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4448A - 무선단말기의 화상입력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보안 - Google Patents

무선단말기의 화상입력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보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4448A
KR20020094448A KR1020010032656A KR20010032656A KR20020094448A KR 20020094448 A KR20020094448 A KR 20020094448A KR 1020010032656 A KR1020010032656 A KR 1020010032656A KR 20010032656 A KR20010032656 A KR 20010032656A KR 20020094448 A KR20020094448 A KR 20020094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user
input device
image input
electronic comme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2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영국
Original Assignee
함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영국 filed Critical 함영국
Priority to KR1020010032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4448A/ko
Publication of KR20020094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444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02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security measure for e-comme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입력 장치를 갖는 무선 단말기에서 화상 입력 장치를 통하여 입력된 얼굴을 인식하는 방법을 통하여 무선 단말기 자체의 불법 사용을 방지하고, 무선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여 전자상거래와 같은 사용자 인증(authentication)이 필요한 분야에 사용자 인증도구로 사용할 수 방법 및 절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단말기의 화상입력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보안 {USER SECURITY USING IMAGE INPUT DEVICE OF MOBILE PHONE}
본 발명은 IMT-2000 환경 또는 기타 무선 데이터망의 발전으로 무선통신 기반구조가 좋아지면 각 단말기 제조업체들이 무선단말기에 화상통신 등에 사용될 수 있는 화상입력장치를 부착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 화상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경제적으로 단말기 자체의 접근 통제와 나아가서 전자상거래 등에 사용자 인증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생체측정 기법 중 얼굴인식 기법을 적용하는 방법 및 절차를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생체측정 방법 중 얼굴인식 기법을 이용한다. 현재 생체측정 방법으로는 지문, 망막 및 홍체, 음성, 얼굴, 장문, 정맥, 서명 등 인체의 다양한 특징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생체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접근 통제, 신용 카드, 범죄 수사 등 다양한 분야에 많은 응용할 수 있다. 특히 현재까지 많은 우리나라의 생체측정과 관련된 업체 중 대부분의 업체는 지문을 이용하고 있으며 지문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응용에 사용하고 있다. 그중 하나의 분야가 컴퓨터 시스템의 지문인식 마우스 또는 무선단말기 그리고 PDA에 지문인식 장치를 부착하여 접근 통제나 전자상거래에 응용하고자 하는 많은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지문인식을 위하여 반도체 타입 또는 광 센서를 부착하여야 하므로 추가적인 비용 및 단말기와 같은 기구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통신환경이 발전함에 따라 나타날 화상입력장치가 부착된 무선단말기를 이용하여 접근 통제 및 전자상거래에 응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이미 단말기 자체에 부착된 장치를 이용하므로 별도의 하드웨어 추가가 없으며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단말기에 내장된 플래쉬 메모리에 내장하여 사용될 수 있으므로 아주 간편하고 경제적으로 보안의 목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얼굴인식 기법을 적용하여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기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무선단말기에는 화상입력 장치가 부착되어 있지 않다. 이유는 화상입력 장치를 활용할 통신 환경이 구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IMT-2000과 같이 통신환경이 좋은 경우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화상 통신은 많은 전문가들이 이미 예측하고 있으며 각 무선단말기 제조 업체에서도 화상입력장치를 갖는 무선단말기를 상품으로 내놓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무선단말기에 부착된 화상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단말기 자체의 불법 사용을 방지하는 모델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얼굴인식 기법을 이용하여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 분야에 사용자 인증 도구로 무선단말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즉 PKI기반의 보안 솔루션 분야에 인증서 소유자가 가지는 비밀키를 사용자의 얼굴에서 추출되는 특징점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비밀키를 외우거나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한다.
도 1은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한 무선단말기의 접근 통제 개념도,
도 2는 무선단말기의 외형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무선단말기의 내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화상입력장치(렌즈부) 120: LCD 판넬
130: 키패드 140: 화상입력장치(CMOS 센서)
150: 플래쉬 메모리 160: 중앙처리장치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무선단말기 자체의 접근 통제이다. 즉 사용자는 무선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단말기에 접근하는 경우 무선단말기의 실제 사용자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화상입력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입력받아 사전에 등록된 얼굴과 비교하여 현재 무선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실제 단말기의 소유주인지를 파악한다.
또다른 양상으로는 IMT-2000과 같이 무선통신 인프라 환경이 좋은 경우 많은 사람들은 무선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이용하며, 나아가서는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상품의 구매 등 지불 시스템의 일부로 무선단말기를 활용할 것으로 사료된다.따라서 무선단말기 자체의 접근 통제와 더불어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사용자 인증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경우 무선단말기 자체의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전자상거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보안 부분에 대하여 각 단계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1. 사용자 등록(User Registration)
사용자는 무선단말기에 접근 통제 및 사용자 인증에 사용할 사용자의 얼굴을 사전에 무선단말기에 등록하여야 한다. 등록 절차는 무선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영상으로부터 얼굴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얼굴 부분 영상에서 사용자의 눈, 코, 입 등의 특징으로 구별될 수 있는 각종 특징점을 추출하고 이를 고유의 수치로 변환하여 플래쉬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기록하여 향후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S2. 접근 통제
무선단말기 자체에 대한 접근 통제는 사용자가 무선단말기를 이용하기 위하여 시도하는 경우 화상입력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입력 받아 본인 여부를 파악한 후 본인으로 파악되는 경우에만 무선단말기를 동작시킨다.
S3. 사용자 인증(Authentication)
무선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환경에서 전자상거래시 사용자 인증 방법은 PKI와 같은 기법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서의 개인 비밀키로 얼굴의 특징값이 사용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화상입력장치가 부착된 무선단말기에서 보다 저렴하고 편리하게 단말기 자체의 접근 통제 뿐만 아니라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인 사용자는 무선단말기 자체의 접근 통제를 위하여 별도의 암호를 외우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마찬가지로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사용자 인증을 위한 개인 비밀키를 외우고 있어야 했다. 그러나 생체측정 방법 중 가장 편리한 얼굴인식과 무선단말기의 화상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아주 편리하고 경제적으로 접근 통제와 전자상거래의 사용자 인증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무선단말기의 보급 확대와 전자상거래 활성화에 이바지 할 수 있다.

Claims (2)

  1. 화상입력장치를 갖춘 무선단말기 자체의 접근통제 시 화상입력장치를 이용하는 것.
  2.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상거래시 사용자인증서의 개인 비밀키로 얼굴의 특징점을 부호화한 값을 이용한다는 것.
KR1020010032656A 2001-06-11 2001-06-11 무선단말기의 화상입력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보안 KR200200944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656A KR20020094448A (ko) 2001-06-11 2001-06-11 무선단말기의 화상입력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보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656A KR20020094448A (ko) 2001-06-11 2001-06-11 무선단말기의 화상입력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보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448A true KR20020094448A (ko) 2002-12-18

Family

ID=27708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656A KR20020094448A (ko) 2001-06-11 2001-06-11 무선단말기의 화상입력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보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4448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6057A (ja) * 1997-11-04 1999-05-28 Tokai Rika Co Ltd 移動電話及び個人識別システム
JP2000137809A (ja) * 1998-10-29 2000-05-16 Toshiba Corp 携帯型情報処理装置
JP2000307715A (ja) * 1999-04-23 2000-11-02 Nec Corp 携帯電話装置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10090132A (ko) * 2000-03-23 2001-10-18 임영식 화상 데이터 통신 단말기의 잠금기능 설정 및 해제방법
KR20020013190A (ko) * 2000-08-11 2002-02-20 유현중 화상인식에 의한 화상통신기 도용 방지장치
KR20020018496A (ko) * 2000-09-02 2002-03-08 장기화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한 통신단말기 보안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6057A (ja) * 1997-11-04 1999-05-28 Tokai Rika Co Ltd 移動電話及び個人識別システム
JP2000137809A (ja) * 1998-10-29 2000-05-16 Toshiba Corp 携帯型情報処理装置
JP2000307715A (ja) * 1999-04-23 2000-11-02 Nec Corp 携帯電話装置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10090132A (ko) * 2000-03-23 2001-10-18 임영식 화상 데이터 통신 단말기의 잠금기능 설정 및 해제방법
KR20020013190A (ko) * 2000-08-11 2002-02-20 유현중 화상인식에 의한 화상통신기 도용 방지장치
KR20020018496A (ko) * 2000-09-02 2002-03-08 장기화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한 통신단말기 보안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95865A1 (en) Biometric identification device and methods of use
CN107251477B (zh) 用于安全地管理生物计量数据的系统和方法
US847268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iometric registration and authentication
US6735695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stricting access of a user using random partial biometrics
US20050188213A1 (en) System for personal identity verification
JP3258632B2 (ja) 指紋認証装置
JPH0737098A (ja) 個人の同一性を確認する方法とシステム
JP5095672B2 (ja) 人体通信の指紋認証方法
KR20190090732A (ko) 생체 인식 기반의 결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및 결제 시스템
JP2006262333A (ja) 生体認証システム
KR20040048115A (ko)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인증을 위한 다중생체정보의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2011165102A (ja) 生体認証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
Syta et al. RFID-based authentication middleware for mobile devices
KR20010110084A (ko) 지문인식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뱅킹방법
KR20000030122A (ko) 멀티바이오메트릭정보를 이용한 사용자인증방법 및사용자인증시스템
CN112334897A (zh) 认证用户的方法和电子设备
KR20020094448A (ko) 무선단말기의 화상입력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보안
JP2002278640A (ja) 認証トークンおよび認証システム
KR20060119796A (ko) 출력제어기능을 갖는 무선통신단말기
KR20020018496A (ko)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한 통신단말기 보안방법 및 그 장치
US20240187242A1 (en) Identity verification system, user device and identity verification method
JP2002304230A (ja) 本人認証システム及び入力装置
CN109005158B (zh) 基于模糊保险箱的动态手势认证系统的认证方法
KR100597485B1 (ko) 지문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180068670A (ko)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다중 레벨 홍채 인식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