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972Y1 -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유휴채널을 이용한 하드웨어 오류진단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유휴채널을 이용한 하드웨어 오류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972Y1
KR200204972Y1 KR2020000015731U KR20000015731U KR200204972Y1 KR 200204972 Y1 KR200204972 Y1 KR 200204972Y1 KR 2020000015731 U KR2020000015731 U KR 2020000015731U KR 20000015731 U KR20000015731 U KR 20000015731U KR 200204972 Y1 KR200204972 Y1 KR 2002049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data
data
channel
data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57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57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9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9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9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6Functional testing
    • G06F11/263Generation of test inputs, e.g. test vectors, patterns or sequences ; with adaptation of the tested hardware for testability with external tes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6Functional testing
    • G06F11/273Tester hardware, i.e. output processing circuits
    • G06F11/2733Test interface between tester and unit under t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셀프에 다수의 데이터처리 유니트가 실장된 시스템에서 각 유니트간 트래픽 데이터의 교환을 수행하는 정합채널중 미사용의 유휴채널을 이용하여 셀프에 실장된 각 유니트간의 이상유무를 진단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유휴채널을 이용한 하드웨어 오류 진단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은,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정합채널중 유휴채널을 통해 출력하는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에서 전송된 테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오류여부를 확인하는 복수개의 테스트 데이터 검출부와; 상기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테스트 데이터를 유휴채널을 통해 상기 각 테스트 데이터 검출부로 전송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정합채널로 구성되어, 시스템내 제어부에 과도한 부하를 발생시키지 않고도 용이하게 하드웨어 오류를 진단하는 장치를 구성하여 오동작하는 유니트를 신속히 판별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유휴채널을 이용한 하드웨어 오류 진단장치 {Apparatus for hardware error detection using idle high-way channel in data processing system}
본 고안은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하드웨어적인 오류 진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셀프(Shelf)에 다수의 데이터처리 유니트가 실장된 시스템에서 각 유니트간 트래픽 데이터(Traffic Data)의 교환을 위해 구비된 정합채널(High-Way)중 미사용의 유휴채널을 이용하여 셀프에 실장된 각 유니트의 이상유무를 진단하기에 적당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유휴채널을 이용한 하드웨어 오류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시스템 등에 사용되는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일정한 회선을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가공처리하여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다른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다량의 데이터를 다종의 방식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다수의 셀프를 구비한다. 또한, 각 셀프에는 데이터 처리기능을 수행하는 유니트가 다수 실장되고, 각 유니트간의 데이터 교환은 정합채널에 의해 수행된다.
이하, 일반적인 데이터처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먼저, 도1은 일반적인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상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일정한 회선을 통해 외부의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데이터처리 유니트(12)(13)로 전송하고, 각 데이터처리 유니트(12)(13)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여 외부의 장치로 출력하는 복수개의 라인 인터페이스 유니트(11)(14)와; 상기 라인 인터페이스 유니트(11)(14)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또는 다른 데이터처리 유니트(12)(13)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데이터 처리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처리 동작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데이터처리 유니트(12)(13)와; 상기 각 라인 인터페이스 유니트(11)(14) 및 데이터처리 유니트(12)(13)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정합채널(15)로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은 데이터처리 시스템에 구비된 하나의 셀프에 대한 것으로써, 상기 구성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여 각 셀프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설명에 대신한다.
데이터처리 시스템에서 가공처리될 데이터는 통신회선이나 데이터 케이블 등을 통해 입력된다. 이때 셀프는 외부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전송경로를 구비하게 되며, 전송경로를 통해 교환되는 데이터는 라인 인터페이스 유니트(11)(14)의 인터페이스 동작에 의해 각 데이터처리 유니트(12)(13)로 입출력 된다.
즉, 외부의 다른 시스템 또는 동일한 데이터처리 시스템내의 다른 셀프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라인 인터페이스 유니트(11)(14)에 의해 수신된 후 정합채널(15)을 통해 전송된다. 정합채널(15)은 셀프내 각 유니트간의 데이터 교환경로를 제공하게 되므로, 상기 라인 인터페이스 유니트(11)(14)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는 각 데이터처리 유니트(12)(13)로 입력된다.
이때 정합채널은 E1 프레임(Frame)의 다중화된 32개의 채널을 통해 트래픽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E1 프레임의 전송속도는 2.048MHz로써 TDM(Time Division Multiplex)으로 다중화된 데이터 형태를 갖는다. 한편, 정합채널의 E1 프레임중에서 '0'번 채널은 프레임과 제어신호을 위한 채널로써 각 유니트간의 데이터 교환시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정합채널(15)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각 데이터처리 유니트(12)(13)로 입력되어, 해당 데이터처리 유니트(12)(13)가 가공처리하게 된다. 특히, 각 데이터처리 유니트(12)(13)는 상기 32개의 E1 채널중에서 하나 이상의 채널을 할당받아 상기 할당된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처리방식에 따라 처리한 후 정합채널(15)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정합채널(15)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라인 인터페이스 유니트(11)(14)에서 출력되는 것인지 다른 데이터처리 유니트(12)(13)에서 출력되는 것인지를 구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각 데이터처리 유니트(12)(13)는 할당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는 모두 가공처리한 후 출력하게 된다. 그러므로 다른 데이터처리 유니트(12)(13)에서 1차 처리된 데이터를 재처리하는 동작의 연속적 수행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각 데이터처리 유니트(12)(13)에 의한 데이터처리가 완료되면, 가공처리된 데이터는 라인 인터페이스 유니트(11)(14)를 통해 외부의 시스템으로 전송된다. 이때 데이터처리 시스템은 양방향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즉, 일방향으로 입력된 데이터가 처리되어 다른 일방향으로 출력된 데이터와 동형의 데이터를 역방향으로 입력하면 최초 입력 데이터가 재생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데이터처리 시스템내의 각 유니트간의 데이터 송수신시 송수신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시스템 관리자가 계측기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각 유니트와 정합채널의 이상유무를 진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각 유니트와 정합채널이 모두 이상발생의 가능성을 갖게 되므로, 데이터처리 유니트와 정합채널에 할당되는 채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상발생의 가능성이 증가하게 되어 계측기에 의한 진단이 어렵고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셀프에 다수의 데이터처리 유니트가 실장된 시스템에서 각 유니트간 트래픽 데이터의 교환을 수행하는 정합채널중 미사용의 유휴채널을 이용하여 셀프에 실장된 각 유니트간의 이상유무를 진단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유휴채널을 이용한 하드웨어 오류 진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유휴채널을 이용한 하드웨어 오류 진단장치는,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정합채널중 유휴채널을 통해 출력하는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에서 전송된 테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오류여부를 확인하는 복수개의 테스트 데이터 검출부와; 상기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테스트 데이터를 유휴채널을 통해 상기 각 테스트 데이터 검출부로 전송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정합채널로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일반적인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유휴채널을 이용한 하드웨어 오류 진단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라인 인터페이스 유니트 21A :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
21B, 22B : 테스트 데이터 검출부 22 : 데이터처리 유니트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유휴채널을 이용한 하드웨어 오류 진단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거 본 고안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유휴채널을 이용한 하드웨어 오류 진단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상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적절한 일실시예는,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정합채널중 유휴채널을 통해 출력하는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21A)와; 상기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21A)에서 전송된 테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오류여부를 확인하는 복수개의 테스트 데이터 검출부(21B)(22B)와; 상기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21A)에서 생성된 테스트 데이터를 유휴채널을 통해 상기 각 테스트 데이터 검출부(21B)(22B)로 전송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정합채널(2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장치는 데이터처리 시스템에 추가될 수 있는 것으로써, 테스트 데이터의 생성 및 검출을 통한 하드웨어 오류진단의 기능을 구현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한 장치는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각 유니트에 분산적으로 실장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라인 인터페이스 유니트(21)가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고 라인 인터페이스 유니트(21)와 데이터처리 유니트(22)가 각각 테스트 데이터를 검출하게 된다.
즉, 라인 인터페이스 유니트(21)가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정합채널을 통해 출력하면 데이터처리 유니트(22) 또는 다른 라인 인터페이스 유니트(21)가 상기 테스트 데이터를 검출하여 데이터 전송오류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라인 인터페이스 유니트(21)는 외부회선을 통한 데이터 교환을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기능부이외에 테스트 데이터의 생성을 위한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21A)와 다른 라인 인터페이스 유니트에 의해 생성되어 전송되는 테스트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테스트 데이터 검출부(21B)를 더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데이터처리 유니트(22)는 정합채널(25)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기능부 뿐만 아니라 테스트 데이터의 검출을 위한 테스트 데이터 검출부(22B)를 더 구비하게 된다. 이때 라인 인터페이스 유니트(21)와 데이터처리 유니트(22)에 구비되는 테스트 데이터 검출부(21B)(22B)는 정합채널(25)을 통해 전송되는 테스트 데이터의 검출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테스트 데이터 검출부(21B)(22B)는 오동작 여부를 진단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정합채널(25)을 통해 다른 유니트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어떠한 유니트에도 실장될 수 있다.
상기에서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21A)가 생성하는 테스트 데이터는 다양한 패턴의 부호체계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리티체크(Parrity ChecK)가 가능한 비트패턴을 사용하거나 미리 지정된 일정한 비트패턴을 지속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21A)는 생성된 테스트 데이터를 정합채널(25)을 통해 전송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정합채널(25)의 다중화된 채널중에서 종래 사용되지 않던 '0'번 채널을 사용하여 테스트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0'번 채널은 셀프내 각 유니트간의 데이터 통신시 사용되지 않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0'번 채널을 실시간으로 점유하여 테스트 데이터의 전송 및 진단기능을 항상 동작시킨다. 즉, 데이터처리 시스템이 기동된 이후에는 운용중인 시스템내 각 셀프에 실장된 유니트들의 오동작여부를 계속적으로 진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정합채널(25)을 통해 전송되는 테스트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의 전송경로에 위치한 각 유니트(21)(22)에 구비된 테스트 데이터 검출부(21B)(22B)에 의해 검출된다. 상기 검출된 테스트 데이터는 테스트 데이터 검출부(21B)(22B)에 의해 지정된 방식에 따라 해석됨으로써,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21A)에서 해당 유니트까지의 전송경로상에 위치한 하드웨어의 전송오류의 판단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라인 인터페이스 유니트(21)가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경우에는 외부회선에 접속되는 각 라인 인터페이스 유니트(21)는 다른 라인 인터페이스 유니트가 전송한 테스트 데이터만을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라인 인터페이스 유니트(21)의 진단경로는 단방향이 된다. 그리고 테스트 데이터 검출부(22B)만을 구비하는 데이터처리 유니트(22)는 각 라인 인터페이스 유니트에서 생성되어 전송되는 테스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양방향 진단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테스트 데이터 검출부(21B)(22B)가 오류를 검출하게 되면, 적절한 인터페이스 방식을 통하여 시스템 관리자에게 통지하거나 진단결과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통계적인 방법으로 오동작의 예측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은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정합채널중에서 각 유니트간의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지 않는 '0'번 채널을 이용하여 테스트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각 유니트의 데이터 전송오류 등과 같은 이상동작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유휴채널을 이용한 하드웨어 오류 진단장치는, 다수의 유니트가 실장된 데이터처리 시스템에서 정합채널중 유휴채널을 이용하여 각 유니트 및 마더보드간의 데이터 전송오류 등을 실시간으로 진단하고 이상동작하는 유니트를 특정하여 관리자에게 통보하게 되므로, 오동작하는 유니트를 신속히 판별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수 있어 시스템의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운용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진단장치는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되므로 소프트웨어적으로 오류를 진단하는 방식에 비해 시스템내 제어부에 과도한 부하를 발생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정합채널중에서 유휴의 채널을 사용하게 되므로 시스템의 성능 및 제반 자원의 특별한 변경없이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어, 저비용의 간단한 작업으로 하드웨어의 오류진단이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정합채널중 유휴채널을 통해 출력하는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에서 전송된 테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전송오류여부를 확인하는 복수개의 테스트 데이터 검출부와;
    상기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테스트 데이터를 유휴채널을 통해 상기 각 테스트 데이터 검출부로 전송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정합채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유휴채널을 이용한 하드웨어 오류 진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는 라인 인터페이스 유니트에 구비되고, 상기 테스트 데이터 검출부는 라인 인터페이스 유니트와 데이터처리 유니트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유휴채널을 이용한 하드웨어 오류 진단장치.
  3. 제 1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채널중 유휴채널은 E1 프레임의 '0'번 채널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유휴채널을 이용한 하드웨어 오류 진단장치.
KR2020000015731U 2000-06-02 2000-06-02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유휴채널을 이용한 하드웨어 오류진단장치 KR2002049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731U KR200204972Y1 (ko) 2000-06-02 2000-06-02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유휴채널을 이용한 하드웨어 오류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731U KR200204972Y1 (ko) 2000-06-02 2000-06-02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유휴채널을 이용한 하드웨어 오류진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4972Y1 true KR200204972Y1 (ko) 2000-12-01

Family

ID=19659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731U KR200204972Y1 (ko) 2000-06-02 2000-06-02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유휴채널을 이용한 하드웨어 오류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97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5808B1 (ko) * 2001-01-04 2002-12-26 김근수 이동통신 유휴채널을 활용한 중계기 감시 시스템
KR100468570B1 (ko) * 2000-06-26 2005-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에서 유니트간 데이터 전송오류진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570B1 (ko) * 2000-06-26 2005-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에서 유니트간 데이터 전송오류진단장치
KR100365808B1 (ko) * 2001-01-04 2002-12-26 김근수 이동통신 유휴채널을 활용한 중계기 감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7667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ault isolation and failure analysis in link-connected systems
US5390326A (en) Local area network with fault detection and recovery
KR101179782B1 (ko) 원자력 발전소 안전계통의 안전등급 통신 스위치
JPH0746322B2 (ja) 障害装置特定システム
US20030101384A1 (en) Data bus arrangement and control method for efficiently compensating for faulty signal lines
US6625745B1 (en) Network component failure identification with minimal testing
KR200204972Y1 (ko)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유휴채널을 이용한 하드웨어 오류진단장치
CN110768871B (zh) 一种自动统计dcs系统数据传输正确性的测试方法及系统
CN101661420A (zh) 外部总线检测装置及方法
JP5418670B2 (ja) バス制御装置及びバス制御方法
US10991235B2 (en) Fire-prevention control unit
KR100468570B1 (ko)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에서 유니트간 데이터 전송오류진단장치
JP2006031199A (ja) 大規模システム、クロスバ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障害通知方法
JPS6032374B2 (ja) デ−タ伝送装置
KR0174406B1 (ko) 비동기전달모드 전전자 교환기의 경보취합장치 및 그 운용방법
US20230221714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Diagnosis System
KR100438547B1 (ko) Sonet 프레임 헤더를 이용한 물리 링크 이중화 구현시스템 및 방법
KR100202978B1 (ko) 교환기에 있어서 서브시스템의 장애검출장치
KR920007140B1 (ko) 전자교환기 신호단말 유지보수 장치의 데이터 송신버스 감시회로
KR100392854B1 (ko) 교환 시스템의 클럭 모니터 장치
KR930006862B1 (ko) 전자교환기의 신호단말그룹 버스 삼중화 신호 감시회로
KR20000013607A (ko) 전전자 교환기의 디바이스 재시동 장치
JPH07253995A (ja) 自己診断機能付き伝送装置
CN117895992A (zh) 一种用于软件无线电设备的健康管理系统
SU114944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реконфигурацией резервированного вычислительного комплекс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