 KR200205378 Y1 KR 2002053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ring
section
pipe
connection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7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5209U (ko
Inventor
김병주
Original Assignee
김병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주 filed Critical 김병주
Priority to KR2019980007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378Y1/ko
Publication of KR199800252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2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3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3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관 접속부 사이에 내재되는 때 관 이음새의 수평 유지가 정확하지 않아도 꼬이거나 S자상으로 비틀려 밀려나오지 않는 관체수밀 접속용 탄성 고무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고안의 관체 수밀 접속용 탄성 고무링은 내부에 통공이 형성된 대략 1/4원형상의 단면에 L자상의 단면으로 된 연접부가 일체로 형성된 윤곽을 이루되, 상기 1/4원형상의 단면은 그 외표면이 둥글둥글한 형태로 되어 관 접속부의 후랜지를 통해 가해지는 압력으로 팽창 변형됨에 따라 관체 안쪽면에 닿는 면적이 넓어져 공차 흡수도가 크고, 탄성 및 충격 완화 복원성이 우수하게 되어 있는 겄이다.

Description

관체수밀 접속용 탄성고무링
이 고안은 관체의 접속부 사이를 수밀상으로 패킹시켜 주는 패킹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관체 접속부의 수평유지가 정확하지 않더라도 꼬이거나 S자상으로 비틀려져 외부로 돌출되는 일이 없고, 더욱 긴밀하게 끼워져 패킹시키게 되어 있는 관체 수밀 접속용 탄성 고무링에 관한 것이다.
관체, 특히 한쪽 단부가 다른쪽 단부에 비해 직경이 큰 후랜지로 형성되어 다른 관체의 단부를 후랜지에 끼워 접속시키게 되어 있는 상 하수관, 흄관 등의 등의 관체 접속에 있어서는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 사용되는 패킹재는 종래부터 여러 가지 구조의 것이 적용되어 오고 있으며, 예를 들면 탄력성이 좋은 고무링을 관 접속부에 내재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고무링은 자신의 탄력성 때문에 관과 관 사이의 접촉면에 밀착될 수 있어서 수밀 효과가 뛰어나다. 그러나 상 하수관, 흄관과 같이 후랜지를 통해 연결되는 방식의 관 접속에서는 그 부분의 공차가 커서 접속 시에 대향하는 면 사이로 발생되는 마찰의 영향을 받아 고무링의 일부가 회전되어 꼬이거나 S자상으로 구부러지면서 내재되기 때문에 누수 효과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은 대략 원통상의 단면을 가지는 고무링의 외주면 사방에 브레이드를 연장시킨 구성을 통해 부분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개선된 고무링은 그 외주로 연장된 브레이드가 마찰에 의한 영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어 꼬이지 않게 관체의 접속부로 내재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구성의 고무링도 실제 사용 시에는 빈번하게 꼬여 들어가 수밀 효과가 좋지 않게 관 접속된다. 그 원인은 고무링과 접촉하게 되는 관체의 큰 쪽 단부 내주면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어서 관 접속이 진행될수록 고무링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증대되어 어느 시기에 이르게 되면 고무링이 견디지 못하고 외측으로 밀려 회전되는 데에 기인한다. 그리고 상기한 고무링은 관체 접속부의 공차가 클 때에 특히 관 접속부의 수평유지가 정확하지 못하여 나타나는 공차는 이를 흡수할 수 없어 느슨하게 접속되는 예가 빈번하다.
이 때문에 관체 접속부가 정확하게 수평으로 유지되지 않더라도 공차를 흡수하여 보다 향상된 수밀 효과를 나타내는 고무링의 출현이 기대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그러므로 이 고안은 관 접속부 사이에 내재될 때에 후랜지를 통해 받는 압력에 의해 관 접속부와의 접촉면이 넓어지게 변형되도록 하여 관 접속부의 공차를 효과적으로 흡수함에 따라 꼬이거나 S자상으로 내재되는 일이 없이 관 접속부 사이를 최상의 상태로 패킹시켜 주도록 한 관체 수밀 접속용 탄성 고무링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 고안의 관체 수밀 접속용 탄성 고무링은 내부에 통공이 열려진 대략 1/4인형상의 단면에 L자상 단면을 가지는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단면을 가진 몸체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이 고안의 관체 수밀 접속용 탄성 고무링은 관 접속부로 내재될 때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박이 1/4원형상 단면의 전방으로 작용하고, 이것에 의해 1/4원형상의 단면은 눌려져서 관 접속부의 안쪽면과 넓게 접촉되는 형태로 변형됨으로써 공차를 최대한 흡수하여 수밀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또 L자상 단면의 연접부는 상기 1/4원형상의 단면이 막바지까지 눌려졌을 때에 이것이 상방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받쳐주어서 후랜지의 원주방향으로 부피가 증대되게 하여 관 접속 시의 마찰로 인한 회전을 억제하고 또 자체 탄성력으로 관 접속부의 수평유지가 정확하지 않게 되어도 발생되는 공차를 흡수하여 수밀하게 패킹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제1도는 이 고안에 관계하는 관체 접속용 탄성 고무링의 사용 상태사시도.
제2도는 이 고안에 의한 관체 접속부의 패킹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통공
3 : l/4원형단면 4 : S자상 단면
4 : 후랜지 5 : 관체
이 고안의 보다 나은 목적과 효과는 다음에 기술하는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도와 제2도에서 이 고안의 관체 접속용 탄성 고무링이 잘 도시되어 있다.
몸체(1)는 고탄력성을 가진 고무로 되고, 이것은 내부에 통공(2)이 다수 열러진 대략 1/4원형상의 단면부(3)와, 이것에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된 L자상 단면의 연접부(4)로 되는 것이다. 상기한 1/4원형상의 단면부(3)는 그 외주면이 둥글둥글한 표면으로 형성되어서 비교적 넓은 표면적을 가지게 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이 고안의 고무링은 후랜지(5)를 가진 관체(6)와 이것에 한쪽 단부가 끼워져 접속되는 관체(6)의 연결 과정에서 관체(6)의 외주면에 끼워졌을 때에 밑면이 그 외주면과 밀착하여 안정되게 설치된다.
또 관체(6)의 후랜지(5)가 몸체(1)의 상방으로 덮어 씌워지면 이 때 받는 외력이 1/4원형상의 단면 전방부부터 가해지기 시작하여 그 후방측으로 퍼져 나가게 된다. 이에 따라 1/4원형상의 단면부(3)는 후방측으로 밀리면서 눌려져 변형되고, 이러한 변형 형태는 후랜치(5)의 안쪽면과 수밀하게 밀착되는 상태로 된다
또, 1/4원형상의 단면부(3)가 막바지까지 눌려졌을 때에는 그 후방측의 L자상 연접부(4)가 이를 지지하여 그것이 후랜지(5)의 원주방향으로 들어 올려지게 작용하므로 더욱 압착되었을 때에 상기한 1/4원형상의 단면부(3)는 후랜지(5)의 원주 방향으로 부피가 증대되어 몸체(1)는 전체적으로 후랜지(5)와 관체(6)의 외주면 사이공간에 충만되는 형태로 변형되면서 그 부분을 수밀하게 패킹하는 것이다.
관 접속 과정이 더욱 진행되더라도 몸체(1)는 밑면을 관체(6)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회전하거나 꼬여지는 일이 없게 된다.
또 몸체(1)가 가지고 있는 탄성력은 관 접속부의 수평유지가 정확하지 않아 발생되는 공차를 최대한 흡수하여 수밀 상태가 훼손되지 않게 작용하고 탄성 및 충격완화 복원성 기능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이 고안은 대략 1/4인형상의 단면부에 L자상 단면의 연접부가 일체로 형성된 단면의 몸체로 되어서 관체 접속부 사이로 내재되었을 때에 몸체가 회전되거나 끼워져 들어가 꼬여져 S자상으로 구부러진 채로 개삽되는 일이 없고, 또 몸체는 관 접속부의 수평유지가 정확하지 않더라도 자체 탄성력을 통해 공차를 흡수하여 수밀 효과를 최대로 나타내는 형태로 변형되어 관 접속부의 누수를 완벽하게 차단하여 주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내부에 통공(2)이 열려진 대략 1/4원형상의 단면부(3)에 L자상 단면을 가지는 연접부(4)가 일체로 형성된 단면을 가진 몸체로 된 관체 수밀 접속용 탄성 고무링.
KR2019980007569U 1998-05-11 1998-05-11 관체수밀 접속용 탄성고무링 KR2002053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569U KR200205378Y1 (ko) 1998-05-11 1998-05-11 관체수밀 접속용 탄성고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569U KR200205378Y1 (ko) 1998-05-11 1998-05-11 관체수밀 접속용 탄성고무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209U KR19980025209U (ko) 1998-07-25
KR200205378Y1 true KR200205378Y1 (ko) 2000-12-01

Family

ID=19534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7569U KR200205378Y1 (ko) 1998-05-11 1998-05-11 관체수밀 접속용 탄성고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37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209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6021A (en) Damper seal
KR910021562A (ko) 세경배관 접속용 커넥터
US5380017A (en) Sealing ring for sealing against fluid flow in either direction between inner and outer pipes
KR100261327B1 (ko) 방사방향으로 설치되는 유체 누설방지용 연결구
KR930006021B1 (ko) 가요성 신축관 커플링
KR200205378Y1 (ko) 관체수밀 접속용 탄성고무링
KR200215103Y1 (ko) 관체수밀 접속용 탄성고무링
CN105970560A (zh) 密封圈、洗涤投放组件和具有其的滚筒洗衣机
JP4640317B2 (ja) 空気調和機のドレン接続装置
JPS6034541A (ja) 弾性ブツシユ
KR102066746B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용 패킹
JP7429551B2 (ja) 弾性固定部材および固定組立体
KR200283875Y1 (ko) 호스 실링구조
KR200408753Y1 (ko) 케이블관 밀폐용 캡
CN219163785U (zh) 一种防水接头
KR970070692A (ko) 파이프라인 위에 플랜지식 커플링을 밀봉결합시키는 방법
KR200179517Y1 (ko) 관체연결구
KR850001100Y1 (ko) 관 연결장치
KR200418499Y1 (ko) 플랜지를 이용한 관 연결구조
JPS6217670Y2 (ko)
KR101988402B1 (ko) 코일 스프링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오일 씰
KR200384901Y1 (ko) 다기능 와셔 링
KR950033208A (ko) 기구의 배수회로에서의 역류방지구조
JPH0854092A (ja) 継手の配管構造
KR200269987Y1 (ko) 관 이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