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352Y1 - 전기접속구조 - Google Patents

전기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352Y1
KR200204352Y1 KR2019950010058U KR19950010058U KR200204352Y1 KR 200204352 Y1 KR200204352 Y1 KR 200204352Y1 KR 2019950010058 U KR2019950010058 U KR 2019950010058U KR 19950010058 U KR19950010058 U KR 19950010058U KR 200204352 Y1 KR200204352 Y1 KR 2002043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
electrical connection
fastening means
connection terminal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00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8778U (ko
Inventor
최수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500100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352Y1/ko
Publication of KR9600387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87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3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3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데크와 인쇄회로기판의 체결시 자동으로 전기접속 되도록 된 전기접속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전기접속구조는 전기접속단자의 단부(15)가 기판면에 대하여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노출 형성된 제1전기요소(10)와, 제1전기요소(10)의 전기접속단자의 단부(15)와 마주하는 위치에 평판면에 대하여 소정 높이로 노출 형성된 단부를 가지는 전기접속단자(27)가 마련된 제2전기요소(20)와, 두 전기요소(10, 20)를 상호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체결수단(30)이 구비되어, 체결수단(30)을 통하여 제1 및 제2전기요소(10,20)의 물리적인 결합과 동시에 상호 마주보는 전기접속단자(15,27)의 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접속구조
제1도는 종래 전기접속구조의 일 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접속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접속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전기요소(인쇄회로기판) 13,25 : 리드패턴
20 : 제2전기요소(데크) 30 : 체결수단
40 : 베이스 42 : 탄성체
본 고안은 둘 이 상의 전기요소를 상호 전기 접속하는 전기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콘넥터의 사용없이 전기요소의 상호 체결시 자동으로 접속되도록 된 전기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데이타를 기록 재생할 수 있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는 헤드부와, 디스크부 및 디스크부에 저장된 신호를 처리하여 중앙처리 장치에서 요구하는 형태로 변환하는 회로부로 나눌 수 있다.
상기 헤드부와 회로부는 콘넥터를 통하여 전기적 신호를 상호 교환하게 되는데, 단순히 콘넥터를 통하여 신호의 흐름이 진행되면, 디스크를 구동하는 모터에서 발생되는 주파수와 기록/재생 신호와의 신호간섭에 의한 영향을 받게 된다.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주파수 간섭을 배제하고, 신호전달 경로가 최단코스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기 접속구조를 이용하였다.
전기적 수동 및 능동소자들을 실장한 인쇄회로기판(1)에는 각전기소자들의 단자가 외부와 접속될 수 있도록 된 콘넥터 (3)가 구비된다.
또한, 데크(미도시)는 헤드부 및 디스크부를 포함하며, 디스크에 데이타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과 상기 데크의 전기적인 접속은 상기 데크에 결합된 플랙시블케이블(5)을 상기 콘넥터(3)에 끼움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플랙시블케이블(5)을 콘넥터(3)에 끼운후 상기 콘넥터(3)에 형성된 콘넥터핀(4)으로 압착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데크를 콘넥터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함에 의하여 상기 디스크부를 구동하는 모터에 의한 신호 간섭을 줄이도록 하였다. 물론, 콘넥터는 도시한 바와 같이 콘넥터핀을 가지는 구조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콘넥터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언급한 바와 같이 콘넥터를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과 데크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경우 데크와 인쇄기판사이의 물리적인 결합후, 콘넥터를 이용하여 전기적 접속을 하므로, 부가적인 작업이 필요하고, 콘넥터의 사용으로 인한 부품수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콘넥터의 사용을 배제하고, 인쇄회로기판과 데크등의 전기요소를 상호 체결시 이와 동시에 자동으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기접속구조는, 전기접속단자의 단부가 기판면에 대하여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노출 형성된 제1전기요소와, 상기 제1전기요소의 전기접속단자의 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평판면에 대하여 소정 높이로 노출 형성된 단부를 가지는 전기접속단자가 마련된 제2전기요소와, 상기 두 전기요소를 상호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체결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전기요소의 물리적인 결합과 동시에 상호 마주보는 전기접속단자의 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접속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이 전기접속구조는 전기신호를 처리하는 인쇄회로기판등의 제1전기요소(10)와 주로 물리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부재들이 결합 형성된 데크등의 제2전기요소(20)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은 그 기판면에 전기소자(미도시) 들이 배열되어 있으며, 각 전기소자들을 연결하고 외부와 접속되도록 된 리드패턴(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드패턴(13)의 단부(15)는 피복 또는 다른 절연수단을 통하여 감싸여 있지 않고 노출되어 있으며,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어 있다. 상기 데크(2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0)과 전기접속되는 케이블(23)을 포함한다. 이 케이블(23)은 평판형으로 그 한쪽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리드패턴(13)과 접속될 수 있도록 된 리드패턴(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리드패턴(25) 역시 그 단부(27)가 노출되어 있으며, 케이블(23)의 평판면에 대하여 소정 높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0)과 데크(20)는 스크류등의 체결수단(30)을 통하여 상호 물리적으로 체결 고정된다. 이때 상기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10)과 데크(20)를 상호 결합시 상기 두 리드패턴(13,25) 각각의 돌출된 단부(15, 27)가 상호 밀착 접속되도록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호 마주하는 평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데크의 체결과 동시에 전기적 접속이 가능하므로, 콘넥터의 사용을 배제하여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신호의 흐름이 최단경로를 통하므로 주파수 간섭에 의한 영향 배제할 수 있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접속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2도를 통하여 언급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0)과 데크(20)의 마주보는 면에 돌출된 단부(15,27)를 가지는 리드패턴(13,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수단(30)에 의해 상호 물리적으로 결합된다. 이때 인쇄회로기판(10)과 데크(20)의 전기적 접속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부재인 베이스(40)를 더 구비하였다. 이 베이스(40)는 상기 체결수단(30)을 통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10)과 데크(2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10)과 마주하는 상기 베이스(30)의 한쪽면에는 전기접속되는 두 리드패턴의 단부 사이의 전기접속이 확실히 이루어지도록 소정 두께를 가지는 탄성체(42)를 더 구비하였다. 이 탄성체(42)는 상기 체결수단(30)을 통하여 결합시 상기 두 리드패턴의 단부(15,27)가 밀착 접속되도록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체결수단을 통하여 상호 체결과 동시에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며 탄성체의 사용으로 인쇄회로기판과 데크등 전기요소들의 불평판성에 기인하는 전기 접속불량을 예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전기접속구조는 전기요소들의 체결시 자동으로 전기 접속되도록 된 구조로 조립성 향상 및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하다.

Claims (3)

  1. 전기접속단자의 단부가 기판면에 대하여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노출 형성된 제1전기요소와, 상기 제1전기요소의 전기접속단자의 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평판면에 대하여 소정 높이로 노출 형성된 단부를 가지는 전기접속단자가 마련된 제2전기요소와, 상기 두 전기요소를 상호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체결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전기요소의 물리적인 결합과 동시에 상호 마주보는 전기접속단자의 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전기요소를 고정하도록 된 베이스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을 통하여 체결시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상기 제1전기요소의 전기접속단자와 상기 제2전기요소의 케이블 단부의 결합을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의 소정 위치에 탄성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속구조.
KR2019950010058U 1995-05-12 1995-05-12 전기접속구조 KR2002043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058U KR200204352Y1 (ko) 1995-05-12 1995-05-12 전기접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058U KR200204352Y1 (ko) 1995-05-12 1995-05-12 전기접속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778U KR960038778U (ko) 1996-12-18
KR200204352Y1 true KR200204352Y1 (ko) 2000-12-01

Family

ID=19413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0058U KR200204352Y1 (ko) 1995-05-12 1995-05-12 전기접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35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778U (ko) 1996-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5280A (en) Solderless connection technique between data/servo flex circuits and magnetic disc heads
US5134252A (en) Signal line
US5702269A (en) Electrical connector
US6018439A (en)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transducing heads to a flex circuit of a disc drive
JPH06163098A (ja) ピングリッドアレイ用の導電性エラストマ・インタフェース
US5500779A (en) Disk drive memory card electrical interconnect
US4823218A (en) Balance compensated rotary magnetic head device
KR200204352Y1 (ko) 전기접속구조
KR0178552B1 (ko) 회전 자기 헤드 장치 및 이 장치에 사용하는 접속장치
KR100262679B1 (ko) 가요성 케이블 조립체와 그 제조 방법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JPH06132057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と回路基板との接続構造
EP1037199B1 (en) Magnetic head, and magnetic head assembly
KR200251720Y1 (ko)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의에프.피.씨커넥터구조
KR100200597B1 (ko) 테이프 레코더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접속장치
JP2979364B2 (ja) 多層コンタクター
JPS6214498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固定構造
JPH0760502B2 (ja) 磁気ヘツド
JPH0411279Y2 (ko)
JPS62190791A (ja) 配線基板およびコネクタ
JPH019099Y2 (ko)
JPH0635420Y2 (ja) 傾斜基板対水平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H0722721Y2 (ja) 磁気ヘッド装置における回路接続装置
JPH06181385A (ja)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の接続方法
JPS58949Y2 (ja) チップキャリア用コネクタ
JPH10308007A (ja) ヘッドドラム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