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540Y1 - 비계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비계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540Y1
KR200201540Y1 KR2020000015437U KR20000015437U KR200201540Y1 KR 200201540 Y1 KR200201540 Y1 KR 200201540Y1 KR 2020000015437 U KR2020000015437 U KR 2020000015437U KR 20000015437 U KR20000015437 U KR 20000015437U KR 200201540 Y1 KR200201540 Y1 KR 2002015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ghtening bolt
tightening
nut
scaffolding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54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중원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중원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종합건축사사무소중원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000154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5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5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5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02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 E04G1/0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the members being exclusively poles, rods, beam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form and simple cross-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12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 E04G7/14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for clamping the members independent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계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조임볼트를 세움상태로 유지시켜 조임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비계용 클램프에 의하면, 조임볼트(12)의 일단(12a) 양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홈(12e)이 각각 대응하게 마련되고, 한쌍의 브래킷(11e)내에 조임볼트(12)의 일단(12a) 양측을 여유있게 감싸도록 양단(15a)(15b)이 'U' 형상으로 벤딩되어 고정 배치되되 조임볼트(12)가 삽입홈(14d)에 삽입되도록 세워진 경우 이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탄성 변형되면서 안착홈(12e)에 삽입 안착되는 돌기부(15f)가 양단부(15a)(15b)에 형성된 금속판상의 고정부재(15)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재(11)와 덮개부재(14)를 통해 비계파이프(40)를 가조임한 상태에서 너트(13)를 조이기 위해 조임볼트(12)를 세우면, 조임볼트(12)는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서는 세워진 상태가 그대로 유지됨으로써, 너트(13) 조임작업을 보다 쉽게 할 수 있으며, 결국 비계파이프(40) 결속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비계용 클램프{clamp for scaffold}
본 고안은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비계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임볼트를 세움상태로 유지시켜 조임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비계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계용 클램프는 고층건물을 지을 때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비계 기둥에 띠장과 장선을 걸고 발판을 놓는 임시 가공물을 설치할 때 연결 조임쇠로 사용되는 것으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상당한 결합력을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보통은 금속재로 제조되며 체결력이 우수한 볼트와 너트의 조임에 의해 결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비계용 클램프는 가로대와 세로대를 각각 결속하기 위한 제1결속부재와 제2결속부재를 구비하며, 이들은 서로 90도를 이루도록 결합되어 있다.
제1,제2결속부재는 각각 반원형상의 개방홈이 형성된 베이스부와, 일단이 베이스부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에 나사선이 가공된 조임볼트와, 후단이 베이스부 후방부에 힌지결합되어 접철 가능한 덮개부재를 구비한다.
덮개부재는 반원형 판상으로 구성되며, 이의 선단에는 조임볼트의 타단부가 여유있게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덮개부재를 젖힌 상태에서 베이스부의 개방홈에 비계파이프를 안착시킨 후, 다시 덮개부재를 개방홈을 덮는 방향으로 복원시켜 비계파이프를 가조임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삽입홈내로 조임볼트가 삽입되도록 이를 세운 후 여기에 너트를 조이면, 조임볼트와 너트의 조임력에 의해 베이스부재와 덮개부재가 비계파이프 외주를 견고하게 조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비계용 클램프에서는 비계파이프 조임 작업 시 조임볼트를 삽입홈내에 위치되도록 세운 후 작업자가 이를 잡고 너트를 조여야 하기 때문에, 이의 조임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즉, 조임볼트는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세워 삽입홈내에 위치시키면, 이것은 헐겁게 끼워진 상태이다. 이에 따라 너트를 완전하게 조이기 전에 작업자가 손을 놓으면 조임볼트는 자중이 미치는 방향으로 움직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비계파이프를 가조임한 상태에서 조임볼트를 세워 덮개부재의 삽입홈에 삽입하는 경우 조임볼트를 세워진 상태로 위치 고정시킴으로써, 비계파이프 결속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비계용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다른 비계용 클램프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임볼트 설치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 - 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결속장치 11,21..베이스부재
11e..브래킷 12,22..조임볼트
12e..안착홈 13,23..너트
14,24..덮개부재 15,25..고정부재
15f..돌기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밑면과 후벽면이 마련되고 비계파이프가 안착되도록 양측면에 반원형상의 개방홈이 대응하게 형성되며 밑면 전방부에 한쌍의 브래킷이 형성된 베이스부재와, 일단이 베이스부재의 양측면 상부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 중심부에 삽입홈이 개방되게 형성된 너트지지부를 갖춘 반원형상의 덮개부재와, 일단이 한쌍의 브래킷에 수용되어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결합되며 타단 외주에 나사선이 가공되어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회전된 후 너트가 결합되는 조임볼트를 갖춘 비계용 클램프에 있어서,
조임볼트의 일단부 양측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홈이 각각 대응하게 마련되고,
한쌍의 브래킷내에는 조임볼트의 일단 양측을 여유있게 감싸도록 양단이 'U' 형상으로 벤딩되어 고정 배치되되, 조임볼트가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세워진 경우 이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탄성 변형되면서 안착홈에 삽입 안착되는 돌기부가 양단부에 형성된 금속판상의 고정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비계파이프를 가조임한 상태에서 조임볼트를 세워 덮개부재의 삽입홈에 삽입하면, 돌기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안착홈에 삽입 안착되어 조임볼트가 세워진 상태로 위치 고정됨으로써, 비계파이프 결속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계용 클램프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임볼트의 설치구조를 발췌하여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비계용 클램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대용 비계파이프(미도시)를 결속하기 위한 제1결속장치(10)와, 세로대용 비계파이프(미도시)를 결속하기 위해 제1결속장치(10)와 90도 교차되게 리벳팅수단(30)을 통해 고정된 제2결속장치(20)를 구비한다.
제1,제2결속장치(10)(20)는 반원형상의 개방홈(11d)(21d)이 마련된 베이스부재(11)(21)와, 베이스부재(11)(21)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방홈(11d)(21d)을 덮는 덮개부재(14)(24)와, 베이스부재(11)(21)의 전방측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덮개부재(14)(24)를 고정시키기 위한 조임볼트(12)(22)를 각각 구비한다. (제1결속장치(10)와 제2결속장치(20)의 세부 구성요소는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1결속장치(10)의 구성요소만을 통해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베이스부재(11)는 사각형상의 밑면(11a)과 90도 절곡된 후벽면(11b) 및 양측면(11c)을 갖춘 금속재 판상으로 구성되며, 베이스부재(11)의 양측면(11c)에는 반원형상의 개방홈(11d)이 대응하게 마련되어 있어서 비계파이프의 외주 일부가 안착되게 된다. 또한, 베이스부재(11)의 밑면 전방측에는 조임볼트(12)를 고정시키기 위한 한쌍의 브래킷(11e)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한쌍의 브래킷(11e)은 일정 간격 이격되며 중심부위에 축결합공(11g,도 2참조)이 천공된 대체로 'U' 형상으로 마련되는데, 베이스부재(11)의 밑면(11a) 전방측에 절곡 연장되어 일체로 구성된다.
덮개부재(14)는 반원형상의 금속재 판상으로 구성되며 일단이 베이스부재(11)의 양측면(11c) 상부에 축(14a)을 통해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개방홈(11d)에 안착된 비계파이프의 외주 나머지부분을 감싸게 된다. 또한, 덮개부재(14)의 타단에는 조임볼트(12)에 너트(13) 조임 시 너트(13) 하단이 당접되는 너트지지부(14c)가 형성되는데, 너트지지부(14c)에는 조임볼트(12)의 단부가 헐겁게 삽입되도록 소정폭의 삽입홈(14b)이 개방되게 마련된다.
그리고 조임볼트(12)는 봉형상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게 구성되는데, 일단(12a)이 베이스부재(11)의 밑면(11a) 전방측에 마련된 브래킷(11e)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자유단으로 구성된 타단(12b) 외주에 너트(13)를 조일 수 있도록 나사선이 형성된다. 또한, 조임볼트(12)의 결합을 위해 조임볼트(12) 일단(12a)에는 축공(12c,도 2참조)이 천공되어 있다. 따라서 조임볼트(12)의 일단부(12a)를 한쌍의 브래킷(11e) 사이에 배치하여 축공(12c)과 축결합공(11g)을 일치시킨 후 여기에 축(12d)을 삽입하면, 조임볼트(12)는 축(12d)을 중심으로 베이스부재(11)의 밑면(11a) 전방측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이러한 조임볼트(12)의 일단부(12a)와 한쌍의 브래킷(11e) 사이에는 조임볼트(12)를 세워진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고정부재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의 상세한 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부재는 양단(15a)(15b)이 'U'형상으로 벤딩되며 여기에 각각 통공(15c)(15d)가 천공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15)는 금속재 판상으로 구성되며, 양단부(15a)(15b)의 간격(G1)이 한쌍의 브래킷(11e) 폭(G2) 보다는 작고 조임볼트(12)의 일단부(12a) 폭(G3) 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조임볼트(12)를 축(12d)결합하는 과정에서 고정부재(15)를 브래킷(11e)내에 미리 설치하면, 축(12d)은 통공(15c)(15d)을 동시에 관통하며 이것에 의해 고정부재(15)가 브래킷(11e) 내에 고정 배치된다.
이러한 고정부재(15) 양단(15a)(15b) 상측부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15f)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것은 자체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고정부재(15)의 양단(15a)(15b) 일부를 절결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조임볼트(12) 일단(12a)의 양측면에는 돌기부(15f)가 탄성 변형되면서 삽입 안착되는 안착홈(12e)이 대칭되게 형성된다. 이 때, 안착홈(12e)은 축공(12c) 주변부의 상측에 오목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비계파이프를 가조임한 상태에서 조임볼트(12)를 세워 덮개부재(14)의 삽입홈(14b)에 삽입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임볼트(12)의 안착홈(12e)에 돌기부(15f)가 탄성 변형되면서 삽입되어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서는 조임볼트(12)가 세워진 상태로 그대로 유지되는데, 이에 대한 것은 후술하는 작용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비계용 클램프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조임볼트(12)는 하측방향으로 내리고 제1결속장치(10)의 덮개부재(14)를 상측방향으로 젖힌 상태에서, 가로대용 비계파이프를 개방홈(11d)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덮개부재(14)를 다시 복원시키면 이것이 가로대용 비계파이프를 가조임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임볼트(12)를 상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세우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임볼트(12)의 타단(12b)이 덮개부재(14)의 삽입홈(14b)에 수용된다. 계속하여 조임볼트(12)의 타단(12b)에 너트(13)를 조이면, 조임볼트(12)와 너트(13)의 결속력에 의해 베이스부재(11)와 덮개부재(14)는 비계파이프 외주에 견고하게 결속된다. 이 때, 너트(13)는 너트지지부(14c)에 당접되어 견고하게 조여진다.
그리고 동일한 방법으로 제2결속장치(20)에 세로대용 비계파이프를 결속하면, 이러한 제1,2결속장치(10)(20)에 의해 가로대용 비계파이프와 세로대용 비계파이프가 격자상으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은 비계용 클램프의 조임 작업에 있어서, 조임볼트(12)를 상측방향으로 세우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15)의 돌기부(15f)가 탄성 변형되면서 안착홈(12e)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고정부재(15)의 저면(15e)은 브래킷(11e) 사이의 저부(11f,도 1참조)에 당접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부재(15)는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비계파이프를 가조임하도록 덮개부재(14)를 하측방향으로 내린 후, 조임볼트(12)를 세워 삽입홈(14b)내에 배치시키면, 조임볼트(12)는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서는 고정부재(15)에 의해 세워진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그 위치가 고정된다.
결국, 조임볼트(12)를 세운 상태에서 작업자가 더 이상 잡지 않아도 덮개부재(14)와 베이스부재(11) 사이에 비계파이프가 가조임 상태로 유지되며, 이것에 의해 너트(13) 조임작업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기술적 사상은 제1결속장치(10)와 제2결속장치(20)가 리벳팅수단(30)을 통해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교차되게 고정된 비계용 클램프에 적용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고 제1결속장치(10)와 제2결속장치(20)가 상호 회전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비계용 클램프에 적용하여도 본 고안의 소기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비계용 클램프에 의하면, 조임볼트의 일단 양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홈이 각각 대응하게 마련되고, 한쌍의 브래킷내에 조임볼트의 일단 양측을 여유있게 감싸도록 양단이 'U' 형상으로 벤딩되어 고정 배치되되 조임볼트가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세워진 경우 이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탄성 변형되면서 안착홈에 삽입 안착되는 돌기부가 양단부에 형성된 금속판상의 고정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재와 덮개부재를 통해 비계파이프를 가조임한 상태에서 너트를 조이기 위해 조임볼트를 세우면, 조임볼트는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서는 세워진 상태가 그대로 유지됨으로써, 너트 조임작업을 보다 쉽게 할 수 있으며, 결국 비계파이프 결속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밑면(11a)과 후벽면(11b)이 마련되고 비계파이프가 안착되도록 양측면(11c)에 반원형상의 개방홈(11d)이 대응하게 형성되며 상기 밑면(11a) 전방부에 한쌍의 브래킷(11e)이 형성된 베이스부재(11)(21)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재(11)(21)의 양측면(11c) 상부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 중심부에 삽입홈(14b)이 개방되게 형성된 너트지지부(14c)를 갖춘 반원형상의 덮개부재(14)(24)와, 일단(12a)이 상기 한쌍의 브래킷(11e)에 수용되어 회전운동 가능하게 축(12d)결합되며 타단(12b) 외주에 나사선이 가공되어 상기 삽입홈(14b)에 삽입되도록 회전된 후 너트(13)가 결합되는 조임볼트(12)를 갖춘 비계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조임볼트(12)의 일단부(12a) 양측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홈(12e)이 각각 대응하게 마련되고,
    상기 한쌍의 브래킷(11e)내에는 상기 조임볼트(12)의 일단(12a) 양측을 여유있게 감싸도록 양단(15a)(15b)이 'U' 형상으로 벤딩되어 고정 배치되되, 상기 조임볼트(12)가 상기 삽입홈(14b)에 삽입되도록 세워진 경우 이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안착홈(12e)에 삽입 안착되는 돌기부(15f)가 상기 양단부(15a)(15b)에 형성된 금속판상의 고정부재(15)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용 클램프.
KR2020000015437U 2000-05-31 2000-05-31 비계용 클램프 KR2002015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437U KR200201540Y1 (ko) 2000-05-31 2000-05-31 비계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437U KR200201540Y1 (ko) 2000-05-31 2000-05-31 비계용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540Y1 true KR200201540Y1 (ko) 2000-11-01

Family

ID=19658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437U KR200201540Y1 (ko) 2000-05-31 2000-05-31 비계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5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6209Y1 (ko) 안전 작업대 설치용 클램핑 기구
KR200201539Y1 (ko) 비계용 클램프
JP2004068270A (ja) 屋根作業用転落防止装置
KR200205868Y1 (ko) 비계용 클램프의 파이프 결속구조
KR200201540Y1 (ko) 비계용 클램프
KR100761558B1 (ko) 낙하물 방지망 설치용 고정구
JP3777190B1 (ja) 足場用の幅木取付金具
KR200439786Y1 (ko) 선체블록 체결용 클램프
EP1165899A1 (en) House and/or shed construction components
JPH0925718A (ja) はね出し足場用ブラケット
JPH0450352Y2 (ko)
JP3309127B2 (ja) 足場揺れ止め金物
JP2981657B2 (ja) サヤ管用垂木支持具
JPH066574Y2 (ja) パラボラ等アンテナの固定具
JP3081653U (ja) 巾木パネルの固定具
JPH08100520A (ja) 足場つなぎ構造
KR200245679Y1 (ko) 건축배관 지지장치
JPH0217082Y2 (ko)
KR950009892Y1 (ko) 난간용 지주에 있어서의 연결부재의 구조
JP2967977B2 (ja) 支柱と壁板の結合装置
JP2584038Y2 (ja) 簡易足場形成具
JPH07238597A (ja) はり固定装置
JP2982858B2 (ja) 足場用ブラケット
JPH089317Y2 (ja) 足場支持装置
JPH09229046A (ja) ボルトの緩み止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