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037Y1 - 100~240볼트 겸용 정전압 장치 - Google Patents

100~240볼트 겸용 정전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037Y1
KR200203037Y1 KR2020000015287U KR20000015287U KR200203037Y1 KR 200203037 Y1 KR200203037 Y1 KR 200203037Y1 KR 2020000015287 U KR2020000015287 U KR 2020000015287U KR 20000015287 U KR20000015287 U KR 20000015287U KR 200203037 Y1 KR200203037 Y1 KR 2002030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ant voltage
voltage
unit
rectifying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52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빈
Original Assignee
최상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빈 filed Critical 최상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0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0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2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5/2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5/25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5/257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control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01L29/74Thyristor-type devices, e.g. having four-zone regenerative action
    • H01L29/747Bidirectional devices, e.g. tria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9/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9/1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by variation of field
    • H02P9/2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by variation of field due to variation of continuously-variable ohmic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AC입력전원을 정류한 후 소정레벨의 정전압으로 조정하고 나서 위상제어를 위한 트리거신호를 생성하는 정전압부와, 상기 트리거 신호에 의해 AC입력전원을 위상 제어하면서 이를 정류 평활하는 정류 평활부 및 시작 및/또는 정지 스위치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정류 평활부에서 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하는 모터 구동 제어부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AC전원의 입력레벨에 관계없이 전동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일정한 레벨로 정류 평활하면서도 정전압 장치에서 발생되는 열을 극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100~240볼트 겸용 정전압 장치{Line stabilizer}
본 고안은 100~240V 겸용 정전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AC전원의 위상 제어를 통해 AC전원의 입력레벨에 관계없이 전동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일정한 레벨로 정류 평활할 수 있도록 하는 100~240V 겸용 정전압 장치에 관한 것이다.
1990. 07. 09 자로 선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10162호는 '프리볼트(free volt)회로를 구성함에 있어서, AC입력전압을 저항(R) 및 다이오드(D)를 통해 인가시켜 커패시터(C)에 의해 전압 조정하여 코일(T)에 설치한 릴레이(RL)를 작동케하고 이 릴레이(RL)의 양접점으로부터 110V 및 220V의 전압을 도출할 수 있게 회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110V/220V 자동 절환회로 장치'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장치에서는 별도의 릴레이를 구비해야 함을 물론이고, 트랜스를 이용하여 출력전압을 조절하기 때문에 출력전압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되는 결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대부분의 가전제품에 장착되는 자동절환회로 장치에서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되므로 가전제품을 이루는 다수의 부품들이 오동작되어 가전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다. 특히, 최근들어 대부분의 가전제품 내에 열에 민감한 집적회로가 내장되면서 자동 절환회로 장치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AC전원의 위상 제어를 통해 AC전원의 입력레벨에 관계없이 전동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일정한 레벨로 정류 평활할 수 있도록 하는 100~240V 겸용 정전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100~240V 겸용 정전압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정전압부 110 : 미세 조정부
200 : 정류 평활부 300 : 모터 구동 제어부
S2 : 시작 스위치 S3 : 정지 스위치
M1 : 모터 TRIAC1 : 트라이악
ISO2,ISO3 : 아이솔레이터 Q1∼Q4 : 트랜지스터
SFR1 : 가변저항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본 고안은, AC입력전원을 정류한 후 소정레벨의 정전압으로 조정하고 나서 위상제어를 위한 트리거신호를 생성하는 정전압부(100)와, 상기 트리거 신호에 의해 AC입력전원을 위상 제어하면서 이를 정류 평활하는 정류 평활부(200) 및 시작 및/또는 정지 스위치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정류 평활부에서 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하는 모터 구동 제어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정전압부(100)와 정류 평활부(200) 그리고 모터(M1)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모터 구동 제어부(300)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정전압부(100)는 브리지 다이오드(D2)에 의해 정류된 AC 입력전압을 소정레벨의 정전압으로 조정하는 저항(R5)과 제너 다이오드(ZD1)로 구성된 정전압회로와, 상기 정전압회로의 출력전압을 충방전하는 저항(R2)(R1) 및 커패시터(C1)와, 상기 저항(R2)(R1) 및 커패시터(C1)에 의해 충방전되는 전압과 두 개의 저항(R3)(R4)으로 분압된 AC입력전압을 대비하여 트리거 신호를 발생하는 PUT(PUT1)와, 상기 PUT(PUT1)에서 발생되는 트리거 신호를 정류 평활부(200)의 트라이악(TRIAC1)에 전달하는 아이솔레이터(ISO2)로 구성되는 있다.
상기 정전압부(100)에는 정류 평활부(200)의 커패시터(C2) 양단의 출력전압이 피드백되며 정전압의 미세조정이 가능하도록 된 가변저항(SFR1)과, 상기 가변저항(SFR1)의 통한 피드백 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제너 다이오드(D7)(D6)와, 상기 제너 다이오드(D7)(D6)를 통한 전압에 의해 구동되어 PUT(PUT1)에 가해지는 전압의 시간을 조정하는 아이솔레이터(ISO3)를 구비한 미세 조정부(110)가 더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정류 평활부(200)는 상기 정전압부(200)의 트리거 신호에 의해 브리지 다이오드(D1)에 흐르는 AC입력전원의 위상을 제어하는 트라이악(TRIAC1)과, 상기 트라이악(TRIAC1)에 의해 위상 제어된 AC입력전원을 정류하는 브리지 다이오드(D1)와,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D1)에 의해 정류된 AC입력전원을 평활하는 커패시터(C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터 구동 제어부(300)는 시작 스위치(S2)의 조작으로 정역구동되어 모터(M1)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게 되는 두 개의 트랜지스터(Q2)(Q1)와, 정지 스위치(S4)의 조작으로 SCR 작용을 하여 상기 두 개의 트랜지스터(Q2)(Q1)에 대한 트리거를 다운시키게 되는 두 개의 트랜지스터(Q3)(Q4)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100V∼230V의 AC 입력전원은 브리지 다이오드(D2)에 의해 정류되어 정전압 조정용 저항(R5)과 제너 다이오드(ZD1)를 통해 저항(R2)과 저항(R21)을 거쳐 커패시터(C1)에 충전된다. PUT(PUT1)(Programmable Unijunction Transistor)는 커패시터(C1)에 충전된 전압과 저항(R4)과 저항(R3)에 의해 분압된 전압을 비교하여 정전압 작용을 위한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렇게 정전압 작용을 위해 발생되는 트리거 신호는 커패시터(C1)에 충전되는 시정수와 저항(R4)와 저항(R3)에 분압되는 전압의 시간차로 결정된다. PUT(PUT1)가 트리거되면 아이솔레이터(ISO2)를 구동되어 트라이악(TRIAC1)이 트리거된다.
이때 저항(R13)(R14)은 트라이악(TRIAC1)의 게이트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SCR(SCR-112)은 써지 전류로부터 트라이악(TRIAC1)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저항(R5)과 제너 다이오드(D1)로 구성된 정전압회로와 트라이악(TRIAC1)에 의해 위상 제어된 AC전압은 브리지 다이오드(D1)와 커패시터(C2)에 의해 정류 및 평활된다. 이때 커패시터(C2)에 걸린 전압은 가변저항(SFR2)과 저항(R22), 두 개의 제너 다이오드(D7)(D6)를 거쳐 아이솔레이터(ISO3)의 애노우드에 흐른다.
여기서, 아이솔레이터(ISO3)는 애노우드에 전류가 많이 흐를수록 에미터와 콜렉터 사이의 저항값이 감소하여 저항(R2)에 흐르는 전류를 억제하고, 반대로 아이솔레이터(ISO3)의 애노우드에 흐르는 전류가 감소되면 아이솔레이터(ISO3)의 콜렉터와 에미터 간의 저항값이 증가하여 저항(R2)에는 전류가 잘 흐르는 특징을 갖는다.
결과적으로는 커패시터(C2)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아이솔레이터(ISO3)의 에미터와 콜렉터의 저항값이 변하게 되므로 정전압 작용을 한다.
또한, 150V 이상의 AC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두 개의 제너 다이오드(D4)(D5)와 저항(R20)은 정전압을 보상하는 작용을 한다.
이어서, 모터(M1)에 걸리는 전압을 100V로 조정하는 경우 AC입력을 150V로 맞추고 가변저항(SFR1)을 조정하면, 정류 평활부(200)의 출력이 모터(M1)가 도는 동안 다이오드(D11)와 저항(R27)을 거쳐 커패시터(C7)에 충전된다.
여기서, 다이오드(D10)는 커패시터(C7)에 걸리는 전압을 소정의 전압(12V)으로 제한하고, 다이오드(D11)는 커패시터(C7)가 완전 충전되었을 때 역전류가 흘러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시작 스위치(S2)를 닫으면 DC100V의 전원이 저항(R24)을 거쳐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흐르게 되어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면서 다이오드(D9)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모터(M1)가 돌기 시작한다. 이때 트랜지스터(Q2)가 '턴온'상태이므로 트랜지스터(Q1)는 '턴오프'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스위치(S3)는 모터(M1)에 공급되는 전류의 흐름을 조절하여 모터(M1)의 회전방향을 절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렇게 모터(M1)가 도는 동안 정지 스위치(S4)를 닫으면 커패시터(C7)에 충전된 전압이 커패시터(C6)에 충전되는 데, 커패시터(C6)의 충전이 완료되면 트랜지스터(Q4)가 트리거되면서 트랜지스터(Q3)를 트리거시킨다.
즉, 트랜지스터(Q3)(Q4)가 SCR 작용을 하게 되어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 전압이 0V가 될 때까지 연속해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저항(R24)을 거쳐 트랜지스터(Q2)를 트리거하는 전압이 0V가 된다. 이때 스위치(S2)를 열 때까지는 저항(R24)을 통하여 전류가 흐르게 된다. 물론, 시작 스위치(S2)를 열어주면 위와 같은 트랜지스터(Q3)(Q4)의 SCR 작용은 중지된다.
여기서, 저항(R26)은 커패시터(C6)의 방전시간을 조절하고, 저항(R25)은 노이즈로 인한 트랜지스터(Q2)의 오동작을 차단하며, 다이오드(D12)는 트랜지스터(Q2)의 게이트에 걸리는 전압을 제한하여 과전압으로부터 트랜지스터(Q2)를 보호한다.
시작 스위치(S2)가 닫혀 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되면 저항(R23)을 거쳐 흐르는 전류에 의해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어 모터(M1)에 발생된 역기전력은 저항(R8)을 통하여 부하가 걸리면서 모터(M1)는 즉시 정지한다. 이렇게 모터(M1)가 정지하는 동안 트랜지스터(Q2)는 '턴오프'되고 트랜지스터(Q1)는 '턴온'된다.
여기서, 커패시터(C3)는 AC라인에 흐르는 써지 전류를 흡수하는 작용을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AC전원의 입력레벨에 관계없이 전동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일정한 레벨로 정류 평활하면서도 정전압 장치에서 발생되는 열을 극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5)

  1. AC입력전원을 정류한 후 소정레벨의 정전압으로 조정하고 나서 위상제어를 위한 트리거신호를 생성하는 정전압부(100);
    상기 트리거 신호에 의해 AC입력전원을 위상 제어하면서 이를 정류 평활하는 정류 평활부(200); 및
    시작 및/또는 정지 스위치(S2)(S3)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정류 평활부(200)에서 모터(M1)로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하는 모터 구동 제어부(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0~240V 겸용 정전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부(100)는, 브리지 다이오드(D2)에 의해 정류된 AC 입력전압을 소정레벨의 정전압으로 조정하는 저항(R5)과 제너 다이오드(ZD1)로 구성된 정전압회로와, 상기 정전압회로의 출력전압을 충방전하는 저항(R2)(R1) 및 커패시터(C1)와, 상기 저항(R2)(R1) 및 커패시터(C1)에 의해 충방전되는 전압과 두 개의 저항(R3)(R4)으로 분압된 AC입력전압을 대비하여 트리거 신호를 발생하는 PUT(PUT1)와, 상기 PUT(PUT1)에서 발생되는 트리거 신호를 정류 평활부(200)의 트라이악(TRIAC1)에 전달하는 아이솔레이터(ISO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0~240V 겸용 정전압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부(100)에는 정류 평활부(200)의 커패시터(C2) 양단의 출력전압이 피드백되며 정전압의 미세조정이 가능하도록 된 가변저항(SFR1)과, 상기 가변저항(SFR1)의 통한 피드백 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제너 다이오드(D7)(D6)와, 상기 제너 다이오드(D7)(D6)를 통한 전압에 의해 구동되어 PUT(PUT1)에 가해지는 전압의 시간을 조정하는 아이솔레이터(ISO3)를 구비한 미세 조정부(11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0~240V 겸용 정전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평활부(200)는, 상기 정전압부(200)의 트리거 신호에 의해 브리지 다이오드(D1)에 흐르는 AC입력전원의 위상을 제어하는 트라이악(TRIAC1)과, 상기 트라이악(TRIAC1)에 의해 위상 제어된 AC입력전원을 정류하는 브리지 다이오드(D1)와, 상기 브리지 다이오드(D1)에 의해 정류된 AC입력전원을 평활하는 커패시터(C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0~240V 겸용 정전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 제어부(300)는, 시작 스위치(S2)의 조작으로 정역구동되어 모터(M1)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게 되는 두 개의 트랜지스터(Q2)(Q1)와, 정지 스위치(S4)의 조작으로 SCR 작용을 하여 상기 두 개의 트랜지스터(Q2)(Q1)에 대한 트리거를 다운시키게 되는 두 개의 트랜지스터(Q3)(Q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100~240V 겸용 정전압장치.
KR2020000015287U 2000-05-30 2000-05-30 100~240볼트 겸용 정전압 장치 KR20020303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241A KR100330498B1 (ko) 2000-05-30 2000-05-30 100~240볼트 겸용 정전압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241A Division KR100330498B1 (ko) 2000-05-30 2000-05-30 100~240볼트 겸용 정전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037Y1 true KR200203037Y1 (ko) 2000-11-15

Family

ID=196707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241A KR100330498B1 (ko) 2000-05-30 2000-05-30 100~240볼트 겸용 정전압 장치
KR2020000015287U KR200203037Y1 (ko) 2000-05-30 2000-05-30 100~240볼트 겸용 정전압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241A KR100330498B1 (ko) 2000-05-30 2000-05-30 100~240볼트 겸용 정전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304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646B1 (ko) * 2008-04-22 2010-05-26 (주)도성산업기계 교류 정류기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0498B1 (ko) 2002-04-03
KR20010108631A (ko) 200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6232A (en) DC on line AC brushless motor
US6862201B2 (en) Method and circuitry for active inrush current limiter and power factor control
EP1100190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urrent supply and the static capacitance of a compressor
CA2528977A1 (en) High efficiency off-line linear power supply
EP2187513B1 (en) Electronic circuit arranged to control voltage applied to a load
US5938172A (en) Solenoid valve drive system
JP2004343988A (ja) モーター電源供給装置
US10833503B2 (en) Hardware control for prevention of dangerous restart in a power tool
US4449054A (en) Electronic circuit for controlling the supply voltage of electromagnets, electric motors, resistors, in single- and three-phase systems
JP2915133B2 (ja) モータの給電回路
KR200203037Y1 (ko) 100~240볼트 겸용 정전압 장치
US5949158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electrical consumers connected to an AC line voltage
JP2522797Y2 (ja) 車両用交流発電機の制御装置
EP0822646B1 (en) Load control device
US20230059110A1 (en) Power stealing using a current transformer
US5920469A (en) DC power supply operable from variable A.C. supply mains and utilizing minimally sized energy storage capacitor
WO2006001601A1 (en) Starting circuit for electric motor
US5850160A (en) Gate drive circuit for an SCR
JP2956061B2 (ja) 車両用電源装置
JP3401957B2 (ja) 交流発電機を電源とした直流電源装置
JP2819867B2 (ja) 電源装置
JPH0323804Y2 (ko)
WO1997049165A1 (en) Gate drive circuit for an scr
JP2819875B2 (ja) 電源装置
JPH051471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