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5721A - 물체 지지용 클립장치 - Google Patents

물체 지지용 클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5721A
KR20020095721A KR1020010033904A KR20010033904A KR20020095721A KR 20020095721 A KR20020095721 A KR 20020095721A KR 1020010033904 A KR1020010033904 A KR 1020010033904A KR 20010033904 A KR20010033904 A KR 20010033904A KR 20020095721 A KR20020095721 A KR 20020095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extension
article
lifting
clip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3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실
Original Assignee
이광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실 filed Critical 이광실
Priority to KR1020010033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5721A/ko
Publication of KR20020095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72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5/021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to the be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물체를 사용자가 걸고자 하는 걸림체에 지지시키기 위한 물체 지지용 클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체 지지용 클립장치는, 소정의 물체를 사용자가 걸고자 하는 걸림체에 걸어서 지지할 수 있도록 그 물체에 마련되는 물체 지지용 클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체와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물체와의 사이에 상기 걸림체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물체와 간격을 두고 대면하는 연장부; 상기 물체와 상기 연장부 사이에 끼워진 걸림체가 상기 물체와 상기 연장부 사이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연장부의 하단부측에 상기 물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그 상부의 경사각의 변경이 가능한 걸림턱부; 및 상기 물체에 대한 상기 걸림턱부의 상부의 경사각을 변경하기 위한 변경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걸림턱부의 상부의 경사각도의 변경이 가능하므로, 걸림체에 걸린 물체가 원치 않는 경우에도 그 걸림체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체 지지용 클립장치{Clip device for supporting object}
본 발명은 소정의 물체를 사용자가 걸고자 하는 걸림체에 걸어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물체 지지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걸림체에 지지된 물체가 그 걸림체로부터 쉽게 빠져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물체 지지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이나 개인휴대단말기(PDA) 등의 정보통신기기, 카메라, 카세트, 소품수납용 케이스나 가방 등과 같은 각종의 물체를 간편하게 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물체에 클립장치를 마련하고 그 물체 지지용 클립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허리벨트 등과 같은 적절한 걸림체에 지지시켜 두는 경우가 많다.
한편, 종래의 물체 지지용 클립장치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이나 카세트 등의 소정의 물체(1)에 마련되는 고리부재(5)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고리부재(5)의 상단부는 물체(1)에 고정되고 하단부에는 물체(1)측으로돌출된 걸림턱부(6)가 형성되며 중앙부는 사용자의 허리벨트(9) 등의 걸림체가 끼워질 수 있도록 물체(1)와 간격을 두도록 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부(6)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경사면(6a, 6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물체 지지용 클립장치를 구비하게 되면, 물체(1)와 고리부재(5)의 하단부 사이가 사용자의 허리벨트(9)의 상방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물체(1)를 아래로 내릴 때 사용자의 허리벨트(9)가 걸림턱부의 하측 경사면(6b)에 의해 안내되면서 그 물체(1)와 고리부재(5)의 하단부 사이로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그 허리벨트(9)는 걸림턱부(6)를 통해 고리부재(5)에 힘을 가하여 고리부재(5)의 하단부를 도 1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적으로 벌리면서 삽입되게 된다. 허리벨트(9)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탄성적으로 벌어져 있던 고리부재(9)의 하단부가 다시 도 1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원되게 되어서, 걸림턱부(6)가 다시 물체(1)에 접근되는 위치에 있게 되며, 그 걸림턱부(6)에 의해 물체(1)가 허리벨트(9)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억제됨으로써, 물체(1)가 허리벨트(9)에 지지되어 있게 된다.
한편, 허리벨트(9)에 지지되어 있는 물체(1)에 상방으로 힘을 가하면, 허리벨트(9)가 상기 걸림턱부(6)의 상부 경사면(6a)에 의해 안내되면서 그 걸림턱부(6)와 물체(1) 사이로 진입함과 동시에, 걸림턱부(6)를 통해 고리부재(5)의 하단부를 물체(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벌리면서, 물체(1)가 허리벨트(9)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물체 지지용 클립장치를 사용하여 물체를 허리벨트 등의 걸림체에 걸어서 지지하여 두게 되면, 몇가지 문제점이 나타난다.
즉, 종래의 물체 지지용 클립장치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물체를 걸림체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 그 분리가 용이하도록, 걸림턱부의 상부에 적절한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이 마련되고 그 경사면의 각도조절이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상기 물체가 걸림체로서의 허리벨트에 지지되어 있고 사용자가 의자 등에 앉는 과정에서 물체가 그 의자 등에 걸려서 상방으로 힘을 받게 되는 경우 등과 같이, 사용자가 물체를 걸림체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의사가 없는 경우에도 물체가 걸림체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버리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원치 않는 경우 즉 걸림체에 지지된 물체를 그 걸림체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의사가 없는 경우에는, 걸림체에 지지된 물체에 상방으로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그 물체가 걸림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물체 지지용 클립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클립장치를 구비한 물체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체 지지용 클립장치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클립장치의 개략적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클립장치와 물체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푸시부재 부분을 위쪽에서 본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승강부재가 상승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클립장치의 개략적 정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클립장치의 Ⅵ-Ⅵ선 개략적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승강부재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클립장치의 Ⅷ-Ⅷ선 개략적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체 지지용 클립장치의 개략적 분리 사사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클립장치의 Ⅹ-Ⅹ선 개략적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물체 10...결합부
11...안내구멍 111...걸림면
20...연장부 30...걸림턱부
31...하측부분 32...상측부재
40...승강부재 41...후크
42...걸림돌기 50...푸시부재
53...누름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물체 지지용 클립장치는, 소정의 물체를 사용자가 걸고자 하는 걸림체에 걸어서 지지할 수 있도록 그 물체에 마련되는 물체 지지용 클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체와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물체와의 사이에 상기 걸림체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물체와 간격을 두고 대면하는 연장부; 상기 물체와 상기 연장부 사이에 끼워진 걸림체가 상기 물체와 상기 연장부 사이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연장부의 하단부측에 상기 물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그 상부의 경사각의 변경이 가능한 걸림턱부; 및 상기 물체에 대한 상기 걸림턱부의 상부의 경사각을 변경하기 위한 변경수단;을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체 지지용 클립장치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클립장치의 개략적 결합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물체 지지용 클립장치는, 휴대폰이나 무전기 등의 정보통신기기, 카메라, 카세트, 소품수납용 케이스나 가방 등과 같은 각종의 물체(1;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폰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음)를 사용자가 걸고자 하는 걸림체에 걸어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결합부(10)와, 연장부(20)와, 걸림턱부(30)와, 변경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결합부(10)는 상기 물체(1)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상하면을 관통하는 안내구멍(1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결합부(10)를 물체(1)와 결합시키기 위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나사(4)에 의해 물체(1)에 고정되는 결합편(3)과, 후술하는 푸시부재(50)에 마련된 한 쌍의 탄성후크(5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합편(3)은 탄성후크(51)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전후로 관통된 결합공(3a)을 구비하고 있다. 탄성후크(51)들은 그 자유단부가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정도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 각 탄성후크(51)의 자유단부에는 걸림턱(5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턱(5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후크(51)들이 상기 결합공(3a)에 끼워진 상태에서 그 결합공(3a)의 뒤쪽 테두리부에 걸림으로써 그 결합공(3a)에 끼워진 탄성후크(51)들이 결합공(3a)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억제하여, 연장부(10)가 물체(1)에 분리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게 한다.
상기 연장부(20)는, 결합부(10)로부터 일체로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물체(1)와 적정한 간격(사용자의 허리벨트 등과 같은 걸림체가 끼워져 있기에 충분한 간격)을 두고 대면하도록 되어 있다. 참조번호 21은, 후술하는 승강부재(40)의 좌우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장부(20)는 양측에 각각 마련된 안내턱(21)을 가리킨다.
상기 걸림턱부(30)는, 물체(1)와 연장부(20) 사이에 끼워진 걸림체가 다시 빠져 나오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연장부(20)의 하단부측에 물체(1)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 부분으로서, 상부의 경사각이 변경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턱부(30)가 하측부분(31)과 상측부재(3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측부분(31)은 지지부(311)와 경사부(31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부(311)는 연장부(20)에 지지되는 부분으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장부(20)의 하단에 형성된 구멍(22)과 지지부(311)에 형성된 구멍(31a)에 삽입되는 리벳(35)에 의해 고정되어 그 연장부(20)의 하단부에 지지된다. 상기 경사부(312)는, 물체(1)를 걸림체에 지지시키는 과정에서 그 걸림체를 안내하도록, 상방으로 갈수록 물체(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그 경사부(312)가 탄성변형이 가능한 두께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 소재에 의해 상기 지지부(311)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도록 제조되어 있다.
상기 상측부재(32)는 걸림턱부(30)의 상부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그 일단부는 하측부분(31)의 경사부(312)에 핀(3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는 핀(39)에 의해 후술하는 승강부재(40)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장부(20)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변경수단은, 상기 걸림턱부(30)의 상부 즉 상측부재(32)의 상기 연장부(20)에 대한 경사각도를 변경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승강부재(40)와, 록킹수단과, 록킹해제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승강부재(40)는 상기 결합부(10)의 안내구멍(11)에 삽입되며, 그 안내구멍(11)과 상기 연장부(20)의 양측에 구비된 안내턱(21)들 및 상기 푸시부재(50)에 의해 안내되면서 연장부(20)에 대해 승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부재(40)의 하단부에는 상측부재(32)의 상기 타단부가 핀(3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승강부재(40)가 승강되면 그에 연결된 상측부재(32)의 타단부도 함께 승강하게 된다.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승강부재(40)가 정해진 위치까지 하강되었을 때, 바람직하기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40)가 상기 상측부재(32)가 연장부(20)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이 되는 위치까지 하강되었을 때, 그 승강부재(40)의 상승을 방지하도록 록킹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록킹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결합부(10)에 형성된 걸림면(111; 도 7 참조)과, 승강부재(40)에 형성된 한 쌍의 후크(4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걸림면(41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안내구멍(11)의 하측 테두리면이 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후크(41)는,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각각의 자유단부에는 걸림돌기(4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 걸림돌기(42)는, 승강부재(40)가 상기 정해진 위치까지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10)의 걸림면(111)에 걸리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참조번호 45는 승강부재(40)의 하강시에 결합부(10)의 상면에 걸림으로써 승강부재(40)의 하강위치를 제한하며 또한 필요시에 사용자가 승강부재(40)의 상승 또는 하강이동을 조작할 수 있도록 그 승강부재(40)에 형성된 조작부이다.
상기 록킹해제수단은, 상기 록킹수단에 의해 상승이 방지된 승강부재(40)가 다시 상승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록킹수단에 의한 록킹을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푸시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푸시부재(50)는, 아크릴 등의 플라스틱 소재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나사(59)에 의해 결합부(10)에 고정된다. 이 푸시부재(50)는, 상술한 탄성후크(51)들 이외에, 한 쌍의 누름부(53)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누름부(5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면(111)에 걸린 상태에서의 걸림돌기(42)와 접촉이 가능한 위치에 위치하며, 그 접촉되는 걸림돌기(42)를 눌러서 걸림면(111)과의 걸림을 해제시키는 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클립장치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1)측에 구비된 결합공(3a)에 탄성후크(51)가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결합부(10)가 그 물체(1)에 결합되어 있고,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40)가 상승되어 있는 상태에서,적절한 걸림체(이하, 이 걸림체로서, 사용자의 허리에 착용되어 있는 허리벨트(9; 도 6 참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의 상방에 물체(1)와 연장부(10) 사이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물체(1)를 하방으로 이동시켜서 걸림체로서의 허리벨트(9)가 경사부(312)에 의해 안내되면서 물체(1)와 연장부(10) 사이로 끼워지도록 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부재(40)가 상승되어 있으므로, 승강부재(40)의 하단에 연결된 상측부재(32)의 단부도 상승되어서 걸림턱부(30)의 상부를 이루는 상측부재(32)는 연장부(20)에 대해 적정한 각도로 경사진 상태가 된다.
허리벨트(9)가 물체(1)와 연장부(20) 사이로 끼워지게 되면, 승강부재(40)의 조작부(45)를 아래로 누른다. 이와 같이 하면, 승강부재(45)가 연장부(20)에 대해 하강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각 후크(41)의 걸림돌기(42)가 결합부(10)의 안내구멍(11)의 양측 내주면에 의해 눌려서 후크(41)들은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게 된다. 그 후, 승강부재(40)가 상술한 바와 같은 정해진 위치까지 하강하게 되면, 조작부(45)가 결합부(10)의 상면에 접촉됨으로써 승강부재(40)의 하강이 멈추어지게 되며, 상기 후크(41)들의 걸림돌기(42)들은 안내구멍(11)을 완전히 통과하여 그 안내구멍(11)에 의한 구속이 해제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탄성변형되어 있던 후크(41)들이 다시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복원되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42)들이 걸림면(111)에 마주하여 걸림으로써 승강부재(40)의 상승을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부재(40)가 하강되는 과정에서, 승강부재(40)의 하단에 연결된 상측부재(32)에도 하강력이 작용하게 된다. 한편, 상측부재(32)에 있어서 상기 타단부는 승강부재(40)에 연결되어 그 승강부재(40)와 함께 하강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상기 일단부(도면에서 하측단부)는 연장부(20)에 리벳(35)에 의해 고정된 하측부분(31)의 경사부(312) 선단측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그 하강량에 제한이 따르게 된다. 즉, 상측부재(32)의 상기 일단부는 상술한 하강력이 가해질 때 경사부(312)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면서 하강되어야 하며 그 하강량이 커질수록 그 경사부(312)의 탄성복원력도 커지게 되므로, 상측부재(32)의 상기 일단부의 하강을 방해하는 저항력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측부재(32)에 있어서 상기 일단부의 하강량은 상기 타단부의 하강량보다 작으며 그 결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부재(32)은 연장부(20)에 대한 경사각은 90도 정도가 되어 결국, 그 걸림턱부(30)의 상부 즉 상측부재(32)는 허리벨트(32)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로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도 8과 같은 상태에서, 물체(1)에 상방으로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허리벨트(9)와 상측부재(32)의 걸림에 의해서 물체(1)가 걸림체로서의 허리벨트(9)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1)가 사용자의 허리벨트(9)에 걸려서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물체(1)를 허리벨트(9)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푸시부재(50)의 누름부(53)들을 도 7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누른다. 이와 같이 하면, 상호 접근되는 누름부(53)들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42)들이 눌려서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걸림돌기(42)들은 도 7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면(111)으로부터 벗어나면서 안내구멍(11)들에 끼워질 수 있는 상태 즉 록킹이 해제된 상태가 되며 이 때, 상기상측부재(32)에 의해 눌려서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있는 경사부(312)의 복원력이 상측부재(32)를 통해 승강부재(40)에 전달되어 그 힘에 의해 승강부재(40)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연장부(20)에 대해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측부재(32)는 상술한 바와 같은 승강부재(40)의 하강과정과는 반대의 과정을 거쳐 다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벨트(9)의 이탈을 안내하기에 적합한 각도로 이루게 되므로, 물체(1)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허리벨트(9)는 상기 걸림턱부(30)와 물체(1) 사이의 틈새를 통해서 쉽게 빠져 나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걸림턱부(30)의 하측부분(31)의 경사부(312)가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부재(32)가 연장부(20)에 대해 적정한 각도를 이룬 상태에서는 걸림턱부(30)와 물체(1) 사이에 허리벨트(9)가 빠질 수 있는 틈새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허리벨트(9)는 상기 경사진 상측부재(32)에 의해 안내됨과 동시에 상기 틈새에 의해서도 쉽게 이탈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부재(32)가 연장부(20)에 대해 직각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턱부(30)와 물체(1) 사이의 틈새가 봉쇄될 수 있게 되므로, 상측부재(32)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 허리벨트(9)가 더욱 확실하게 이탈방지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걸림턱부(30)의 상부의 경사각도의 변경이 가능하므로, 허리벨트(9) 등의 걸림체에 걸린 물체(1)가 원치 않는 경우에도 그 걸림체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물체(1)를 걸림체에 걸어둘 필요가 없거나 또는 그 클립장치가 방해가되는 경우, 예를 들어 상기 물체(1)가 상기 연장부(20)와 마주하는 면 측에 수납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전자제품이고 그 배터리의 교환을 행하고자 할 때 상기 클립장치로 인하여 배터리의 교환이 곤란한 경우에는, 상기 탄성후크(51)들을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시켜서 그 탄성후크(51)에 마련된 걸림턱(52)들에 의한 걸림을 해제시킨 후 결합부(10)를 물체(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물체(1) 측에 마련된 결합공(3a)에 삽입되어 있던 탄성후크(51)가 그 결합공(3a)으로부터 빠져 나오면서 물체(1)에 대한 결합부(10)의 결합이 해제되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걸림턱부(30)를 구성하는 하측부분(31)의 지지부(311)와 경사부(312)가 일체로 연결되고 그 경사부(312)가 지지부(311)에 대해 탄성변형되는 구성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며, 도 9에서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부재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부재들에 대해서는 서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는, 걸림턱부(30)의 하측부분(31)이 연장부(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변형이 곤란한 정도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 이 하측부분(31)은 아래쪽면은 상기 물체(1)와 연장부(20) 사이로의 걸림체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하측부분(31)의 상측단부에는 상측부재(32)가핀(3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측부재(32)에는 핀(39)에 의해 승강부재(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부위에 장공(3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승강부재(40)의 승강에 의해 걸림턱부(30)의 상부를 이루는 상측부재(32)의 연장부(20)에 대한 경사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승강부재(40)가 하강되게 되면 상측부재(32)는 도 10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부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게 되어 연장부(20)와 물체(1) 사이에 끼워진 걸림체로서의 허리벨트(9)에 걸리는 스토퍼로서 작용함으로써 그 허리벨트(9)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승강부재(40)가 상승하게 되면 상측부재(32)는, 상기 승강부재(40)에 연결된 단부가 그 승강부재(40)와 함께 상승함으로써, 도 10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허리벨트(9)의 이탈을 안내하기에 적합한 경사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물체(1) 측에 마련된 결합공(3a)과 푸시부재(50)에 마련된 탄성후크(51)에 의해, 결합부(10)가 물체(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결합부(10)가 직접 나사 등에 의해 물체(1)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기타 다른 적절한 공지의 결합수단에 의해 물체에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물체(1)에 탄성후크(51)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3a)이 구비되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결합편(3)을 물체(1)에 설치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그러한 결합편을 마련하지 않고도, 물체의 설계변경을 통해 그 물체에 상술한 결합편의 결합공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결합공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부(30)의 상부를 이루는 상측부재(32)가 걸림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로서 작용할 때 연장부(20)와 이루는 각도가 90도인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정확히 90도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설계에 따라 그 각도는 적절히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탄성후크(51)와 누름부(53)가 푸시부재(50)에 형성되고 그 푸시부재가 나사에 의해 결합부(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상술한 푸시부재를 마련하지 않고 상기 탄성후크나 누름부를 직접 상기 결합부(10)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 몇가지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앞에서 예시된 구성들에 대하여 단순한 설계적인 변경이 가해진 형태 또는 그 예시된 구성들을 조합한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체 지지용 클립장치는, 소정의 물체를 허리벨트 등의 걸림체에 걸어서 지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원치 않는 경우에는 물체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그 물체가 걸림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소정의 물체를 사용자가 걸고자 하는 걸림체에 걸어서 지지할 수 있도록 그물체에 마련되는 물체 지지용 클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체와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물체와의 사이에 상기 걸림체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물체와 간격을 두고 대면하는 연장부;
    상기 물체와 상기 연장부 사이에 끼워진 걸림체가 상기 물체와 상기 연장부 사이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연장부의 하단부측에 상기 물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그 상부의 경사각의 변경이 가능한 걸림턱부; 및
    상기 물체에 대한 상기 걸림턱부의 상부의 경사각을 변경하기 위한 변경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지지용 클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연장부에 마련되는 하측부분; 및
    상기 하측부분의 상측에 위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하측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연장부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 상측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지지용 클립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수단은:
    상기 연장부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승강시에 상기 상측부재의 상기 타단부가 함께 승강되도록, 하단부가 상기 상측부재에 연결된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가 정해진 위치까지 하강되었을 때 그 승강부재의 상승을 방지하도록 록킹시키기 위한 록킹수단; 및
    상기 록킹수단에 의해 상승이 방지된 승강부재가 다시 상승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상기 록킹수단에 의한 록킹을 해제시키기 위한 록킹해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지지용 클립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걸림면; 및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상기 승강부재에 형성되며, 그 각각에는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정해진 위치까지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의 걸림면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한 쌍의 후크;를 구비하며,
    상기 록킹해제수단은:
    상기 결합부에 마련되며, 상기 걸림면에 걸린 걸림돌기와 접촉이 가능한 위치에 위치하여 그 접촉되는 걸림돌기를 눌러서 걸림면과의 걸림을 해제시키는 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누름부를 가지는 푸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지지용 클립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가 록킹되는 위치는 상기 상측부재가 상기 연장부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이 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지지용 클립장치.
KR1020010033904A 2001-06-15 2001-06-15 물체 지지용 클립장치 KR200200957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904A KR20020095721A (ko) 2001-06-15 2001-06-15 물체 지지용 클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3904A KR20020095721A (ko) 2001-06-15 2001-06-15 물체 지지용 클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721A true KR20020095721A (ko) 2002-12-28

Family

ID=27709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904A KR20020095721A (ko) 2001-06-15 2001-06-15 물체 지지용 클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572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593U (ko) * 1998-03-27 1999-10-25 탄진화 휴대전화 홀더
JP2000133958A (ja) * 1998-10-23 2000-05-12 Kenwood Corp 携帯認識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593U (ko) * 1998-03-27 1999-10-25 탄진화 휴대전화 홀더
JP2000133958A (ja) * 1998-10-23 2000-05-12 Kenwood Corp 携帯認識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38460A1 (en) Buckle
EP0751043B1 (en) Rack
US5697538A (en) Holster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20030000976A1 (en) Holder for a cellular telephone in combination with a clip adapted to be secured to clothing articles and clothing accessories
US20090120980A1 (en) Accessory Case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6206257B1 (en) Swivel belt clip with bi-directional action
KR100678198B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팩 락킹 장치
KR200261161Y1 (ko) 휴대폰용 핸드 프리 거치대
US6064577A (en) Bottom insert belt clip mount on battery
KR20020095721A (ko) 물체 지지용 클립장치
JPH0910036A (ja) 背負バッグにおける肩掛ベルトの高さ調節装置
JP2008086385A (ja) 携帯機器の収納構造
CN215173599U (zh) 电子设备支架
JPH11207A (ja) 携帯品の落下防止具
JPH11208A (ja) 携帯品の落下防止具
KR20020095722A (ko) 물체 지지용 클립장치
JP2001275717A (ja) 機器携帯用ベルト端末具
CN212325644U (zh) 扣具装置
KR200274175Y1 (ko) 이동통신기기 부착용 손목밴드
JP3079502U (ja) 係止具付き携帯型通信機器及び係止具
KR102299893B1 (ko) 자석 부착 타입 버클
CN210930108U (zh) 随身物品的连接装置
KR200157057Y1 (ko) 핸드폰의 벨트 걸이구
KR100563932B1 (ko) 케이스 착탈장치
KR200394711Y1 (ko) 휴대폰 벨트 클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