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767Y1 - 공기 펌프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펌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767Y1
KR200204767Y1 KR2020000017956U KR20000017956U KR200204767Y1 KR 200204767 Y1 KR200204767 Y1 KR 200204767Y1 KR 2020000017956 U KR2020000017956 U KR 2020000017956U KR 20000017956 U KR20000017956 U KR 20000017956U KR 200204767 Y1 KR200204767 Y1 KR 2002047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air
hole
coupl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구
Original Assignee
유닉스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닉스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닉스전자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7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7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5/00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5/04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plate-like flexible members, e.g. diaphragms
    • F04B45/047Pumps having electric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04B39/1066Valv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5/00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5/04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plate-like flexible members, e.g. diaphragms
    • F04B45/041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and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plate-like flexible members, e.g. diaphragms double acting plate-like flexible pump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12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varying the length of stroke of the working members
    • F04B49/123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varying the length of stroke of the working members by changing the eccentricity of one element relative to another element
    • F04B49/125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varying the length of stroke of the working members by changing the eccentricity of one element relative to another element by changing the eccentricity of the actuation means, e.g. cams or cranks, relative to the driving means, e.g. driving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0Valves; Arrangement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6Casings; Cylinders; Cylinder liners or heads; 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1/00Pump parameters
    • F04B2201/12Parameters of driving or driven means
    • F04B2201/1213Eccentricity of an outer annular c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7/00External parameters
    • F04B2207/01Load in gener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 펌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터의 구동에 의해 편심캠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편심캠의 회전에 의해 작동암이 이동하면서 구동부를 눌러주게 되면서 펌핑이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암의 이동하여 펌핑되는 것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 다이어프램부의 공간부에 형성된 압축공기가 배출됨과 동시에 일측 또는 타측 다이어프램부의 공간부에 외부공기가 흡입되도록 한 구성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펌프장치의 제작과 조립이 용이하여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펌프의 크기를 소형화 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과부하로 인한 모터의 손상을 방지하고 펌프의 펌핑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의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공기 펌프장치{AIR PUMPING APPARATUS}
본 고안은 공기 펌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펌프의 구성부품을 단순화 시켜 제작과 조립이 용이하고, 펌프의 크기를 소형화 시켜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펌프의 펌핑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공기 펌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펌프장치는 혈압기, 가스경보기의 가스흡입검출장치 등의 각종 공기 기기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하나의 모터를 이용한 다이어프램 구동방식을 적용하여 공기의 원활한 흡입과 배출을 도모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 펌프장치는 모터축이 구비되고 상기 모터축의 일측에 편심되게 구동축이 부착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하부에 설치되고 중앙에 끼움공이 형성된 모터 베이스와, 상기 모터 베이스의 하부에 설치되고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가 내설되고 저면 양측에 삽지공이 형성된 상부 케이스와, 상기 삽지공을 통해 끼워질 수 있게 양측에 다이어프램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다이어프램부에는 상기 작동부에 의해 압축, 팽창되어 펌프작용하는 공기챔버와 구동부가 구비되고, 흡입밸브가 형성된 다이어프램과, 상기 다이어프램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밸브를 통한 공기를 공기챔버로 인도하기 위한 공기흡입로가 형성된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배기공에 설치되는 배기밸브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고 저면에는 배기구가 돌출 형성된 받침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그 기구적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과 조립이 쉽지 않아 생산성이 저하되었고, 뿐더러 펌프의 크기가 비교적 대형이어서 모터에 부하가 많이 걸리고 펌핑의 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펌프의 구성부품을 단순화 시켜 제작과 조립이 용이하고, 펌프의 크기를 소형화 시켜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펌프의 펌핑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상면 양측에 제 1,2공기통로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배출공이 천공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의 상부 전·후방에는 요홈이 형성된 밸브하우징; 상기 밸브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고 양측에는 상기 제 1,2공기통로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제 1,2흡기밸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 1,2흡기밸브의 내측 전·후방에는 공기가 배출공으로 배출될 수 있게 제 1,2배기밸브가 형성된 밸브플레이트; 상면 양측에 수직벽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직벽의 하단 일측에는 공기를 상기 제 1,2배기밸브로 배출시킬 수 있게 장공이 형성되며 수직벽의 중앙 내측에는 공기공이 천공되어 상기 밸브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 다이어프램 케이스; 상기 하부 다이어프램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면 양측에는 상기 수직벽이 삽입될 수 있게 공간부를 갖는 다이어프램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는 선단에 결합돌기를 갖는 구동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공기의 압력에 의해 압축·팽창되는 다이어프램;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부에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양측에는 상기 다이어프램부가 끼워질 수 있게 삽지공이 형성된 상부 다이어프램 케이스; 상기 안착홈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축공이 형성된 작동암; 상기 다이어프램부의 외주연에 결합될 수 있게 결합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돌출되고 내부에는 상기 결합부와 연통되는 설치부를 갖는 돌출편으로 이루어진 모터베이스; 상기 결합부를 통해 삽입되고 저면에는 상기 축공에 끼워질 수 있게 편심축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편심공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암을 왕복운동 시키는 편심캠; 상기 편심공에 결합되어 상기 편심캠을 회전시킬 수 있게 저면에 모터축이 형성된 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펌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a는 무부하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4a는 모터의 동작에 의해 구동암이 다이어프램의 일측 구동부를 눌러주었을 때의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5a는 모터의 동작에 의해 구동암이 다이어프램의 중앙부에 위치했을 때의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6a는 모터의 동작에 의해 구동암이 다이어프램의 타측 구동부를 눌러주었을 때의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도 6b 도 6a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7a는 모터의 동작에 의해 구동암이 다이어프램의 반대편 중앙부에 위치했을 때의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7a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밸브하우징 11 : 제 1공기통로
12 : 제 2공기통로 13 : 돌출부
13a : 배출공 14 : 요홈
20 : 밸브플레이트 21 : 제 1흡기밸브
22 : 제 2흡기밸브 23 : 제 1배기밸브
24 : 제 2배기밸브 30 : 하부 다이어프램 케이스
31,31a : 수직벽 32,32a : 장공
33,33a : 공기공 40 : 다이어프램
41,41a : 다이어프램부 42,42a : 공간부
43,43a : 구동부 44,442a : 결합돌기
50 : 상부 다이어프램 케이스 51 : 안착홈
52,52a : 삽지공 60 : 작동암
61 : 제 1연결편 62 : 결합홈
63 : 안착편 63a : 맞춤공
66 : 제 2연결편 67 : 맞춤돌기
67a : 축공 68 : 결합홈
70 : 모터베이스 71 : 몸체
71a : 결합부 72 : 돌출편
72a : 설치부 80 : 편심캠
81 : 편심축 82 : 편심공
90 : 모터 91 : 모터축
이하, 본 고안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2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로써, 본 고안 펌프장치는 밸브하우징(10), 밸브플레이트(20), 하부 다이어프램 케이스(30), 다이어프램(40), 상부 다이어프램 케이스(50), 작동암(60), 모터베이스(70), 편심캠(80), 모터(90)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밸브하우징(10)은 상면 양측에 형성된 제 1,2공기통로(11)(12)와,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배출공(13a)이 천공된 돌출부(13)와, 상기 배출공(13a)의 상부 전·후방에 형성된 요홈(14)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면 각 모서리부에는 끼움돌부(15)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움돌부(15) 사이에는 제 1맞춤돌부(16)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밸브플레이트(20)는 고무재질로 밸브하우징(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각 모서리부에는 상기 끼움돌부(15)에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된 삽입공(25)과, 양측에 상기 제 1,2공기통로(11)(12)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제 1,2흡기밸브(21)(22)와, 상기 제 1,2흡기밸브(21)(22)의 내측 전후방에 공기가 배출공(13a)으로 배출될 수 있게 혀형상으로 형성된 제 1,2배기밸브(23)(24)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전·후방 측면에는 상기 제 1맞춤돌부(16)에 끼워질 수 있게 제 1맞춤부(26)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다이어프램 케이스(30)는 밸브플레이트(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 양측에 돌출 형성된 수직벽(31)(31a)과, 상기 수직벽(31)(31a)의 하단 일측에는 공기를 상기 제 1,2배기밸브(23)(24)로 배출시킬 수 있게 형성된 장공(32)(32a) 및 수직벽(31)(31a)의 중앙 내측에 천공된 공기공(33)(33a)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면 양측에는 제 2맞춤돌부(34)(34a)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전·후방 상면에는 제 3맞춤돌부(35)(35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다이어프램(40)은 하부 다이어프램 케이스(3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 양측에는 상기 수직벽(31)(31a)이 삽입될 수 있게 공간부(42)(42a)가 형성되고 공기의 압력에 의해 압축·팽창되는 고무재질의 다이어프램부(41)(41a)와, 상기 공간부(42)(42a)의 일측 선단에 형성되어 다이어프램부(41)(41a)내의 용적을 가변하여 펌핑작용하고 선단에는 결합돌기(44)(44a)가 형성된 구동부(43)(43a)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양측면 중앙에는 상기 제 2맞춤돌부(34)(34a)에 결합되는 제 2맞춤부(45)(45a)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전·후면 중앙에는 상기 제 3맞춤돌부(35)(35a)에 결합되는 제 3맞춤부(46)(46a)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다이어프램 케이스(50)는 다이어프램(4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에 형성된 안착홈(51)과, 상기 안착홈(51)의 양측에 관통 형성되어 다이어프램부(41)가 끼워지는 삽지공(52)(52a)으로 이루어져 있다.
작동암(60)은 안착홈(51) 상부에 설치되어 왕복운동을 하면서 상기 구동부(43)(43a)를 눌러주는 것으로, 일측에 상기 결합돌기(44)에 결합될 수 있게 결합홈(62)이 형성되고 타측 하단부에는 맞춤공(63a)이 구비된 안착편(63)이 일체로 형성된 제 1연결편(61)과, 상기 안착편(63)의 맞춤공(63a)에 결합될 수 있게 타측 하단부에 축공(67a)을 구비한 맞춤돌기(67)가 돌출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결합돌기(44a)에 결합될 수 있게 결합홈(68)이 형성된 제 2연결편(66)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베이스(70)는 상부 다이어프램 케이스(5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다이어프램부(41)(41a)의 외주연에 결합될 수 있게 결합부(71a)를 갖는 몸체(71)와, 상기 몸체(71)의 상부에 돌출되고 내부에는 상기 결합부(71a)와 연통되는 설치부(72a)를 갖는 돌출편(72)으로 이루어져 있다.
편심캠(80)은 설치부(72a)를 통해 삽입되어 후술할 모터(90)의 작동에 의해 작동암(60)을 왕복 운동시키는 것으로, 저면에는 상기 축공(67a)에 끼워질 수 있게 편심축(81)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편심공(82)이 형성되어 있다.
모터(90)는 편심캠(80)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으로써, 저면에 상기 편심공(82)에 결합되는 모터축(9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펌프장치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밸브하우징(10)의 상부에 밸브플레이트(20)를 설치한다. 그러면, 상기 끼움돌부(15)에는 삽입공(25)이 결합되고, 제 1맞춤돌부(16)에는 제 1맞춤부(26)가 결합되며, 상기 제 1,2공기통로(11)(12)와 요홈(14)에는 상기 제 1,2흡기밸브(21)(22)와 제 1,2배기밸브(23)(24)가 각각 위치하게 된다.
상기한 밸브플레이트(20)가 밸브하우징(10)에 설치되면, 상기 밸브플레이트(20)의 상부에 하부 다이어프램 케이스(30)를 설치하되, 상기 하부 다이어프램 케이스(30)에 형성된 장공(32)(32a)과 공기공(33)(33a)이 각각 제 1,2흡기밸브(21)(22)와 제 1,2배기밸브(23)(24)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하부 다이어프램 케이스(30)의 상부에 다이어프램(40)을 설치한다. 그러면, 상기 하부 다이어프램 케이스(30)에 돌출 형성된 수직벽(31)(31a)이 다이어프램부(41)(41a)의 공간부(42)(42a)에 삽입되고, 하부 다이어프램 케이스(30)에 형성된 제 2맞춤돌부(34)(34a)와 제 3맞춤돌부(35)(35a)에는 상기 다이어프램(40)의 제 2맞춤부(45)(45a)와 제 3맞춤부(46)(46a)가 끼워져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다이어프램(40)의 상부에 상부 다이어프램 케이스(50)를 설치하되, 수직벽(31)(31a)이 삽지공(52)(52a)에 관통하도록 하고, 상기 상부 다이어프램 케이스(50)의 안착홈(51)에는 작동암(60)을 안착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모터베이스(70)를 상부 다이어프램 케이스(50)의 상부에 설치한다. 그러면, 상기 다이어프램(40)의 다이어프램부(41)는 모터베이스(70)의 몸체(71)에 형성된 결합부(71a)에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편심캠(80)을 돌출편(72)의 설치부(72a)를 통해 삽입 설치하되, 상기 편심캠(80)의 저면에 형성된 편심축(81)을 상기 작동암(60)의 축공(67a)에 결합시키고, 상기 모터베이스(70)의 상부에는 모터(90)를 설치하면 도 3a와 도 3b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편심캠(80)의 편심공(82)에는 모터(90)의 모터축(91)이 삽입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조립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와 도 3b와 같이 무부하상태에서 모터(90)를 구동시키면 상기 모터(90)의 구동에 의해 모터축(91)이 회전하고, 상기 모터축(91)의 회전에 의해 편심캠(80)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한 편심캠(80)이 반시계방향으로 90°회전하게 되면 편심캠(80)이 작동암(60)에 접촉되고 이 접촉에 의해 작동암(60)이 첨부된 도면 도 4a 또는 도4b와 같이 이동하면서 타측 구동부(43a)를 눌러주게 된다. 그러면, 상기 타측 구동부(43a)가 공간부(42a)의 내부로 들어가면서 타측 다이어프램부(41a)가 압축되고 동시에 제 1배기밸브(23)가 열리게 된다. 상기 타측 다이어프램부(41a)가 압축되면 공간부(42a)에 형성된 압축공기는 하부 다이어프램 케이스(30)의 타측 장공(32a)을 통해 배출되고 타측 장공(32a)으로 배출된 압축공기는 제 1배기밸브(23)를 통해 배출공(13a)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압축공기가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제 1공기통로(11)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면서 제 1흡기밸브(21)가 열리게 되고, 제 1흡기밸브(21)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는 일측 공기공(33)을 통해 일측 다이어프램부(41)의 공간부(42)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 2흡기밸브(22)와 제 2배기밸브(24)는 닫혀져 있는 상태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 상태에서 편심캠(80)이 도 3a 및 도 3b를 기점으로 반시계방향으로 180°회전하게 되면 타측 구동부(43a)은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편심캠(80)은 일측 구동부(43)를 눌러주기 시작한다. 그러면, 상기 일측 구동부(43)가 공간부(42)의 내부로 들어가고 동시에 일측 다이어프램부(41)는 압축되기 시작한다. 상기한 일측 다이어프램부(41)가 압축되기 시작하면 제 2배기밸브(24)는 열리고 되고 제 1배기밸브(23)는 닫히게 되며, 제 1흡기밸브(21)는 닫히게 되고 제 2흡기밸브(22)는 열리게 되어 일측 공간부(42)에 형성된 압축공기는 일측 장공(32)을 통해 배출되고 일측 장공(32)을 통해 배출된 압축공기는 제 2배기밸브(24)를 통해 배출공(13a)으로 배출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일측 다이어프램부(41)에 형성된 압축공기가 배출될 때 상기 제 2공기통로(12)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제 2공기통로(12)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타측 공기공(33a)을 통해 타측 다이어프램부(41a)의 공간부(42a)로 유입되기 시작한다.(도 5a, 도 5b참조)
도 6a 및 도 6b와 같이 편심캠(80)이 도 3a 및 도 3b를 기점으로 반시계방향으로 270°회전하게 되어 일측 구동부(43)를 완전히 눌러주게 되면 일측 구동부(43)가 공간부(42)의 내부로 들어가면서 일측 다이어프램부(41)가 압축되고 동시에 제 2배기밸브(24)가 열리고 제 1배기밸브(23)는 닫히게 된다. 상기 일측 다이어프램부(41)가 압축되면 공간부(42)에 형성된 압축공기는 하부 다이어프램 케이스(30)의 일측 장공(32)을 통해 배출되고 일측 장공(32)으로 배출된 압축공기는 제 2배기밸브(24)를 통해 배출공(13a)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압축공기가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제 2공기통로(12)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면서 제 2흡기밸브(22)가 열리게 되고, 제 2흡기밸브(22)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는 타측 공기공(33a)을 통해 타측 다이어프램부(41a)의 공간부(42a)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 1흡기밸브(21)와 제 1배기밸브(23)는 닫혀져 있는 상태다.
그리고, 도 6a 및 도 6b 상태에서 편심캠(80)이 회전하게 되면 일측 구동부(43)은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편심캠(80)은 타측 구동부(43a)를 눌러주기 시작한다. 그러면, 상기 타측 구동부(43a)가 공간부(42a)의 내부로 들어가고 동시에 타측 다이어프램부(41a)는 압축되기 시작한다. 상기한 타측 다이어프램부(41a)가 압축되기 시작하면 제 1배기밸브(23)는 열리고 되고 제 2배기밸브(24)는 닫히게 되며, 제 2흡기밸브(22)는 닫히게 되고 제 1흡기밸브(21)는 열리게 되어 타측 공간부(42a)에 형성된 압축공기는 타측 장공(32a)을 통해 배출되고 타측 장공(32a)을 통해 배출된 압축공기는 제 1배기밸브(23)를 통해 배출공(13a)으로 배출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타측 다이어프램부(41a)에 형성된 압축공기가 배출될 때 상기 제 1공기통로(11)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제 1공기통로(11)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일측 공기공(33)을 통해 일측 다이어프램부(41)의 공간부(42)로 유입되기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도 7a, 도 7b참조)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모터(90)의 구동에 의해 편심캠(8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편심캠(80)에 연결 설치된 작동암(60)이 이동하면서 펌핑이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암(60)의 이동에 의해 펌핑되는 것에 의해 다이어프램부(41)(41a)에 형성된 압축공기가 배출되고 또한 외부공기가 다이어프램부(41)(41a)에 유입되어 지는 것으로, 펌프장치의 제작과 조립이 용이하고, 펌프장치의 크기가 소형화되어 과부하로 인한 모터(9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펌프의 펌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공기 펌프장치에 따르면 모터의 구동에 의해 편심캠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편심캠의 회전에 의해 작동암이 이동하면서 구동부를 눌러주게 되면서 펌핑이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암의 이동하여 펌핑되는 것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 다이어프램부의 공간부에 형성된 압축공기가 배출됨과 동시에 일측 또는 타측 다이어프램부의 공간부에 외부공기가 흡입되도록 한 구성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펌프장치의 제작과 조립이 용이하여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펌프의 크기를 소형화 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과부하로 인한 모터의 손상을 방지하고 펌프의 펌핑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의 유용한 고안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상면 양측에 제 1,2공기통로(11)(12)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배출공(13a)이 천공된 돌출부(13)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공(13a)의 상부 전·후방에는 요홈(14)이 형성된 밸브하우징(10);
    상기 밸브하우징(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양측에는 상기 제 1,2공기통로(11)(12)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제 1,2흡기밸브(21)(22)가 형성되며, 상기 제 1,2흡기밸브(21)(22)의 내측 전·후방에는 공기가 배출공(13a)으로 배출될 수 있게 제 1,2배기밸브(23)(24)가 형성된 밸브플레이트(20);
    상면 양측에 수직벽(31)(31a)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직벽(31)(31a)의 하단 일측에는 공기를 상기 제 1,2배기밸브(23)(24)로 배출시킬 수 있게 장공(32)(32a)이 형성되며 수직벽(31)(31a)의 중앙 내측에는 공기공(33)(33a)이 천공되어 상기 밸브플레이트(20)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 다이어프램 케이스(30);
    상기 하부 다이어프램 케이스(3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면 양측에는 상기 수직벽(31)(31a)이 삽입될 수 있게 공간부(42)(42a)를 갖는 다이어프램부(41)(41a)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42)(42a)의 일측에는 선단에 결합돌기(44a)(44a)를 갖는 구동부(43)(43a)가 일체로 형성되어 공기의 압력에 의해 압축·팽창되는 다이어프램(40);
    상기 다이어프램(4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부에는 안착홈(51)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51)의 양측에는 상기 다이어프램부(41)(41a)가 끼워질 수 있게 삽지공(52)(52a)이 형성된 상부 다이어프램 케이스(50);
    상기 안착홈(51)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축공(67a)이 형성된 작동암(60);
    상기 다이어프램부(41)의 외주연에 결합될 수 있게 결합부(71a)를 갖는 몸체(71)와, 상기 몸체(71)의 상부에 돌출되고 내부에는 상기 결합부(71a)와 연통되는 설치부(72a)를 갖는 돌출편(72)으로 이루어진 모터베이스(70);
    상기 결합부(71a)를 통해 삽입되고 저면에는 상기 축공(67a)에 끼워질 수 있게 편심축(81)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편심공(82)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암(60)을 왕복 운동시키는 시키는 편심캠(80);
    상기 편심공(82)에 결합되어 상기 편심캠(80)을 회전시킬 수 있게 저면에 모터축(91)이 형성된 모터(9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펌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부(41)(41a)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펌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암(60)은 일측에 상기 결합돌기(42a)에 결합될 수 있게 결합홈(62)이 형성되고 타측 하단부에는 맞춤공(63a)이 구비된 안착편(63)이 일체로 형성된 제 1연결편(61)과, 상기 안착편(63)의 맞춤공(63a)에 결합될 수 있게 타측 하단부에 축공(67a)을 구비한 맞춤돌기(67)가 돌출 형성되고, 일측에는 상기 결합돌기(44)(44a)에 결합될 수 있게 결합홈(68)이 형성된 제 2연결편(6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펌프장치.
KR2020000017956U 2000-06-23 2000-06-23 공기 펌프장치 KR20020476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936A KR20020000365A (ko) 2000-06-23 2000-06-23 공기 펌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936A Division KR20020000365A (ko) 2000-06-23 2000-06-23 공기 펌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4767Y1 true KR200204767Y1 (ko) 2000-12-01

Family

ID=1967357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936A KR20020000365A (ko) 2000-06-23 2000-06-23 공기 펌프장치
KR2020000017956U KR200204767Y1 (ko) 2000-06-23 2000-06-23 공기 펌프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936A KR20020000365A (ko) 2000-06-23 2000-06-23 공기 펌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000036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042B1 (ko) * 2006-09-11 2007-07-12 (주)포에스텍 다이어프램식 진공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365A (ko) 200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0880B1 (ko) 왕복동형 압축기
KR100739042B1 (ko) 다이어프램식 진공펌프
US8297957B2 (en) Compressor
US5577901A (en) Compressor with valve unit for controlling suction and discharge of fluid
US20070237663A1 (en) Hermetic compressor
KR200204767Y1 (ko) 공기 펌프장치
JP2007002844A (ja) 圧縮機用シリンダー組立体及びその組立方法
JP2012021481A (ja) ダイヤフラムポンプ
JP3005603B2 (ja) キーパーの位置を堅固に固定させることができる圧縮機のシリンダー装置
KR20070109316A (ko) 밀폐형 압축기
KR200337978Y1 (ko) 공기펌프
KR20020023517A (ko)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조립체
KR200241437Y1 (ko) 공기펌프
CN210531115U (zh) 一体泵阀及其设备
KR101078468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소음기
JP3383703B2 (ja) 小型ポンプ装置
KR200163924Y1 (ko) 압축기의 밸브구조
KR200262310Y1 (ko) 공기발생 펌프
KR20080056345A (ko) 밀폐형 압축기
JP3373575B2 (ja) 小型ポンプ装置
KR100504855B1 (ko) 압축기용 밸브
JP4092918B2 (ja) ダイヤフラムポンプ
JP4092939B2 (ja) ダイヤフラムポンプ
KR20020085158A (ko) 공기펌프
KR20050103696A (ko) 압축기의 밸브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