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695Y1 - 고탄력을 가진 엠보싱 원단 - Google Patents

고탄력을 가진 엠보싱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695Y1
KR200204695Y1 KR2020000016165U KR20000016165U KR200204695Y1 KR 200204695 Y1 KR200204695 Y1 KR 200204695Y1 KR 2020000016165 U KR2020000016165 U KR 2020000016165U KR 20000016165 U KR20000016165 U KR 20000016165U KR 200204695 Y1 KR200204695 Y1 KR 2002046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elasticity
yarn
weft
we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1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재
Original Assignee
유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재 filed Critical 유성재
Priority to KR20200000161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6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6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6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7/00Woven fabrics designed to be resilient, i.e. to recover from compressive stres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격자형으로 이루어진 표면에 자연스럽게 주름지면서 돌출된 융출부를 가진 고탄력성 엠보싱 원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류용 원단을 구성함에 있어서, 신축성이 없는 폴리에스터사(10)와 신축성이 뛰어난 스판덱스사 (20)를 혼합 배열하여 정경배열부(30)와 위사배열부(40)를 각각 구성하고 이 두 배열부가 연속 반복되도록 원단을 격자형으로 제직한 후 제직이 완료된 원단을 45 ~ 50% 로 수축가공하여 경사의 폴리에스터사(10a)(10b)(10c)와 위사의 폴리에스터사 (10d)(10e)(10f)가 제직된 원단의 표면에 주름지게 돌출된 융출부(50)가 형성되게 하므로서 통기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신축성과 탄력성이 우수하여 의복으로 제작하면 착용감과 활동성이 뛰어나며 구김이 생기지 않고 원단 표면의 입체감이 미려하여 의복의 재료로서 탁월한 원단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고탄력을 가진 엠보싱 원단 {High elastic embossong cloth}
본 고안은 격자형으로 이루어진 표면에 자연스럽게 주름지면서 돌출된 융출부를 가진 고탄력성 엠보싱 원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터사와 신축성이 뛰어난 스판덱스사(탄성사)를 이용하여 원단을 제직하되 경사와 위사로 사용되는 두 종류의 실을 각각 일정한 배열로 구성하여 제직한 후 이를 수축가공하므로서 경사와 위사에 각각 쓰여진 폴리에스터사가 만나는 조직부분이 주름지게 융출되어 엠보싱 형상으로 이루도록 하므로서 신축성과 탄력성이 우수하면서도 통기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표면의 입체감을 표현할 수 있는 원단이 되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류용 원단은 원단의 표면이 평평하기때문에 의복으로 제작하여 착용할 경우 원단 자체의 표면적은 좁으나 피부와의 접촉면적은 넓어서 통기성이 크게 떨어지므로서 땀이 많이 나는 더운 여름에는 피부와 옷감과의 접촉으로 착용자에게 많은 불쾌감을 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원단은 표면형태가 단순하고 입체감이 없기때문에 원단 고유의 특징을 쉽게 살릴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출원한 것으로 폴리에스터사와 신축성이 뛰어난 스판덱스사를 이용하여 원단을 제직하되 경사와 위사로 사용되는 두 종류의 실을 각각 일정한 배열로 구성하여 제직한 후 이를 수축가공하므로서 경사와 위사에 각각 쓰여진 신축성이 없는 폴리에스터사가 만나는 조직부분이 주름지게 융출되어 엠보싱 형상으로 이루면서 스판덱스사에 의해 원단이 고탄력성을 갖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나타내 평면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융출부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폴리에스터사와 스판덱스사의 정경배열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폴리에스터사와 스판덱스사의 위사배열을 나타낸 구성도이 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10b,10c,10d,10e,10f : 폴리에스터사
20,20a,20b,20c,20d : 스판덱스사
30 : 정경배열부 40 : 위사배열부
50, 52 : 융출부
의류용 원단을 구성함에 있어서, 신축성이 없는 폴리에스터사(10)와 신축성이 뛰어난 스판덱스사(20)를 혼합 배열하여 정경배열부(30)와 위사배열부(40)를 각각 구성하고 이 두 배열부가 연속 반복되도록 원단을 격자형으로 제직한 후 제직이 완료된 원단을 45 ~ 50% 로 수축가공하여 경사의 폴리에스터사(10a)(10b)(10c)와 위사의 폴리에스터사(10d)(10e)(10f)가 제직된 원단의 표면에 주름지게 돌출된 융출부(50)가 형성되게 한 구조이다.
한편, 첨부도면 도 3은 정경배열부(30)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폴리에스터사 80올(10a), 10올(10b), 40올(10c)과 스판덱스사 4올(20a), 10올(20b)을 14구간에 걸쳐 반복 구성한 것이며 첨부도면 도 4는 위사배열부(40)를 나타낸 것으로 폴리에스터사 80올(10d), 14올(10e), 20올(10f)과 스판덱스사 4올(20c), 10올(20d)을 10구간에 걸쳐 반복 구성한 것으로 폴리에스터사(10)의 본수를 다르게하면 다양한 크기의 융출부(50)를 구성할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신축성이 없는 폴리에스터사(10)와 신축성이 뛰어난 스판덱스사(20)를 혼합 배열하여 정경배열부(30)와 위사배열부(40)로 각각 구성한 후 이 두 배열부(30)(40)가 연속 반복되도록 원단을 제직하고 이렇게 제직된 원단을 45 ~ 50% 정도로 수축가공 하게되면 신축성이 없는 폴리에스터사(10)는 수축이 되지 않기때문에 정경배열부(30)와 위사배열부(40)의 구성에 포함되어 있는 폴리에스터사(10)가 교차하여 제직된 지점은 원래의 넓이가 원단의 수축가공에 의해 좁아지면서 그 부분이 주름지게 돌출되어 융출부(50)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융출부(50)는 원단 자체의 표면적은 넓지만 실제 넓이는 좁게 형성되며, 표면이 주름지게 돌출되어 있기때문에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원단을 이용하여 의복을 제작할 경우 융출부(50)는 피부와 접촉하지 않고 피부와 의복간의 빈 공간을 확보하므로서 통기성이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원단 표면의 입체감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렇게 원단의 표면에서 주름지게 돌출된 융출부(50)는 정경배열부 (30)와 위사배열부(40)의 구성에 포함된 폴리에스터사(10)의 본수에 따라 융출부 (50)의 크기와 면적이 달라지게 되는데 큰 융출부(50)와 같이 정경배열부(30)에 포함된 80올의 폴리에스터사(10a)와 위사배열부(40)에 포함된 80올의 폴리에스터사 (10d)가 교차되게 제직된 부분은 융출부(50)의 면적이 넓고 높게 융출되며 작은 융출부(52)와 같이 정경배열부(30)에 포함된 40올의 폴리에스터사(10c)와 위사배열부 (40)에 포함된 80올의 폴리에스터사(10d)가 교차되게 제직된 부분은 융출부(50)의 면적이 좁고 낮게 융출되기때문에 정경배열부(30)나 위사배열부(40)에 구성되는 폴리에스터사(10)의 본수를 조정하므로서 다양한 크기와 높이를 가지는 융출부(50)를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정경배열부(30)와 위사배열부(40)로 이루어진 원단이라도 수축가공의 정도에 따라 융출부(50)의 넓이나 높이가 다르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단의 표면은 격자형으로 구성되어 원단의 조직에 스판덱스사(20)가 포함되어 있기때문에 원단의 신축성과 탄력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구겨짐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의복으로 제작할 경우 착용자의 활동이 자유롭고 옷맵시를 살릴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원단의 표면에 융출부를 형성하므로서 통기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신축성과 탄력성이 우수하여 의복으로 제작하면 착용감과 활동성이 뛰어나며 구김이 생기지 않고 원단 표면의 입체감이 미려하여 의복의 재료로서 탁월한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의류용 원단을 구성함에 있어서, 신축성이 없는 폴리에스터사(10)와 신축성이 뛰어난 스판덱스사(20)를 혼합 배열하여 정경배열부(30)와 위사배열부(40)를 각각 구성하고 이 두 배열부(30)(40)가 연속 반복되도록 원단을 격자형으로 제직한 후 제직이 완료된 원단을 수축가공하여 경사의 폴리에스터사(10a)(10b)(10c)와 위사의 폴리에스터사(10d)(10e)(10f)가 제직된 원단의 표면에 주름지게 돌출된 융출부(50)가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탄력을 가진 엠보싱 원단
  2. 상기 1항에 있어서, 정경배열부(30)는 폴리에스터사 80올(10a), 10올(10b), 40올(10c)과 스판덱스사 4올(20a), 10올(20b)을 14구간에 걸쳐 반복 배열한 것이며 위사배열부(40)는 폴리에스터사 80올(10d), 14올(10e), 20올(10f)과 스판덱스사 4올(20c), 10올(20d)을 10구간에 걸쳐 반복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항 기재의 고탄력을 가진 엠보싱 원단
KR2020000016165U 2000-06-08 2000-06-08 고탄력을 가진 엠보싱 원단 KR2002046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165U KR200204695Y1 (ko) 2000-06-08 2000-06-08 고탄력을 가진 엠보싱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165U KR200204695Y1 (ko) 2000-06-08 2000-06-08 고탄력을 가진 엠보싱 원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4695Y1 true KR200204695Y1 (ko) 2000-12-01

Family

ID=19659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165U KR200204695Y1 (ko) 2000-06-08 2000-06-08 고탄력을 가진 엠보싱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69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50283A1 (en) Article of apparel with material elements having a reversible structure
EP2319336B1 (en) Article of apparel incorporating an embossed material
JP3214172U (ja) 両面面ファスナー織物
JP3049058B1 (ja) 衣服の布地に凹凸を形成する方法
JP5939782B2 (ja) 凹凸模様装飾帯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2119293A1 (en) Airbag and fabric for manufacturing same
JP2002509590A (ja) タオル地またはベロア地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04695Y1 (ko) 고탄력을 가진 엠보싱 원단
JP3108694B1 (ja) 布地に凹凸を有する衣服およびその衣服のための布地
KR100895888B1 (ko) 바지
KR200372559Y1 (ko) 수축사를 이용한 리본 주름 직물지
TWI712375B (zh) 自體黏扣織物(二)
KR200222924Y1 (ko) 주름직물
KR102011841B1 (ko) 둑형상의 돌출부를 갖는 요철 직물
KR200244347Y1 (ko) 샤넬 얀.
KR102348918B1 (ko) 위생 마스크
CN210295651U (zh) 可变色织唛标签
EP0718428A1 (en) A raschel type fabric comprising a good side and a separate reverse side, and a loom for manufacturing said fabric
KR20090008943U (ko) 직조 느낌의 고 신축성 경편직물
JP6364640B2 (ja) 織ネーム、及び、織ネームの製造方法
KR200196010Y1 (ko) 이중 조직 원단을 소재로 한 청바지
KR200193297Y1 (ko) 고무사를 봉합형성한 신축지
KR200190227Y1 (ko) 부풀에 의해 형성된 무늬를 가지는 직물
TWM598856U (zh) 服裝組合及其鏤空泡泡織物結構
JP3011392U (ja) 和服用の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