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5737A -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 - Google Patents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5737A
KR20020095737A KR1020010033923A KR20010033923A KR20020095737A KR 20020095737 A KR20020095737 A KR 20020095737A KR 1020010033923 A KR1020010033923 A KR 1020010033923A KR 20010033923 A KR20010033923 A KR 20010033923A KR 20020095737 A KR20020095737 A KR 20020095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driven
yoke
universal join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3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7964B1 (ko
Inventor
김지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1-0033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7964B1/ko
Priority to US10/000,968 priority patent/US6626765B2/en
Priority to EP01126719A priority patent/EP1267088B1/en
Priority to DE60108483T priority patent/DE60108483T2/de
Priority to JP2001355149A priority patent/JP2003013988A/ja
Publication of KR20020095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9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16D3/08Couplings for intersecting shafts, provided with intermediate bars bent in an angle corresponding with the angle of inter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20Connecting steering column to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10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 F16D1/104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having retaining means rotating with the coupling and acting only by fri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16Joints and connections with adjunctive protector, broken parts retainer, repair, assembly or disassembly feature
    • Y10T403/1616Position or guide means
    • Y10T403/1624Related to joint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254Lockable at fixed position
    • Y10T403/32467Telescoping members
    • Y10T403/32475Telescoping members having detent
    • Y10T403/32508Telescoping members having detent having transverse p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55Member ends joined by inserted section
    • Y10T403/551Externally brid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설치위치에 구동요크와 종동요크를 배치하고 그 사이를 이격시키지 않은 상태로 샤프트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동요크와 종동요크에 연결되는 구동축과 종동축의 선단을 이격시키며 그 사이에는 연결축을 마련하고, 구동축과 종동축과 연결축을 사각 단면형상으로 성형작업함으로써, 조립과 설치 및 모듈화가 용이하며, 생산원가가 절감되는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구성은, 임의의 각도로 기울어진 채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동요크(20)와 종동요크(30)를 구비한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10)에 있어서, 설치 위치에 배치된 상기 구동요크(20)와 종동요크(30)에 각각 결합되되 마주하는 양측 선단이 서로 이격되고 반경방향 단면이 사각으로 마련된 구동축(50) 및 종동축(60)과, 상기 구동축(50)과 종동축(60)의 사이에서 축방향 슬립과 회전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축(50)과 종동축(60)에 대응되는 반경방향 단면으로 그 외부에 설치되는 연결축(70)으로 이루어진 3차조인트(40)가 구비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UNIVERSAL JOINT SHAFT}
본 발명은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측의 요크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샤프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해지고 생산원가가 절감되는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는 임의의 각도로 기울어진 채 설치되어 그 사이에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측과 전달받는 측에 각각 결합되는 요크와, 이 요크의 사이에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샤프트를 구비하여 마련된다.
한편, 샤프트는 요크의 사이에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마련되는데, 일반적으로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슬립 가능하도록 두 개의 축으로 분할 형성된 슬립조인트(Slip Joint)를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는 차량의 스티어링장치에서도 사용되는데, 최근에는 스티어링장치의 각 부품들이 모듈(Module) 방식으로 마련되므로, 컬럼모듈(Column Module)과 새시모듈(Chassis Module)의 사이에 설치된다.
즉,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스티어링휠 및 스티어링컬럼 등이 결합된 컬럼모듈과, 차륜을 동작시키는 기어박스 및 서스펜션 등이 결합된 새시모듈의 사이에 양측으로 분할되어 설치되고, 추후 결합되는 것이다.
도 1은 이와 같은 종래의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설치되는 요크(2,3)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부재측과 연결되는 구동요크(2)와, 회전력을 전달받는 부재측과 연결되는 종동요크(3)로 구분된다.
그리고 요크(2,3)의 사이에는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된 샤프트가 마련되는데, 이 샤프트는 두 개의 축으로 분할 형성되어 회전력 전달은 물론 축방향으로의 슬립이 가능하도록 슬립조인트(4)로서 마련된다.
이 슬립조인트(4)는 구동요크(2)와 연결되는 구동축(5)과, 종동요크(3)와 연결되는 종동축(6)으로 구분되며, 중공으로 마련된 구동축(5)의 내부에 종동축(6)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또, 구동요크(2)의 내부면과 종동요크(3)의 외부면에는 회전방향으로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한 쌍의 세레이션(5a,6a)(또는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회전력 전달과 축방향 슬립을 가능하게 한다.
즉, 슬립조인트(4)는 슬립 가능하게 마련되어 설치 거리가 설계상의 거리와 다를 때 이를 보상해줌과 더불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부재측과 회전력을 전달받는 측의 사이에 수축된 상태로 삽입된 후 신장되어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1)의 조립이 용이해지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한편, 종동축(6)이 삽입되는 구동축(5)의 선단측 양측면에는 축선을 따라 일부 절개된 한 쌍의 슬릿(5b)이 형성되고, 이 슬릿(5b)의 외부측으로는 구동축(5)을 압박하도록 클립(7)이 설치된다.
또한, 개구된 구동축(5)의 선단에는 이를 덮어, 슬립되는 구동축(5)과 종동축(6) 사이로 이물질 및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더스트캡(8)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는, 구동축(5)의 외부에 더스트캡(8)과 클립(7)을 가설치한 상태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부재측에는 구동축(5)이 결합된 구동요크(2)를 설치하고, 회전력을 전달받는 부재측에는 종동축(6)이 결합된 종동요크(3)를 설치한다.
그리고, 구동축(5)의 내부에 종동축(6)을 삽입하게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구동축(5)의 개구된 선단과 이에 삽입되는 종동축(6)의 선단이 서로 마주할 수 있도록 구동축(5)과 종동축(6)의 사이를 이격시키게 된다.
이후, 구동축(5)의 선단에 종동축(6)이 삽입된 상태에서 설치 길이에 맞도록 구동축(5)과 종동축(6)을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슬립조인트(4)의 축방향 길이를 조정하게 된다.
아울러, 축방향 길이가 조정된 상태에서 구동축(5)의 슬릿(5b) 외부측으로는 클립(7)을 설치하고, 구동축(5)의 선단에는 더스트캡(8)을 설치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는, 슬립조인트를 적용함으로 인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먼저, 구동축의 내부면과 종동축의 외부면에는 세레이션 및 스플라인의 구조가 필요하게 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해진다.
다음, 구동축과 종동축이 결합되어 회전방향으로의 원활한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겹치는 부분이 많아져 그 길이가 필요 이상으로 길어진다.
그리고, 구동축과 종동축의 체결을 위해 클립을 설치하고, 먼지 및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더스트캡을 설치하는데, 이러한 클립과 더스트캡은 그 설치가 까다로웠다.
또, 구동축이 설치된 구동요크를 회전력을 발생하는 부재측에 설치하고, 종동축이 설치된 종동요크를 회전력을 전달받는 부재측에 설치한 후, 구동축과 종동축을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이들을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야하므로, 공정이 추가되고, 이로 인해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
특히, 차량의 스티어링장치의 설치시에는 구동요크와 결합된 컬럼모듈을 축방향 상,하측으로 이동시켜야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로써, 종래의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는, 구조가 복잡하고, 길이가 길어 제작이 불편해진다. 그리고 공정이 늘어나고,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조립과 설치 및 모듈화가 어려워짐으로 인해 결국 생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설치위치에 구동요크와 종동요크를 배치하고 그 사이를 이격시키지 않은 상태로 샤프트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동요크와 종동요크에 연결되는 구동축과 종동축의 선단을 이격시키며 그 사이에는 연결축을 마련하고, 구동축과 종동축과 연결축을 사각 단면형상으로 성형작업함으로써, 조립과 설치 및 모듈화가 용이하며, 생산원가가 절감되는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차조인트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종동축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축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축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 20: 구동요크
30: 종동요크 40: 3차조인트
50: 구동축 51,52: 내부홀
52, 62: 안내홈 60: 종동축
63: 안내면 64: 걸림턱
70: 연결축 71: 외부홀
72: 안내돌기 73: 걸림돌기
74: 경사구 80: 체결부재
81: 볼트 82: 너트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는, 임의의 각도로 기울어진 채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동요크와 종동요크를 구비한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에 있어서, 설치 위치에 배치된 상기 구동요크와 종동요크에 각각 결합되되 마주하는 양측 선단이 서로 이격되고 반경방향 단면이 사각으로 마련된 구동축 및 종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의 사이에서 축방향 슬립과 회전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축과 종동축에 대응되는 반경방향 단면으로 그 외부에 설치되는 연결축으로 이루어진 3차조인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10)는 일측단에서 타측단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긴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중에 요크(20,30)는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10)의 양단에 설치되며, 회전력을 발생하는 부재측과 연결되는 구동요크(20)와, 회전력을 전달받는 부재측과 연결되는 종동요크(30)로 구분된다.
그리고, 이 구동요크(20)와 종동요크(30)의 사이에는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양단이 이들과 결합되는 샤프트가 설치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세 개의 축으로 분할 형성되어 연결 설치된 3차조인트(40)로서 샤프트를 마련한다.
이 3차조인트(40)는 성형작업(Forming)으로 마련되는 중공관으로서, 도 3에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세 개의 축으로 마련되며, 각각의 축은 구동요크(20)에 의해 회전되어 종동요크(30)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회전력 전달구조가 마련된다.
즉, 3차조인트(40)는 종동요크(30)와 결합되는 종동축(60)과, 구동요크(20)와 결합되는 구동축(50)과, 구동축(50)과 종동축(60)의 외부를 감싸 이들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연결축(70)으로 구비된다.
이때, 구동축(50)과 종동축(60)은 3차조인트(40)의 대략 절반 이하의 길이로 마련되어 설치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동축(60)은 종동요크(30)와 결합되는 일측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이외의 타측은 대략 사각 단면 형상으로 마련되는 중공관으로서, 그 외주 상, 하면은 평평하게 형성되며, 그 사이의 양측면은 라운딩 형성된다.
그리고 종동축(60)의 외주 상, 하면에는 반경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축방향으로 길게 장공형상으로 마련되는 장공형 내부홀(61)이 마련된다.
또, 종동축(60)의 상면에는 내주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V"자형 단면을 가지는 안내홈(62)이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아울러, 라운딩 형성된 종동축(60)의 일측면에는 축방향으로 일정구간 평평하게 함몰 형성되는 안내면(63)이 마련되는데, 이 안내면(63)은 종동축(60)의 선단측과 일정간격 이격 형성되어 그 사이에 걸림턱(64)을 형성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50)은 구동요크(20)와 연결되는 일측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이외의 타측은 대략 사각 단면 형상으로 마련되는 중공관으로서,그 외주 상, 하면이 평평하게 마련되며, 그 사이의 양측면은 라운딩 형성된다.
그리고 구동축(50)의 외주 상, 하면에는 반경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원형의 내부홀(51)이 마련된다.
또, 구동축(50)의 상면에는 내주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V"자형 단면을 가지는 안내홈(52)이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축(70)은 구동축(50)과 종동축(60)의 양측 선단을 감쌀 수 있도록 이들 보다 큰 중공관으로서, 그 내부에 삽입되는 구동축(50)과 종동축(60)이 회전방향으로 고정되고 축방향으로 슬립되도록 형성된다.
즉, 연결축(70) 역시 상, 하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양측면은 라운딩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면에는 구동축(50)과 종동축(60)에 형성된 안내홈(52,62)에 삽입되어 밀착되도록 축방향으로 길게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안내돌기(72)가 마련된다.
이 안내돌기(72)는 그 단면이 "V"자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3차조인트(40)에 회전방향으로의 방향성을 주어 오조립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구동축(50)과 종동축(60)이 연결축(70)의 내부에서 직선 이동되도록 진직도를 높여주고, 회전방향으로는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 안내돌기(72)는 안내홈(52,62)에 비해 조금 크게 형성됨으로써,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 안내홈(52,62)에 항상 밀착 삽입되어 성형작업시 발생되는 오차를 보완해주게 된다.
즉, 안내돌기(72)는 쐐기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성형작업시 연결축(70)과 이에 삽입되는 구동축(50)과 종동축(60) 간의 반경방향 유격을 감소시켜주고, 이로인해 발생되는 노이즈를 감소시켜줄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아울러, 연결축(70) 상,하면의 양측에는, 구동축(50)과 종동축(60)에 형성된 내부홀(51,61)과 연통될 수 있도록 원형의 외부홀(71)이 형성되고, 서로 연통되는 내부홀(51,61)과 외부홀(71)에는 구동축(50)과 종동축(60)을 연결축(7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체결부재(80)가 설치된다.
이 체결부재(80)는 내부홀(51,61)과 외부홀(71)을 관통하여 머리가 연결축(70)의 일측면에 밀착되는 볼트(81)와, 연결축(70)의 타측면으로 돌출되는 볼트(81)의 선단에 체결되는 너트(82)로 구분된다(도 3참조).
이때 너트(82)는 외부홀(71)의 외측에 용접 등으로 고정 설치되어 별다른 지지없이 내부홀(51,61)과 외부홀(71)을 관통한 볼트(81)가 체결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 연결축(70)의 일측면에는 종동축(60)의 안내면(63)과 밀착되어 이를 따라 이동됨과 동시에 안내면(63)으로 인해 종동축(60)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64)에 걸쳐질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73)가 마련된다(도 3참조).
이 걸림돌기(73)는 안내면(63)이 형성된 구간에서만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연결축(70)이 종동축(6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종동축(60)의 외부에 연결축(70)이 설치된 상태에서 펀칭 등을 통해 돌출 형성시키거나, 종동축(60)과의 결합 전에 연결축(70)에 미리 돌출 형성시켜 종동축(60)의 걸림턱(64)을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압입 설치한다.
아울러, 연결축(70)의 일단은 이와 마주하는 구동축(50)의 선단이 그 내부로삽입되는 것을 안내하여,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구(74)가 마련된다.
이 경사구(74)는 구동요크(20)에 의해 구동축(50)이 일측에 배치되고, 종동요크(30)에 의해 종동축(60)이 타측에 배치될 때, 구동요크(20)를 중심으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회동되는 구동축(50) 선단과, 종동축(60)에 연결된 연결축(70)의 선단의 내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된 것이다.
즉, 구동축(50) 선단이 회동하는 동선상(動線上)에 경사구(74)가 배치되어, 구동축(50) 선단이 회동되어 경사구(74)의 선단과 밀착됨으로써, 연결축(70)의 내부로 안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는, 구동축(50)과 결합된 구동요크(20)를 회전력을 전달하는 부재측(상측)에 연결하고, 종동축(60)과 결합된 종동요크(30)를 회전력을 전달받는 부재측(하측)에 연결하며, 종동요크(30)의 선단에 연결축(70)을 설치한다.
그리고, 종동요크(30)를 기준으로 종동축(60)을 세운 상태에서, 구동요크(20)를 기준으로 구동축(50)을 하향 회동시켜, 이 구동축(50)의 선단이 연결축(70)에 형성된 경사구(74)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로써, 경사구(74)에 의해 연결축(70)의 내부로 안내되는 구동축(50)을 연결축(70)의 내부로 삽입하고, 연결축(70)의 내부에 형성된 안내돌기(72)는 구동축(50)과 종동축(60)에 형성된 안내홈(52,62)과 밀착되어 이를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구동축(50)과 연결축(70)과 종동축(60)이 동축상에 배치되어 3차조인트(40)의 세 축이 모두 결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구동축(50)과 종동축(60)의 내부홀(51,61)과 연결축(70)의 외부홀(71)을 관통하여 체결부재(80)의 볼트(81)를 삽입하여 너트(82)와 체결하게 된다.
이때 연결축(70)과 구동축(50)에 형성되어 서로 연통되는 외부홀(71)과 내부홀(51)은 원형으로 마련되어있으므로 그 내부로 삽입되는 볼트(81)에 의해 연결축(70)과 구동축(50)은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종동축(60)은 장공형 내부홀(61)이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있으므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된다.
이로써 구동축(50)과 종동축(60) 사이의 발생되는 거리상의 오차는 종동축(60)이 축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보상되고, 이 상태에서 종동축(60)의 내부홀(61)과 연결축(70)의 외부홀(71)에 볼트(81)를 삽입하고, 너트(82)를 체결함으로써, 3차조인트(40)의 축방향 길이가 정해지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는, 요크 사이에 3차조인트를 설치함으로 인해 많은 이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먼저, 구동축과 종동축 및 연결축이 대략 사각단면형상으로 마련되므로 그 회전력 전달구조가 단순해지게 된다.
다음, 구동축과 종동축의 결합을 위해 이들을 축방향으로 이격시킬 필요가 없고, 축방향 이동거리가 크질 않아 길이가 짧은 연결축으로도 이들의 연결을 원활히 지지할 수 있어 구동축과 종동축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회동되는 구동축의 선단이 연결축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도록 경사구가 마련되어 이들의 연결이 용이하고, 외부홀과 내부홀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종동축의 축방향 조절 및 체결이 용이해진다.
또, 구동축과 종동축의 결합을 위해 이들을 축방향으로 이격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공정이 단순해지고 설치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모듈화가 용이하게 된다.
특히, 차량의 스티어링장치의 설치시에는 구동요크와 연결된 컬럼모듈과 종동요크와 연결된 새시모듈을 설치위치에 각각 배치한 후 구동축과 종동축을 회동시키고 그 사이를 연결축으로 연결하는 간단한 공정으로 3차조인트를 설치하므로 모듈화를 구현하기 용이해진다.
아울러, "V"자형상의 단면으로 마련된 안내돌기와 안내홈으로 인해 오조립되는 것이 방지되고, 구동축과 종동축이 연결축의 축방향 진직도가 높아지며, 연결축과 이에 삽입되는 구동축과 종동축 간의 반경방향 유격이 보상되어 노이즈가 감소된다.
즉, 본 발명의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는, 안내홈과 안내돌기에 의해 노이즈가 감소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샤프트의 구조가 단순해지고, 길이가 감소되어, 그 제작이 용이해진다. 아울러, 조립을 위한 공정이 단순해지고, 설치공간을 작게 차지함으로써, 모듈화가 용이해지고, 생산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임의의 각도로 기울어진 채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동요크와 종동요크를 구비한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에 있어서,
    설치 위치에 배치된 상기 구동요크(20)와 종동요크(30)에 각각 결합되되 마주하는 양측 선단이 서로 이격되고 반경방향 단면이 사각으로 마련된 구동축(50) 및 종동축(60)과, 상기 구동축(50)과 종동축(60)의 사이에서 축방향 슬립과 회전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축(50)과 종동축(60)에 대응되는 반경방향 단면으로 그 외부에 설치되는 연결축(70)으로 이루어진 3차조인트(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70)의 내부로 상기 구동축(50)의 선단이 삽입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50)의 선단과 마주하는 상기 연결축(70)의 일단에는 상기 구동요크(20)를 기준으로 회동되는 상기 구동요크(20) 선단의 동선과 상기 연결축(70)의 내부가 마주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구(74)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70)의 외주 양측에 형성된 외부홀(71)과, 상기 외부홀(71)을 관통하도록 마련된 볼트(81)와, 상기 볼트(81)의 선단에 체결되도록 마련되는 너트(82)와, 일측의 상기 외부홀(71)과 연통되어 상기 볼트(81)가 삽입되도록 상기 구동축(50)의 외주 일측에 관통 형성된 내부홀(51)과, 타측의 상기 외부홀(71)과 연통되어 상기 볼트(81)가 삽입되도록 상기 종동축(60)의 외주 일측에 마련되되 상기 종동축(60)이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3차조인트(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내부홀(61)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50)과 종동축(60)의 일측면에 축방향으로 길게 함몰 형성되되 반경방향 단면이 쐐기형상으로 마련된 안내홈(52,62)과, 상기 안내홈(52,62)에 삽입되어 슬립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축(70)의 내부면에 축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되 상기 안내홈(52,62)과 항상 밀착되어 그 사이의 유격을 보상할 수 있도록 반경방향 단면이 상기 안내홈(52,62)에 비해 큰 쐐기형상으로 마련된 안내돌기(7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축(60)의 외부 일측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축방향으로 일정구간 평평하게 형성된 안내면(63)과, 상기 안내면(63)과 상기 종동축(60) 선단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턱(64)과, 상기 연결축(70)의 내부 일측면에 상기 안내면(63)과밀착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종동축(60)과 연결축(7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73)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조인트(40)는 차량의 스티어링장치에서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스티어링휠 및 스티어링컬럼 등이 결합된 컬럼모듈과, 기어박스 및 서스펜션 등이 결합된 새시모듈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
KR10-2001-0033923A 2001-06-15 2001-06-15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 KR100417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923A KR100417964B1 (ko) 2001-06-15 2001-06-15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
US10/000,968 US6626765B2 (en) 2001-06-15 2001-10-30 Universal joint shaft
EP01126719A EP1267088B1 (en) 2001-06-15 2001-11-08 Universal joint shaft
DE60108483T DE60108483T2 (de) 2001-06-15 2001-11-08 Gelenkwelle
JP2001355149A JP2003013988A (ja) 2001-06-15 2001-11-20 ユニバーサルジョイントシャフ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923A KR100417964B1 (ko) 2001-06-15 2001-06-15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737A true KR20020095737A (ko) 2002-12-28
KR100417964B1 KR100417964B1 (ko) 2004-02-11

Family

ID=19710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923A KR100417964B1 (ko) 2001-06-15 2001-06-15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26765B2 (ko)
EP (1) EP1267088B1 (ko)
JP (1) JP2003013988A (ko)
KR (1) KR100417964B1 (ko)
DE (1) DE60108483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8009B1 (ko) * 2004-05-22 2006-02-0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동력 전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9048A (ja) * 2004-06-11 2005-12-22 Konami Co Ltd ゲーム装置、ゴルフゲーム装置及び該装置のショット結果決定方法
US9080598B2 (en) * 2013-06-26 2015-07-14 Cnh Industrial America Llc Double sided double telescoping drive coupling
DE102014015783B4 (de) * 2014-10-18 2016-12-01 Daimler Ag Lenk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mit Lenkanordnung
US9556914B2 (en) * 2015-05-14 2017-01-31 Donald Dupéré Drive shaft connection assembly
CN106321670A (zh) * 2015-06-18 2017-01-11 江苏荣基重工科技有限公司 万向节
EP4219961A3 (en) * 2023-03-24 2023-10-18 Volvo Truck Corporation Drive axle system, heavy-duty vehicle comprising such a drive axle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drive axl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91001A (en) * 1931-02-03 Steering-wheel post
US2441265A (en) * 1946-05-02 1948-05-11 Frye Norman Power transmission shaft
US2695504A (en) * 1951-01-19 1954-11-30 Case Co J I Three-part extensible shaft
US3507129A (en) * 1969-02-28 1970-04-21 United States Steel Corp Drive means
JPS5079843U (ko) * 1973-11-29 1975-07-10
JPS5336648U (ko) * 1976-09-06 1978-03-31
DE3115328A1 (de) * 1981-04-15 1982-11-04 Gerhard Hans Otto 6095 Ginsheim-Gustavsburg Rasch Wellenverbinder
US5115691A (en) * 1991-09-03 1992-05-26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llapsible shaft assembly
NL194319C (nl) * 1993-09-16 2002-01-04 Walterscheid Gmbh Gkn Lengtecompensatiedeel met twee profielen voor aandrijfassen.
KR19980038372U (ko) * 1996-12-19 1998-09-15 박병재 유니버설 조인트 체결장치
JPH1110987A (ja) * 1997-06-26 1999-01-19 Nec Eng Ltd 印字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憶媒体
JP3698289B2 (ja) * 1997-10-15 2005-09-21 スズキ株式会社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装置
US6241616B1 (en) * 1999-05-20 2001-06-05 Neapco Inc. Variable length double telescoping drive shaft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8009B1 (ko) * 2004-05-22 2006-02-0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동력 전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08483T2 (de) 2005-12-29
US20020193167A1 (en) 2002-12-19
US6626765B2 (en) 2003-09-30
DE60108483D1 (de) 2005-02-24
EP1267088B1 (en) 2005-01-19
KR100417964B1 (ko) 2004-02-11
EP1267088A1 (en) 2002-12-18
JP2003013988A (ja) 200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33974B (zh) 转向传动轴连接结构
KR100417964B1 (ko)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
JPH1089373A (ja) 弾性軸継手
KR101994661B1 (ko) 등속조인트용 케이지 및 그 케이지 및 슬리브 일체형 내륜을 갖는 등속조인트
JP2538390Y2 (ja) 伸縮自在シャフト
US7682257B2 (en) Constant velocity joint
CZ224694A3 (en) Device for levelling driving shafts
KR20030047508A (ko) 유니버셜 조인트 샤프트
US20090095114A1 (en) Steering column assembly having a rotating drive cable device
KR100695448B1 (ko) 유격 보상 구조를 구비한 슬립 조인트
KR100421098B1 (ko) 유니버셜 조인트의 슬립장치
KR100792829B1 (ko) 유니버셜 조인트의 슬립장치
KR20040045736A (ko) 스티어링 샤프트의 연결구조
KR100458219B1 (ko) 유니버셜 조인트의 슬립장치
KR100428155B1 (ko) 자동차용 등속조인트조립체의 구조
KR100792820B1 (ko) 축연결용 세레이션장치
KR100349532B1 (ko) 유니버설 조인트의 축 결합방법
KR20180003359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
KR20020080007A (ko) 유니버셜 조인트의 슬립장치
KR100764159B1 (ko) 유니버셜 조인트의 슬립조인트
KR200301928Y1 (ko) 자동차의 조향축용 유니버셜 조인트의 유격 보상구조
KR960007946Y1 (ko)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변속레버연결구조
KR20030081807A (ko) 유니버셜 조인트의 슬립조인트
SU1299885A1 (ru) Энергопоглощающа рулева колонк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0217981Y1 (ko) 요오크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