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6811A - 패널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패널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6811A
KR20020096811A KR1020010053362A KR20010053362A KR20020096811A KR 20020096811 A KR20020096811 A KR 20020096811A KR 1020010053362 A KR1020010053362 A KR 1020010053362A KR 20010053362 A KR20010053362 A KR 20010053362A KR 20020096811 A KR20020096811 A KR 20020096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anel support
wall
suppor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3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쓰야 히라오카
타쑤이치 미야자키
박향미
Original Assignee
카쓰야 히라오카
타쑤이치 미야자키
박향미
심재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쓰야 히라오카, 타쑤이치 미야자키, 박향미, 심재학 filed Critical 카쓰야 히라오카
Publication of KR20020096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681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Hooking means on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시공성(施工性)의 향상을 도모하고, 화장(化粧)패널 또는 결합부재가 약간의 치수 오차가 있는 경우는 물론이고, 설령 화장패널의 치수가 크게 변하는 경우에도 여러개의 화장패널을 소망하는 대로 정연하게 설치할 수 있는 패널 설치구조를 얻기 위하여, 기초부재에 장척(長尺)의 패널 지지체(支持體)(1)를 고정시키고, 그 패널 지지체에 결합시킨 여러개의 결합부재(16),(17)를 여러개의 화장패널 P 주변에 마련한 요형(凹形)홈(15)에 각각 물려서, 여러개의 화장패널 P 를 결합부재(16), (17)와 패널 지지체(1)에 의하여 기초부재에 고정시킨 패널 설치구조로서, 패널 지지체(1)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C형 홈(2), (3)을 구비하고, 결합부재(16),(17)가 각각 C형 홈(2),(3)에 끼워진 상태로 C형 홈(2),(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설치구조.

Description

패널 설치구조{A structure of fixing a panel}
본 발명은 기초부재에 장척(長尺)의 패널 지지체를 설치하고, 그 패널 지지체와 결합시킨 여러개의 결합부재를 여러개의 화장(化粧)패널 주변에 마련한 요형(凹形)홈에 각각 물려서 여러개의 화장패널을 상기 결합부재와 패널 지지체에 의하여 기초부재에 고정시키는 패널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패널 설치 구조로서는 종래에 기초부재의 일종인 건축물의 벽구체에 천연석재나 합성수지제의 화장패널을 설치하는 방법이 알려져 왔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설치구조에 있어서는 장척의 패널 지지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여러개의 절결부를 만들고, 이 절결부에 결합부재를 결합하여 패널 지지체를 고정시키고, 그 결합부재와 패널 지지체에 의해서 여러개의 화장패널을 벽구체에 고정 시켰다.
따라서 종래의 구조에서는 패널 지지체에 여러개의 절결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고, 더욱이 패널 지지체에 형성된 절결부의 위치에 따라 패널 지지체에 대한 결합부재의 위치가 확정되기 때문에, 화장패널이나 결합부재의 정확한 치수가 요구되어지며, 만일 치수의 오차가 있으면 화장패널 사이에 틈새가 생길 우려가 있으므로 여러개의 화장패널을 소정의 위치에 정연하게 설치하기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화장패널의 규격이 바뀌면, 그때마다 그 화장패널의 치수에 맞게 패널 지지체에 결합부재용 절결부를 맞춰서 형성하여야 하므로 이점에 대하여도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한편, 화장패널이나 결합부재에 다소의 치수 오차가 있는 경우는 말할 것도 없고, 화장패널의 규격이 달라질 경우에도 여러개의 화장패널을 소정의 위치에 정연하게 설치할 수 있는 패널 붙임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패널 설치구조의 사시도.
도 2는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패널 설치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문기둥용 기초부재의 일부절결 단면도.
도 4는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문기둥용 기초부재의 평면도.
도 5는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패널 설치구조의 종단면도.
도 6은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결합부재의 사시도.
도 7은 제 1 의 실시형태에 따른 결합부재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탄성부재의 사시도.
도 9는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탄성부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요형(凹形)부 종단면도.
도 11은 제2의 실시형태에 따른 패널 설치구조의 사시도.
도 12는 제2의 실시형태에 따른 패널 설치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제2의 실시형태에 따른 패널 설치구조의 종단면도.
도 14는 제2의 실시형태에 따른 결합부재와 하중지지용 결합부재의 사시도.
도 15는 제2의 실시형태에 따른 결합부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6은 제2의 실시형태에 따른 벽면용 패널 지지체와 하중지지용 결합부재의 사시도.
도 17은 제2의 실시형태에 따른 하중지지용 결합부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8은 탄성부재의 별도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문기둥용 패널 지지체
2, 3, 27 : C형 홈
5: 문기둥용 기초부재
6: 문기둥의 지주
9: 앵커볼트
13: 상대위치 변경기구
15: 요형(凹形) 홈
16, 17, 34 : 결합부재
22, 23 : 탄성부재
26: 벽면용 패널지지체
28: 벽구체(壁構體)
P: 석재패널
청구항 1 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도1 과 도2 및 도11과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부재(5), (28)에 장척의 패널지지체(1), (26)를 설치하고, 그 패널 지지체(1), (26)에 결합시킨 여러개의 결합부재(16), (17), (34)를 여러개의 화장패널 P의 주변에 마련된 요형(凹形)홈에 각각 물려서, 여러개의 화장패널 P를 상기 결합부재(16), (17), (34) 및 패널 지지체(1), (26)를 거처 앞의 기초부재(5), (28)에 설치하는 패널 설치구조로서, 상기 패널 지지체 (1), (26)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C형 홈(2), (3), (27)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결합부재(16), (17), (34)가 앞의 C형 홈(2), (3), (27)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C형 홈(2), (3), (27)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 지지체 (1)가 문기둥용 패널 지지체이고, 앞의 기초부재(5)가 문기둥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문기둥용 기초부재로서, 상기 문기둥용 패널 지지체(1)가 전술한 문기둥용 기초부재(5)에 수직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의 문기둥용 기초부재(5)가 문기둥의 기초(8)에 매설되어있는 앵커볼트(9)에 상대위치 변경기구(13)를 이용하여 설치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은, 도 11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패널 지지체(26)가 벽면용 패널 지지체이고, 앞의 기초부재(28)가 건축물의 벽구체로서, 벽면용 패널 지지체(26)가 전술한 벽구체(28)를 따라 서로 평행하게 수직자세로 설치되어 있어, 서로 인접한 벽면용 패널지지체(26)들 사이에 화장패널 P가 설치되어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은, 상기 패널 지지체(1),(26)가 알루미늄 압출 성형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은, 상기 화장패널 P가 천연석재를 절단하여서 된 석재 패널이다.
또한,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도면과의 대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에 부호를 기입한다.
청구항 1의 발명의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기초부재에 설치되는 장척의 패널지지체가 그 길이 방향으로 C형 홈을 형성하고 있어, 화장패널 주변에 마련된 요형(凹形)홈에 물려 화장패널을 지지하는 결합부재가 앞의 C형 홈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C형 홈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패널지지체에 대한 각 결합부재의 결합위치를 특별한 가공을 하지 않고서도 지지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유롭게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화장패널이나 결합부재에 다소의 치수 오차가 있는 경우는 말할 것도 없고, 만일 치수가 다른 화장패널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패널 지지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 결합부재의 결합위치의 변경조정이 가능하므로 화장패널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 일이 없이 정연하게 설치가 됨과 동시에, 패널 지지체 자체도 C형 홈에 의하여 보강되어 견고한 구조를 가지므로 여러개의 화장패널을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의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전술한 패널 지지체가 문기둥용 패널 지지체이고, 앞의 기초부재가 문기둥 하부에 배치되는 문기둥용 기초부재로서, 문기둥용 패널 지지체가 앞의 문기둥용 기초부재에 수직자세로 설치 되어있기 때문에 위에 기술한바와 같이 화장패널의 치수 오차가 있거나, 치수가 다른 화장패널을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한 문기둥용 패널 지지체와 문기둥용 기초부재들을 사용하여 표면에 여러개의 화장패널을 갖는 문기둥을 정연하고 미려할 뿐 아니라 확실하게 구축할 수가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의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문기둥용 기초부재가 문기둥의 기초에 매설되어있는 앵커볼트에 상대위치 변경기구를 이용하여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혹시 문기둥의 설치위치에 대하여 앵커볼트의 설치위치가 틀려 있는 경우라도, 상대위치 변경기구가 있기 때문에 문기둥을 소정의 위치에 확실하게 설치할 수 있다.
특히 문기둥의 기초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하고, 그 콘크리트 타설시에 앵커볼트를 매설하고자 하는 경우, 앵커볼트를 소정의 위치에 매설하는 것이 매우 어렵지만 그런 경우에도 상대위치 변경기구에 의한 조정이 가능하므로, 앵커볼트의 매설작업에 고도의 정확성이 요구되지 않고, 특히 문기둥의 기초를 콘크리트로 성형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본발명의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상기 패널 지지체가 벽면용 패널 지지체이고, 앞의 기초부재가 건축물의 벽구체로서 벽면용 패널지지체 복수(複數)개가 앞의 벽구체를 따라 서로 평행하게 수직자세로 설치 되어있어, 서로 인접한 상기 벽면용 패널 지지체들 사이에 걸쳐 화장패널이 설치 되어 있으므로 위에 기술한바와 같이 화장패널에 치수 오차가 있거나, 치수가 다른 화장패널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벽면용 패널지지체를 사용하여 표면에 여러개의 화장패널을 갖는 문기둥을 정연하고 미려하게 할뿐만 아니라, 확실하게 구축할 수가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의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패널 지지체가 알루미늄 압출 성형품이므로, 문기둥용이거나 벽면용 패널지지체를 비교적 용이하게 양산(量産)할수가 있을 뿐 아니라, 길이방향을 따라 C형 홈을 소정의 치수에 맞추어 정확하게 형성할수가 있어 큰 폭의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의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화장패널이 천연석재를 절단하여 형성한 석재 패널이므로 합성수지제의 화장패널들과 비교하여 고급이라는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한편, 천연석재이기 때문에 중량이 무거워질 가능성이 있으나,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이 C형 홈에 의하여 패널지지체 자체가 보강되어 견고한 구조가 되므로, 비록 무거운 천연 석재패널이더라도 그 석재패널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패널 설치구조는 예를들면, 천연석재를 절단한 석재패널을 문기둥의 주위에 설치하거나, 건축물의 벽구체의 표면에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문기둥의 주위에 설치하는 제1의 설치형태와 건축물의 벽구체의 표면에 설치하는 제2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그 구체적인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제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1 ∼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패널의 1예인 천연석재를 절단하여 만든 석재패널 P를 설치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압출성형품인 장척의 문기둥용 패널 지지체(1)를 사용한다.
이 문기둥용 패널 지지체(1)는 단면형상이 직사각형이고, 그 4면중 3면에는 두종류의 C형 홈(2), (3)이 있다. 즉 서로 마주보고 있는 혀 모양의 돌출부(2a), (3a)를 갖고 있고, 직사각형의 짧은변 쪽에는 폭이 좁은 C형 홈(2) 과 혀 모양의 돌출부(3a)가 위치하고, 직사각형의 긴변 쪽에는 폭이 넓은 C형 홈(3)이 있으며, 이들 세개의 C형 홈(2), (3)이 문기둥용 패널지지체(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측면 외부를 향해 열려져 있다. 또한 문기둥용 패널 지지체(1)의 중앙부에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중공부(4)가 문기둥용 패널 지지체(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뚫려져 있다.
문기둥용 패널 지지체(1)는 금속으로 된 판상의 문기둥용 기초부재(5)에 설치되는 것으로, 문기둥용 기초부재(5)의 윗면에는 도2 ∼ 도4 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문기둥용 패널 지지체(1)의 중공부(4)에 끼워넣을 단면형상 직사각형의 지주(支柱)(6)가 위쪽을 향하여 두개가 돌출되어 있으며, 각개의 지주(6)에는 문기둥용 패널 지지체(1)를 고정하기 위해 복수개의 암나사 구멍(6a) 이 뚫려있다.
즉, 각개의 지주(6)의 위쪽으로 부터 문기둥용 패널 지지체(1)를 끼워 넣고, 문기둥용 패널 지지체(1)의 아래쪽에 마련된 복수개의 나사구멍(1a)에 볼트(7)를 삽입하여 지주(6)의 암나사(6a)에 체결함으로서, 문기둥용 기초부재(5)에 대하여 두개의 문기둥용 패널 지지체(1)를 수직자세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 되어있다.
이 문기둥용 기초부재(5)는 콘크리트로 된 문기둥의 기초(8)에 매설된 앵커볼트(9)로서 이 문기둥용 기초부재(5)에 앵커볼트(9)가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앵커볼트(9)보다 구경이 큰 원형의 관통공(10)이 뚫어져 있다. 이 관통공(10)은 도 3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쪽에 관통공(10)의 구경보다 큰 원형의 단부(段部)(10a)가 마련되어 있고, 그 단부(10a)에 끼워 넣는 원형의 원반(11)에는 앵커볼트(9) 삽입용 장공(長孔)(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단부(10a)가 있는 관통공(10)과 장공(12)을 갖춘 원반(11)은 상대위치 변경기구(13)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단부(10a)에 대하여 원반(11)을 적절하게 회전시키고, 또한 장공(12)에 대한 앵커볼트(9)의 삽입위치를 함께 조정하여 암나사(14)를 체결함으로서, 앵커볼트(9)에 대한 문기둥용 기초부재(5)의 설치 위치를 자유로이 변경하여 설치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 되어있다.
석재패널 P는 다음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두개의 문기둥용 패널 지지체(1)에 걸쳐서 설치되는 큰 패널과, 한개의 문기둥용 패널 지지체(1)에 설치되는 작은 패널 두 종류가 있으며, 석재패널 P는 사각형이고 설치하였을 때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는 변에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균일한 폭을 갖는 요(凹)형 홈(15)이 그 변 전장에 걸쳐 파여져 있다.
각각의 석재패널 P는, 천연석재를 절단하여 만든 것으로, 그 두께 T 가 불균일 하나, 각 석재패널 P에 파여진 요형(凹形)홈(15)에 대해서는 요형 홈(15)의 바깥쪽에 면하는 접면(接面)(15a)과 석재패널 P의 표면과의 사이의 간격 W가 거의 일정하도록 설정되어, 각 석재패널 P의 요형 홈(15)이 파여져 있다.
각 석재패널 P를 문기둥용 패널지지체(1)에 설치하기 위한 두 종류의 결합부재(16), (17)는 알루미늄제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압출성형 제품을 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한 것이다.
즉, 두 종류의 결합부재(16), (17)는 옆폭이 다를 뿐, 어느 것이나 동일한 알루미늄 압출 성형품에서 절단된 것으로서, 알루미늄 압출 성형품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기둥용 패널 지지체(1)의 두 C형 홈(2), (3)안으로 끼워 넣어질 결합부(結合部)(18)와 위쪽으로 돌출된 결합용 상향 돌출부(19)와 아래로 돌출된 결합용 아래 돌출부(20) 및 두개의 돌출부(19), (20)와 결합부(18)를 연결하는 연결부(21)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각 C형 홈(2), (3)에 대응하여 횡(橫)방향으로 절단되며, 또한 각 연결부(21)에 돌출부(2a), (3a)가 들어 갈 홈(21a)이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형성된 각 결합부재(16), (17)는 그 결합부(18)를 C형 홈(2), (3)안에 끼워넣은 상태로, 그 C형 홈(2), (3)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가능 하게 구성되어 있고, 또한 각 결합부재(16), (17)의 결합용 돌출부(19)가 위에 위치하는 석재패널 P의 요형(凹形)홈(15)에, 그리고 결합용 아래 돌출부(20)가 아래에 위치하는 석재패널 P의 요형(凹形)홈(15)에 각각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결합부재(16), (17)에 있어서, 양 돌출부(19), (20)의 두께 h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 석재패널 P의 요형 홈(15)의 폭 H보다 작고, 결합용 위 돌출부(19)와 아래 돌출부(20)의 안쪽에 면하는 위 돌출부 접면(19a)과 아래 돌출부 접면(20a)이 서로 동일면이 되게 구성되어 있으며, 위아래 돌출부(19), (20)의 접면(19a), (20a)과 상기 결합부(18)의 외측에 면하는 외측면 (18a) 사이의 간격 w가 일정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어서, 각 석재패널 P가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면, 이것에 의하여 각 석재패널 P의 요형 홈(15)의 홈 접면(15a)이 각 돌출부(19), (20)의 접면(19a), (20a)에 맞닿아 각 석재패널 P의 표면이 동일면이 되도록 구성된다.
각 석재패널 P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게 하기 위한 탄성부재는 도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기둥용 패널 지지체(1)의 소폭(小幅)의 C형 홈(2)에 끼워 넣는 소폭의 탄성부재(22)와 광폭(廣幅)의 C형 홈(3)에 끼워 넣는 광폭의 탄성부재(23)등 두 종류가 있다.
탄성부재(22), (23)는 모두 금속제의 스프링재를 절곡(折曲)형성한 것으로, 도 9에 도시한 것처럼 C형 홈(2), (3)에 끼워 넣은 결합용 돌기(24)와, 결합용 돌기(24)의 상하에 위치하여 각 석재패널 P의 이면에 맞닿음과 동시에, 그 탄성력에 의하여 각 석재패널 P를 밖으로 밀어내는 한 쌍의 가압(加壓)부(25)를 구비하고, 각 결합용 돌기(24)를 C형 홈(2), (3)안에 끼워넣어 줌으로서, 각 C형 홈(2), (3)을 따라 임의의 위치에 정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있다.
다음에 문기둥용 패널 지지체(1)를 사용하여 석재패널 P를 설치하는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문기둥의 기초(8)를 시공하고, 그 시공을 할 때, 소정의 위치에 앵커볼트(9)를 매설한다. 앵커볼트(9)가 원형의 관통공(貫通孔)(10)과 장공(長孔)(12)안에 위치하도록 앵커볼트(9)의 위쪽으로 부터 문기둥용 기초부재(5)와 원반(11)을 넣고, 문기둥용 기초부재(5)의 단부(段部)(10a)에 원반(11)을 끼워 넣는다.
그리고, 문기둥용 기초부재(5)가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단부(10a)안에서 원반(11)을 적절하게 회전시키며, 원반(11)의 장공(12)에 대한 앵커볼트(9)의 위치를 조정하고, 암나사(14)를 조여서 문기둥용 기초부재(5)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킨다.
또한, 문기둥용 기초부재(5)에 돌출된 두개의 지주(6)에 광폭의 C형 홈(3)이 외측으로 향하도록, 위로부터 문기둥용 패널 지지체(1)를 맞추어 끼워주고, 볼트(7)로 각 문기둥용 패널 지지체(1)를 지주(6)에 고정시키면서 문기둥용 패널 지지체(1)의 위 부분을 도시(圖示)되지 않은 간격유지용 연결부재로 서로 연결 고정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문기둥용 패널 지지체(1)의 중공부(中空部)(4)가 각 지주(6)에 대하여 꼭 맞게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또한, 양 문기둥용 패널 지지체(1)의 위 부분이 간격유지용 연결부재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어 문기둥용 기초부재(5)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두개의 문기둥용 패널지지체(1)는 그 길이 방향에 연한 면이 서로 평행을 이루는 동일평면이 되도록 설치한다.
그 다음, 문기둥용 패널 지지체(1)에 대하여 각각 소폭(小幅)의 C형 홈(2)에 결합부재(16)와의 결합부(18)를 끼워 넣음과 동시에 광폭의 C형 홈(3)에 결합부재(17)의 결합부(18)를 끼워넣은 후, 각 결합부재(16), (17)를 C형 홈(2), (3)을 따라 이동시켜 문기둥용 패널 지지체(1)의 아래쪽에 위치시키고, 또한 C형 홈(2), (3)에 탄성부재(22), (23)의 결합용 돌기(24)를 끼워 넣어, 그 탄성부재(22), (23)를 결합부재(16),(17)보다 약간 위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문기둥용 패널 지지체(1)의 소폭의 C형 홈(2)쪽 면에 대해서는 문기둥용 패널지지체(1)에 지지시킨 결합부재(16)와 결합용 돌출부(19)를 대형 석재패널 P의 아래쪽 요형(凹形)홈(15)에 맞추어 끼우고, 광폭(廣幅)의 C형 홈 (3)쪽에 대해서는 결합부재(17)의 결합용 위 돌출부(19)를 소형 석재패널 P의 요형(凹形)홈(15)에 끼운다.
그 다음, 각각의 C형 홈(2), (3)에 다른 결합부재(16), (17)를 끼워 넣으면서 각 결합부재(16), (17)의 결합용 아래 돌출부(20)를 석재패널 P의 위쪽 요형(凹形)홈(15)에 맞추어 끼우고, 이러한 작업을 반복하면서 다수의 석재패널 P를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순차적으로 고정시킨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최하단에 위치하는 결합부재에 대해서는, 결합용 위 돌출부(19)만을 갖는 결합부재를 사용하고, 최상단에 위치하는 결합부재에 대해서는 결합용 아래 돌출부(20)만을 갖는 결합부재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같이 석재패널 P의 설치가 완료되면, 각 석재패널 P는 그 후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22), (23)의 가압부(25)에 의하여 외측으로 밀어내어 지고, 각 석재패널 P가 외측으로 밀어내어짐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바와 같이, 석재패널 P의 요형(凹形)홈(15)의 요형(凹形)홈 접면(接面) (15a)이 결합부재 (16), (17)의 결합용위아래 돌출부(19), (20)의 접면(19a), (20a)과 맞닿고, 또한 결합부(18)의 외측(外側)면(18a)이 C형 홈(2), (3)의 돌출부(2a), (3a)의 뒷면에 맞닿게 된다.
이때에 각 결합부재(16), (17)에 있어서, 결합용 위아래 돌출부 (19), (20)의 접면(19a), (20a)과 결합부(18)의 외측면(18a)과의 간격 w가 일정하게 설정 되어있고, 각각의 석재패널 P에 있어서, 요형 홈(15)의 접면(15a)과 석재패널 P의 표면과의 사이의 간격 W가 일정하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비록 각 석재패널 P의 두께 T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있더라도, 각 석재패널 P의 표면은 확실하게 동일 평면을 이룬다.
또한, 실제로 실시할 때에는 문기둥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고, 따라서 문기둥의 크기에 맞는 규격의 문기둥용 패널 지지체(1)를 사용하게 되나, 그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대응할 수도 있다. 즉, 문기둥용 패널지지체 (1)에 설치하는 결합부재(16), (17)의 결합용 위 아래 돌출부(19), (20)의 접면 (19a), (20a)과 결합부(18)의 외측면(18a)과의 간격 w가 다른 결합부재(16), (17)를 사용하여, 예컨대 간격 w가 큰 결합부재(16), (17)를 사용함으로서, 보다 큰 석재패널 P를 사용하여 큰 문기둥을 구축할 수가 있으며, 이럴 경우, 문기둥용 패널 지지체(1)와 문기둥용 기초부재(5)등에 대해서는 동일한 것을 공용할 수 있다.
또한, 문기둥용 기초부재(5)에 있어서는 두개의 지주(6)의 간격을 변경하고 위에서 말한 간격유지용 연결부재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서, 크기가 다른 문기둥을 구축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두개의 지주(6)간의 간격을 변경하는 것 만으로 지주(6)자체는 물론, 문기둥용 패널지지체(1)를 비롯하여 결합부재 (16), (17)등도동일한 것을 공용할 수 있다.
제 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11 ∼ 도1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석재패널 P를 설치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압출 성형품으로된 장척의 벽면용 패널지지체(26)가 사용된다.
이 벽면용 패널 지지체(26)도 단면형상이 직사각형이고, 그 장변 측의 한쪽 면에만 서로 마주보는 혀 모양의 돌출부(27a)를 갖춘 C형 홈(27)이, 벽면용 패널 지지체(26)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부(開口部)가 외측을 향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이 벽면용 패널 지지체(26)는 기초부재가 되는 건축물의 벽구체(28)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이 벽면용 패널 지지체(26)에는, 건축물의 벽구체(28)에 매설된 복수의 앵커 볼트(29)에 삽입하기 위한 볼트 구멍(30)이 적절하게 뚫어져 있다.
각 앵커 볼트(29)에 대해서는, 암나사(31), 와셔(32), 및 탄성변형 가능한 내진(耐震)용 링(33)이 한쌍씩 마련되어있어, 도 12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앵커 볼트(29)를 벽면용 패널지지체(26)의 볼트구멍(30)에 삽입하고, 한쌍의 암나사(31), 와셔(32) 및 탄성변형 가능한 내진용 링(33)을 사용하여 벽면용 패널지지체(26)를 안팎에서 끼워 조임으로서, 각 패널지지체(26)를 벽구체(28)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각 벽면용 패널 지지체(26)를 벽구체(28)에 설치한 상태에서는, 도 15에 도시한바와 같이, 벽면용 패널 지지체(26)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쌍의 내진용 링(33)의 탄성변형에 의하여 각 앵커 볼트(29)에 대한 패널 지지체(26)의 상대이동이 허용되며 예컨대, 지진에 의하여 벽구체(28)가 진동할 경우에도, 그진동이 패널 지지체(26)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킨다.
벽면용의 석재패널 P도 천연석재를 절단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앞의 문기둥용 석재패널 P와 크기가 다를 뿐, 그 구성에 있어서 완전히 동일한 것이다.
즉, 설치함에 있어 위쪽과 아래쪽에 위치하는 주변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균일한 폭 H를 가진 홈으로서 요형(凹形)홈(15)이 각 주변의 전체 길이에 걸쳐 파여 있으며, 그 패널의 두께 T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에도, 각 석재패널 P의 요형(凹形)홈(15)에 있어서, 그 요형(凹形)홈(15)의 외측에 면하는 요형(凹形)홈 접면(15a)이 각 석재패널 P의 표면과의 간격 W가 일정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석재패널 P를 벽면용 패널지지체(26)에 설치하기 위한 결합부재(34), 도14에 도시한 것처럼 앞서의 실시형태와 같이, 알루미늄 압출성형품을 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하여 형성시킨 것으로, 구조적으로 동일하다.
즉, 그 결합부재(34)도,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용 패널지지체(26)의 C형 홈(27)안으로 끼워 넣을 결합부(35), 위쪽으로 돌출 하는 결합용 위 돌출부(36)와 아래쪽으로 돌출 하는 결합용 아래 돌출부(37) 및 양 돌출부(36),(37)와 결합부(35)를 연결하는 연결부(38)들을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연결부(38)에는 C형 홈(27)의 혀 모양의 돌출부(27a)가 들어갈 홈(38a)이 절결되어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벽면용 패널지지체(26)의 C형 홈(27)이나 혀 모양의 돌출부(27a)가 문기둥용 패널지지체(1)의 양 C형 홈(2), (3) 이나, 양 돌출부(2a), (3a)와 동일한 치수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결합부재(34)를 형성하는알루미늄 압출성형품을 공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각 결합부재(34)가 그 결합부(35)를 C형 홈(27)안으로 끼워 넣은 상태로, 그 C형 홈(27)을 따라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또한, 각 결합부재(33)의 결합용 위 돌출부(36)가, 위쪽에 위치하는 석재패널 P 의 요형(凹形)홈(15)에, 그리고, 결합용 아래 돌출부(37) 가, 아래쪽에 위치하는 석재패널 P 의 요형(凹形)홈(15)에 각각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결합부재(34)에 있어서 양 돌출부(36),(37)의 두께 h 도 각 석재패널 P의 요형(凹形)홈(15)의 폭 H 보다 작고, 또한 결합용 위 돌출부(36)와 아래 돌출부(37)와 안쪽에 면하는 위 돌출부 접면(36a)과 아래 돌출부 접면(37a)이 서로 동일면이 되게 구성되어 있으며, 위아래 돌출부(36), (37)의 접면(36a), (37a)이 결합부(35)의 외측에 면하는 외측면(35a)사이의 간격 w 가 일정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각 석재패널 P 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게 하기 위한 탄성부재(39)도 앞의 실시 형태와 같이 금속제의 스프링재를 절곡(折曲)형성한 것으로, C형 홈(27)안으로 끼워넣을 결합용 돌기(40)와, 이 돌기(40)의 상하에 위치하여, 각 석재패널 P 의 이면에 맞닿음과 동시에, 그 탄성력에 의하여 각 석재패널 P 를 밖으로 밀어내는 한 쌍의 가압부(加壓部)(41)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각 결합용 돌기(40)를 각 C형 홈(27) 안으로 끼워 넣음으로서, 각 C형 홈(27)을 따라 임의의 위치에 정착 가능하도록 구성 되어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벽면용 패널지지체(26)의 C형 홈(27)이나 혀 모양의돌출부(27a)가 문기둥용 패널지지체(1)의 광폭(廣幅)의 C형 홈(3)이나 그 혀 모양 돌출부(3a)와 동일한 치수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탄성부재(39)가 문기둥용 광폭의 탄성부재(23)와 공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벽면용 패널지지체(26)를 사용하여 석재패널 P를 벽구체(28)에 설치하는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벽구체(28)를 신축하는 경우라면, 그것을 구축할 때 다수의 앵커 볼트 (29)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매설하고, 벽구체(28)가 이미 구축되어 있는 경우라면, 그 기존 벽구체(28)에 대하여 다수의 앵커 볼트(29)를 설정된 간격으로 박아 넣는다.
이 다수의 앵커 볼트(29)가 벽면용 패널지지체(26)의 볼트구멍(30)에 삽입되도록 하여, 각 패널지지체(26)를 상하 방향으로, 즉 수직자세가 되고, 아울러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설한다.
그리고,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너트(31), 와셔(32), 및 내진(耐震)용 링(33)을 사용하여, 벽면용 패널지지체(26)를 그 안쪽과 바깥쪽에서 끼워 조여서 설치하는 것과 동시에 각 벽면용 패널지지체(26)들간에 서로 레벨이 맞도록 조정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필요에 따라 각 앵커 볼트(29)의 암나사(31)를 풀거나 조여 가면서, 각 벽면용 패널지지체(26)의 벽구체(28) 외측으로 향하는 면이 서로 동일한 평면이 되도록 레벨 조정을 실시하여, 벽면용 패널지지체(26)을 벽구체(28)에 설치한다.
그 다음, 앞의 실시형태와 같이, 각 벽면용 패널지지체(26)의 C형 홈(27)에 결합부재(34)의 결합부(35)를 끼워 넣고, C형 홈(27)을 따라 아래로 이동시킨 다음, 각 C형 홈(27)에 탄성부재(39)의 결합용 돌기(40)를 끼워 넣어, 결합부재 (34) 보다 적당 거리 위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벽면용 패널지지체(26)에 지지시킨 각 결합부재(34) 의 결합용 위 돌출부(36) 사이에 걸쳐서 석재패널 P 의 아래쪽 요형(凹形)홈 (15)을 맞추어 끼우고, 그 다음에, 각 C형 홈(27)에 다른 결합부재(34)를 끼워 넣는 것과 동시에, 결합부재(34)의 결합용 아래 돌출부(37)을 각 석재패널 P 의 위쪽 요형(凹形)홈(15)에 맞춰 끼우는, 이러한 작업을 반복하면서, 다수의 석재패널 P 를 아래서쪽에서부터 위쪽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설치해 가는 것이다.
다만, 이 제 2 의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횡 방향으로 다수의 석재패널 P 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 양 단부 이외의 개소에서는, 한 개의 결합부재(34)가, 좌우에 위치하는 양쪽 두개의 석재패널 P 를 공용으로 결합 지지하게 되는 것이 된다.
또한, 앞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최하 단에 위치하는 결합부재에 대해서는, 결합용 위 돌출부(36)만을 가진 결합부재를 사용하고, 최상 단에 위치하는 결합부재에 대해서는 결합용 아래 돌출부(37)만을 갖는 결합부재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 제 2 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각 석재패널 P 가, 그 후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39)의 가압부(41)에 의하여 외측으로 밀어내 지고 있으므로, 도 13 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석재패널 P의 요형(凹形)홈(15)에서 요형(凹形)홈접면(接面)(15a)이 결합부재(34)의 결합용 위 아래 돌출부(36),(37)의 접면(36a),( 37a)과 맞닿고, 또한 결합부(35)의 외측(外側)면(35a)가 C형 홈(27)의 돌출부 (27a)의 뒷면에 맞닿게 된다.
그리하여, 각 결합부재(34)에 있어서, 결합용 위아래 돌출부(36), (37)의 접면 (36a), (37a)과 결합부(35)의 외측면(35a)과의 간격 w 가 일정하게 설정 되어있고, 또한 , 각 석재패널 P 에 있어서, 요형 홈(15)의 접면(15a)과 석재패널 P 의 표면과의 사이의 간격 W 가 일정하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비록 각 석재패널 P 의 두께 T 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있더라도, 각 석재패널 P 의 표면은 확실하게 동일 평면이 된다.
특히, 이 제 2 의 실시 형태에서는, 석재패널 P 를 설치하는 대상이 건축물의 벽구체(28)이고, 제 1의 실시형태인 문기둥에 비하여, 상하 방향의 높이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높이가 너무 높아지게 되면, 석재패널 P 의 하중이 순차 하단부 쪽으로 작용하여, 최하 단에 위치하는 석재패널 P 에 대하여, 불필요하게 커다란 하중이 작용할 우려가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와 같은 부적당한 하중증가를 피해야 할 필요성이 생긴다.
이런 경우에 대한 대책으로서, 예컨대,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용 패널지지체(26)에 적당한 개소를 정하여, C형 홈(27)의 혀 모양 돌출부 (27a) 일부분을 잘라내어 개구부(42)를 만들고, 그 개구부(42)에 하중지지용 결합부재(43)을 결합시킴으로서, 하중지지용 결합부재(43)로 하여금, 그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석재패널 P 의 하중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하중지지용 결합부재(43)를 거쳐 벽면용 패널지지체(26)에 전달하여 지지시킬 수도 있다.
이와같이 구성을 하면, 하중지지용 결합부재(43) 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석재패널 P 의 전하중(全荷重), 또는 그 하중의 일부가, 벽면용 패널지지체(26)에 의하여 직접 지지되기 때문에, 최하 단에 위치하는 석재패널 P 에 대하여 필요 이상의 큰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회피할 수가 있다.
따라서, 각 벽면용 패널지지체(26)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개소에 위에 기술한 하중지지용 결합부재(43)을 배치함으로서, 상당히 높은 벽구체(28)에 대해서도 석재패널 P를 안전하게 설치할 수가 있다.
그리고, 여기에 사용되는 하중지지용 결합부재(43)는, 위에 기술한 결합부재(34)에서 다만 그 연결부(38)에 뚫어져 있는 홈(38a)이 뚫려 있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므로, 도 14에서 도시하는바와 같이 결합부재(34)를 잘라내는 알루미늄 압출성형품을 그대로 사용하여 간단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별도의 실시형태]
(1) 위에 기술한 제1, 제2의 실시형태에서, 탄성부재(22),(23),(39)라는 것은, 각 C형 홈(2),(3),(27)에 들어갈 결합용 돌기(24), (40)을 갖추고 있는 것이라고 말하였으나, 도 18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금속제 스프링재로 형성되고, 각 C형 홈(2), (3), (27)의 혀 모양 돌출부(2a), (3a), (27a)를 탄성에 의하여 끼워 잡는 본체부분(44)와, 그 본체부분(44)과 설치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는 한 쌍의 집게조작용 조작부(45)를 구비한 탄성부재(22), (23), (39)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각 탄성부재(22), (23), (39)에 있는 조작부(45)의 한쪽이, 각 석재패널 P 의 뒷면에 맞닿아 본체부분(44)의 탄성력에 의하여 석재패널 P 를 외측으로 밀어내게 가압하는 것이다.
(2) 위에서 기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화장패널의 일례로서 천연석재를 절단하여 만든 석재패널 P 를 사용한 예를 들었으나, 특별히 천연석재 패널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합성수지제의 패널이나 인조석재로 된 패널이라도 좋고, 또는, 여러 장의 타일을 붙인 패널, 혹은 타일 그 자체만으로도 가능하고, 그밖에 뿜칠 도장 등에 의하여 만들어진 패널이라도 좋으며, 실제로 실시함에 있어서는, 각종의 다양한 패널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또, 문기둥용 패널지지체(1) 및 벽면용 패널지지체(26)에 대하여, 알루미늄 압출성형품으로 구성한 예를 들었으나, 예컨대, 시판되고 있는 형강(形鋼)등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이들 패널지지체(1),(26)에 대하여는 각종의 재료와 형상을 채용하여 여러 가지로 변경을 할 수가 있으며, 아울러, 각 결합부재 (16), (17), (34)에 대하여도 이와 같다.
(3) 건축물의 벽구체(28)에 석재패널 P 를 설치하는 제 2 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그 벽면용 패널지지체(26)에 하중지지용 결합부재(43)를 배치하여, 그보다 위에 위치하는 석재패널 P의 전 하중, 혹은 그 일부를 벽면용 패널지지체(26)로 하여금 직접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예를 들었으나, 문기둥의 주위에 석재패널 P 를 설치하는 제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그 문기둥용 패널지지체(1) 에 하중지지용 결합부재를 배치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패널 설치구조는 천연석을 깎아서 만든 석재패널을 문기둥의 둘레에 붙이거나, 건물의 벽체 표면에 붙이는데 적합한 구조로서, 문기둥의 주위에 붙이는 경우와 건물의 벽체 표면에 붙이는 경우, 시공성은 획기적으로 개선된 효과를 가지며, 화장용 패널이나 결합용 부재에 약간의 치수 오차가 있는 경우는 물론이고, 화장용 패널 크기가 크게 달라진 경우에도 여러개의 화장용 패널을 사용하여 소망하는바 데로 질서 정연하게 붙일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6)

  1. 기초부재에 장척(長尺)의 패널 지지체(支持體)를 고정시키고, 패널 지지체에 있는 여러개의 결합부재를 복수개의 화장(化粧)패널 주연부에 형성된 요부(凹部)에 각각 걸어 맞추고, 이 복수개의 화장패널은 상기 걸어맞춤 부재와 패널 지지체에 의해 상기 기초부재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패널 설치구조로서, 상기 패널 지지체는 그 길이방향으로 C형 홈을 가지며, 상기 걸어맞춤 부재는C형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C형 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설치 구조.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한 패널 지지체가 문기둥(門柱)용 패널 지지체이고, 전술한 기초부재가 문기둥 하부에 배치된 문기둥용 기초부재로서, 상기 문기둥용 패널 지지체가 전술한 문기둥용 기초부재에 수직자세로 고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설치 구조.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전술한 문기둥용 기초부재가 문기둥의 기초에 매설되어 있는 앵커부재에 대해서 상대위치 변경기구에 의해 붙일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설치 구조.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체가 벽면용 패널 지지체이고, 앞의 기초부재가 건축물의 벽구체로서 상기 벽면용 패널 지지체의 복수(複數)개가 앞의 벽구체를 따라 서로 평행하게 수직자세로 설치되어 있어, 서로 인접한 상기 벽면용 패널 지지체들 사이에 걸쳐 상기 화장패널이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설치 구조.
  5. 청구항 1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체가 알루미늄의 압출 성형품임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설치 구조.
  6. 청구항 1 내지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패널이 천연석재를 끊어서 만들어진 석재패널임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설치 구조.
KR1020010053362A 2001-06-21 2001-08-31 패널 설치구조 KR200200968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88085 2001-06-21
JPJP-P-2001-00188085 2001-06-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811A true KR20020096811A (ko) 2002-12-31

Family

ID=27677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362A KR20020096811A (ko) 2001-06-21 2001-08-31 패널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681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529B1 (ko) * 2003-11-18 2007-06-25 에스에스씨 파트너스 가부시키가이샤 강철재의 장착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립 홈형 강철 및고정 금구
KR101663430B1 (ko) * 2015-08-06 2016-10-06 송묘녀 무줄눈 건식시공용 석재 및 그 시공공법
WO2017026581A1 (ko) * 2015-08-10 2017-02-16 썬파크 주식회사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
KR102209355B1 (ko) * 2020-07-21 2021-01-29 김남식 내진기능을 갖는 석재패널 고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529B1 (ko) * 2003-11-18 2007-06-25 에스에스씨 파트너스 가부시키가이샤 강철재의 장착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립 홈형 강철 및고정 금구
KR101663430B1 (ko) * 2015-08-06 2016-10-06 송묘녀 무줄눈 건식시공용 석재 및 그 시공공법
WO2017026581A1 (ko) * 2015-08-10 2017-02-16 썬파크 주식회사 건축용 부재 지지 장치
KR102209355B1 (ko) * 2020-07-21 2021-01-29 김남식 내진기능을 갖는 석재패널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0714Y1 (ko) 건물의 외벽재 고정장치
KR20210022820A (ko) 플로어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KR200451966Y1 (ko) 클린룸 패널의 조립구조
KR20020096811A (ko) 패널 설치구조
KR101795986B1 (ko) 거푸집 겸용 단열마감재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622647B1 (ko) 맨홀의 높낮이 조절구조를 갖는 맨홀 성형장치
KR200389470Y1 (ko) 거푸집용 체결부재
KR20180072267A (ko) 건축물용 조립식 거푸집 패널
JP2022028326A (ja) 梁底型枠
KR200329513Y1 (ko) 매설용 앵커볼트 고정구
KR20070006541A (ko) 맨홀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맨홀 구조체
JP3831069B2 (ja) 雄抜型を備えたコンクリート製品成形型および雄抜型の取付方法
KR20190133413A (ko) 거푸집 고정구
KR0152643B1 (ko) 콘크리트 시공용 코너 거푸집
KR200247957Y1 (ko) 조립식 패널 설치 시스템
JPH053487U (ja) 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部材の保持具
KR200227302Y1 (ko) 철근 간격 유지구
KR20030035733A (ko) 거푸집 패널용 수평 고정장치
KR960009424Y1 (ko) 경량 철골 구조물
KR200362080Y1 (ko) 시공이음부 연결구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일체타설 시스템
US20220349188A1 (en) Reinforced pedestal and reticular structure that supports superposed surfac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210050792A (ko) 천장패널
JPH0579042A (ja) アンカー部材植付け用孔の形成方法及び孔形成型
KR200164045Y1 (ko) 배관공사용합성수지재브라켓
JP2512170B2 (ja) 柱用パネルの取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