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7465A - 공기조화기 및 그 토출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토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7465A
KR20020097465A KR1020010035410A KR20010035410A KR20020097465A KR 20020097465 A KR20020097465 A KR 20020097465A KR 1020010035410 A KR1020010035410 A KR 1020010035410A KR 20010035410 A KR20010035410 A KR 20010035410A KR 20020097465 A KR20020097465 A KR 20020097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air
mode
discharge
fa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0467B1 (ko
Inventor
이재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35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0467B1/ko
Publication of KR20020097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7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4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부 토출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하측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그 사이에 흡입구가 형성되어 사용환경에 따라 냉난방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절환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토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하측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그 사이에 흡입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흡입구 내측에 설치되어 유동공기를 냉난방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 후방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장치와, 상기 송풍장치의 작동으로 유입된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절환해 주는 기류절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토출방법은 공기 조화기에 전원이 온되면 사용자의 키조작에 의해 토출모드 및 운전모드가 선택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1단계에서 토출모드의 선택결과가 일방향모드이면 상부 또는 하부 토출 유로를 형성하고 양방향모드이면 상하부 토출 유로를 형성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1단계에서 선택결과가 냉방모드이면 냉방운전을 수행하고 난방모드이면 난방운전을 수행하는 제 3단계로 이루어짐으로 사용환경에 따라 냉난방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가변할 수 있어 쾌적한 냉난방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토출방법{ an air-conditioner and the vomit method }
본 발명은 상하부 토출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하측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그 사이에 흡입구가 형성되어 사용환경에 따라 냉난방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절환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토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냉방기, 난방기, 청정기 등으로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설치된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에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한 다음 열교환시키거나 정화하여 다시 실내로 토출할 수 있도록 실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 장치와 냉난방 장치 및 공기 정화 장치가 구비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전면 상측에 토출구(4)가 형성되고 하측에 흡입구(6)가 형성된 캐비닛(2)과, 상기 흡입구(6)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6)로부터 실내공기를 강제 유입시키는 송풍장치(10)과, 상기 송풍장치(10)에 동력을 공급하는 모터(미도시)와, 상기 송풍장치(10)를 통해 토출되는 유동 공기를 냉난방 시켜주는 열교환기(8)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냉방시 송풍장치(10)에 의해 흡입구(6)로부터 강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8)를 통해 냉각되어 토출구(4)로 배출되고, 난방시에는 송풍장치(10)에 의해 흡입구(6)로부터 강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8)를 통해 난방되어 토출구(4)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토출구(4)가 캐비닛(2) 상부에만 설치되기 때문에 실내 공간 전체를 고르게 냉난방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냉방 뿐 아니라 난방시에도 실내공기를 하측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하여 상측의 토출구로 토출하기 때문에 난방시 비효율적일 뿐 아니라 냉난방된 공기가 한 방향으로만 토출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개의 토출구가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냉난방 작동시 공기의 토출 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냉난방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쾌적한 냉난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내부가 도시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팬하우징이 도시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대한 토출 제어방법이 도시된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캐비닛52 : 흡입구
54 : 상측 토출구56 : 하측 토출구
60 : 열교환기70 : 송풍장치
80 : 기류절환수단82 : 팬 하우징
84 : 제 1댐퍼86 : 제 2댐퍼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하측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그 사이에 흡입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흡입구 내측에 설치되어 유동공기를 냉난방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 후방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장치와, 상기 송풍장치의 작동으로 유입된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절환해 주는 기류절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토출방법은 공기 조화기에 전원이 온되면 사용자의 키조작에 의해 토출모드 및 운전모드가 선택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1단계에서 토출모드의 선택결과가 일방향모드이면 상부 또는 하부 토출 유로를 형성하고 양방향모드이면 상하부 토출 유로를 형성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1단계에서 선택결과가 냉방모드이면 냉방운전을 수행하고 난방모드이면 난방운전을 수행하는 제 3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내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팬하우징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대한 토출 제어방법이 도시된 블럭도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2,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측에 토출구(54)(56)가 형성되고 상측 토출구(54)와 하측 토출구(56) 사이에 흡입구(52)가 형성된 캐비닛(50)과, 상기 캐비닛(50)의 흡입구(52) 내측에 설치되어 유동공기를 냉난방하는 열교환기(60)와, 상기 열교환기(60) 후방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장치(70)와, 상기 송풍장치(70)의 작동으로 유입된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절환해 주는 기류절환수단(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풍장치(70)는 캐비닛(50) 중앙부에 형성된 흡입구(52) 내측에 설치되는 송풍팬(72)과 구동부(74)로 구성되어 구동부(74)에서 발생되는 동력이 송풍팬(72)에 공급되면 상기 송풍팬(72)이 작동하여 실내공기를 강제 유동시켜 흡입한다.
상기 기류절환수단(80)은 송풍팬(72)에 강제 유동에 의해 열교환기(60)를 통과하여 유입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상하측에 배출구가 형성된 팬 하우징(82)과, 상기 팬 하우징(82)의 상측 배출구에 설치되는 제 1댐퍼(84)와, 상기 팬 하우징(82)의 하측 배출구에 설치되는 제 2댐퍼(86)로 구성되며, 냉난방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 1댐퍼(84)와 제 2댐퍼(86)의 개폐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팬 하우징(82)은 내측에 송풍팬(72)이 설치되고, 상부 일측에 상측 배출구(82a)와 하부 일측에 하측 배출구(82b)가 형성되어 상기 송풍팬(72)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 배출구(82a)에는 제 1댐퍼(84)가 설치되고 상기 하측 배출구(82b)에는 제 2댐퍼(84b)가 설치된다.
상기 제 1댐퍼(84)는 일측이 상기 팬 하우징(82)의 상측 배출구(82a)에 리턴 스프링(84a)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2댐퍼(86)도 일측이 상기 팬 하우징(82)의 하측 배출구(82b)에 리턴 스프링(86b)으로 연결되어 냉난방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열린 제 1댐퍼(84) 또는 제 2댐퍼(86)는 유입된 공기의 압력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복귀된다.
또한, 상기 기류절환수단(80)에는 냉난방시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팬 하우징 (82)의 상측 배출구(82a) 즉 제 1댐퍼(84)측으로 또는 팬 하우징(82)의 하측 배출구(82b) 즉 제 2댐퍼(86)측으로 안내해 주는 가이드 부재(미도시)가 포함되어 기류의 방향을 절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의 키입력에 따라 제 1댐퍼(84) 및 제 2댐퍼(86)를 열고 닫을 수 있는 제 1댐퍼 구동수단 및 제 2댐퍼 구동수단과, 상하측 토출구(54)(56) 전면에 설치되는 상하측 토출구 개폐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는 상측 토출구 개폐수단 및 하측 토출구 개폐수단과, 상기 송풍장치(70)가 구동되도록 구동력을 공급하는 송풍장치 구동수단을 제어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에 전원이 온되면 사용자의 키조작에 의해 토출모드 및 운전모드가 선택되고, 우선 토출모드가 일방향모드인지 양방향모드인지 판단하여 토출방향을 선택하게 된다.(S1 및 S2 참조)
상기 토출모드에서 일방향모드가 선택되면 또한 사용자에 의해 상부 토출할 것인지 하부 토출할 것인지 선택하게 되고, 상부 토출이 선택되면 제 1댐퍼(84)와 상측 토출구(54)가 열림 작동되고 제 2댐퍼(86)와 하측 토출구(56)가 닫힘 작동되어 토출 유로가 상측 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부 토출이 선택되면 제 1댐퍼(84)와 상측 토출구(54)는 담힘 작동되고 제 2댐퍼(86)와 하측 토출구(56)는 열림 작동되어 토출 유로가 하측 방향으로 형성된다.(S3, S4, S5 참조)
하지만, 상기 토출모드에서 양방향모드가 선택되면 제 1댐퍼(84)와 상측 토출구(54) 및 제 2댐퍼(86)와 하측 토출구(56)가 열림 작동되어 토출 유로가 상하측 방향으로 형성된다.(S6 참조)
상기와 같이 토출 유로가 형성되면 역시 사용자의 키조작에 의해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 운전되어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토출 유로를 따라 실내로 토출된다.(S7 참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토출방법은 상하측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하여 냉난방 작동시 공기의 토출 방향을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선택 가능하게 함으로 냉난방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쾌적한 냉난방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상하측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그 사이에 흡입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흡입구 내측에 설치되어 유동공기를 냉난방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 후방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장치와, 상기 송풍장치의 작동으로 유입된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절환해 주는 기류절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절환수단은 상기 송풍장치를 둘러싸도록 위치되고 중앙부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흡입구와 상하측에 배출구가 형성된 팬 하우징과, 상기 팬 하우징의 상측 배출구에 설치되는 제 1댐퍼와, 상기 팬 하우징의 하측 배출구에 설치되는 제 2댐퍼와, 냉난방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 1댐퍼(84)와 제 2댐퍼(86)의 개폐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공기 조화기에 전원이 온되면 사용자의 키조작에 의해 토출모드 및 운전모드가 선택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1단계에서 토출모드의 선택결과가 일방향모드이면 상부 또는 하부 토출 유로를 형성하고 양방향모드이면 상하부 토출 유로를 형성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1단계에서 선택결과가 냉방모드이면 냉방운전을 수행하고 난방모드이면 난방운전을 수행하는 제 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토출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토출모드가 일방향 모드로 선택되면 제 1댐퍼와 상부 토출구가 열림 작동되고, 제 2댐퍼와 하부 토출구가 담힘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토출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토출모드가 일방향 모드로 선택되면 제 1댐퍼와 상부 토출구가 닫힘 작동되고, 제 2댐퍼와 하부 토출구가 열림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토출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토출모드가 양방향 모드로 선택되면 제 1댐퍼와 상부 토출구 및 제 2댐퍼와 하부 토출구가 열림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토출방법.
KR10-2001-0035410A 2001-06-21 2001-06-21 공기조화기의 토출방법 KR100400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410A KR100400467B1 (ko) 2001-06-21 2001-06-21 공기조화기의 토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410A KR100400467B1 (ko) 2001-06-21 2001-06-21 공기조화기의 토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465A true KR20020097465A (ko) 2002-12-31
KR100400467B1 KR100400467B1 (ko) 2003-10-01

Family

ID=27710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410A KR100400467B1 (ko) 2001-06-21 2001-06-21 공기조화기의 토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046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102A (ko) * 2002-06-27 2004-01-0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양방향 송풍구를 가진 창문형 에어컨
KR100728349B1 (ko) * 2006-06-29 2007-06-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교차개폐되는 플랩이 형성된 토출구를 갖는 에어컨 및 이의제어방법
KR100870626B1 (ko) * 2007-02-12 2008-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9373535A (zh) * 2018-10-26 2019-02-2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出风控制方法、控制装置、空调器及存储介质
KR20200139652A (ko) * 2018-06-29 2020-12-14 코웨이 주식회사 양 방향 토출 유로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CN112797486A (zh) * 2020-12-28 2021-05-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室内机、控制方法和空调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8211A (zh) * 2017-10-20 2019-05-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具有净化功能的空调器
CN109974215A (zh) * 2019-03-12 2019-07-0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运行控制方法、装置、空调器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974217A (zh) * 2019-03-12 2019-07-0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运行控制方法、装置、空调器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0820U (ko) * 1985-01-31 1986-08-15
KR19980017237A (ko) * 1996-08-30 1998-06-05 배순훈 공기조화기의 송풍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102A (ko) * 2002-06-27 2004-01-0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양방향 송풍구를 가진 창문형 에어컨
KR100728349B1 (ko) * 2006-06-29 2007-06-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교차개폐되는 플랩이 형성된 토출구를 갖는 에어컨 및 이의제어방법
KR100870626B1 (ko) * 2007-02-12 2008-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00139652A (ko) * 2018-06-29 2020-12-14 코웨이 주식회사 양 방향 토출 유로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CN109373535A (zh) * 2018-10-26 2019-02-2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出风控制方法、控制装置、空调器及存储介质
CN112797486A (zh) * 2020-12-28 2021-05-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室内机、控制方法和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0467B1 (ko) 200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6693751U (zh) 壁挂式空调室内机
JP2001182957A (ja) 空気調和機
KR100400467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방법
JP2005315531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273353B1 (ko) 에어컨의실내기
KR100715337B1 (ko) 패키지형 에어컨의 송풍 구조
KR20080063576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N210891907U (zh) 一种上下出风柜式空调器
WO2022165999A1 (zh) 空气调节装置
KR100772236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100517598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
CN114543227A (zh) 新风部件和具有其的空调器
CN219454086U (zh) 空调室内机
CN213713259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100647875B1 (ko) 일체형 에어컨
CN219589045U (zh) 空调室内机
JP4544419B2 (ja) 空気調和機
CN219389897U (zh) 空调室内机
CN214536504U (zh) 空调器
CN217235814U (zh) 立式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217685364U (zh) 用于空调室内机的骨架、室内机和空调
JP4544410B2 (ja) 空気調和機
KR10051491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0190516A (ja) 空気調和機
CN117073074A (zh) 空调室内机、空调器和空调器的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