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4925A - 댐퍼 기구 - Google Patents

댐퍼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4925A
KR20020094925A KR1020020032937A KR20020032937A KR20020094925A KR 20020094925 A KR20020094925 A KR 20020094925A KR 1020020032937 A KR1020020032937 A KR 1020020032937A KR 20020032937 A KR20020032937 A KR 20020032937A KR 20020094925 A KR20020094925 A KR 20020094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oil spring
pair
seat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2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0234B1 (ko
Inventor
요시무라요시나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쿠세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쿠세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쿠세디
Publication of KR20020094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4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2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23Wound springs
    • F16F15/1232Wound springs characterised by the spring mounting
    • F16F15/12326End-caps for springs
    • F16F15/12333End-caps for springs having internal abut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16D13/644Hub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코일 스프링(21) 및 그의 스프링 수용부를 마모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댐퍼 기구(4)가 제공된다.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는 주요부분으로 입력 회전 부재(2), 출력 회전 부재(3) 및 댐퍼 기구(4)를 구비한다. 댐퍼 기구(4)는 입력 회전 부재(2) 및 출력 회전 부재(3)를 회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하고, 코일 스프링(21) 및 코일 스프링(21)의 단부면을 지지하는 스프링 시트(51) 쌍을 포함한다. 스프링 시트(51) 각각은 코일 스프링(21)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각추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맞물림부(57)를 가지며, 맞물림부는 입력 회전 부재(2)가 회전할 수 없도록 입력 회전 부재(2)에 형성된 시트 받침부(86, 96)와 맞물리는 동시에 스프링 수용공(71)의 원주방향단에 맞물린다.

Description

댐퍼 기구 {DAMPER MECHANISM}
본 발명은 댐퍼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토크를 전달함과 동시에 비틀림 진동을 감쇠하기 위한 댐퍼 기구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에 사용되는 종래의 댐퍼 기구는 일반적으로 허브, 입력 회전 부재 및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허브는 트랜스미션으로부터 연장되는 샤프트에 연결되고, 입력 회전 부재는 플라이휠에 연결되며, 코일 스프링은 허브와 입력 회전 부재를 회전방향에서 탄성적으로 연결한다. 입력 회전 부재는 클러치 디스크 및 클러치 디스크의 내주측에 고정된 한 쌍의 입력 플레이트를 가진다. 허브는 샤프트에 스플라인 체결되는 보스 및 보스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가진다. 코일 스프링은 허브에 형성된 복수의 스프링 수용공(收容孔) 내에 수용되고, 또한 한 쌍의 입력 플레이트에 형성된 스프링 수용부(收容部)에 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입력 플레이트가 허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면, 코일 스프링은 플레이트와 허브 사이에서 회전방향으로 압축된다. 일반적으로 댐퍼 기구는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에 입력된 회전방향 비틀림 진동을 흡수 및 감쇠한다. 이러한 댐퍼 기구는 또한 코일 스프링의 단부면(end face)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시트(spring seat)를 가진다. 스프링 시트를 통해 코일 스프링은 허브의 스프링 수용공 및 한 쌍의 입력 플레이트의 스프링 수용부에 의해 지지된다.
스프링 시트로서는, 코일 스프링의 단부면을 지지하는 시트부 및 시트부의 배면 상에 형성된 한 쌍의 맞물림부(engaging part)를 가지는 것이 있다. 상기 한 쌍의 맞물림부는 스프링 수용공의 원주방향 단부를 사이에 끼우고 있다. 한 쌍의 맞물림부에 의해 스프링 시트는 스프링 수용공의 원주방향 단부와 맞물려 코일 스프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맞물림부의 외측은 시트가 회전할 수 없도록 스프링 수용부와 맞물려 있다.
위에 기재한 종래의 댐퍼 기구에서, 스프링 시트는 스프링 수용공 및 스프링 수용부에 관하여 코일 스프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입력 플레이트가 허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코일 스프링이 플레이트와 허브 사이에서 댐퍼 회전방향으로 압축되면, 각각의 코일 스프링의 일단은 스프링 수용공의 단부면에만 지지되고, 각각의 코일 스프링의 타단은 스프링 수용부에 의해서만 지지된다. 그 결과, 코일 스프링은 원심력으로 인해 스프링 수용부의 에지부에 가압되고 미끄러지게 되어 코일 스프링 및 스프링 수용부는 마모되고 파손되기 쉬워진다.
이상을 감안하여 종래 기술의 상기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댐퍼 기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의 필요성을 다루는 것으로 본 명세서를 통해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예시의 목적으로 단면 표시된 부분을 포함하는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서의 선분 I-O-I로 이루어지는 각도를 따른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단면도.
도 3은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스프링 시트의 정면도.
도 4는 스프링 시트의 배면도.
도 5는 스프링 시트의 측면도.
도 6은 스프링 시트의 측면 단면도.
도 7은 스프링 시트의 하면도.
도 8은 도 1의 부분 확대도로서,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댐퍼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의 II-II 선을 따른 댐퍼 기구의 단면도.
도 10은 도 2의 부분 확대도로서, 댐퍼 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1의 부분 확대도로서, 댐퍼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11의 III-III 선을 따른 댐퍼 기구의 단면도.
도 13은 도 1의 부분 확대도로서, 댐퍼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도 13의 III-III 선을 따른 댐퍼 기구의 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댐퍼 기구에서 코일 스프링과 스프링 수용부의 마모 및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댐퍼 기구는 토크를 전달함과 동시에 비틀림 진동을 감쇠하기 위해 설치된다. 댐퍼 기구는 제1 회전 플레이트 부재, 한 쌍의 제2 회전 플레이트 부재, 코일 스프링 및 한 쌍의 스프링 시트를 구비한다. 제1 회전 플레이트 부재는 스프링 수용공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한 쌍의 제2 회전 플레이트 부재는 제1 회전 플레이트 부재의 축방향 양측에 고정되도록 배치된다. 한 쌍의 제2 회전 플레이트 각각은 스프링 수용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프링 수용부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코일 스프링은 스프링 수용공 및 스프링 수용부 내부에 배치되어 제1 회전 플레이트 부재와 한 쌍의 제2 회전 플레이트 부재 사이에서 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 한 쌍의 스프링 시트 각각은 코일 스프링의 단부와 스프링 수용공/스프링 수용부의 원주방향 단부 사이에 배치된 시트부를 가진다. 스프링 시트 각각은 코일 스프링의 단부면(end face)을 지지하며, 한 쌍의 맞물림부를 가진다. 한 쌍의 맞물림부는 축방향으로 정렬되어 코일 스프링을 지지하는 측면인 시트부의 반대측으로부터 연장된다. 또한, 한 쌍의 맞물림부는 스프링 수용공의 원주방향 단부를 축방향으로 사이에 끼우고, 나아가서 코일 스프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스프링 수용부 각각의 원주방향 단부와 맞물린다. 한 쌍의 맞물림부는 코일 스프링을 지지하는 측의 반대측에 정점(peak)을 가진 각추 형상(角錐形狀; pyramidal shape)이다. 스프링 수용부의 원주방향 단부에는 스프링 시트의 피라미드 형상에 대응하는 시트 받침부(seat bearing part)가 형성되어 있다.
이 댐퍼 기구에서는, 한 쌍의 제2 회전 플레이트 부재에 토크가 입력되면,이어서 토크는 한 쌍의 스프링 시트와 코일 스프링을 통해 제1 회전 플레이트 부재에 전달된다. 토크가 전달되는 동안 발생하는 비틀림 진동은 한 쌍의 제2 회전 플레이트 부재와 제1 회전 플레이트 부재가 서로 상대회전할 때 회전방향에서의 코일 스프링의 압축에 의해 흡수되고 감쇠된다. 여기서, 코일 스프링은 제1 회전 플레이트 부재의 스프링 수용공과 그 반대측에 있는 제2 회전 플레이트 부재의 스프링 수용부 사이에 끼워져서 압축된다.
스프링 수용공에 맞닿아 있는 스프링 시트의 한 쌍의 맞물림부는 제1 회전 플레이트 부재의 스프링 수용공의 원주방향 단부를 사이에 끼우고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 축을 중심으로 스프링 수용공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다. 또한 스프링 수용부에 맞닿아 있는 스프링 시트의 한 쌍의 맞물림부 각각이 각추 형상을 가지므로, 제2 회전 플레이트 부재의 스프링 수용부의 원주방향 단부에 있는 시트 받침부에 대해 코일 스프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도 없다. 또한, 한 쌍의 맞물림부 및 시트 받침부가 각추 형상을 가지므로, 스프링 시트는 스프링 수용부에 대해 회전할 수 없으며, 따라서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것도 제한된다. 그 결과, 코일 스프링이 스프링 수용부의 에지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이 어렵고, 따라서 코일 스프링 및 스프링 수용부의 마모 및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한 쌍의 맞물림부가 댐퍼 회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맞물림부가 댐퍼의 축방향 또는 반경방향 내에 큰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므로 스프링 시트의 크기를 소형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른 댐퍼 기구는 제1 특징의 댐퍼 기구에서, 한 쌍의맞물림부는 그 축방향 내측에 배열되고 스프링 수용공의 원주방향 단부에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제1 각추면(pyramid surface)을 가진다. 또한, 맞물림부의 축방향 외측에 반경방향으로 정렬된 제2 및 제3 각추면을 가진다. 제2 특징의 댐퍼 기구의 시트 받침부는 맞물림부의 제2 및 제3 각추면에 정합하는 각추 형상을 가진다.
이 댐퍼 기구에서는, 한 쌍의 맞물림부가 제2 및 제3 각추면을 가진 각추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스프링 시트가 시트 받침부에 대하여 원활하게 접촉 및 이반(離反)을 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맞물림부와 한 쌍의 시트 받침부 사이에 접촉 면적이 크고 접촉 부분의 압력이 작기 때문에 스프링 시트에 대한 손상도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른 댐퍼 기구는 제1 또는 제2 특징에 따른 댐퍼 기구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이 스프링 시트에 대하여 코일 스프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 시트는 코일 스프링의 단부면을 그 축 주위로 회전할 수 없도록 지지하고, 또한 스프링 수용부에 대해서도 코일 스프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 결과, 단부감김(end winding)을 가진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는 경우, 스프링은 댐퍼 기구의 중심에 가까운 코일 스프링 측이 댐퍼 기구의 바깥쪽에 가까운 코일 스프링 측보다 1회 더 감긴 배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코일 스프링이 압축될 때 발생되는 코일 스프링 양측면 사이에 1회 감김당 휨량의 차이 및 각각의 감김의 양측면 사이의 응력의 차이를 모두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특징, 양태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제시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1)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분 I-O-I이 이루는 각도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화살표 R1은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회전 드라이브 즉 포지티브 방향을 가리키며, 화살표 R2는 그 반대 즉 네거티브 방향을 가리킨다. 도 2에서 O-O는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회전축을 가리킨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좌측에는 엔진 및 플라이휠(도시되지 않음)이 배치되고, 도 2의 우측에는 트랜스미션(도시되지 않음)이 배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는 주로 입력회전 부재(2)(한 쌍의 제2 회전 플레이트 부재), 출력회전 부재(3)(제1 회전 플레이트 부재) 및 댐퍼 기구(4)를 구비한다. 댐퍼 기구(4)는 입력회전 부재(2)와 출력회전 부재(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플라이휠(도시되지 않음)은 입력회전 부재(2)로 토크를 입력한다. 입력회전 부재(2)는 주로 클러치 디스크(11), 클러치 플레이트(12) 및 리테이닝 플레이트(13)를 가진다. 클러치 디스크(11)는 플라이휠(도시되지 않음)에 가압되어 연결된다. 클러치 디스크(11)는 기본적으로 쿠셔닝 플레이트(15)와 한 쌍의 마찰 페이싱(16, 17)을 가진다. 마찰 페이싱(16, 17)은 쿠셔닝 플레이트(15)의 축방향 양측에 리벳(18)으로 고정된다.
클러치 플레이트(12) 및 리테이닝 플레이트(13)는 모두 디스크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클러치 플레이트(12) 및 리테이닝 플레이트(13)가 중심공을 가지는 환형 부재이며,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클러치 플레이트(12)는 엔진측에 배치되고, 리테이닝 플레이트(13)는 트랜스미션측에 배치되어 있다. 리테이닝 플레이트(13)의 외주부에는 클러치 플레이트(12)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부(13a)가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고정부(13b)가 원통형부(13a)의 선단으로부터 내주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고정부(13b)는 클러치 플레이트(12)의 트랜스미션 측면에 배치되고, 복수의 리벳(20)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그 결과, 클러치 플레이트(12)와 리테이닝 플레이트(13)는 단일 유닛으로서 일체가 되어 회전한다. 또한, 리벳(20)은 쿠셔닝 플레이트(15)의 내주부를 고정부(13b)의 엔진을 향한 측에 고정시킨다.
클러치 플레이트(12) 및 리테이닝 플레이트(13)에는, 원주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창부(窓部)(81, 9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창부(81, 91)가 각각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4개씩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닝 플레이트(13)의 창부(91)는 각각 축방향으로 관통한 구멍과, 그 구멍의 에지를 따라 형성된 스프링 수용부(92)로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클러치 플레이트(12)의 창부(81) 각각에 스프링 수용부(82)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출력 회전부재(3)는 입력회전 부재(2)로부터 전달된 토크를 트랜스미션(도시하지 않음)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출력 회전부재(3)는 허브(7), 허브 플랜지(6), 및 저강성(低剛性) 댐퍼(8)를 가진다.
허브(7)는 원통형의 부재로서, 클러치 플레이트(12) 및 리테이닝 플레이트(13)의 중심공 내에 배치되어 있다. 허브(7)는 이 중심공에 삽입된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도시하지 않음)에 대하여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다. 허브 플랜지(6)는 허브(7)의 외주측에 배치된 환형의 부재이며, 클러치 플레이트(12)와 리테이닝 플레이트(13)의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저강성 댐퍼(8)는 허브(7)와 허브 플랜지(6)의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작은 코일 스프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강성 댐퍼(8)는 허브(7)와 허브 플랜지(6)를 함께 회전방향으로 탄성연결하고 있다. 또한, 허브 플랜지(6)의 외주면은 리테이닝 플레이트(13)의 원통형부(13a)의 반경 방향 내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허브 플랜지(6)에는 코일 스프링(21)(뒤에 설명함)을 수용하기 위한 스프링 수용공(71)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 수용공(71)은 창부(81, 91)에 대응하도록 4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댐퍼 기구(4)는 입력회전 부재(2)와 출력 회전부재(3)를 회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댐퍼 기구는 주로 앞에서 언급한 복수의 코일 스프링(21)과, 코일 스프링(21) 각각의 단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스프링 시트(51)를 가진다. 이들 코일 스프링(21)과 스프링 시트(51)는 창부(81, 91) 내측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링 수용부(82, 92)와 스프링 수용공(71)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리테이닝 플레이트(13)에 형성된 스프링 수용부(92)는, 코일 스프링(21)(뒤에 설명함)을 수용하는 기능을 가지며, 외주측 받침부(93), 내주측 받침부(94), 및 한 쌍의 시트 받침부(96)를 가진다.
외주측 받침부(93)는 축방향 외측을 향하여 절단하여 세워진 부분으로, 리테이닝 플레이트(13)와 동심원인 원호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주측 받침부(94)는 직선형으로 축방향 외측을 향하여 절단하여 세워진 부분이다. 또한, 내주측 받침부(94)는 외주측 받침부(93)에 대해 플레이트(13) 중심을 향하여 위치한다. 두 개의 시트 받침부(96)는 외주측 받침부(93)와 내주측 받침부(94)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세워진 부분이다. 시트 받침부(96)는 상기 받침부(93, 94)의 원주방향 양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스프링 시트(51)에 맞물려 있다.
클러치 플레이트(12)의 스프링 수용부(82)도 스프링 수용부(92)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 및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도 2 및 도 12에서와 같이, 스프링 수용부(82)는 외주측 받침부(83), 내주측 받침부(84), 및 한 쌍의 시트 받침부(86)를 가진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스프링 수용공(71)은 외측부(outer part), 내측부(inner part) 및 두 개의 원주방향 대향부(circumferentially facing part)를 가진다. 외측부는 클러치 플레이트(12) 또는 허브 플랜지(6)에 대해 동심인 원호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부는 직선형이고 외측부에 대해 허브 플랜지(6)의 중심을 향해 위치한다. 두 개의 원주방향 대향부는 외측부와 내측부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되고 이들 외측부와 내측부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21)의 단면 형상은 중심축에 수직방향으로 볼 때 타원 또는 계란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21)은 양단에 단부 감김을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단부 감김의 단부면은 연삭되어 있지 않고, 스프링 소재의 원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중심에 근접한 코일 스프링(21) 각각의 측면은 스프링 수용부(82, 92)의 내주측 받침부(84, 94)에 의해 코일 스프링(210이 축방향으로 튀어 나가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고,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중심으로부터 이격한 코일 스프링(21) 각각의 측면은 스프링 수용부(82, 92)의 외주측 받침부(83, 93)에 의해 축방향으로 변위되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다.
다음에, 한 쌍의 스프링 시트(51)에 관해 주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두 개의 스프링 시트(51) 각각은 도 1에서와 같이 서로가 코일 스프링(21)을 댐퍼 회전방향으로 사이에 끼워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표시된 기호 P는 도면의 평면 앞에서 속으로 연장되는 스프링 코일(21)의 코일 중심축을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코일축은 P-P 축에 해당한다.
도 2 및 도 8에서, 한 쌍의 스프링 시트(51)는 코일 스프링(21)의 단부를 코일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지지하며, 스프링 수용공(71) 및 스프링 수용부(82, 92)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도록 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스프링 시트(51)의 재질은 경질 수지 또는 탄성 수지재료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스프링 시트(51)의 형상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각각의 스프링 시트(51)는 시트부(52)와 한 쌍의 맞물림부(57)를 주요부로 가진다. 맞물림부(57)는 시트부(52)의 배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물림부(57)는 P-P 축방향을 따라 코일 스프링(21)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시트부(52)는 코일 스프링(21)의 단부를 P-P 축 주위로 회전할 수 없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시트부(52)는 시트면(seat surface)(53), 단부 감김 접촉부(end winding abutment part)(54) 및 원주형 돌출부(cylindrical protrusion)(56)를 가진다. 시트면(53)은 코일 스프링(21)의 단부 감김면을 받쳐준다. 감김 접촉부(54)는 코일 스프링(21)의 단부 감김 선단부에 접촉한다. 감김 접촉부(54)는 P-P 축에 대체로 평행인 방향으로 코일 스프링(21)의 단부 감김 선단부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주형 돌출부(56)는 코일 스프링(21)의 단부로부터 코일(들) 내부로 연장된다. P-P 축에 평행인 방향으로 볼 때 단부 감김 접촉부(54)는 코일 스프링(21)의 단부 감김 선단부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장방형 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면(53)은 장방형의 제1 시트면(53a) 및 나선형의 제2 시트면(53b)을 가진다. 장방형 제1 시트면(53a)은 코일 스프링(21)의 P-P 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스프링 시트의 배면에 근접한 단부 감김 접촉부(54)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나선형 제2 시트면(53b)은 코일 스프링(21)의 단부 감김의 1회전에 해당하는 나선을 따라 제1 시트면(53a)으로부터 연장된다. 제2 시트면(53b)의 단면은 코일 스프링(21)에 근접한 단부 감김 접촉부(54)의 측면에 연결 된다. 제2 시트면(53b)은 P-P 축방향에서 본 평면은 원환형의 면이며, 그 면의 외경은 코일 스프링(21)의 외경 보다 약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56)는 원주면(56a), 돌출부 원추면(protrosion conicalsurface)(56b) 및 선단면(tip surface)(56c)를 가진다. 원주면(56a)은 시트면(53)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며 P-P 축에 평행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원주면(56a)은 코일 스프링(21)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 및 코일 스프링(21)의 단부 감김 1회전 높이에 해당하는 원주 높이를 가지는 원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돌출부 원추면(56b)은 원주면(56a)의 선단에 형성되고, P-P 축방향을 따라 직경이 축소되면서 정점까지 도달하지 않는 원추면으로 되어 있다. 선단면(56c)은 돌출부 원추면(56b)의 선단에 형성된 평면으로, 댐퍼 기구(4)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그 윤곽은 타원형을 하고 있다. 선단면(56c)의 중심으로부터 스프링 시트(51)를 P-P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60)이 형성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21) 말단의 단부 감김부의 전면(全面)은 시트부(52)의 시트면(53)에 대하여 접촉하고, 단부 감김부의 선단은 단부 감김 접촉부(54)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21)은 한 쌍의 스프링 시트(51)에 대하여, P-P 축 주위로 상대회전 불능하게 고정된다. 즉, 한 쌍의 스프링 시트(51)의 단부 감김 접촉면(54)이 코일 스프링(21)의 코일의 감김방향에 대해 반대측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21)은 P-P 축을 중심으로 어느 쪽으로도 회전할 수 없다.
도 5, 도 7 및 도 9를 참고하면, 한 쌍의 맞물림부(57)는 시트 받침부(86, 96)와 회전할 수 없도록 맞물리고, 또한 스프링 수용공(71)의 원주방향 단부에도 맞물린다. 한 쌍의 맞물림부(57)는 바람직하게 시트부(52)의 배면으로부터 스프링 수용부(82, 92)의 원주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사각추(四角錐) 형상부를 가진다. 한 쌍의 맞물림부(57)는 시트부(52)의 배면에 형성되어 스프링 수용공(71)의원주방향 단부의 내측면이 접촉하는 허브 접촉면(61)과, 리테이닝 플레이트(13)측 및 클러치 플레이트(12)측에 각각 형성되어 허브 접촉면(61)으로부터 원주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맞물림부(57a, 57b)를 가진다.
맞물림부(57a)는 리테이닝 플레이트(13)측에 형성고, 제1 추면(錐面; pyramid surface)(58a), 제2 추면(58b) 및 제3 추면(58c)으로 이루어지는 삼각추 형상부를 가진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추면(58a)은 이등변 삼각형 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추면(52a)은 시트부(52)의 배면으로부터 원주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추면(58b) 및 제3 추면(58c)은 제1 추면(58a)과 함께 삼각추를 구성하는 2개의 추면이다. 삼각추는 제1 추면(58a)을 규정하는 2개의 경사변 및 제1 추면(58a)의 정점으로부터 이어져 시트부(52)의 배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하나의 경사변을 가진다. 이들 2개의 추면 중, 댐퍼의 중심에 근접한 것이 제2 추면(58b)이며, 댐퍼의 중심으로부터 이격한 것이 제3 추면(58c)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플레이트(12)측의 맞물림부(57b)는 리테이닝 플레이트(13)측의 제1 추면(58a)과 동일 형상을 가지며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회전축선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에 놓이는 제1 추면(59a)을 가진다. 2개의 제1 추면은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맞물림부(57b)는 제2 추면(59b) 및 제3 추면(59c)을 가지고, 이들 두 추면은 제1 추면(59a)와 함께 맞물림부(57a)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마주보는 삼각추 형상을 형성한다.
다음에, 시트 받침부(86, 96)에서의 스프링 시트(51)의 조립된 상태에 관하여 기본적으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1의 댐퍼 기구(4)의 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II-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2의 댐퍼 기구(4)의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9에서, 스프링 시트(51)의 허브 접촉면(61)은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 중심에 근접한 허브 플랜지(6)의 스프링 수용공(71)의 원주방향 단부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 시트(51)의 한 쌍의 맞물림부(57a, 57b)는 스프링 수용공(71)의 원주방향 단부를 사이에 끼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9를 참조하면, 맞물림부(57a)의 제1 추면(58a)과 맞물림부(57b)의 제1 추면(59a)는 모두 스프링 수용공(71)의 원주방향 단부의 축방향 면에 근접하고 있다. 이로써 스프링 시트(51)는 스프링 수용공(71)의 원주방향 단부로부터 댐퍼 회전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맞물린 상태에서는 허브 플랜지(6)에 대하여 댐퍼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고, 또한 P-P 축 주위로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스프링 시트(51)의 한 쌍의 맞물림부(57)는 플레이트(12, 13)의 시트 받침부(86, 96)에 각각 접촉하고 지지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받침부(96)는 리테이닝 플레이트(13)의 축방향 외측을 향하여 세워진 삼각추 형상의 면을 가지고 있고, 추면(58b, 58c)에 맞물려 있다. 마찬가지로, 시트 받침부(86)는 클러치 플레이트(12)의 축방향 외측을 향하여 세워진 삼각추 형상의 면을 가지고 있고, 추면(59b, 59c)에 맞물려 있다. 이로써 한 쌍의 스프링 시트(51)는 시트 받침부(86, 96)로부터 댐퍼 회전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맞물린 상태에서는 플레이트(12, 13)에 대하여, 댐퍼 축방향 또는 회전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있고, 또한 P-P 축 주위로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나아가서, 한 쌍의 스프링 시트(51)는 스프링 수용공(71)에 대하여 P-P 축 주위로 회전할 수 없도록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21)은 스프링 수용공(71)에 대하여 P-P 축 주위로 회전할 수 없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에서는, 한 쌍의 스프링 시트(51)가 허브 플랜지(6)에 의해 회전이 정지된다. 또한 한 쌍의 스프링 시트(51)는 플레이트(12, 13)에 의해 회전 정지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허브 플랜지(6)와 플레이트(12, 13) 사이에 상대회전이 일어나면, 스프링 시트(51)는 허브 플랜지(6)와 플레이트(12, 13)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허브 플랜지(6)와 플레이트(12, 13) 사이에 상대회전이 일어나지 않으면, 스프링 시트(51)는 허브 플랜지(6) 및 플레이트(12, 13)에 접촉한다. 따라서 스프링 시트(51)는 허브 플랜지(6) 및 플레이트(12, 13)에 대해 회전 정지된다. 코일 스프링(21)은 한 쌍의 스프링 시트(51)에 의해 회전 정지된다. 즉, 코일 스프링(21)은 모든 구성 부재에 대하여 P-P 축 상에서 회전할 수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회전 정지 기능을 이용하여, 단부 감김을 제외한 감김수가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중심으로부터 이격한 측에서는 바람직하게 4회 감김, 그리고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1)의 중심에 근접한 측에서는 5회 감김이 되도록 스프링 수용부(92) 내부에 코일 스프링(21)이 설치된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21)은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중심으로부터 이격한 측보다 근접한 측에서 감김수가 1회 감김이 많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코일 스프링(21) 내부에 고무봉(22)이 배치되어 있다. 고무봉(22)은 코일 스프링(21)이 압축되었을 때에 한 쌍의 스프링 시트(51)의 돌출부(56) 사이에 끼워져서 정지 토크(stop torque)를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
(2)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동작
이하,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동작에 관해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클러치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댐퍼 기구(4)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III-III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댐퍼 기구(4)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클러치가 연결되어 비틀림이 생긴 상태의 댐퍼 기구(4)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III-III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댐퍼 기구(4)의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허브 플랜지(6)에 대하여 클러치 플레이트(12) 및 리테이닝 플레이트(13)가 화살표 R1 방향으로 비틀리면, 코일 스프링(21)은 시트 받침부(86, 96)에 의해 R2측에서 스프링 시트(51)를 통해 가압되어 스프링 수용공(71) 내에서 R1 방향으로 압축된다. 이 때, 코일 스프링(21)의 R1측 단부는 R1측 스프링 시트(51)의 시트부(52)에서 P-P 축 주위로 회전할 수 없도록 지지된다. 또한, R1측 스프링 시트(51)의 한 쌍의 맞물림부(57)는 스프링 수용공(71)의 R1측 단면에 의해서 P-P 축 주위로 회전할 수 없도록 지지된다. 한편, 코일 스프링(21)의 R2측 단부는 R2측 스프링 시트(51)의 한 쌍의 맞물림부(57)를 통해 시트 받침부(86, 96)에 의해 P-P 축 주위로 회전할 수 없는 동시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지지된다.
(3) 스프링 시트의 작동 효과
본원 발명의 스프링 시트는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효과를 가진다.
스프링 시트(51)의 한 쌍의 맞물림부(57)는 축방향 사이에 스프링 수용부(71)의 원주방향단을 축방향으로 사이에 끼고 있기 때문에, 맞물림부(57)는 허브 플랜지(6)에 맞물려 있을 때 허브 플랜지(6)에 대하여 축방향방향으로, 또는 댐퍼 회전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또한, 스프링 시트(59)는 P-P 축 주위로 회전할 수 없다. 한편, 맞물림부(57)가 플레이트(12, 13)의 받침부(86, 96)에 각각 맞물리기 때문에, 스프링 시트(51)의 한 쌍의 맞물림부(57)는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플레이트(12, 13)에 대해 댐퍼 축방향, 댐퍼 회전 방향, 또는 댐퍼 반경방향으로 운동할 수 없고, 나아가서 P-P 축 주위로 회전할 수 없다.
코일 스프링(21)이 한 쌍의 스프링 시트(51)를 통해 두 개의 회전 부재(2, 3)에 의해 P-P 축 주위로 회전하는 것이 규제되고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21)은 적절한 배향(appropriate orientation)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적절한 배향"이란, 코일 스프링(21)이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중심에 근접한 측보다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중심으로부터 이격한 측에서 감김수가 적고 근접측과 이격측에서 발생되는 응력의 차이가 적은 상태를 말한다. 그 결과, 코일 스프링(21)의 수명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시트는 또한 다음과 같은 특별한 효과를 가진다.
코일 스프링(21)의 양단이 한 쌍의 스프링 시트(51)에 의해 두 개의 회전 부재(2, 3)에 대하여 댐퍼 반경방향의 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21)의 단부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21)의압축 시에 원심력이 작용하더라도 코일 스프링(21)이 스프링 수용공(71) 및 스프링 수용부(82, 92)의 에지부에 슬라이드하기 어렵다. 그 결과, 코일 스프링(21) 및 다른 부재의 마모나 파손이 생기기 어렵게 된다.
각 스프링 시트(51)의 한 쌍의 맞물림부(57)는, 허브 플랜지(6)의 스프링 수용부(71)에 맞물릴 뿐만 아니라, 플레이트(12, 13)의 스프링 수용부(82, 92)에도 맞물린다고 하는 두 가지 기능을 가진다. 특히, 한 쌍의 맞물림부(57) 및 한 쌍의 시트 받침부(86, 96)는 단순한 각추 형상을 가진다. 한 쌍의 맞물림부(57)가 시트부(52)로부터 댐퍼 회전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시트부(52)는 댐퍼의 축방향 및 댐퍼의 반경 방향으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시트부(52)의 시트면(53) 외경은 코일 스프링(21)의 외경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로써, 한 쌍의 스프링 시트(51)를 소형화, 공간절약화 구조로 한다. 본 발명은 특히 코일 스프링(21)이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스프링 시트(51)의 소형화를 실현했다고 하는 점에서 이점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맞물림부(57)와 한 쌍의 시트 받침부(86, 96) 사이의 접촉 면적이 크고, 접촉 부분의 압력이 작기 때문에, 스프링 시트(51)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한 쌍의 맞물림부(57)가 회전방향 외측에 정점을 가지는 각추 형상을 형성하기 때문에, 한 쌍의 스프링 시트(51)가 한 쌍의 시트 받침부(86, 96)에 대하여 원활하게 접촉 및 이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특징은 도면을 기초로 이상과 같이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특징들은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경될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댐퍼 기구는 허브와 허브 플랜지가 단일 부재로 일체화되는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에 한정되지 않고, 플라이휠 조립체나 토크 컨버터의 록업 클러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댐퍼 기구에서는, 스프링 시트의 한 쌍의 맞물림부 및 시트 받침부가 각추 형상을 가지고 있어 스프링 수용부에 대하여 원심력에 기인한 반경방향 외측으로의 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이 스프링 수용부의 에지부에서 슬라이드하기 어렵고, 코일 스프링이나 스프링 수용부의 마모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실질적으로", "약" 및 "대략적으로"와 같은 정도에 관한 용어는 최종 결과가 유의적으로 바뀌지 않는 수식어의 적당한 편차의 양을 의미한다. 이들 용어는 이러한 편차가 그것이 수식하는 단어의 의미에 반하지 않는 한 최소한 ±5%의 편차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 특허출원 제2001-178500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일본 특허출원 제2001-178500호의 개시 내용 전체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결부되어 있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해 한정된 실시예만 선택하였지만 첨부하는 청구의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설명을 통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한 상기 설명은 예시만을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첨부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로 정의되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Claims (21)

  1. 토크를 전달하는 동시에 비틀림 진동을 감쇠하기 위한 댐퍼 기구로서,
    스프링 수용공(spring housing hole)을 가진 제1 회전판 부재;
    상기 제1 회전판 부재의 마주보는 축방향 대면 측에 고정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회전판 부재―여기서 상기 제2 회전판 부재의 쌍은 각각 상기 스프링 수용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프링 수용부(spring housing part)를 구비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 회전판 부재의 쌍은 상기 스프링 수용부의 원주방향단에 형성된 한 쌍의 시트 받침부(seat bearing part)를 가지며, 상기 시트 받침부의 쌍은 각추 형상(pyramidal shape)을 가짐―;
    상기 스프링 수용공 및 상기 스프링 수용부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회전판 부재와 상기 제2 회전판 부재 사이에 토크를 전달하도록 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 및
    한 쌍의 스프링 시트
    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시트의 쌍은 각각
    상기 코일 스프링의 단부와 상기 스프링 수용공의 원주방향단 사이에 배치되는 시트부(seat part)―여기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단부와 상기 스프링 수용부의 원주방향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단부면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제1측(first side) 및 원주방향으로 상기 시트부의 제1측에 마주보고 위치시킨 제2측(second side)을 가짐―; 및
    축방향으로 정렬시킨 한 쌍의 맞물림부(engaging part)―여기서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시트부의 제2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스프링 수용공의 원주방향단을 축방향으로 사이에 끼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수용부 각각의 원주방향단에 맞물리게 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 스프링의 축 주위로 회전할 수 없고, 상기 시트부의 제2측에 정점(peak)을 가진 각추 형상이며, 상기 맞물림부의 각추 형상은 상기 시트 받침부 쌍의 각추 형상에 대응함―
    을 가지는 댐퍼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맞물림부 각각은
    상기 맞물림부의 축방향 내측 상에 있으며 상기 스프링 수용공의 원주방향단을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제1 추면(錐面) 및
    상기 맞물림부의 축방향 외측 상에 있으며, 반경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제2 및 제3 추면
    을 가지고,
    상기 시트 받침부 각각은 상기 맞물림부의 상기 제2 및 제3 추면에 정합하는 각추 형상을 가지는
    댐퍼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이 상기 스프링 시트에 대해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배열되어 있는 댐퍼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이 상기 스프링 시트에 대해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배열되어 있는 댐퍼기구.
  5. 엔진으로부터의 토크를 트랜스미션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는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로서,
    수용부 및 각추 형상을 갖는 시트 받침부를 가진 입력 회전 부재;
    수용공을 가진 출력 회전 부재; 및
    상기 입력 회전 부재 및 상기 출력 회전 부재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는 댐퍼 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 기구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원주방향단에 배열되는 스프링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시트 각각은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수용공 사이에 배치되는 시트부―여기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탄성 부재의 단부와 상기 수용부의 원주방향단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단부면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제1측 및 원주방향으로 상기 시트부의 제1측에 마주보고 위치시킨 제2측을 가짐―; 및
    축방향으로 정렬시킨 한 쌍의 맞물림부―여기서 상기 한 쌍의 맞물림부는 상기 시트부의 제2측으로부터 상기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용공의 원주방향단을 축방향으로 사이에 끼도록 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의 원주방향단에 맞물리게 되어 있으며, 상기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회전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탄성 부재의 축 주위로 회전할 수 없고, 상기 시트부의 제2측에 정점을 가진 각추 형상이며, 상기 맞물림부의 각추 형상은 상기 시트 받침부 쌍의 각추 형상에 대응함-
    을 포함하는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맞물림부 각각은
    상기 맞물림부의 축방향 내측 상에 있으며 상기 스프링 수용공의 원주방향단을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제1 추면 및
    상기 맞물림부의 축방향 외측 상에 있으며, 반경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제2 및 제3 추면
    을 가지고,
    상기 시트 받침부 각각은 상기 맞물림부의 상기 제2 및 제3 추면에 정합하는 각추 형상을 가지는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최소한 하나의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이 상기 스프링 시트에 대해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도록 배열되어 있는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탄성 부재의 축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단부 감김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단부 감김 접촉부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단부 감김의 선단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시트 각각은 상기 탄성 부재의 축에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추가로 포함하는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추면의 제1 베이스는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외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3 추면의 제2 베이스는 반경방향으로 외향하고 축방향으로 내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는 인접한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이 상기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중심으로부터 먼 측보다 상기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중심에 가까운 측에서 1회 감김이 더 많도록 배열되어 있는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 내에 탄성 봉(rod)이 배치되어 있는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시트 각각이 상기 탄성 부재의 축에 대해 상기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배열된 선단면을 가지는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스프링 시트에 대해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없도록 배열되어 있는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탄성 부재의 축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단부 감김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단부 감김 접촉부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단부 감김의 선단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시트 각각은 상기 탄성 부재의 축에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추가로 포함하는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이 상기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중심으로부터 먼 측보다 상기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중심에 가까운 측에서 1회 감김이 더 많도록 배열되어 있는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 내에 탄성 봉이 배치되어 있는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시트 각각이 상기 탄성 부재의 축에 대해 상기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도록 배열된 선단면을 가지는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
  2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의 직경이 상기 탄성 부재의 직경보다 작은 클러치 디스크 조립체.
KR10-2002-0032937A 2001-06-13 2002-06-12 댐퍼 기구 KR1004602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78500 2001-06-13
JP2001178500A JP3904849B2 (ja) 2001-06-13 2001-06-13 ダンパー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925A true KR20020094925A (ko) 2002-12-18
KR100460234B1 KR100460234B1 (ko) 2004-12-04

Family

ID=19019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937A KR100460234B1 (ko) 2001-06-13 2002-06-12 댐퍼 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645079B2 (ko)
JP (1) JP3904849B2 (ko)
KR (1) KR100460234B1 (ko)
DE (1) DE102249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4869A (zh) * 2018-10-30 2019-01-08 深圳和而泰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阻尼旋转结构及其档位调节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62162B4 (de) * 2001-12-18 2014-09-18 Zf Friedrichshafen Ag Drehschwingungsdämpfer, insbesondere Zweimassenschwungrad
JP2006183776A (ja) * 2004-12-27 2006-07-13 Exedy Corp 流体式トルク伝達装置のロックアップ装置
JP4925893B2 (ja) 2007-03-30 2012-05-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スプリングシートおよび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JP4925894B2 (ja) * 2007-03-30 2012-05-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スプリングシートおよび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CN102008363B (zh) * 2010-06-24 2012-07-11 刘方国 椎保健身衣
US10508700B2 (en) * 2012-07-06 2019-12-17 Barnes Group Inc. High fatigue arcuate spring
EP3045768B1 (en) * 2013-09-13 2019-06-12 Nissan Motor Co., Ltd Damper device
JP2017532599A (ja) 2014-09-30 2017-11-02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凸面状の色変換素子を含む装置
WO2016157881A1 (ja) * 2015-03-27 2016-10-06 日本発條株式会社 ばねシート部材及びばね組立て体
WO2017063648A1 (de) * 2015-10-12 2017-04-2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rehschwingungsdämpfer
FR3079580B1 (fr) * 2018-03-30 2020-09-18 Valeo Embrayages Dispositif d'amortissement de torsion avec siege de ressorts a guidage axial
DE102019216146A1 (de) * 2019-10-21 2021-04-22 Zf Friedrichshafen Ag Torsionsschwingungsdämpfer und Kupplungsscheibe
JP7429130B2 (ja) 2020-02-26 2024-02-07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スプリングシート及びダンパ装置
CN111993143B (zh) * 2020-08-10 2022-03-22 青岛征和链传动有限公司 一种多功能轴料送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21512A (en) * 1919-11-11 Resilient driving connection
DE2942135A1 (de) * 1979-10-18 1981-04-30 Volkswagenwerk Ag, 3180 Wolfsburg Unterlage aus elastischem material fuer schraubenfedern einer kraftfahrzeug-federung
FR2620502B1 (fr) * 1987-09-10 1989-12-08 Valeo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US4856638A (en) * 1988-08-08 1989-08-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Clutch damper with friction lag
DE69507091T3 (de) * 1994-07-29 2004-07-22 Aisin Seiki K.K., Kariya Drehmoment-absorbierende Scheibe
US5657845A (en) * 1995-09-22 1997-08-19 Dana Corporation Vibration dampening clutch driven disc
JP3848508B2 (ja) 1999-07-19 2006-11-22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ダンパー機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4869A (zh) * 2018-10-30 2019-01-08 深圳和而泰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阻尼旋转结构及其档位调节器
CN109164869B (zh) * 2018-10-30 2024-04-09 深圳和而泰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阻尼旋转结构及其档位调节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04849B2 (ja) 2007-04-11
US20020193165A1 (en) 2002-12-19
JP2002372099A (ja) 2002-12-26
KR100460234B1 (ko) 2004-12-04
US6645079B2 (en) 2003-11-11
DE10224955A1 (de) 200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0234B1 (ko) 댐퍼 기구
KR100344040B1 (ko) 코일 스프링 어셈블리 및 댐퍼장치
US6612933B2 (en) Damper mechanism
JP3558462B2 (ja) フライホイール組立体
US6682431B2 (en) Damper mechanism
US5634543A (en) Damper disc assembly having multiple friction generating portions
US6044942A (en) Dynamic damper and flywheel assembly
US6708810B2 (en) Damper disk assembly
US6332843B1 (en) Damper disk assembly
JP2002340095A (ja) ダンパー機構
US20060260898A1 (en) Flywheel assembly
US20060254875A1 (en) Flywheel assembly
US6712705B2 (en) Damper mechanism
EP3636955B1 (en) Damper device
US9217477B2 (en) Friction clutch system
US6056096A (en) Dynamic damper and flywheel assembly
US6302799B1 (en) Dampening disk assembly
EP3680512B1 (en) Damper device
US6978695B2 (en) Flywheel assembly
JP7392449B2 (ja) ダンパ装置
US20070099710A1 (en) Flexible flywheel
US6032773A (en) Dynamic damper and flywheel assembly
US6006882A (en) Dynamic damper and flywheel assembly
CA2859338C (en) Friction clutch system
JP2000310282A (ja) ダンパーディスク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