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332Y1 - 시각 장애자용 보행안내기구 - Google Patents

시각 장애자용 보행안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332Y1
KR200203332Y1 KR2020000014084U KR20000014084U KR200203332Y1 KR 200203332 Y1 KR200203332 Y1 KR 200203332Y1 KR 2020000014084 U KR2020000014084 U KR 2020000014084U KR 20000014084 U KR20000014084 U KR 20000014084U KR 200203332 Y1 KR200203332 Y1 KR 2002033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e
sensor
visually impaired
user
wal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40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성
허일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우대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우대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우대기술단
Priority to KR2020000014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3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3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3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8Sticks for blin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61H2201/0184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by raising an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8Audio interfaces, e.g. voice or music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각 장애자용 보행안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진행하고자 하는 영역의 지형이나 장애물 유무 등을 용이하게 사전에 감지할 수 있으므로 보행중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된 시각 장애자용 보행안내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시각장애자들이 사용하는 지팡이(10)에 있어서, 상기 지팡이(10)의 전면에 부착되며 일정거리 내의 장애물 등을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전달하는 센서(20)와, 상기 지팡이(10)에 설치되며 센서(20)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진동되는 진동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가 보행중 일정 거리 내의 장애물(40)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자용 보행안내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시각 장애자용 보행안내기구{walk guidance appliance for the blind}
본 고안은 시각 장애자용 보행안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진행하고자 하는 영역의 지형이나 장애물 등을 감지할 수 있어, 보행중 안전을 도모하도록 된 시각 장애자용 보행안내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시각장애자용 지팡이(10)는 다단으로 절첩시키거나 펼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하지 않는 동안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며, 그 소재는 가볍고 단단한 재질로 되어 사용을 편리하게 하도록 하였다. 시각장애자들은 상기와 같은 지팡이(10)를 다단으로 펼쳐 들고 다니면서 이 지팡이(10)의 끝 부분을 이동하고자 하는 영역의 지면 등을 두드려서 그 감각으로 이동하는 영역의 지형이나 장애물 유무 등을 판단하였다.
그런데, 상기 지팡이(10)는 사용자가 지팡이(10)의 끝 부분만의 감각에 의존하여 진행하는 영역의 장애물의 유무 등을 판단하기 때문에 이를 정확히 감지하기 곤란하며, 설령 사용자가 장애물 등의 유무를 감지하더라도 장애물에 거의 근접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위험에 직면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진행하고자 하는 영역의 지형이나 장애물 유무 등을 용이하게 사전에 감지할 수 있으므로 보행중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된 시각 장애자용 보행안내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시각 장애자용 보행안내기구의 단면도
도 2는 상기 보행안내기구에 부착된 센서의 감지각도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은 상기 센서의 상하 장애물 감지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b는 상기 센서의 좌우 장애물 감지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팡이 11. 핸들
12. 전자회로 20. 센서
21. 좌우 감지각도 22. 상하 감지각도
30. 진동기 31. 건전지
본 고안에 따르면, 시각장애자들이 사용하는 지팡이(10)에 있어서, 상기 지팡이(10)의 전면에 부착되며 일정거리 내의 장애물 등을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전달하는 센서(20)와, 상기 지팡이(10)에 설치되며 센서(20)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진동되는 진동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가 보행중 일정 거리 내의 장애물(40)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자용 보행안내기구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시각 장애자용 보행안내기구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시각 장애자용 보행안내기구는 지팡이(10)의 전방에 부착된 센서(20)와, 진동기(30)로 구성되어 보행자가 진행하는 방향의 장애물 등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센서(20)는 지팡이(10)의 핸들(11) 끈 부분에서 약간 하단에 위치하는데, 보행자가 진행하는 영역에서의 장애물 유무를 진동기(30)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상기 센서(20)는 도 2에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일정거리 및 좌우인식각도(21) 및 상하인식각도(22) 만큼 일정 각도를 인식하여 장애물 유무 등을 감지하여 그 정보를 진동기(30)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때, 상기 센서(20)의 상하인식각도(21) 와 좌우인식각도(22) 및 거리는 센서(20)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센서(20)가 좌우 90。, 상하 90。, 거리 3M 정도의 영역을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기(30)는 지팡이(10)의 전면에서 상부에 있는 핸들(11)과 일체화되어 설치되는데, 센서(20)로부터 전달되어온 전기적인 신호를 물리적인 진동신호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여기서, 상기 핸들(11)은 사용자가 잡은 상태에서 상기 센서(20)가 지향하는 방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단면이 '??'자 모양이나 각진형태, 혹은 요철이나 돌기 등을 사용하여 방향성을 갖도록 제작한다. 또한, 상기 지팡이(10)의 상부에는 그 내부 전면에 건전지(31)가 삽입되고, 이를 커버(32)로 덮어서 고정하게 되며, 그 내부 후방에는 센서(20)가 감지한 신호를 진동기(30)에 전달하도록 하는 전자회로(12)가 설치된다.
이때, 본 고안은 영상인식 장치와 같이 거리와 각도를 판단할 수 있는 센서와, 음향제공장치를 이용하여 맹인안내견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응용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시각 장애자용 보행안내기구는 지팡이(10)에 센서(20)를 부착하고, 이 지팡이(10)의 핸들(11)에 진동기(30)를 일체로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지팡이(10) 끝 일부분만의 정보로 진행하고자 하는 영역의 지형이나 장애물 유무 등을 판단하던 종래의 방법과 달리, 보다 광범위한 감지정보를 제공하여 판단에 도움을 준다. 즉, 보행자는 지팡이(10)를 두드리면서 느끼는 감각을 1차 정보로 하고, 센서(20)의 감지정보를 2차 정보로 하며, 센서(20)에 의해서 감지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진동기(30)의 물리적인 진동에 따라 느끼는 감각을 3차 정보로 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의 지형 및 장애물 유무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시각 장애자용 보행안내기구는 지팡이의 전방에 부착된 센서와 이 지팡이의 핸들과 일체화되어 설치된 진동기에 의해, 사용자가 진행하고자 하는 영역의 지형이나 장애물 유무 등을 사전에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으므로 보행중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시각장애자들이 사용하는 지팡이(10)에 있어서, 상기 지팡이(10)의 전면에 부착되며 일정거리 내의 장애물 등을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전달하는 센서(20)와, 상기 지팡이(10)에 설치되며 센서(20)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진동되는 진동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가 보행중 일정 거리 내의 장애물(40)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자용 보행안내기구.
KR2020000014084U 2000-05-18 2000-05-18 시각 장애자용 보행안내기구 KR2002033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084U KR200203332Y1 (ko) 2000-05-18 2000-05-18 시각 장애자용 보행안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084U KR200203332Y1 (ko) 2000-05-18 2000-05-18 시각 장애자용 보행안내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332Y1 true KR200203332Y1 (ko) 2000-11-15

Family

ID=19656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4084U KR200203332Y1 (ko) 2000-05-18 2000-05-18 시각 장애자용 보행안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33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1347A2 (ko) 2009-12-30 2011-07-07 (주) 부성 리싸이클링 Rfid 태그를 인식하기 위한 시각장애인 전자지팡이
KR20200077769A (ko) 2018-12-21 2020-07-0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용 교통신호 음향 안내 시스템
KR20220109822A (ko) * 2021-01-29 2022-08-05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지팡이 및 이를 이용한 장애물 회피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1347A2 (ko) 2009-12-30 2011-07-07 (주) 부성 리싸이클링 Rfid 태그를 인식하기 위한 시각장애인 전자지팡이
KR20200077769A (ko) 2018-12-21 2020-07-0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용 교통신호 음향 안내 시스템
KR20220109822A (ko) * 2021-01-29 2022-08-05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지팡이 및 이를 이용한 장애물 회피방법
KR102538611B1 (ko) 2021-01-29 2023-05-30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지팡이 및 이를 이용한 장애물 회피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582B1 (ko)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KR102025832B1 (ko) 스마트 지팡이
JP5311389B2 (ja) 視覚障害者用歩行支援装置及び視覚障害者用歩行支援システム
WO2009001991A1 (en) Voice guidance apparatus for visually handicapped
WO2018084816A2 (en) Motion-liberating smart walking stick
KR200203332Y1 (ko) 시각 장애자용 보행안내기구
KR100647069B1 (ko) 시각장애인용 보행안내시스템
KR100615670B1 (ko)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
KR101027240B1 (ko)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KR20190100710A (ko) 시각 장애인용 스마트 지팡이
KR102228166B1 (ko) 스마트 지팡이 및 이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안내시스템
KR20200082694A (ko) 장애물 감지 신발
KR200432897Y1 (ko) 시각장애자용 도보가이드 장치
KR20160095355A (ko) 각종 센서를 겸비한 전자식 스마트 지팡이
CN115721533A (zh) 步行信息提供系统
KR200373281Y1 (ko) 시각장애자용 도보가이드 장치
KR102665012B1 (ko) 시각장애인용 스마트 지팡이
KR100388023B1 (ko) 시각장애인 안내용 전자감지 지팡이
KR20230077003A (ko)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KR20210004730A (ko) 다기능 지팡이
KR102279982B1 (ko)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
JP2001258964A (ja) 視覚障害者用杖
KR200238776Y1 (ko) 시각 장애자용 안내장치
KR20210085118A (ko) 시각장애인 보행용 장갑
KR2006002095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장애물 감지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