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6284A - 자동차의 연료 누유 진단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연료 누유 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6284A
KR20020096284A KR1020010034641A KR20010034641A KR20020096284A KR 20020096284 A KR20020096284 A KR 20020096284A KR 1020010034641 A KR1020010034641 A KR 1020010034641A KR 20010034641 A KR20010034641 A KR 20010034641A KR 20020096284 A KR20020096284 A KR 20020096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ontrol unit
engine control
amount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4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4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6284A/ko
Publication of KR20020096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628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1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sensor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17Fuel level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2041/224Diagnosis of the fuel system
    • F02D2041/225Leakag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 누유 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료탱크(1)의 연료레벨센더(2)로부터 운전석의 계기판에 설치된 연료게이지(7)로 전달되는 연료잔량정보가 인젝터(8)의 분사량 제어를 수행하는 엔진제어유니트(3)에 입력되며, 이 엔진제어유니트(3)에는 실내에 설치된 경고등(4)이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엔진제어유니트(3)는 연료탱크(1)에서 소모되는 연료량과 인젝터(8)에서 실제 분사된 연료량을 비교하여 연료계의 누유여부를 판정할 수 있으며, 누유판정시에는 경고등(4)을 점등시켜 운전자가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누유진단은 엔진제어유니트(3)에서 수행되는 공연비제어와 관계없이 수행되므로 종래의 여러 진단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상태에서도 정확한 누유진단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연료 누유 진단장치{an fuel leaking diagnosis system for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 누유 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올바른 진단이 이루어지기 위한 여러 진단조건들의 만족여부와 상관없이 연료계의 누유를 감지할 수 있독 된 자동차의 연료계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연료계(연료탱크로부터 엔진의 인젝터에 이르는 연료공급라인)에서 연료의 누유나 막힘이 있는지를 진단하여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경고등을 점등시켜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연료계 진단 장치가 적용되어 있다.
종래의 연료계 진단은 엔진제어유니트(ECU)에서 공연비제어를 수행하면서 이루어지는데, 즉 공연비 제어시 체크되는 연료량의 증가 또는 감량분이 설정된 임계치보다 크거나 작은 상태가 일정시간 이상으로 유지되면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에러신호를 발생하고, 이에 의해 경고등이 점등되도록 되어 있었다.(참조; 도1, 도 1에는 연료분사량이 최대 임계값 이상으로 증가된 상태가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어 에러신호가 발생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연료분사량이 최소임계값 이하로 떨어진 상태가 일정시간 이상 유지되어도 에러신호가 발생하고 경고등이 점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연료계 진단은 엔진제어유니트의 공연비제어시 이루어지는 것으로, 엔진제어유니트에서 정상적인 공연비 제어를 수행하기 시작한 후에야 비로소 진단이 가능하게 된다.
즉, 올바른 진단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전제조건이 필요한데, 그 전제조건으로서는 엔진이 완전히 웜업(warm-up)된 상태일 것, 촉매가 활성화 온도 이상으로 되어 폐루프(closed loop)제어 조건일 것, 대기압이 낮은 고지대가 아닐 것, 캐니스터에서 유입되는 증발가스량이 많지 않을 것 등이 있으며, 이러한 조건이 만족되지 않을 경우에는 올바른 진단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엔진의 공연비제어와는 상관 없는 즉, 진단을 위한 여러 전제조건들이 만족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연료계의 누유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해 줄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연료 누유 진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료계 진단의 개요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누유 진단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진단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료탱크,2 : 연료레벨센더,
3 : 엔진제어유니트,4 : 경고등,
5 : 플로우트,6 : 가변저항트랙,
7 : 연료게이지,8 : 인젝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료탱크의 연료레벨센더(fuel level sender)와, 이 연료레벨센더를 통해 연료탱크내의 연료소모량을 인지하고 이 연료소모량과 인젝터를 제어하여 분사시킨 연료분사량의 차에 근거하여 누유상태를 판정하며 누유판정시 경고등 점등신호를 출력하는 엔진제어유니트와, 이 엔진제어유니트에 의해 점등되는 경고등으로 구성된다.
즉, 소모된 연료량과 실제 분사된 연료량의 차이를 통하여 연료공급라인에서의 누유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연료계 누유 진단장치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연료탱크(1)에 내장되어 연료잔량을 측정하는 연료레벨센더(2)와, 이 연료레벨센더(2)에 연결된 엔진제어유니트(3)와, 이 엔진제어유니트(3)에 연결된 경고등(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료레벨센더(2)는 연료탱크 내 연료의 유면을 따라 높이가 변화되는 플로우트(5)와, 이 플로우트(5)에 연결된 아암이 접촉하는 가변저항트랙(6)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연료잔량에 따라 변화하는 전기적 신호가 발생된다.
이 신호는 원래 운전석의 계기판에 설치된 연료게이지(7)로 전달되어 운전자가 남아 있는 연료의 양을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이 신호가 엔진제어유니트(3)로도 입력된다.
따라서, 엔진제어유니트(3)가 연료탱크(1)의 연료잔량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엔진제어유니트(3)에서 연료계의 누유를 판정하는 로직은 도 3에 도시된 순서도와 같다.
이그니션 키이가 on되어 엔진이 작동하기 시작하면 연료레벨센더(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초기 연료탱크 연료량(A)을 계산한다.
이와 동시에 인젝터(8)를 통해 연소실로 분사되는 연료분사량(D)를 적산하기 시작한다.
이후, 차량의 주행거리가 설정거리(주행후 일정 시간이 지나 연료소모가 어느정도 이루어졌을 정도의 거리로서 설계자에 의한 임의 설정값) 이상되면, 그 때의 잔여 연료탱크 연료량(B)을 계산하여, 이 잔여 연료량(B)과 상기 초기 연료량(A)의 차인 연료탱크(2)를 빠져 나간 총 소모 연료량(C)를 계산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인젝터(8)의 연료분사량(D) 적산을 종료한다.
이후, 상기 연료탱크의 총 소모 연료량(C)과 인젝터(8)의 연료분사량(D)의 차가 설정량--산술적으로는 연료탱크의 총 소모 연료량(C)이 인젝터(8)에서의 연료분사량(D)보다 크다면 연료계에서 누유가 발생한 것이지만, 연료레벨센더의 측정오차, 연료의 이동속도, 연료탱크로 리턴되는 연료의 양 등의 조건에 의하여 누유상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C값과 D값이 서로 일치하지는 않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적절히 누유판정을 하기 위한 유량차 허용량이다.--보다 클 경우 연료계에 누유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정상으로 판정하며, 누유판정시에는 상기 경고등(4)을 점등시켜 운전자가 누유발생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연비 제어와 상관 없이 연료계의 누유를 진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의 여러 진단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연료계의 누유진단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연료탱크(1)의 연료레벨센더(2)와, 이 연료레벨센더(2)를 통해 연료탱크(1)내의 연료소모량을 인지하고 이 연료소모량과 인젝터(8)를 제어하여 분사시킨 연료분사량의 차에 근거하여 누유상태를 판정하며 누유판정시 경고등(4) 점등신호를 출력하는 엔진제어유니트(3)와, 이 엔진제어유니트(3)에 의해 점등되는 상기 경고등(4)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연료 누유 진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제어유니트(3)에는 연료레벨센더(2)에서 플로우트(5)의 아암과 가변저항트랙(6)의 접촉위치변경에 의하여 발생되어 연료게이지(7)로 전달되는 연료잔량에 대한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 누유 진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제어유니트(3)는 이그니션키이가 on되어 엔진이 작동하면 연료탱크의 초기 연료량(A)을 계산하고, 동시에 연료분사량(D)의 적산을 개시하며, 일정거리 이상 주행한 후에 연료탱크의 잔여 연료량(B)을 계산하여 연료탱크의 총 소모 연료량(C)을 산출하고, 이때 상기 연료분사량(D)의 적산을 종료하며, 상기 연료탱크의 총 소모 연료량(C)과 적산된 연료분사량(D)의 차가 설정된 허용값 이상일 경우에 누유판정을 하여 상기 경고등(4)을 점등시키는 제어를 수행토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 누유 진단장치.
KR1020010034641A 2001-06-19 2001-06-19 자동차의 연료 누유 진단장치 KR200200962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641A KR20020096284A (ko) 2001-06-19 2001-06-19 자동차의 연료 누유 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641A KR20020096284A (ko) 2001-06-19 2001-06-19 자동차의 연료 누유 진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284A true KR20020096284A (ko) 2002-12-31

Family

ID=27709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641A KR20020096284A (ko) 2001-06-19 2001-06-19 자동차의 연료 누유 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62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6063A (ko) * 2009-03-25 2012-02-22 파르마코스모스 홀딩 에이/에스 안정한 철 올리고당 화합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6063A (ko) * 2009-03-25 2012-02-22 파르마코스모스 홀딩 에이/에스 안정한 철 올리고당 화합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56827B2 (ja) 燃料供給システムにおける漏れを検出するための検出装置
JP3565611B2 (ja)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KR101580449B1 (ko) 커먼 레일 분사 시스템에서 레일 압력 센서의 에러 작용 및 특히 드리프트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
CA2430860C (en) Evaporative fuel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same
US5461569A (en) Abnormality diagnostic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P0663516B1 (en) Malfunction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econdary air supply system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103655A (en) Diagnostic arrangement for automotive engine EGR system
JP2001012318A (ja) 蒸発燃料処理装置の故障診断装置
JPS5960067A (ja) 内燃機関の電子制御装置
JPH10184479A (ja) 燃料レベル検出手段の故障診断装置
JP2005188309A (ja) スロットル系の異常判定装置
JP2001041116A (ja) 燃料蒸発ガスパージシステムのリーク診断装置
KR20020096284A (ko) 자동차의 연료 누유 진단장치
JP2005307782A (ja) エンジン制御装置
KR101755933B1 (ko) 커먼레일 압력센서의 열화 진단방법 및 장치
JP2014181597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20020044223A (ko) 자동차용 연료준위 센서의 고장 진단방법
JP6358120B2 (ja) 車両の制御装置
KR100335941B1 (ko) 연료 공급 오류 경고 장치 및 경고 방법
KR100748663B1 (ko)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계 모니터링 방법
JP3219021B2 (ja)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US2022000318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agnosing misfire of engine
KR100779848B1 (ko) 엘피아이 차량의 연료펌프 진단 방법 및 장치
KR19980020538A (ko) 흡기계의 전자제어용 센서의 고장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JP2006312890A (ja) 内燃機関の吸気系診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