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598Y1 - 웹-박스 - Google Patents

웹-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598Y1
KR200202598Y1 KR2020000018112U KR20000018112U KR200202598Y1 KR 200202598 Y1 KR200202598 Y1 KR 200202598Y1 KR 2020000018112 U KR2020000018112 U KR 2020000018112U KR 20000018112 U KR20000018112 U KR 20000018112U KR 200202598 Y1 KR200202598 Y1 KR 2002025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box
data
internet
satell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1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민수
Original Assignee
손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민수 filed Critical 손민수
Priority to KR20200000181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5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5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5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43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위성방송 수신용 셋탑박스(set-top box)를 개량한 웹-박스(WEB-BOX)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컴퓨터(PC)가 필요없도록 셋탑박스(STB)에 인터넷 송/수신 기능을 부가하여 위성방송 및 인터넷 데이터의 다운로드(Down Load:수신)는 초고속 고품질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통신위성을 이용하고, 고속통신이나 초고속통신이 요구되지 않는 정보요청 및 업로드(Up Load)는 기존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위성방송 뿐만 아니라 초고속 고품질의 인터넷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웹-박스{WEB BOX}
본 고안은 위성방송 수신용 셋탑박스(set-top box)를 개량한 웹-박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별도의 컴퓨터(PC)가 필요없도록 셋탑박스(STB)에 인터넷 송/수신 기능을 부가하여 위성방송 및 인터넷 데이터의 다운로드(Down Load:수신)는 초고속 고품질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통신위성을 이용하고, 고속통신이나 초고속통신이 요구되지 않는 정보요청 및 업로드(Up Load)는 기존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위성방송 뿐만 아니라 초고속 고품질의 광역 인터넷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유/무선 인터넷 등으로 대변되는 현재의 통신환경은 하루가 다르게 변하고 있다. 또한 통신의 기본이 되는 컴퓨터(PC)의 보급이 일반화 되어가고 있으나 컴퓨터와는 덜 친숙한 가정주부, 노인들에게 있어서 컴퓨터의 이용은 어려운 작업으로 인식되어 정보의 소유에서 소외되고 있다.
기존의 셋탑박스(STB : Set Top box) 시스템은 위성방송만을 수신하므로 인터넷을 사용하려면 별도의 컴퓨터를 이용하거나 구입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현재까지 컴퓨터로 인터넷에 연결하는 방법은 모뎀을 이용한 전화선이나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등의 회선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연결하고 있으며 컴퓨터(PC)를 잘 다루는 사람은 이용하는데 별다른 어려움이 없지만 초보자가 다루기에는 쉽지도 않을 뿐 아니라 유선망을 이용하므로 많은 이용자가 접속하였을 때 통화폭주에 의한 트래픽(Traffic), 다운로드(Down Load)에서 자주 끊어지거나 접속불량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기존 유선통신망의 경우 특히 에러율이 높다. 예를들어 한정되어 있는 통신회선에 통신회선에 육박하는 접속이나 초과하는 접속이 발생되면 통신속도가 급격히 저하될 뿐 아니라 접속 또한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러나 지역이나 시간 및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거나 거의 받지 않는 통신위성에 의한 전파를 이용하는 경우 데이터를 무선전파로 수신하여 다운로드하면 되므로 기존의 유선통신망과 같은 트래픽에 의한 속도저하나 다운로드 불량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통신환경에 발맞추고 남녀노소 구분없이 누구나 지식과 정보를 공유하며 양질의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고 지역적 위치적 한계를 넘는 통신위성과 셋탑박스(STB)를 이용한 위성인터넷 환경을 구축하고자 한다.
즉, 본 고안은 별도의 컴퓨터(PC)가 필요 없도록 셋탑박스(STB)에 인터넷 송/수신 기능을 부가하여 위성방송 데이터 및 인터넷 정보 데이터의 다운로드(Down Load:수신)는 초고속 고품질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면서 고품질의 초고속 통신서비스가 가능한 통신위성을 이용하도록 하고, 고속통신이나 초고속통신이 요구되지 않는 정보요청 및 업로드(Up Load)는 기존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위성방송 뿐 만 아니라 초고속 고품질의 인터넷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웹-박스(WEB BOX)를 제공 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용자가 위성방송을 시청할 때에는 종전처럼 통신위성으로부터 전파되는 위성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시청하도록 하고, 인터넷을 이용하는 경우 기존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ISP(인터넷정보사업자 또는 그 제공자)에게 정보요청 및 업로드(Up Load) 요청하면, ISP에서는 위성센터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요청한 정보 및 데이터를 통신위성을 통하여 대용량 및 고속으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33.6Kbps 또는 56Kbps 모뎀보다 50배 내지 100배로 전송 속도가 증가될 뿐 아니라 고품질의 인터넷 통신을 광역서비스가 가능한 초고속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도 1 : 본 고안의 개념도.
도 2 : 본 고안 다른 실시 예의 개념도.
도 3 : 본 고안 일 실시 예의 절차도.
도 4 : 본 고안 웹-박스의 일 실시 예의 구성도.
도 5 : 본 고안 웹-박스의 일 실시 예의 회로블럭도.
도 6 : 본 고안 일 실시 예의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중앙처리장치(CPU) (11)--램(RAM)
(12)--바이오스 롬 (13)--인터럽트 콘트롤러
(14)--DMA 콘트롤러 (15)--데이터 버스
(16)--입출력 콘트롤러 (17)--저장장치(HDD, FDD 등)
(18)--인터페이스/포트 (19)--인터넷 위성방송카드
(20)--모뎀(통신장치) (21)--위성안테나
(22)--튜너 (23)--QPSK변조기
(24)--마이크로 프로세서 (25)--MPEG-2 디코더
(26)--NTSC/PAL 비디오 인코더 (27)--TV/VCR
(28)--PCI 인터페이스 (29)--PCI 버스
(30)--버스 콘트롤러 (31)--전원부
(32)--클럭발진부 (33)--정전압부
(34)--입력장치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도 2는 본 고안 웹-박스의 개념도이고, 도 3은 신호처리 절차도로, 위성방송 및 인터넷 데이터의 다운로드(Down Load:수신)는 시간적 제한ㆍ지역적 제한ㆍ장소적 제한이 없거나 거의 없는 대용량 초고속 고품질의 통신위성을 이용하고, 고속 통신이나 초고속 통신이 요구되지 않는 정보요청 및 업로드(Up Load)는 기존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위성방송 뿐만 아니라 초고속 고품질의 인터넷 정보를 서비스를 할 수 있게 된다.
즉, 이용자가 위성방송을 시청할 때에는 종전처럼 통신위성으로부터 전파되는 위성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시청하면 되며, 인터넷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이용자가 기존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ISP(인터넷정보사업자 또는 그 제공자)에게 정보요청 및 업로드(Up Load)하게 되면, ISP에서는 위성센터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요청한 정보 또는 이용자가 업로드하는 데이터를 통신위성을 통하여 대용량 및 고품질로 고속 전송할 수 있게 되므로 정보 이용자는 기존의 33.6Kbps 또는 56Kbps 모뎀보다 50배 내지 100배의 수신속도 증가가 발생되므로 고품질의 인터넷 통신을 초고속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되며, 물론 가입자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가입자당 최소 10Mbps 이상의 초고속 인터넷 정보를 서비스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 웹-박스의 구성도로, 웹-박스의 모든 동작을 제어하는 CPU (Central Processing Unit)(10)와, 상기 CPU와 연계하여 프로그램 실행용 데이터와 처리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램(Ram)(11)과, 본 고안 웹-박스가 동작할 때 기본적인 입ㆍ출력을 관리하고 또한 시스템이 동작하면서 내장 프로그램으로 자신을 스스로 검사하는 바이오스 롬(BIOS Rom)(12)과, 어느 외부 장치가 인터럽트 (Interrupt)를 요구하는 가를 감지하여 CPU(10)에게 이들 요구에 대한 허락과 해당하는 신호를 보내주는 인터럽트 콘트롤러(Interrupt Controller)(13)와, 하드디스크(HDD)와 같은 주변 저장장치(17)가 CPU를 거치지 않고 직접 데이터(data)를 억세스(access)할 수 있도록 하는 직접기억장치 접근콘트롤러(DMA Controller)(14)와, 각 장치(Device)를 연결하기 위해 공통적으로 접속되는 신호들을 묶어주는 데이터 버스(BUS)(15)와, 외부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제어하는 입ㆍ출력 콘트롤러(I/O Controller)(16)와, 상기 버스(bus)와 연결되는 저장장치(HDD) (17)와, 입ㆍ출력 콘트롤러(16)에 접속되는 인터넷 위성방송카드(Internet Satel-lite Broadcasting System card)(19) 및 인터페이스/포트(18)와, 인터페이스/포트 (18)에 접속되는 통신장치 예컨데 모뎀(20)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인터넷 데이터 수신은 통신위성을 이용하므로 기존의 33.6Kbps 또는 56Kbps 모뎀보다 50배 내지 100배의 초고속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되므로 고품질의 인터넷 통신을 초고속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물론 가입자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가입자당 최소 10Mbps 이상의 정보 서비스 속도를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비교적 초고속 통신이 요구되지 않는 송신(Up Load)은 IBM PC/AT PCI 버스 인터페이스/포트(18)로, 전화(PSTN)와 모뎀을 이용하거나, ISDN(내부 LAN)을 이용하거나, 이동전화기, PSDN과 같은 기존의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면 될 것이다.
상기에서 인터페이스/포트(18)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Interface)로는 범용 직렬버스인 USB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상기 USB(Universal Serial Bus)는 컴퓨터 (PC)의 새 규격으로 USB 카메라를 연결하면 화상회의나 비디오메일ㆍ이미지편집 등이 가능하다. 즉, PC 화상회의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세계 여러 나라의 인터넷 사용자와 화상회의ㆍ공동작업ㆍ채팅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비디오 메일기능을 이용하여 동화상 파일을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포트(18)에서 프린터용 표준 출력장치인 LPT(Line Print Terminal) 포트(Port)에는 프린터를 연결하여 인터넷 정보를 실시간으로 프린터하거나 저장장치에 수록된 정보를 나중에 프린터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포트(18)의 통신포트(COM Port)에는 일반전화선이나 CATV(동축 케이불 TV) 또는 전용선을 사용하여 모뎀(20)등과 같은 통신장비를 연결한 다음 ISP 또는 ISP 중계국(또는 이동전화 기지국)으로 정보요청 및 업로드(Up Load)할 수 있게 되며, 통신포트(COM Port)에 연결할 수 있는 통신장비로는 비단 모뎀(20) 뿐 만 아니라 다이얼 모뎀(Dial Modem), 이더넷 랜 케이블 모뎀(Ethernet LAN Cable Modem), 비대칭성 디지털 가입자회선모뎀(ADSL Modem), 이동전화 모뎀 등 모든 타입의 인터넷 연결수단을 내/외장 형태로 지원할 수 있어서 인터넷에 쉽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콘트롤러(16)에 접속되는 인터넷 위성방송카드(19)는 통신위성으로 부터 TV 방송, 오디오(Audio), 인터넷 데이터(data)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MPEG-2 디코더(Decoder)를 내장하여 별도의 그래픽 카드(Graphic Card)가 없더라도 TV에 바로 연결하여 인터넷이나 위성방송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으며, 다중화상(멀티화면)기능을 이용하여 위성방송을 수신하면서 동시에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게된다.
상기 직접기억장치 접근콘트롤러(DMA Controller)(14)는 소형컴퓨터 중에서 CPU나 I/O 프로세서 대신에 메모리들 간이나 메모리와 I/O간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발신지 주소(source address), 수신지 주소를 생성하고 발신지 판독싸이클, 수신지 기록 싸이클을 구동하게된다.
CPU 또는 I/O 프로세서는 초기주소, 사이클의 종류, 전송사이즈 등을 DMA 콘트롤러(14)에 설정하고 제어는 DMA 콘트롤러(14)에게 넘겨주고 데이터 전송은 I/O 프로세서 등으로부터의 DMA 전송요구신호를 수신한 후에 구동하게된다.
상기 직접기억장치 접근콘트롤러(DMA)(14)는 CPU(10)를 통하지 않고 주변기기의 인터페이스(18) 장치에 제어권을 주어 직접 주기억과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으로 빠른 기기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데 이용되며 그동안 CPU(10)는 다른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매우 효율적이다.
상기 입ㆍ출력 콘트롤러(I/O Controller)(16)는 입ㆍ출력 장치와 처리기 사이의 하드웨어적 인터페이스 역활을 하게된다.
상기에서 데이터 버스(BUS)에 접속되는 저장장치(HDD, FDD, CD-RW 등)(17)는 본 고안 웹-박스가 메모리로 정보를 읽거나 메모리에 있는 정보를 외부에 기록하는 입ㆍ출력장치로 데이터가 웹-박스의 메모리 내에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을 때 보관하는 장소이고 기본적인 프로그램과 운영체제(O/S) 및 화상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본 고안에서 웹-박스를 구성하는 CPU와, 메모리(Memory)와, 운영체제(O/S)와, 데이터 버스(PCI bus)와, 저장장치(HDD, FDD 등)와 오디오장치(사운드 카드) 및 입력장치(34)가 포함되며, 위성수신안테나와 위성수신카드를 이용하여 C-band, Ku-band 또는 그 이외의 적당한 밴드를 수신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 입출력 콘트롤러(16)에 접속되는 입력장치(34)로는 통상의 유선키보드(Key board)는 무선 키보드(wireless key board) 또는 내장형 트랙볼 (trackball)이나 유ㆍ무선 마우스 또는 모니터의 터치 스크린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인터넷을 이용할 때 TV를 구성하는 화상(영상)표시소자 예컨데, 음극선관 또는 박막액정표시소자(TFT-LCD)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Plasma Display Panel) 또는 전계방출표시소자(Field Emission Display)를 모니터로 대용하면 될 것이다.
또한,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를 이용하여 본 고안의 웹-박스를 제어하거나 TV를 조정할 수 있으며, 공지의 음성인식기술을 채용하여 음성으로 조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인터넷 백본(backbone)망 측면에서 위성망 정보 서비스 제공으로 인터넷 정보 서비스의 품질 및 속도가 탁월하여 특히 인터넷 동화상 및 인터넷 화상정보를 고품질로 신속히 제공받을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 웹-박스의 회로 블럭도로, 위성안테나(21)로부터 수신된 위성방송신호 및 인터넷 디지털 데이터가 입력되는 신호를 동조 및 증폭처리하는 튜너(22)와, 상기 튜너(21)로부터 변환된 신호를 4위상 편이 변조하는 QPSK (Quadriphase Phase Shift Keying)변조기(23)와, 변조된 신호를 데이터 영상신호로 처리하여 위성방송신호이면 MPEG-2 디코더(25)로 보내고 인터넷 디지털 데이터이면 PCI 인터페이스(26)로 보내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4)와, 압축된 비디오(방송)영상신호를 손상없이 푸는 MPEG-2 디코더(25)와, TV수상기의 수신방식에 따라 NTSC방식또는 PAL방식의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NTSC/PAL 비디오 인코더(26)와, 상기 NTSC/PAL 비디오 인코더(26)로 부터 NTSC 방식 또는 PAL 방식의 비디오 신호로 선택 인코딩된 신호를 공급받아 화면으로 출력하는 TV 및 비디오 영상신호를 녹화할 수 있는 VCR(27)로 구성되어 위성방송을 수상 및 녹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디지털 위성방송이나 케이블 모뎀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4위상 편이변조 방식의 QPSK 변조기(23)는 디지털 데이터인 '1'과 '0'을 2비트로 통합하여 반송파의 4개 위상에 대응시켜 전송하는 방법으로, 예컨데 0상에 (0,0), π/2상에 (0,1), π상에 (1,0), 3π/2상에 (1,1)을 대응시켜 전송하게된다.
한편, 마이크로 프로세서(24)에 의해 PCI 인터페이스(28)로 전달되는 인터넷 디지털 데이터를 버스 콘트롤러(30)로 전송하는 PCI 버스(29)와, 버스 콘트롤러 (30)로부터 전송되는 인터넷 디지털 데이터를 CPU(10)와 디-램(D RAM)(11)과 저장장치(HDD, FDD 등)(17)로 각각 전송하여 처리 및 저장하도록 하는 입출력 콘트롤러 (16)와, 입출력 콘트롤러(16)에 접속되는 입력장치(34)와, 웹-박스의 모든 동작을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0)와, CPU(10)와, 입ㆍ출력 콘트롤러(16)와 저정장치(17)와 램(11)과 롬의 동작타이밍을 취하기 위하여(동기시키기 위하여) 일정시간 간격의 주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키는 클럭발진부(Clock Generator)(35)와, 일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ISP 또는 ISP의 중계국(또는 이동전화 기지국)으로 정보요청 신호 또는 데이터를 업로드 전송하는 모뎀(20)과 같은 통신장치와, 각회로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1)와 전원을 정전압화시켜 회로의 안정적인 동작을 꾀하는 정전압부(33)로 구성된다.
상기 입력장치(34)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통상의 유선키보드(Key board)는 무선 키보드(wireless key board) 또는 내장형 트랙볼(trackball)이나 유ㆍ무선 마우스 또는 모니터의 터치 스크린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36)의 전원은 정전압부(Voltage Regulator)(37)에 의해 정전압화된 다음 각 회로로 공급되므로 부하(負荷)전류가 변화하더라도 회로의 안정적인 동작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가 위성방송을 시청할 때에는 종전처럼 통신위성으로부터 전파되는 위성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시청하면 되며, 인터넷 정보요청 및 업로딩 데이터의 경우 본 고안 웹-박스의 입력장치(키보드, 트랙볼, 마우스, 터치스크린 등)(34)와 통신장치 (20)와 일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ISP에 접속한 다음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거나 업로딩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며, ISP에서는 위성센터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요청한 정보 또는 이용자가 업로드하는 데이터를 통신위성을 통하여 대용량 및 고품질로 고속 전송하게 되며, 상기 통신위성으로부터 전파되는 인터넷 데이터 신호는 위성안테나(21)와 튜너(22)와 QPSK 변조기(23)와, 마이크로 프로세서 (24)와, PCI 인터페이스(28)와, PCI버스(29)와, 버스 콘트롤러(30)와, 입출력 콘트롤러(16)를 거쳐 중앙처리장치인 CPU(10)로 입력되며, 상기 CPU(1)로 올려진 데이터는 입출력콘트롤러(16)를 통하여 저장장치(17)와 램(11)등에 탑재 및 저장되며, 또한 데이터와 처리과정과 관련된 일부의 데이터는 CPU(10)→입출력 콘트롤러(16)→버스 콘트롤러(30)→PCI 버스(29)→PCI 인터페이스(28)→NTSC/PAL 비디오 인코더 (26)→TV/VTR(27)로 전달되거나 또는 PCI인터페이스(28)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24)→MPEG-2 디코더(25)→NTSC/PAL 비디오 인코더(26)를 경유하여 TV(27)의 화상(영상)표시장치인 음극선관 또는 박막형 액정표시소자(TFT-LCD)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또는 전계방출표시소자(FED)로 화면 출력되어 이용자가 눈으로 데이터나 처리상태 및 그 과정을 확인할 수 있게된다.
한편, 양방향 모두 유선방식을 이용하는 종래의 통신망의 경우 통신량 (traffic) 집중에 의한 증가 및 폭주로 정보의 지연손실 가능성이 높아지나 본 고안은 통신회선의 혼잡이나 단말기를 통해서 투입된 통신호출이 교환장치를 통해서 투입된 통신호출이 교환장치를 점유하는 비율을 표시하는 트래픽 밀도(traffic density)가 크게 떨어져 양질의 초고속 인터넷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최신 버전의 HTML, JAVA, FLASH, MEDIA PLAYER, REAL PLAYER등, 모든 종류의 인터넷 사이트 구현으로 완벽한 Internet을 지원할 수 있으며, 개인 컴퓨터(PC) 기반의 시스템이므로 일반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모든 동영상의 구현이 가능하며 리얼 플레이(Real Player), 미디어 플레이(Media Player), TV를 기준으로 하는 인터넷 방송을 스트리밍(Streaming)방식으로 운영할 수 있어서 완벽한 동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TV-모니터(monitor)에 가장 적합한 색과 폰트(font)를 사용하므로써 온 가족이 쉽게 인터넷 검색과 정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컴맹들을 위한 전용 웹 브라우저의 개발이 쉽고 편리한 인터넷 서핑, 돋보기 기능, 주소입력 메뉴 등 TV 전용 웹 브라우저를 개발하여 본 웹-박스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전화 송ㆍ수신, TV 조작, 인터넷 서핑 등을 트랙볼 (trackball) 하나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전화ㆍTVㆍ인터넷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키보드의 기능과 전원관리, 인터넷 서핑, 볼륨 조절, 돋보기 등의 기능키를 탑재하여 사용자는 키보드나 트랙볼(마우스) 만으로도 모든 조작(만능 리모콘)을 할 수 있다.
또한, 중앙서버에서 사용자의 초기 셀(shell) 메뉴부터 세부 응용파일 (Application File)까지 자동으로 업데이트 하는 자동 업데이트(Auto Update)기능과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키보드의 홈(Home)키나 리셋키를 누르면 정상상태로 자동복구(Auto Recovery)되는 기능을 부여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부여하도록한다.
상기 셀(Shell) 기능은 응용 프로그램의 내장명령으로 프로그램을 종료하지 않고도 명령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프라인(OFF line)기능ㆍ문서작성기능ㆍDDR 기능ㆍ오락게임ㆍ음악감상ㆍ노래방ㆍ백과사전 등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고안 웹-박스를 이용하여 위성방송 및 인터넷 정보(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로, 위성안테나(21)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위성방송 신호와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 다음(단계 S10) 사용자가 위성방송을 선택하고(단계 S20) TV의 수신방식에 따라 NTSC 방식 또는 PAL 방식을 선택하면(단계 S30) NTSC 방식 또는 PAL 방식의 비디오 영상신호가 출력되므로 상기 비디오 영상신호가 TV 또는 VCR(VTR)로 입력되어 비디오 영상신호가 TV 화면으로 출력되거나 VCR(VTR)로 녹화된다.
또한, 위성안테나(21)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위성방송 신호와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 다음(단계 S10) 사용자가 인터넷 정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선택하면(단계 S20) CPU의 제어를 받는 PCI버스(PCI Bus)를 통하여 전달된(단계 S40) 상기 인터넷 데이터가 디지털 데이터 프로세서(DDP)에 의해(단계 S50) 인터넷 정보 데이터로 처리된 다음(단계 S60) MPEG-2(Moving Picture Eperts Group-2)에 의해 압축된 영상신호로 풀린 다음(단계 S70) TV 수상기의 수신방식에 따라 선택된 표준 NTSC 방식 또는 표준 PAL 방식의 인터넷 영상신호가 TV의 화상(영상)표시기로 출력되므로 인터넷 정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서 수신은 통신위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므로 기존의 33.6Kbps 또는 56Kbps 모뎀의 50 ~ 100배의 전송속도 증가가 있으므로 초고속 인터넷 통신이 가능하여 가입자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가입자당 최소 10Mbps 이상의 정보 서비스 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초고속 통신이 요구되지 않는 송신(Up Load)은 IBM PC/AT PCI 버스 인터페이스로, 전화(PSTN)와 모뎀을 이용하거나, ISDN(내부 LAN)을 이용하거나, PSDN을 이용하면 될 것이다.
따라서, 고속인터넷 사용자에 대한 인증 기능의 제공, 한번 클릭으로 편리한 인터넷 접속기능, 프로그램에 웹 브라우저 기능내장, 편리한 전화접속 다이얼러 기본 제공, 다중화상(멀티화면)기능을 이용하여 위성방송 수신을 하면서 동시에 인터넷 이용이 가능하며, 다 지점 인터넷, 그룹 가입자에 대한 제한수신 기능, 스마트 카드에 의한 제한수신 기능제공, 다 지점 인터넷 수신 데이타의 관리기능, 다 지점 인터넷 수신된 파일의 종류에 따른 자동실행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셋탑박스와 본 고안에 의한 웹-박스를 비교하면 아래 표1과 같다.
(표 1) 기존의 셋탑박스와 본 고안 웹-박스 비교표.
구 분 기존 셋탑박스 본 고안 웹-박스
수 신 방 식 방송채널전용 디지털(인터넷), 방송 겸용
사 용 용 도 위 성 방 송 인 터 넷, 위성방송
기 본 O / S RTOS WinCE, Window, Linux
외장형 주변기기 불 가 능 가능, 프린터, 디지털 카메라, 보조 기억장치..
내장형 주변기기 불 가 능 PCI용 카드
업 그 레 이 드 불 가 능 가능, O/S나 CPU 업그레이드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다이얼 모뎀(DIAL MODEM), 에이.디.에스.엘 모뎀(ADSL MODEM), 이더넷 랜 케이블 모뎀(Ethernet Lan Cable Modem)을 통하여 일반 ISP에 접속한 다음 통신위성을 이용해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므로 데이터의 수신이 최소 2~45Mbps까지 다운로드(Down Load) 되므로 수신속도가 크게 향상되고 안정적인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기존처럼 75cm, 90cm의 위성안테나(21)를 통하여 수신하기 때문에 위성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도 물론 수신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통신위성을 이용하므로 정보 서비스의 광역성이 있어서 한반도 전역뿐 만 아니라 중국 연변 호주 등을 인터넷 정보 서비스 대상지역으로 할 수 있으며, 데이터가 전파(CARRIER)에 실려 위성수신안테나로 바로 전송되므로 전파속도 또한 유선방식에 비하여 신속하게 전파된다.
또한, 본 고안은 통신위성에서 전파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되므로 동시 다발로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동보성이 있다.
물론, 통신위성의 위치에 따라 위성방송 수신 및 인터넷 정보 서비스 이용지역이 잘라지는 것은 자명하다.
즉, 푸시(PUSH)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제공받을(제공 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가 직접 웹 사이트를 돌아다니면서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찾아야 했던 기존의 웹 정보 서비스 방식은 이용자가 정보를 끌어온다는 의미에서 풀(PULL)방식이라고 하면 상기 푸쉬(PUSH)방식은 이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정보의 종류만 설정해 두면 웹 서버가 알아서 해당정보를 이용자에게 보내준다. 예컨데 웹 정보 서비스를 TV와 같은 형태로 변경시켜 주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푸시기술을 활용하는 본 고안은 웹 정보 서비스의 가장 큰 장점은 이용자가 정보를 찾기 위해 웹 사이트를 돌아다니지 않아도 된다는 것과 웹 사이트나 이용자가 관심있어 하는 정보가 변화 하더라도 자동으로 변경된 정보를 받아서 보여준다는 것과 정보를 찾기 위한 불필요한 웹 사이트의 방문을 줄여 인터넷 전체의 트래픽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간접적인 인터넷 정보 서비스의 속도증가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전송속도를 자유자재로 선택 할 수 있으며,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에서 영상 전송까지 범위가 다양하며, 디지털 미디어 정보 서비스가 제공되는 등 통신망을 구성하는데 유연성이 있다.
본 고안에서 정보를 요청하고 데이터를 올리는 업로드(Up Load)는 기존의 유선통신망을 이용한 유선통신 뿐 만 아니라 무선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본 고안 인터페이스(18) 부분에 무선 랜(RF LAN)을 접속하여 무선통신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무선 랜을 이용하여 무선통신망을 구성하는 경우 상기 무선 랜과 ISP가 바로 통신하도록 하거나 또는 ISP와 연결된 주변 중계국(또는 이동전화 기지국)과 연결되게 함으로써 정보요청 및 업로드(Up Load)할 수 있는 통신망을 구성할 수 있으며, 원거리의 ISP와 무선 랜으로 바로 연결되게 구성하는 경우 충분한 공중선 전력으로 송신하도록 함으로써 정보요청 신호와 업로딩 데이터가 손실없이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무선 랜의 경우 설치와 유지보수 및 복구에 따른 재설치가 용이하고, 전쟁이나 재난과 같이 긴급을 요하거나 전시회ㆍ세미나ㆍ각종 대회나 행사ㆍ가건물ㆍ유선연결이 어려운 장소 등에 임시로 네트워크를 구축할 때 간단히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인터넷 백본(back bone)망 측면에서 위성통신망에 의한 정보 서비스 제공으로 품질 및 속도가 탁월하며 고속으로 국내뿐 만 아니라 국외(해외)에서도 고품질과 고속도의 인터넷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된다.
또한, 본 고안은 기업이나 관공서ㆍ교육기관 등의 다양한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개인 사용자에서 그룹 사용자 까지의 수요에도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수용지원할 수 있고, 인터넷 방송ㆍ데이터 방송ㆍ광고방송ㆍ웹 호스팅(Web hosting)과 같은 고화질의 동영상을 초고속으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서비스 지원, 대용량 가입자 지원 등을 들 수 있으며, 특수 목적의 응용분야로는 기업/교육 사업의 자체망 수용과 관공서/군부대 특수 망 등을 들 수 있다.
정보요청 및 업로드(Up Load)를 도 2, 도 3과 같이 유.무선을 이용하여 ISP에 전달할 수 있으며, 유선으로 연결하는 경우 사용자의 웹 서버를 전화선(PSTN)이나 전용선을 이용하여 ISP에 연결하고 ISP에서 인터넷과 연결되는 ISP의 위성센터와 통신위성을 통하여 고품질의 인터넷을 초고속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정보요청 및 업로드(Up Load)를 무선전파로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웹-박스에 무선랜(RF LAN)을 접속하여 상기 ISP 또는 ISP와 연결되는 무선 중계국(또는 이동전화 기지국)과 접속되게 통신망을 구성(구축)하면 될 것이다.
상기 무선 랜(RF LAN)은 유선통신망 대신 전파(RF) 또는 빛을 이용하여 네트워크(Network)를 구성하게 되며, 도달거리ㆍ보안성ㆍ성능 등을 고려하여 산업과학 의료용 밴드(ISM) 대역의 주파수(900㎒ 대역, 2.4㎓ 대역, 5㎓ 대역)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국제규격으로 호환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상기 무선 랜의 경우 설치와 유지보수 및 복구에 따른 재설치가 용이하고, 전쟁이나 재난과 같이 긴급을 요하거나 전시회ㆍ세미나ㆍ각종 대회나 행사ㆍ가건물ㆍ유선연결이 어려운 장소 등에 임시로 네트워크를 구축할 때 간단히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무선 랜의 경우 기본적으로 도청이 불가능한 스피리드 스펙트럼 (Spread Spectrum)방식으로 데이터를 송ㆍ수신하도록 하여 통신보안확보와 전파간섭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송신측에서 CTS(Clear To Send)를 받지 못하면 일정회수 만큼 RTS(Request To Send)를 보낸 다음 그래도 CTS를 받지 못하면 일정시간 대기한 후 RTS를 보내는 CSMA/CA(Carrier Sence Multiple Access/ Collision Avoidance) 방식을 사용하도록 하여 데이터가 확실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별도의 컴퓨터(PC)가 필요 없으며, 셋탑박스(STB)에 인터넷 송/수신 기능을 부가하여 위성방송 및 인터넷 데이터의 다운로드(Down Load:수신)는 초고속 고품질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통신위성을 이용하고, 고속통신이나 초고속통신이 요구되지 않는 정보요청 및 업로드(Up Load)는 기존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므로 위성방송 시청뿐 만 아니라 초고속 고품질(양질)의 광역 인터넷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다이얼 모뎀(DIAL MODEM), ADSL MODEM, 이더넷 랜케이블 모뎀(Ethernet Lan Cable Modem)을 통하여 일반 ISP에 접속한 다음 통신위성을 이용해 데이터를 수신하게되므로 데이터의 수신이 최소 2~45Mbps까지 다운로드(Down Load) 되므로 수신속도가 크게 향상되고 안정적인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처럼 75cm, 90cm의 위성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기 때문에 위성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도 수신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통신위성을 이용하므로 정보 서비스의 광역성이 있어서 한반도 전역뿐 만 아니라 중국 연변 호주 등을 정보 서비스 대상지역으로 할 수 있으며, 인터넷 데이터가 전파(CARRIER)에 실려 위성수신 안테나로 바로 전송되므로 전파속도 또한 유선방식에 비하여 고품질로 신속하게 전파(電波)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통신위성에서 전파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되므로 동시 다발로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동보성이 있는 통신수단이며, 홍수나 지진과 같은 천재지변이나 인재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내재해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전송속도를 자유자재로 선택 할 수 있으며,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에서 영상 전송까지 범위가 다양하며, 디지털 미디어 정보 서비스가 제공되는 등 통신망을 구성하는데 유연성이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8)

  1. 위성방송을 수신하는 셋탑박스에 있어서, 웹-박스를 제어하는 CPU(10)와, 프로그램 실행용 데이터와 처리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램(11)과, 웹-박스의 입ㆍ출력을 관리하고 시스템을 검사(감시)하는 바이오스 롬(12)과, 외부 장치의 인터럽트 요구에 응하여 처리하는 인터럽트 콘트롤러(13)와, 저장장치(17)의 데이터를 직접 억세스하는 DMA 콘트롤러(14)와, 데이터 버스(15)와, 외부 인터페이스 (interface)를 제어하는 입ㆍ출력 콘트롤러(16)와, 입ㆍ출력 콘트롤러(16)에 접속되는 입력장치(34)와 인터넷 위성방송카드(19) 및 인터페이스/포트(18)와, 인터페이스/포트(18)에 접속되는 통신장치로 구성하여 수신은 통신위성으로 하고 송신은일반 유/무선 통신으로 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웹-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이용자가 일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ISP에 정보요청 및 데이트 업로드를 하고, ISP에서는 위성센터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요청한 정보 또는 이용자가 업로드하는 데이터를 통신위성을 통하여 대용량 및 초고속으로 전송하고, 이용자는 이를 위성안테나(21)와 수신장치로 수신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웹-박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ISP에 대한 정보요청 요구 및 데이터 업로드는 IBM PC/AT PCI 버스 인터페이스/포트(18)로, 전화(PSTN)와 모뎀을 이용하거나, ISDN(내부 LAN)을 이용하거나, PSDN을 이용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웹-박스.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웹-서버의 인터페이스에 ISP 또는 ISP 중계국 또는 이동전화 기지국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무선 랜(RF LAN)을 접속하여 정보요청 및 데이터의 업로드(Up Load)를 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웹-박스.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리모트 콘트롤러(Remote controller)를 이용하여 웹-박스와 TV를 제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웹-박스.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통신장비로는 모뎀/다이얼 모뎀/이더넷 랜 케이블 모뎀/ADSL 모뎀/랜카드/무선 랜/CATV 모뎀/케이블 모뎀 중 적어도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박스.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웹-박스의 입력장치(34)는 유ㆍ무선 키보드 /내장형 트랙볼/유ㆍ무선 마우스/화면의 터치스크린/리모트 콘트롤러 중 적어도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박스.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24)에 의해 PCI 인터페이스(28)로 전달되는 인터넷 디지털 데이터를 버스 콘트롤러(30)로 전송하는 PCI 버스(29)를 부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웹-박스.
KR2020000018112U 2000-06-26 2000-06-26 웹-박스 KR2002025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112U KR200202598Y1 (ko) 2000-06-26 2000-06-26 웹-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112U KR200202598Y1 (ko) 2000-06-26 2000-06-26 웹-박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5268A Division KR20000058699A (ko) 2000-06-26 2000-06-26 웹-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598Y1 true KR200202598Y1 (ko) 2000-11-15

Family

ID=19662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112U KR200202598Y1 (ko) 2000-06-26 2000-06-26 웹-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59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37093B2 (ja) 無線デジタルビデオ表示の方法及びシステム
EP1329055B1 (en) Card type network interface, network conference terminal device and system
JP4974898B2 (ja) マルチメディア表示システム
US20050200695A1 (en) Transceiver system, transmitter and receiv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EP1624670B1 (en) Digital cable TV receiver, diagnostic method for the same and data structure of DVI status report
JP4547794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US7310808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nd enabling the selection and mixing of multiple streams of audio/video data from multiple sources within a receiving device allowing external control
KR20000058699A (ko) 웹-박스
JP4971988B2 (ja) マルチメディア表示システム及びマルチメディア表示方法
KR200202598Y1 (ko) 웹-박스
JP2006101338A (ja) テレビジョン装置
EP1126699B1 (en) OSD system
JP3871412B2 (ja) Www共同視聴システム
JP2006254017A (ja) ネットワーク接続による制御が可能なテレビ受像装置
JP2005151522A (ja) 無線映像音声伝送装置
JP2003046880A (ja) 携帯型ビューワ向け送信機能搭載型受信機および携帯型ビューワならびに携帯型ビューワ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2006148741A (ja) テレビ電話機能つきテレビジョンセット及びテレビ電話機能つきリモコンセット
JP2006115450A (ja) テレビサーバクラスタシステム
KR100406664B1 (ko) 위성 디지털 멀티 셋탑박스의 제어방법
JP2022115870A (ja) 表示装置
JP2002057953A (ja)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の遠隔設定システム及び遠隔設定方法
JP2005086399A (ja) 送信方法、送信装置、受信方法、受信装置、送受信方法、送受信装置
US8997157B1 (en) Audio/video satellite broadcast network
KR20130006994A (ko) 디바이스에 따라 컨텐츠의 사양을 조절하여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4220337A (ja) テレビ放送受信装置及びテレビ放送送受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