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103Y1 - 유리제품 지지장치용 취출기 - Google Patents

유리제품 지지장치용 취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103Y1
KR200204103Y1 KR2020000015634U KR20000015634U KR200204103Y1 KR 200204103 Y1 KR200204103 Y1 KR 200204103Y1 KR 2020000015634 U KR2020000015634 U KR 2020000015634U KR 20000015634 U KR20000015634 U KR 20000015634U KR 200204103 Y1 KR200204103 Y1 KR 2002041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upler
pair
support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56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초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초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기초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56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1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1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1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5/00Drawing glass upwardly from the melt
    • C03B15/14Drawing tubes, cylinders, or rods from the mel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리제품을 접촉지지하는 판상의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판면으로부터 가로로 연장된 결합구를 갖는 다수의 접촉지지부재와, 상기 접촉지지부재의 결합구가 수용되며 수용된 결합구를 중심으로 대향하는 양 측면에 한 쌍의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블럭을 갖는 유리제품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관통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구의 단부영역에 접촉되는 한 쌍의 취출돌기와; 상기 각 취출돌기에 결합되어 소정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엇갈림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취출돌기를 상호 접근 및 이반시키는 레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지지블럭으로부터 접촉지지부재를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한 유리제품의 지지장치용 취출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유리제품 지지장치용 취출기{EXTRACT DEVICE FOR APPARATUS FOR SUPPORTING GLASS}
본 고안은, 컨베이어장치용 유리제품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제품을 접촉지지하는 판상의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판면으로부터 가로로 연장된 결합구를 갖는 다수의 접촉지지부재와, 상기 접촉지지부재의 결합구가 수용되며 수용된 결합구를 중심으로 대향하는 양 측면에 한 쌍의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블럭을 갖는 유리제품 지지장치용 취출기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용 패널 및 펀넬 등과 같이 프레스공법에 의해 성형되는 유리제품은, 용융상태의 유리소재인 고브(GOB)를 프레스장치의 형틀인 하부몰드에 떨어뜨린 후, 플런저로 가압함으로써 성형되며, 성형 후, 유리제품은 컨베이어장치에 의해 후공정, 예를 들어 섀도마스크 장착용 스터드핀의 삽입공정 등으로 이송된다.
도 4 및 도 5에는 고온의 유리제품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장치의 일부영역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스프로켓(미도시)에 맞물려 폐루프를 이루며 이동가능한 컨베이어체인(130)의 롤러(131)는 그 하부에 배치된 지지레일(139)에 의해 지지되어 처짐 없이 진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컨베이어체인(130)의 각 롤러(131)에는 수평방향으로 절곡연장된 어태치먼트부(132)가 장착되어 있으며, 어태치먼트부(132)의 상부에는 고정판(133)이 용접에 의해 부착되어 있고, 고정판(133)의 상부에는 유리제품 지지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유리제품 지지장치는, 고정판(133)의 상부에 마련된 다수의 지지블럭(141)과 지지블럭(141)에 결합되는 접촉지지부재(140)로 이루어져 있다.
각 지지블럭(141)에는 상부가 개구된 한 쌍의 수용공(159)이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부에는 고정판(133)의 걸림부(미도시)에 걸림유지되는 소정의 돌기(157)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고정판(133)에 스크루(161) 결합을 위한 스크루공(15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촉지지부재(140)는, 고온의 유리제품의 판면이 직접 접촉되는 접촉부(143)와, 접촉부(143)의 저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지지블럭(141)의 각 개구에 억지끼워맞춤되는 결합구(145)를 갖는다.
이에 의해, 지지블럭(141)의 일측에 마련된 돌기(157)가 고정판(133)의 걸림부에 걸림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블럭(141)을 고정판(133)의 소정의 결합위치에 놓은 후, 지지블럭(141)의 스크루공(150)으로 스크루(161)를 삽입하여 고정판(133)에 체결한다. 다음, 지지블럭(141)의 각 수용공(159)으로 접촉지지부재(140)의 결합구(145)를 억지끼워넣음으로써, 유리제품 지지장치의 결합은 완료된다. 그러면, 고온의 유리제품은 사각구도 배치된 접촉지지부재(140)의 접촉부(143)에 지지되면서 컨베이어체인(130)의 진행방향을 따라 후공정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유리제품 지지장치에 있어서는, 접촉지지부재를 지지블럭에 결합시키는 과정은 용이하나, 고온의 유리제품으로 인해 변형가능한 접촉지지부재를 교체하기 위해 지지블럭으로부터 이탈시키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지지블럭으로부터 접촉지지부재를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고정판에 결합된 지지블럭을 해체한 다음, 지지블럭의 배면으로 별도의 공구를 삽입시켜 상향 가압함으로써 접촉지지부재를 분리해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교체작업 시간이 비교적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는 결국, 시간손실에 따른 공정상의 로스(LOSS)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지블럭으로부터 접촉지지부재를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한 유리제품의 지지장치용 취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컨베이어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유리제품 지지장치의 설치상태의 사시도,
도 3은 유리제품 지지장치와 취출기의 혼용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사용상태의 평단면도,
도 5는 도 2에 대응하는 종래의 유리제품 지지장치의 설치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컨베이어체인 40 : 접촉지지부재
43 : 접촉부 45 : 결합구
41 : 지지블럭 53 : 관통공
61 : 레버부 63 : 취출돌기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유리제품을 접촉지지하는 판상의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판면으로부터 가로로 연장된 결합구를 갖는 다수의 접촉지지부재와, 상기 접촉지지부재의 결합구가 수용되며 수용된 결합구를 중심으로 대향하는 양 측면에 한 쌍의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블럭을 갖는 유리제품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관통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구의 단부영역에 접촉되는 한 쌍의 취출돌기와; 상기 각 취출돌기에 결합되어 소정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엇갈림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취출돌기를 상호 접근 및 이반시키는 레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제품 지지장치용 취출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취출돌기에 대응하는 상기 레버부의 단부영역에는 파지를 위한 파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컨베이어장치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길게 연장된 프레임(1)과, 프레임(1)을 지지하는 다수의 다리부재(2)를 가지며, 각 다리부재(2)의 하단에는 이동시의 편리를 위해 롤러(12)들이 장착되어 있다.
프레임(1)의 양 단부에는 안내스프로켓(4, 4a)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안내스프로켓(4, 4a)들에는 컨베이어체인(30)이 폐루프로 감겨있다. 일측의 안내스프로켓(4)의 회전축에는 전동스프로켓(6)이 결합되어 있고, 그 인접한 프레임(1)의 하부에는 구동모터(3)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모터(3)에 연결된 모터스프로켓(5)은 전동체인(7)을 통하여 전동스프로켓(6)과 동력전달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동모터(3)의 작동에 의해 안내스프로켓(4)이 회전함으로써, 컨베이어체인(30)은 양측의 안내스프로켓(4, 4a)을 돌아 상부측이 도면상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전달측 단부의 상부에는 컨베이어체인(30)을 따라 이송하는 유리제품(P)중 불량품을 제거하기 위한 불량제거아암(8)이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의 육안검사 등을 통해 불량으로 판단된 유리제품(P)이 통과할 때, 작업자가 소정의 조작스위치를 작동시키면, 공압실린더(9)의 동작에 의해 불량제거아암(8)이 회동하여 불량 유리제품(P)을 인접한 뷸량슈트로 밀어낸다.
컨베이어장치의 중앙영역에는 상부에 보온커버(11)가 설치되어 있다. 보온커버(11)는 판금제작된 외부강판과 단열을 위한 내부의 유리섬유로 이루어지며, 고온의 유리제품(P)이 급격히 냉각되지 아니하고 서서히 냉각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컨베이어장치의 수령측, 즉 도면의 우측에는 로딩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로딩장치(20)는, 프레임(1)에 지지되어 흡착취출기의 흡착헤드로부터 유리제품(P)을 수령하여 지지하는 수령판(22)을 가진다. 수령판(22)의 하부 일측에는 자유회동가능한 아이들링크(24)가 링크결합되어 있고, 다른 측에는 작용링크(23)의 일단부가 링크결합되어 있다. 작용링크(23)의 타단은 구동용 공압실린더(25)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수령판(22)의 상면에는 다수의 탄성부재가 부착되어 유리제품(P)과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그리하여, 흡착취출기가 프레스장치로부터 유리제품(P)을 취출하여 로딩장치(20)의 수령판(22)상에 놓으면, 그에 연동하여 공압실린더(25)가 작동하여 작용링크(23)를 가압한다. 작용링크(23)가 회동함으로써 아이들링크(24)와의 작용에 의해 수령판(22)은 수평으로 하강하여 그 상부에 적치되어 있는 유리제품(P)을 컨베이어체인(30)상에 내려놓는다. 이를 위해, 수령판(22), 작용링크(23) 및 아이들링크(24)는 컨베이어체인(30)을 사이에 두고 컨베이어체인(30)에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한 쌍이 상호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양측의 수령판(22)은 상호 협조하여 유리제품(P)을 지지하고, 양측의 작용링크(23)는 상호 동기적으로 작동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체인(30)의 각 롤러(31)에는 수평방향으로 절곡연장된 어태치먼트부(32)가 장착되어 있으며, 어태치먼트부(32)의 상부에는 고정판(33)이 용접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판(33)의 상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제품 지지장치(42)가 설치되어 있다.
유리제품 지지장치(42)는, 고정판(33)의 상부에 마련된 다수의 지지블럭(41)과 지지블럭(41)에 결합되는 접촉지지부재(40)로 이루어져 있다. 접촉지지부재(40)는, 유리제품(P)의 판면이 접촉되도록 소정의 엠보싱이 형성된 판상의 접촉부(43)와, 접촉부(43)의 판면으로부터 가로로 연장되어 후술할 함몰부(51) 내에 압입되는 막대상의 결합구(45)를 가지며, 사각형상의 유리제품(P)을 지지하기 위해, 컨베이어체인(30)를 중심으로 사각구도 배치된다.
접촉부(43)는, 고온의 유리제품(P)의 판면이 접촉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고온의 유리제품(P)과 장시간 접촉하여도 변성이나 마모가 적고 열전도율이 낮은 내열마모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적절한 재료로서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 특히 고강성과 내열성 및 내마모성을 고루 갖춘 폴리이미드(PI),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폴리에텔에텔케톤(PEEK), 폴리에텔이미드(PEI), 폴리에텔설폰(PES), 폴리페놀설파이드(PPS) 등이 있다. 이들 특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외에도,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PC), 변성폴리페닐렌에텔(PPE), 폴리부틸렌텔레프탈레이트(PBT)등의 범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접촉지지부재(40)의 재료로서 채용하여도 좋다.
지지블럭(41)은, 고정판(33)에 결합되는 판상의 지지부(46)와, 지지부(46)의 일측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접촉지지부재(40)를 수용하는 돌출부(48)를 갖는다. 지지부(46)에는, 고정판(33)으로의 볼트체결을 위한 볼트체결공(50)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8)에는, 상단부로부터 하향함몰되어 후술할 접촉지지부재(40)의 결합구(45)가 수용결합되는 함몰부(5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함몰부(51)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양 측벽에는, 접촉지지부재(40)의 상향 이탈을 위해 공구가 통과하는 관통공(5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53)은 사각블럭 형상의 돌출부(48)의 양 측벽에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형상은 장공의 형태를 띠고 함몰부(51)에 연통된다. 또한, 관통공(53)의 길이는, 접촉지지부재(40)의 결합구(45)가 함몰부(51) 내에 억지끼워맞춤될 경우, 결합구(45)의 말단보다 지지부(46)의 판면을 향해 좀 더 길게 형성되어 한 쌍의 관통공(53)끼리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제품 지지장치용 취출기(60)는, 한 쌍의 관통공(50)으로 각각 삽입되어 결합구(45)의 단부영역에 접촉되는 한 쌍의 취출돌기(63)와, 각 취출돌기(63)에 결합되어 소정의 회동축(65)을 중심으로 엇갈림배치되며 한 쌍의 취출돌기(63)를 상호 접근 및 이반시키는 레버부(61)를 갖는다. 여기서, 취출돌기(63)는 접촉지지부재(40)의 결합구(54)와 마찬가지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레버부(61)는, 그 위치에 따라, 취출돌기(63)가 형성된 헤드부(62)와,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67)로 나뉠 수 있다. 레버부(61)의 중앙영역에는 소정의 회동축(65)이 마련되어 있어, 사용자가 파지부(67)를 벌린 상태에서 한 손으로 한 쌍의 파지부(67)를 상호 접근시키게 되면, 회동축(65)에 의해 한 쌍의 취출돌기(63) 역시 상호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먼저, 지지블럭(41)을 고정판(33)에 접촉 유시시킨 후, 지지부(46)의 볼트체결공(50)으로 볼트를 삽입하여 고정판(33)에 체결한다. 이 때, 지지부(46)의 일단에 소정의 걸림돌기를 마련하여 볼트체결과 더불어 고정판(33)에 걸림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 함몰부(51)의 개구로 접촉지지부재(40)의 결합구(45)를 억지끼워넣음으로써, 유리제품 지지장치(42)의 결합은 완료된다. 이처럼, 컨베이어체인(30) 상에 유리제품 지지장치(42)의 설치가 완료되면, 고온의 유리제품(P)은 사각구도 배치된 접촉지지부재(40)의 접촉부(43)에 지지되면서 컨베이어체인(30)의 진행방향을 따라 후공정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유리제품(P)의 이송공정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고온의 유리제품(P)으로 인해 변형된 접촉지지부재(40)를 교체할 경우에는, 취출기(60)를 사용하게 된다. 즉, 돌출부(48)의 양 측벽에 형성된 관통공(53)으로 취출기(60)의 각 취출돌기(63)를 삽입시킨 후, 한 쌍의 파지부(67)를 상호 접근시키게 되면, 회동축(65)에 의해 한 쌍의 취출돌기(63)는 상호 접근하면서 접촉지지부재(40)의 결합구(45)를 상측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로써, 접촉지지부재(40)는 지지블럭(41)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상기 각 관통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구의 단부영역에 접촉되는 한 쌍의 취출돌기와; 상기 각 취출돌기에 결합되어 소정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엇갈림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취출돌기를 상호 접근 및 이반시키는 레버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지블럭으로부터 접촉지지부재를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어, 교체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공정상의 손실을 최대한도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지지블럭으로부터 접촉지지부재를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한 유리제품의 지지장치용 취출기가 제공된다.

Claims (2)

  1. 유리제품을 접촉지지하는 판상의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판면으로부터 가로로 연장된 결합구를 갖는 다수의 접촉지지부재와, 상기 접촉지지부재의 결합구가 수용되며 수용된 결합구를 중심으로 대향하는 양 측면에 한 쌍의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블럭을 갖는 유리제품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관통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구의 단부영역에 접촉되는 한 쌍의 취출돌기와;
    상기 각 취출돌기에 결합되어 소정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엇갈림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취출돌기를 상호 접근 및 이반시키는 레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제품 지지장치용 취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돌기에 대응하는 상기 레버부의 단부영역에는 파지를 위한 파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제품 지지장치용 취출기.
KR2020000015634U 2000-06-01 2000-06-01 유리제품 지지장치용 취출기 KR2002041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634U KR200204103Y1 (ko) 2000-06-01 2000-06-01 유리제품 지지장치용 취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634U KR200204103Y1 (ko) 2000-06-01 2000-06-01 유리제품 지지장치용 취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4103Y1 true KR200204103Y1 (ko) 2000-11-15

Family

ID=19659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634U KR200204103Y1 (ko) 2000-06-01 2000-06-01 유리제품 지지장치용 취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1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11029A (ko) 판유리 성형장치 및 그 방법
KR200204103Y1 (ko) 유리제품 지지장치용 취출기
KR100292561B1 (ko) 곡면 유리 제품의 제조장치
KR20030034370A (ko) 인서트부재를 갖는 사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206727Y1 (ko) 컨베이어장치용 유리제품 지지장치
CN113223882B (zh) 一种真空断路器梅花触头生产制造加工机械及加工方法
CN111590300A (zh) 全自动外球面球轴承防松动球装配机
NZ270050A (en) Mould part positioning and transfer device
US5791452A (en) Transfer mechanism for glass articles
US5516274A (en) Stretch blow molding machine with movable blow mold assembly
KR100245882B1 (ko) 고온유리 성형물이 송용컨베이어장치
KR0141184B1 (ko) 컨택트 스위치 조립체의 자동조립장치
KR101553262B1 (ko) 성형소재의 그립장치
CN208902849U (zh) 一种万能断路器大电流特性测试工位
KR200171011Y1 (ko) 고온유리성형물용로딩장치
JP2002002949A (ja) 仕分け装置
US5162123A (en) Spring-oriented rotary shear key for use in a mold
KR200263414Y1 (ko) 인서트부재를 갖는 사출물의 제조장치
KR100747988B1 (ko) 전자부품 검사기능을 구비하는 연속 이송장치
KR20010073808A (ko) 스택몰드의 사출물 취출장치
CN210805624U (zh) 交流接触器的上档件及盖板装配机
GB2263085A (en) Exchanging sub-moulds in injection moulding machines.
KR100193044B1 (ko) 미들 컨베이어의 이송방향 전환장치
JPH06286007A (ja) 断熱キャビネットの発泡装置
KR200186737Y1 (ko) 스택몰드의 사출물 취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