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066Y1 - 낚시줄 고정구 - Google Patents

낚시줄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066Y1
KR200203066Y1 KR2019980016470U KR19980016470U KR200203066Y1 KR 200203066 Y1 KR200203066 Y1 KR 200203066Y1 KR 2019980016470 U KR2019980016470 U KR 2019980016470U KR 19980016470 U KR19980016470 U KR 19980016470U KR 200203066 Y1 KR200203066 Y1 KR 2002030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fishing
tip
fixture
fish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64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5613U (ko
Inventor
박보국
Original Assignee
박보국
주식회사은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보국, 주식회사은성사 filed Critical 박보국
Priority to KR20199800164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066Y1/ko
Publication of KR200000056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6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0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0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고안의 명칭]
낚시줄 고정구
[고안의 목적]
본고안은 낚시줄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대의 제일 선단대롱에 부착고정되어 낚시줄이 꼬이거나 엉킴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물고기 등의 닿는 감도를 낚시대를 잡고 있는 손끝에 민감하게 전달되게 한 낚시줄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고안의 목적은 낚시줄의 엉킴이나 꼬이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물고기 등의 닿는 감도가 낚시대의 손끝에 민감하게 전달되게 함에 있고, 다른 목적은 릴리안 이라는 부품수를 줄여 낚시대의 원가를 절감시키고자 함에 있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고안은 낚시대의 선단대롱 선단부가 삽입고정되는 삽입공을 내측에 형성한 몸체의 전방에 머리부의 지름보다 작은 낚시줄 결착부를 형성하고 그 전방의 머리부에는 낚시줄을 묶을 수 있는 관통홀을 형성하고 있다.

Description

낚시줄 고정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낚시대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선단대롱과 이 선단대롱의 선단부에 고정되는 낚시줄 고정구, 그리고 선단에 낚시바늘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낚시줄 고정구에 고정되는 낚시줄로 이루어 지는 바, 상기에서 선단대롱은 자체탄성력이 우수한 탄소섬유 및 합성수지 그리고 대나무등으로 이루어지며 이동의 편리성을 위하여 그 길이가 신축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편적 이다.
상기와 같이 선단대롱의 선단부에 고정되는 낚시줄 고정구는 낚시줄의 엉킴이나 꼬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인데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선단대롱의 선단부에 직경이 아주 작은 고정부재를 고정하고, 이의 고정부재 선단에 유연성 튜브인 릴리안이라 불리는 유연성 부재를 고정하여 유연성 부재에 낚시줄을 묶어 사용하였는바, 상기한 종래기술은 낚시도중에 낚시줄에 힘이 가해지면 릴리안이 힘이 가해진 방향으로 유연하게 변형하여 낚시줄의 엉킴이나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가 있다.
또한 릴리안을 선단대롱의 선단부에 회전자재로 설치하여 낚시줄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릴리안이 따라 회전함으로써 낚시줄의 엉킴이나 꼬임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기술도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유연성 부재인 릴리안이 선단대롱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으면 물고기 등의 닿는 감도가 낚시대의 손끝에 민감하게 전달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고, 또한 회전 릴리안의 경우는 릴리안과 선단부와의 회전부분에 존재하는 틈새 때문에 선단대롱을 흔들거나 할때 회전부분에서 충돌을 또는 진동음이 발생하여 귀를 거슬리는 문계가 있었으며, 특히, 상기 모두 릴리안이라는 부품이 소요됨으로 인한 낚시대의 원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단점이 지적되는 것이었다.
본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고안의 목적은 낚시줄의 엉킴이나 꼬이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물고기 등의 닿는 감도가 낚시대의 손끝에 민감하게 전달되게 함에 있고, 다른 목적은 릴리안 이라는 부품수를 줄여 낚시대의 원가를 절감시키고자 함에 있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고안은 낚시대의 선단대롱 선단부가 삽입고정되는 삽입공을 내측에 형성한 몸체의 전방에 머리부의 지름보다 작은 낚시줄 결착부를 형성하고 그 전방의 머리부에는 낚시줄을 묶을 수 있는 관통홀을 형성하고 있다.
제1도는 본고안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결합상태 일부 단면구성도.
제3도는 본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단면구성도.
제4도는 본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낚시줄 고정구 2 : 몸체
3 : 낚시줄 결착부 4 : 머리부
6 : 삽입공 7 : 관통홀
통상의 합성수지, 금속, 세라믹, 고무 기타의 재료를 재질로 한 낚시줄 고정구(1)를 단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고정구(1)는 몸체(2)와 낚시줄 결착부(3) 그리고 선단이 곡면처리된 머리부(4)로 구분되어 단일체로 형성되며, 몸체(2)의 내면에는 선단대롱(5)의 선단부(5′)가 삽입고정되는 삽입공(6)을 형성하고 몸체(2)와 머리부(4)의 지름보다 작게 낚시줄 결착부(3)를 형성하여 몸체(2)와 머리부(4)를 연결토록 하며, 머리부(4)에는 낚시줄을 관통시켜 묶을 수 있는 관통홀(7)을 형성한 구조로서, 도면 중 미설명 부호 (8)은 낚시줄 (9)는 낚시대를 지칭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고안은 낚시대(9) 선단대롱(5)의 선단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고정구(1)의 몸체(2) 내면에 형성된 삽입공(6)에 삽입고정하면 낚시줄 고정구(1)가 선단대롱(5)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며, 이같은 상태에서 낚시줄(8)은 제2도 및 제3도에서와 같이 머리부(4)와 몸체(2)의 지름보다 작은 낚시줄 결착부(3)에 묶어 사용하거나 또는 낚시줄(8)을 머리부(4)의 관통홀(7)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낚시줄(8)의 상단을 매듭지어 매듭부가 관통홀(8)의 상단에 걸리도록 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낚시줄(8)을 관통홀(7)에 관통시켜 머리부(4)의 선단곡면처리된 일측으로 인출시킨 상태에서 묶어 사용할 수 도 있는 것인바,
본고안 첨부도면에서 관통홀(7)의 직경은 도면상으로는 낚시줄(8) 직경보다 훨씬 크게 표현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관통홀(7)은 낚시줄(8)이 통과할 수 있을 만큼의 직경으로써 미세한 구멍이다.
이상과 같은 본고안은 고정구 몸체내면의 삽입공에 선단대롱의 선단부를 삽입고정하고 고정구의 낚시줄 결착부 또는 관통홀에 낚시줄을 묶어 사용함으로써 물고기등의 닿는 감도가 낚시대에 바로 연결되면서 손끝에 민감하게 전달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정구가 낚시대와 같은 대롱형으로서 그 외주면이 매끄러운 형상이므로 낚시줄의 엉킴이나 꼬임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부품수를 줄임으로써 낚시대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등 본고안에 의하여 달성되는 효과가 매우 큰 것이다.
본고안은 낚시줄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대의 제일 선단대롱에 부착고정되어 낚시줄이 꼬이거나 엉킴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물고기 등의 닿는 감도를 낚시대를 잡고 있는 손끝에 민감하게 전달되게 한 낚시줄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합성수지, 금속, 세라믹, 고무 기타의 재료를 재질로 한 낚시줄 고정구(1)를 단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고정구(1)는 몸체(2)와 낚시줄 결착부(3) 그리고 선단이 곡면처리된 머리부(4)로 구분되어 단일체로 형성되며, 몸체(2)의 내면에는 선단대롱(5)의 선단부(5′)가 삽입고정되는 삽입공(6)을 형성하고 몸체(2)와 머리부(4)의 지름보다 작게 낚시줄 결착부(3)를 형성하여 몸체(2)와 머리부(4)를 언결토록 하며, 머리부(4)에는 낚시줄을 관통시켜 묶을 수 있는 관통홀(7)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 고정구.
KR2019980016470U 1998-08-29 1998-08-29 낚시줄 고정구 KR2002030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470U KR200203066Y1 (ko) 1998-08-29 1998-08-29 낚시줄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470U KR200203066Y1 (ko) 1998-08-29 1998-08-29 낚시줄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613U KR20000005613U (ko) 2000-03-25
KR200203066Y1 true KR200203066Y1 (ko) 2001-01-15

Family

ID=69520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6470U KR200203066Y1 (ko) 1998-08-29 1998-08-29 낚시줄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0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613U (ko) 200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6202B1 (ko) 줄 꼬임 방지용 낚시채비
KR200203066Y1 (ko) 낚시줄 고정구
JP2009268461A (ja) 釣り針
JP3044045U (ja) 釣り糸接続具
JPH09298982A (ja) 釣り用掛け針
KR200150970Y1 (ko) 낚시줄 고정구
JP3152150U (ja) 竿先の糸絡み防止具
KR200235407Y1 (ko) 엉킴방지 다본 채비
JP3156613U (ja) 枝ハリス止め具
JPH0956301A (ja) 釣 竿
JP3262774B2 (ja) 釣針付き仕掛け
JPH0536379Y2 (ko)
KR940002466Y1 (ko) 낚싯대
JPS646702Y2 (ko)
JPS5932279Y2 (ja) 釣り糸の絡み防止具
KR930006900Y1 (ko) 낙지잡이용 줄낚시봉돌
KR200235406Y1 (ko) 낚시용 찌
JP2781548B2 (ja) 友釣り用仕掛け治具
KR100313833B1 (ko) 대와 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낚시대
JP3016495U (ja) 海釣り用オキアミキーパー
KR200235483Y1 (ko) 낚시용 붕어바늘채비
JP2002223671A (ja) 糸がらみ防止の釣り竿穂先カバー
JP3708491B2 (ja) 糸付き釣り針
KR200260089Y1 (ko) 낚시바늘
JP3789524B2 (ja) 釣糸取付具および釣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