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4444A - 신속설치 및 제거가 가능한 포기조의 산기장치 - Google Patents

신속설치 및 제거가 가능한 포기조의 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4444A
KR20020094444A KR1020010032651A KR20010032651A KR20020094444A KR 20020094444 A KR20020094444 A KR 20020094444A KR 1020010032651 A KR1020010032651 A KR 1020010032651A KR 20010032651 A KR20010032651 A KR 20010032651A KR 20020094444 A KR20020094444 A KR 20020094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iffuser
aeration tank
unit assembl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2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4531B1 (ko
Inventor
엄태경
Original Assignee
엄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태경 filed Critical 엄태경
Priority to KR10-2001-0032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4531B1/ko
Priority to CN02120364A priority patent/CN1398797A/zh
Publication of KR20020094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4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5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발명은 하수처리장이나 폐수 또는 분뇨처리장의 포기조에 사용하는 산기장치 에 관한것으로서 전면포기방식으로 운전되는 포기조(Aeration tank)에서 포기조 상부가 복개된 경우(개방된 경우도 포함)에 산기장치의 산기관이 빠져서 이탈하거나 파손되었을 때 포기조내의 물을 퍼내지 않고 포기조를 계속운전하는 상태에서 이탈하거나 파손된 산기관을 신속하게 교체 또는 보수 할 수 있는 산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요한 수량의 산기관을 조립한 일정한 크기를 가진 배관을 격자형으로 구성하여 하나의 산기배관 단위조립체로 하고 이 산기배관 단위조립체 는 포기조의 중앙부근 상부에서 공기공급관에 고정된 수직분기관에 일체로 조립하되 수직분기관의 하부와 산기배관단위조립체가 연결되는 부분은 공기가 공급될수 있고 회전이 용이하고 기밀이 유지되고 산기배관 단위조립체의 중량도 함께 지지할수 있는 회전이음장치로 연결하되 산기장치 단위 조립체는 포기조의 중앙에 설치한 수직분기관에 대하여 양쪽으로 대칭이 되는 구조로 설치하였다.
수직분기관의 하부는 T형관을 형성하여 이 T형관에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2개의 분기단관을 관통되게 설치하였고 각각의 분기단관의 아래쪽에 회전이음장치를 설치하였고 T형관 중앙하부에는 높이제한 및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의 각도가 수직에서 정한 만큼 벌어지게 제한하는 간격제한봉을 설치하였다. .
또한 산기배관 단위조립체의 후방 아래쪽에는 양쪽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회전이 자재한 안내바퀴를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와 일체가 되게 설치하였다.
수직분기관의 위 부분에는 인양용 로우프 등을 걸 수 있는 돌기부를 형성하여 포기중 산기관이 빠지거나 파손되었을 경우 그 산기관이 조립된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 의 수직분기배관의 위쪽 후랜지 나사를 풀고 인양로우프를 건후 크레인등을 사용하여 인양하면 양쪽의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는 회전이음장치에 의하여 자유롭게 회전할수 있으므로 자중에 의하여 점점 수직에 가깝게 세워지게 되어 양쪽의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 간의 사이가 좁아지게 되어 포기조 상부의 개구부를 통과하여 인양되어 포기조 밖으로 신속하게 꺼낼수 있으며 포기조 밖에서 산기관을 교체 또는 보수한후 다시 역순으로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를 포기조내에 집어넣으면 우선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의 하부에 설치한 안내바퀴 가 포기조의 바닥에 먼저 접촉하고 수직분기관의 하부 중앙에 설치한 간격제한봉의 작용으로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가 수직에 대하여 더 벌어져 기울어져 있으므로 자중에 의하여 횡방향 분력이 발생하고 이힘으로 미끄러지면서 수평이 될 때까지 이동하고 수평이 되면 수직분기관의 하부 중앙에 설치한 간격제한봉의 아래끝이 바닥에 접촉하면 더 이상 내려가지 않고 이때가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의 설치가 완료 된 것이고 수직분기배관의 위쪽 후랜지를 공기밸브에 조이면 포기조의 산기장치의 설치가 완료되고 즉시 정상가동이 가능하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산기장치는 산기관이 빠지거나 파손되었을 때 해당 포기조의 운전을 계속하면서 해당 산기배관 단위조립체만 신속하게 인양보수 하여 재설치 할 수 있으므로 포기조의 물을 빼거나 포기조 운전을 중단하지 않아도 되므로 매우 편리하고 보수기간이 단축되어 신속한 보수가 가능하고 비용이 경제적이며 포기조의 운전중단이 없어 포기조의 처리효율을 높일수 있으며 포기조내에는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의 설치시나 인양시 별도의 움직임이 있는 부가적인 장치가 필요 없으므로 설치 및 인양이 매우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하다.

Description

신속설치 및 제거가 가능한 포기조의 산기장치{Air Diffusing Equipment in Aeration tank for Quick Installation and Removal.}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이나 폐수처리장 등의 미생물을 이용한 수처리 공정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포기조의 산기장치에 관련한 기술로서 대부분의 처리장 특히 대규모처장에서는 거의 전부가 포기조의 포기방식은 혼합성능과 산소전달효율이 높은 미세공기 산기관을 전면포기식으로 설치한 산기장치를 사용하고 있는데 종래에는 포기조의 바닥 전체에 균등한 간격으로 공기공급용 배관을 고정 되게 설치하고 그 배관에 연결니플을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한후 연결니플에 산기관을 설치하여서 사용하였는데 포기조의 운전중에 산기관이 연결니플로부터 빠지거나 산기관이 파손되거나 산기관의 통기구멍이 막히는 경우에는 해당포기조의 운전을 중지하고 포기조내의 혼합액(물)을 다 퍼내고 나서 파손된 산기관을 교체설치하거나 보수하여야 하므로서 보수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고 또한 해당포기조의 운전을 중단 하기 때문에 그 기간동안은 포기조의 부하를 다른 포기조에서 분담하여야 하고 이로 인하여 다른 포기조는 과부하 상태가 될수있어(포기조수가 적을수록 영향이 크다) 처리효과 가 저하 하기도 하였다. 신속하게 산기장치를 설치 및 인양 할 수 있게 한 것( 본 발명자의 선고안 출원, 접수번호1-1-2001-5015532-84,2001년 5월)도 있으나 연결부에서 누수가 발생할수 있고 장기간 경과시에 회전부 의 회전이 잘 안될 우려가 있고 포기조내에 보조장치를 설치하고 설치 및 인양시 연계된 동작이 필요한 등 조작이 번거로원 실용상으로는 결함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면포기식 산기장치에서 산기관이 파손되거나 이탈되었을 경우 해당 포기조내의 물을 퍼내지 않고 운전도 중단함이 없이 산기관을 신속하게 교체 또는 보수 할 수 있고 누수의 우려가 전혀 없고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 및 제거(인양)가 용이한 산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의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동작상태를 표시한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동작상태를 표시한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동작상태를 표시한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회전이음장치의 일 실시예의 동작상태를 표시한 측면도
도 9 은 본 발명의 회전이음장치의 일 실시예를 표시한 정면도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산기배관 단위조립체 1-1.산기관 1-2. 분기니플 1-3.안내바퀴
1-4. 산기관 보호대 1-5. 측면 산기관 보호대 1-6. 연결단관
2. 공기헤다관
3. 회전이음장치 3-1. 고정링크 3-2. 공기관 굽힘 안내봉
3-3. 상부링크 3-4. 링크핀 3-5. 슬리브
3-6. 링크핀 고정구 3-7. 가요성관
4. 수직분기관 4-1. 로우프 걸개용 돌기 4-2. T형관
4-3. 분기단관 4-4. 간격제한봉 4-5. 지지구
5. 간격벌림 장치 5-1. 링크 5-2. 힌지장치
5-3. 아래힌지 장치 5-4. 힌지봉
6. 안내레일
가. 포기조 나. 포기조바닥 다. 포기조벽체 라. 포기조스라브
마. 공기배관용 구조물 바. 개구부 사. 공기배관 아. 분기밸브 자. 개구부 덮개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독립된 4각형의 구조물이 1개 이상으로 조합되고 포기조의 상부에 설치한 공기배관에 포기조의 중앙에 설치한 수직분기관을 연결하여 이곳을 통하여 포기조내의 바닥 근처에 위치한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에 설치한 산기관 에 공기가 공급되게 하고 포기조의 상부는 스라브로 복개하고 스라브의 중앙부에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가 출입할수 있는 개구부를 가진 포기조;
상기 포기조에서 포기조내의 각각의 산기배관 단위조립체로 포기용 공기를 공급하고 위쪽에 로우프걸개를 구비하고 아래쪽 끝에는 T형관을 형성하고 T형관 의 양쪽으로 아래쪽으로 수직하고 대칭되게 2개의 분기단관을 형성하고 T형관의 중앙 아래쪽으로는 간격 제한봉 을 구비한 수직 분기관;
상기 수직분기관의 분기단관과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 와 를 회전자재하고 공기가 통하게하고 기밀이 유지되게 하고 중량을 지지할수 있게 연결하는 회전이음장치; 및
상기 수직분기관의 분기단관에 회전이음장치를 통하여 연결되고 공기배관을 격자형으로 틀을 만들고 거기에 산기관 및 필요한 구성품을 부착하고 수직분기관에 대하여 양쪽으로 대칭되게 설치한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 를 포함하는 포기조의 산기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포기조의 산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이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하나 하기 실시예는 수많은 변형이 가능하고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하수처리장 등 에 있어서 포기조(가)의 상부덮개를 포기조 스라브(라)로 복개하고 그 스라브의 중앙에는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이 출입할수 있는 사각형의 개구부(바)를 형성하고 개구부는 이동이 가능한 개구부 덮개(자)로 덮어 개구부로부터의 추락등에 대비하고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의 출입시에 열수 있게 한다.
포기조 상부로 부터는 공기배관(사)에서 공급된 포기용 공기가 분기밸브(아)를 거쳐서 포기조내의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에 공급되도록 수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위쪽 끝 부분이 후랜지로 구성되고 원형단면을 가진 수직분기관(4)를 설치하였고 수직분기관(4)의 위 쪽 근처에 로우프를 걸수 있도록 로우프 걸개용 돌기(4-1)을 일체로 형성하였고 아래쪽에는 일체로 관통되게 T형관(4-2)를 형성하고 T형관의 아래쪽으로는 일체로 관통되게 수직이고 양쪽으로 대칭되게 분기단관(4-3)을 형성하고 분기단관의 아래쪽 끝은 후랜지 구조로 하였다.
T형관의 중앙 아래쪽으로는 미리 정한 길이로 수직이 되게 봉을 설치하고 이봉의 끝에는 이봉에 수직으로 미리 정한 길이를 가진 가로봉을 설치하여 이것들로 구성한 간격제한봉(4-4)를 일체로 형성 하였다.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의 앞쪽 중앙부에는 공기헤다관(2)와 관통되게 하고 앞쪽으로 돌출 되게 후랜지 를 가진 연결단관(1-6)을 일체로 형성하고 연결단관(1-6)의 후랜지 부와 수직분기관(4)의 하부 에 일체로 형성한 분기단관(4-3)의 후랜지 부분을 가요성 관(3-7)로 연결하여 공기는 통하고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였고 가요성 관(3-7)은 단면이 원형이고 90도 정도 굽혔을 때 단면 모양이 유지되고 굽힘이 자유로우며 양쪽 끝은 후랜지로 하였다.
또한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과 수직분기관(4)의 하단에 설치한 분기단관(4-3)은 링크기구에 의하여 회전이 자재하고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의 중량을 지지할수 있게 회전 이음장치(3)으로 연결하였다.
회전이음장치의 일실시예(도8,도9참조)를 설명하면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의 앞쪽을 구성하고 있는 비교적 지름이 큰 공기헤다관(2)의 중앙 양쪽으로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앞쪽으로 평행하고 수평이되게 하고 끝부분에 링크핀 구멍을 가진 고정링크(3-1)을 일체로 형성하여 고정하고 한편으로는 수직분기관(4)의 하단에 대칭으로 설치한 2개의 분기단관(4-3)의 하단 부근에서 양쪽으로 수직하고 평행하며 그끝부분에 링크핀 구멍을 가진 상부링크(3-3)를 분기단관(4-3)과 일체로 형성하여 고정하고 상부링크(3-3)과 고정링크(3-1)의 링크핀 구멍에는 마찰이 작은 슬리브(3-5)를 삽설한후 링크핀(3-4)를 삽입하여 회전자재하게 연결하고 그 끝은 링크핀 고정구(3-6)을 사용하여 링크핀이 빠지지 않게 하였고 고정링크(3-1)의 위쪽 정해진 위치에는 고정링크(3-1)에 직각이고 수평이되게 공기관 굽힘안내봉(3-2)를 고정링크(3-1)의 위에 고정 설치였다.
상기 회전이음장치(3)의 끝에는 수직분기관(4)에 대하여 좌우로 대칭이 되도록 공기배관을 격자형으로 틀을 짜서 만든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을 연결 설치하되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에는 미리정한 간격으로 분기니플(1-2)를 관통되게 일체로 고정하여 여기에 미세기포를 발생할수 있고 역류가 방지되는 구조의 산기관(1-1)을 미리정한 간격으로 기밀이 유지되도록 설치하여 포기용 공기는 산기관을 통할 수 있게 하고 하수등은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내로는 침투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의 아래에는 뒤쪽에 양쪽으로 돌출되도록 회전자재하게 구를수 있는 안내바퀴(1-3)을 고정되게 설치하여 포기조바닥(나)에 접촉하도록 하고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의 위쪽에는 산기관(1-1)보다 조금 더 높게 양쪽에 산기관 보호대(1-4)를 앞에서 뒤까지 연장되게 고정 설치하고 측면에도 양쪽끝에 측면산기관 보호대(1-5)를 앞에서 뒤까지 연장되게 설치하였다.
본 발명의 산기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포기조(가)의 중앙에 형성한 개구부(바)의 위에 있는 개구부덮개(자)를 밀어 연상태에서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에 산기관(1-1)등 의 모든 부착물을 조립하고 회전이음장치(4)를 이용하여 수직분기관(4)의 아래쪽 끝에 양쪽으로 형성한 분기단관(4-3)과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을 각각 연결하고 가요성 관(3-7) 로 분기단관(4-3)의 하부와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의 연결단관(1-6)사이를 공기가 통하도록 밀봉구조로 연결한다음 크레인 등의 인양장비에 수직분기관(1)에 일체로 고정한 로우프 걸개용 돌기(4-1)에 로우프(도시하지 않음)를 걸어 들어올려서 양쪽의 회전이음장치(3)을 중십으로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이 자중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내려져 간격이 좁아진 상태에서 개구부(바)를 통하여 포기조내로 내리면 산기배관단위조립체(1)의 후단에 설치한 안내바퀴(1-3)이 포기조바닥(나)에 접촉하고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은 수직에 대하여 어느정도 밖으로 경사되어 있으므로(경사각은 간격제한봉(4-4)에 의하여 미리 정해진다) 자중에 의한 수평분력이 발생하여 수직분기관(4)와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의 자중에 의하여 포기조 바닥을 미끄러지면서 결국에는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이 수평이 되고 수직분기관(4)의 중앙하단에 설치한 간격제한봉(4-4)의 아래 부분은 포기조 바닥에 접촉하여 더 이상 내려가지 않게 되며 이때가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과 수직 분기관(4)가 정해진 위치에 설치된 것이다.
이때 수직분기관(4)의 양쪽아래에 설치한 분기단관(4-3)과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은 회전자재한 회전이음장치(3)에 의하여 중량이 지지되고 회전자재하기 때문에 인양 및 하강작업시 기구학적으로 아무런 무리가 없이 원활한 작업이 가능하며 가요성관(3-7)에도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공기관 굽힘 안내봉(3-2)에 의하여 가요성 관(3-7)은 안내된 위치에서 완만히 굽어지므로 단면형상의 변형이 없어 공기의 기밀유지나 공기의 공급에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고 정상적으로 작용 할 수 있다.
이 작업이 끝나면 수직분기관(4)의 위쪽끝을 분기밸브(아)에 연결하면 설치가 완료되고 공기를 통과시키면 즉시 정상 가동이 가능하다.
포기를 장기간 계속하다가 만약 산기관(1-1)이 분기니플(1-2)로부터 빠져서 이탈하거나 막히거나 파손되었을 때는 해당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에 연결된 분기밸브(아)를 잠그고 (다른 산기배관 단위조립체는 포기를 계속한다.)수직분기관(4)의 위쪽끝을 분기밸브(아)로부터 분리한다음 수직분기관(4)에 일체로 고정한 로우프걸개용 돌기(4-1)에 로우프를 걸어 크레인 의 후크에 연결하여 서서히 들어올리면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은 앞쪽끝이 들리면서 서서히 인양되며 수평으로 설치되었던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은 자중에 의하여 회전이음장치(3)을 중심으로 하여 앞쪽끝이 들려짐에 따라서 안쪽으로 향하며 기울어지며 계속 인양됨에 따라 나중에는 간격제한봉(4-4)에 걸려서 미리정한 각도까지 기울어져서 두 개의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의 간격이 가깝게 오므려져서 포기조 중앙 상부의 개구부(바)를 통하여 포기조 위로 인양된다.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을 포기조의 개구부(바)를 통하여 수직으로 인양한다음 포기조스라브(라)의 위에 내려놓고 이탈 또는 막히거나 파손된 산기관을 교체하거나 보수한후 맨처음의 설치방법과 동일하게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을 설치하므로서 설치가 완료되며 다시 공기를 공급하여 포기를 시작할수 있다.
회전이음장치(3)의 작용으로 회전이 자재하기 때문에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의 인양이나 하강시에 수직분기관(4)와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과의 상대적인 각도가 임의로 자유롭게 조절되므로 포기조의 스라브에 걸리지 않고 용이하고 신속하게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을 인양 또는 설치할수 있다.
만약 인양도중에 작업의 실수 등으로 인하여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이 개구부(바)의 가장자리 모서리에 접촉할 수가 있는데 이때는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의 측면과 위쪽에 산기관(1-1)보다 높게 설치한 산기관 보호대(1-4),(1-5)가 먼저 접촉하게 되고 더 이상 산기관(1-1)과는 접촉이 될 수 없게 보호하기 때문에 접촉에 의하여 산기관(1-1)이 손상되는 일은 없다.
포기조내에는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을 인양 또는 설치하는데 보조하는 아무런 장치도 필요 없으므로 전체적으로는 장치가 매우 간단하고 설치 및 인양 작업도 매우 간단하고 용이하다.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
포기조의 복개 스라브 중앙에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가 출입할수 있는 개구부를 가진 포기조;
상기 포기조의 개구부에서 포기조내의 산기배관 단위조립체에 포기용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필요한 수 만큼 수직으로 설치하고 그 위쪽부근에는 로우프 걸개용 돌기를 일체로 형성하고 아래쪽에는 T형관을 형성하고 T형관의 아래에는 양쪽으로 수직이고 대칭되게 분기단관을 형성하고 T형관의 중앙 하부에는 수직으로 간격 제한봉 을 형성한 수직 분기관;
상기 수직분기관의 하부에 형성한 분기단관에 회전이음장치를 통하여 각각 연결하여 서로 대칭위치에 설치한, 공기배관을 격자형으로 틀을 만들고 거기에 산기관 및 필요한 구성품을 부착한 2조의 산기배관 단위조립체;
상기 수직분기관과 각각의 산기배관 단위조립체 와 를 회전자재하고 중량을 지지할수 있게 연결한 링크기구 와 각각의 산기배관 단위조립체의 앞쪽 중간에 일체로 형성한 공기헤다관의 중간에 굽힘이 자유로운 가요성관을 사용하여 수직분기관 과 산기배관 단위조립체와를 공기가 통하게 연결한 회전이음장치; 및
상기 각각의 산기배관 단위조립체 의 중간뒤쪽 부근에서 연결한 회전자재한 힌지와 링크로 구성한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의 간격 벌림장치를 포함한 포기조의 산기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기조의 산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이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수처리장 등 에 있어서 포기조(가)의 상부덮개를 포기조스라브(라)로 복개하고 그 중앙에는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가 출입할수 있는 사각형의 개구부(바)를 형성하고 개구부는 이동이 가능한 개구부 덮개(자)로 덮어 개구부로부터의 추락등에 대비하고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의 출입시에 열수 있게 한다.
상기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에는 미리정한 간격으로 분기니플(1-2)를 관통되게 일체로 고정하여 여기에 미세기포를 발생할수 있고 역류가 방지되는 구조의 산기관(1-1)을 미리정한 간격으로 기밀이 유지되도록 설치하여 포기용 공기는 산기관을 통할수 있게 하고 하수등은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내로는 침투하지 않도록 하며 측면에는 측면 산기관 보호대(1-5)를, 위에는 산기관 보호대(1-4)를 앞에서 뒤쪽 까지 연장되게 설치하고 각각의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의 맨 끝쪽에는 양쪽으로 회전자재하게 구를수 있는 안내바퀴(1-3)을 고정되게 설치한다.
포기조 중앙의 상부로 부터는 공기배관(사)에서 공급된 포기용 공기가 분기밸브(아)를 거쳐서 포기조내의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에 공급되도록 수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게 수직분기관(4)를 설치하고 수직분기관(4)의 아래 끝에는 T모양의 밀봉구조를 형성하고 그 아래에 아래쪽 끝이 후랜지로 구성되고 원형단면을 가진 분기단관(4-3) 2개를 수직이고 서로 평행하게 설치하였고 수직분기관(4)의 위 쪽 근처에 로우프를 걸수 있도록 로우프 걸개용 돌기(4-1)을 일체로 형성하였으며 분기단관(4-3)의 아래쪽에는 회전이음장치(3)을 연결하여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과 연결하였다.
각각의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의 앞쪽 중앙부에는 공기헤다관(2)와 관통되게 하고 앞쪽으로 돌출되게 후랜지를 가진 연결단관(1-6)을 일체로 형성하고 연결단관(1-6)의 후랜지 부와 분기단관(4-3)과를 가요성 관(3-7)로 연결하여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였고 가요성 관(3-7)은 단면이 원형이고 90도 정도 굽혔을 때 단면 모양이 유지되고 굽힘이 자유로우며 양쪽 끝은 후랜지를 가지도록 하였다.
또한 각각의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과 분기단관(4-3)의 하단은 링크기구에 의하여 회전이 자재하고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의 중량을 지지할수있게 각각 독립된 회전 이음장치(3)으로 연결하고 회전이음장치는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의 앞쪽을 구성하고 있는 비교적 지름이 큰 공기헤다관(2)의 중앙 양쪽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앞쪽으로 평행하고 수평이되게 하고 끝부분에 링크핀 구멍을 가진 고정링크(3-1)을 일체로 형성하여 고정하고 한편으로는 수직분기관(4)의 하단 분기단관(4-3)의 조금 위부근에서 양쪽으로 수직하고 평행하며 그 끝 부분에 링크핀 구멍을 가진 상부링크(3-3)을 분기단관(4-3)과 일체로 형성하여 고정하고 상부링크(3-3)과 고정링크(3-1)의 링크핀 구멍에는 마찰이 작은 슬리브(3-5)를 삽설한 후 링크핀(3-4)를 삽입하여 회전자재하게 연결하고 그 끝은 링크핀 고정구(3-6)을 사용하여 링크핀이 빠지지 않게 하였고 고정링크(3-1)의 위쪽 정해진 위치에는 고정링크(3-1)에 직각이고 수평이되게 공기관 굽힘안내봉(3-2)를 고정링크(3-1)의 위에 고정 설치였다.
각각의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의 중간 뒤쪽 부근(도5에서 ℓ1> ℓ2인 위치)에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의 폭 방향으로 미리 정한 간격으로 공기헤다관(2)의 중앙에 대하여 대칭되게 설치한 각각 2조의 힌지장치(5-2)에 양쪽 끝에 힌지 구멍을 가진 강성의 직선모양의 링크(5-1)(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으나 필요수자는 4개 임)의 한쪽 끝을 연결하고 다른 끝은 아래힌지장치(5-3)에 회전 자재하게 연결하고 아래힌지장치(5-3)은 폭방향으로 넓게 양쪽끝까지 연결이 가능한 힌지봉(5-4)로 하나의 조립체가 되게 연결하여 회전 자재 하게 하였다.
간격벌림장치(5)의 링크(5-1)의 길이는 대칭하는 두 개의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이 포기조에서 벌어지면서 최종적으로는 정해진 높이에서 수평이 되게 조정하고 간격제한봉(4-4)는 포기조 내로 내릴때 산기배관단위 조립체(1)이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여 간격벌림장치(5)가 원활하게 작용할 수 있는 경사 각도를 유지하여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이 자연스럽게 포기조 바닥에서 자중에 의하여 벌려지는 각도가 되도록 정한다.
본 발명의 산기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포기조(가)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바)의 위에 있는 개구부덮개(자)를 밀어 연 상태에서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에 산기관(1-1)등 의 모든 부착물을 조립하고 회전이음장치(3)을이용하여 수직분기관(4)의 아래쪽 분기단관(4-3)의 끝과 산기배관단위 조립체(1)을 연결하고 가요성 관(3-7) 로 수직분기관(4)의 하부의 분기 단관(4-3)과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의 연결단관(1-6)을 공기가 통하도록 밀봉구조로 연결하고 각각의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에 연결 조립한 간격벌림장치(5)를 설치한 상태에서 크레인 등의 인양장비에 수직분기관(1)에 일체로 고정한 로우프 걸개용 돌기(4-1)에 로우프(도시하지 않음)를 걸어서 들어올리면 수직분기관(4)가 수직이 되고 양쪽에 서로 대칭하는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는 자중에 의하여 안쪽으로 오므라지면서 수직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약 10도 정도)가 되면 간격제한봉(4-4)에 걸리게 되어 그 간격이 작아져서 개구부(바)를통하여 포기조내로 내리수 있고 포기조로 계속하여 내리면 간격벌림장치(5)의 아래힌지장치(5-3)이 포기조바닥(나)에 접촉하게 되고 링크(5-1)에는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등의 자중에 의하여 수평분력이 발생하게 되고 자동적으로 각도가 작은 상태에서 벌어지면서 산기배관단위조립체(1)도 함께 벌어지면서 결국에는 수평이 된다.
(도5에서 ℓ1> ℓ2되게하여 힌지 안쪽의 중량이 더 크게하여 아래 힌지장치(5-3_)이 바닥에 닿은 후부터 내려갈 때는 자중에 의한 분력이 벌어지는 쪽으로 작용하고 아래힌지장치(5-3)이 바닥에 닿지않고 올라거나 내려갈 때는 간격벌림장치(5)와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이 함께 자중에 의하여 회전이음장치(3)를 중심으로 안쪽으로 오므라지는 회전력을 발생하므로 자동적으로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이와 함께 수직분기관(4)의 T형관 아래의 간격제한봉(4-4)의 아래쪽이 포기조 바닥(나)에 접촉하게 되고 이때가 정상적인 산기장치의 설치위치가 되므로 수직분기관(4)의 위쪽 후랜지를 분기밸브(아)에 연결하면 산기장치의 설치가 완료 되고 공기를 통과시키면 즉시 정상 운전이 가능하다.
산기장치의 하강시에 수직분기관(4)의 분기 단관(4-3)과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은 회전자재한 회전이음장치(3)에 의하여 중량이 지지되고 회전자재하기 때문에 하강작업시 기구학적으로 아무런 무리가 없이 작업이 가능하며 가요성 관(3-7)에도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으며 공기관 굽힘 안내봉(3-2)에 의하여 가요성 관(3-7)은 안내된 위치에서 완만히 굽어지므로 단면형상의 변형이 없어 공기의 기밀유지나 공기의 공급에 아무런 영향을 받지않고 정상적으로 작용할수 있다.
포기를 장기간 계속하다가 만약 산기관(1-1)이 분기니플(1-2)로부터 빠져서 이탈하거나 막히거나 파손되었을 때는 해당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에 연결된 분기밸브(아)를 잠그고 (다른 산기배관 단위조립체는 포기를 계속한다.)수직분기관(4)의 위쪽을 분기밸브(아)로부터 분리한다음 수직분기관(4)에 일체로 고정한 로우프 걸개용 돌기(4-1)에 로우프를 걸어 크레인 의 후크에 연결하여 서서히 들어올리면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은 회전이음장치(3)을 중심으로 자중에 의하여 수평상태에서 밑으로 쳐지면서 나중에는 최초의 경사각도 까지 오므려져서 스라브 상부의 개구부를 통하여 용이하게 스라브 위로 인양 할 수가 있다.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을 포기조의 개구부(바)를 통하여 수직으로 인양한다음 포기조스라브(라)의 위에 내려놓고 이탈 또는 막히거나 파손된 산기관을 교체하거나 보수한후 맨처음의 설치방법과 동일하게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을 설치하므로서 설치가 완료되며 공기를 공급하여 다시 포기를 시작 할 수 있다.
수직분기관(4)와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은 회전이음장치(3)의 작용으로 회전이 자재하기 때문에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의 인양이나 하강시에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과의 상대적인 각도가 원활하게 조절되고 간격벌림장치(5)의 작용으로 각도가 적절하게 자중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조절되어 포기조의 개구부 스라브에 걸리지 않고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를 인양 또는 하강 할 수 있다.
만약 인양도중에 작업의 실수 등으로 인하여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가 개구부(바)의 가장자리 모서리에 접촉할 수가 있는데 이때는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의 위쪽에 산기관(1-1)보다 높게 설치한 산기관 보호대(1-4)와 측면에 설치한 측면산기관 보호대(1-5)가 먼저 접촉하게 되고 더 이상 산기관(1-1)과는 접촉이 될 수 없게 보호하기 때문에 접촉에 의하여 산기관(1-1)이 손상되는 일은 없다.
이 실시예 에서는 산기장치의 인양이나 설치시에 링크기구의 원리에 의한 간격벌림장치의 작용에 의하여 산기장치 단위 조립체가 벌어지거나 오무라지기 때문에 동작이 더욱 확실하고 원활하며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링크기구로 지지되고 있어 상대적인 움직임이 없이 견고하게 설치되며 포기조내에 다른 보조기구가 필요없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구조가 간단하고 인양이나 설치가 매우 간단하고 신속하고 용이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 는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 독립된 4각형의 구조물이 1개 이상으로 조합되고 포기조의 상부에 설치한 공기배관에 포기조의 중앙에 설치한 수직분기관을 연결하여 이곳을 통하여 포기조내의 바닥 근처에 위치한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에 설치한 산기관 에 공기가 공급되게 하고 포기조의 상부는 스라브로 복개하고 스라브의 중앙부에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 가 출입할수 있는 개구부를 가진 포기조;
상기 포기조의 개구부 양쪽끝에 수직으로 설치하여 산기장치 단위 조립체가 안내 될수 있게한 안내레일;
상기 포기조에서 포기조내의 각각의 산기배관 단위조립체로 포기용 공기를 공급하고 위쪽에 로우프걸개를 구비하고 아래쪽 끝에는 T형관을 형성하고 T형관 의 양쪽으로 아래쪽으로 수직하고 대칭되게 2개의 분기단관을 형성하고 T형관의 중앙 아래쪽으로는 간격 제한봉 을 구비한 수직 분기관;
상기 수직분기관의 분기단관과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 와 를 회전자재하고 공기가 통하게하고 기밀이 유지되게 하고 중량을 지지할수 있게 연결하는 회전이음장치; 및
상기 수직분기관의 분기단관에 회전이음장치를 통하여 연결되고 공기배관을 격자형으로 틀을 만들고 거기에 산기관 및 필요한 구성품을 부착하고 수직분기관에 대하여 양쪽으로 대칭되게 설치한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 를 포함하는 포기조의 산기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 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포기조의 산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이하 도면 등 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수처리장 등 에 있어서 포기조(가)의 상부덮개를 포기조 스라브(라)로 복개하고 그 스라브의 중앙에는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이 출입할수 있는 사각형의 개구부(바)를 형성하고 개구부는 이동이 가능한 개구부 덮개(자)로 덮어 개구부로부터의 추락등에 대비하고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의 출입시에 열수 있게 하고 개구부의 양쪽 측면에는(도6.도7참조) 수직하방으로 안내레일(6)을 서로 대칭이 되도록 설치하여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의 안내바퀴(1-3)이 이 안내레일(6)을 따라 움직일수 있게 한다.
또한 안내레일(6)은 입구부는 넓게하여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이 자유롭게 통과할수 있게 하고 위부터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게 한 예각 삼각형 모양의 안내구를 형성하고 포기조 바닥에 접촉한 부분은 수평으로 길게 레일을 형성하도록 한다.
포기조 상부로 부터는 공기배관(사)에서 공급된 포기용 공기가 분기밸브(아)를 거쳐서 포기조내의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에 공급되도록 수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위쪽 끝 부분이 후랜지로 구성되고 원형단면을 가진 수직분기관(4)를 설치하였고 수직분기관(4)의 위 쪽 근처에 로우프를 걸수 있도록 로우프 걸개용 돌기(4-1)을 일체로 형성하였고 아래쪽에는 일체로 관통되게 T형관(4-2)를 형성하고 T형관의 아래쪽으로는 일체로 관통되게 수직이고 양쪽으로 대칭되게 분기단관(4-3)을 형성하고 분기단관의 아래쪽 끝은 후랜지 구조로 하였다.
T형관의 중앙 아래쪽으로는 미리 정한 길이로 수직이 되게 봉을 설치하고 이봉의 끝에는 이봉에 수직으로 미리 정한 길이를 가진 가로봉을 설치하여 이것들로 구성한 간격제한봉(4-4)를 일체로 형성 하였다.
각각의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의 앞쪽 중앙부에는 공기헤다관(2)와 관통되게 하고 앞쪽으로 돌출되게 후랜지를 가진 연결단관(1-6)을 일체로 형성하고 연결단관(1-6)의 후랜지 부와 수직분기관(4)의 하부 후랜지 부분을 가요성 관(3-7)로 연결하여 공기는 통하고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였고 가요성 관(3-7)은 단면이 원형이고 90도 정도 굽혔을 때 단면 모양이 유지되고 굽힘이 자유로우며 양쪽 끝은 후랜지 구조로 하였다.
또한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과 수직분기관(4)의 하단에 설치한 분기단관(4-3)은 링크기구에 의하여 회전이 자재하고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의 중량을 지지할수 있게 회전 이음장치(3)으로 연결하였다.
회전이음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예에서 이미 기술한바와 같이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의 앞쪽을 구성하고 있는 비교적 지름이 큰 공기헤다관(2)의 중앙 양쪽으로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앞쪽으로 평행하고 수평이되게 하고 끝부분에 링크핀 구멍을 가진 고정링크(3-1)을 일체로 형성하여 고정하고 한편으로는 수직분기관(4)의 하단에 대칭으로 설치한 2개의 분기단관(4-3)의 하단 부근에서 양쪽으로 수직하고 평행하며 그끝부분에 링크핀 구멍을 가진 상부링크(3-3)를 분기단관(4-3)과 일체로 형성하여 고정하고 상부링크(3-3)과 고정링크(3-1)의 링크 핀 구멍에는 마찰이 작은 슬리브(3-5)를 삽설한후 링크핀(3-4)를 삽입하여 회전자재하게 연결하고 그 끝은 링크핀 고정구(3-6)을 사용하여 링크핀이 빠지지 않게 하였고 고정링크(3-1)의 위쪽 정해진 위치에는 고정링크(3-1)에 직각이고 수평이 되게 공기관 굽힘안내봉(3-2)를 고정링크(3-1)의 위에 고정 설치였다.
상기 회전이음장치(3)의 끝에는 수직분기관(4)에 대하여 좌우로 대칭이 되도록 공기배관을 격자형으로 틀을 짜서 만든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을 연결 설치하되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에는 미리정한 간격으로 분기니플(1-2)를 관통되게 일체로 고정하여 여기에 미세기포를 발생할수 있고 역류가 방지되는 구조의 산기관(1-1)을 미리정한 간격으로 기밀이 유지되도록 설치하여 포기용 공기는 산기관을 통할수 있게 하고 하수등은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내로는 침투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의 아래에는 뒤쪽에 양쪽으로 돌출되도록 회전자재하게 구를수 있는 안내바퀴(1-3)을 고정되게 설치하여 포기조바닥(나)에 접촉하도록 하고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의 위쪽에는 산기관(1-1)보다 조금 더 높게 양쪽에 산기관 보호대(1-4)를 앞에서 뒤까지 연장되게 고정 설치하고 측면에도 양쪽 끝에 측면산기관 보호대(1-5)를 앞에서 뒤까지 연장되게 설치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산기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포기조(가)의 중앙에 형성한 개구부(바)의 위에 있는 개구부덮개(자)를 밀어 연 상태에서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에 산기관(1-1)등 의 모든 부착물을 조립하고 회전이음장치(4)를 이용하여 수직분기관(4)의 아래쪽 끝에 양쪽으로 형성한 분기단관(4-3)과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을 각각 연결하고 가요성 관(3-7) 로 분기단관(4-3)의 하부와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의 연결단관(1-6)사이를 공기가 통하도록 밀봉구조로 연결하고 크레인 등의 인양장비에 수직분기관(1)에 일체로 고정한 로우프 걸개용 돌기(4-1)에 로우프(도시하지 않음)를 걸어서 충분히 들어올려 양쪽의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이 회전이음장치(3)을 중심으로 자중에 의하여 기울어지면서 수직에 가깝게 내려진 상태로 개구부(바)를 통하여 포기조내로 내리면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의 후단에 설치한 안내바퀴(1-3)이 안내레일(6)의 중앙에 설치한 삼각형의 안내부를 따라 내려가면서 점차 간격이 벌어지고 더 내려가서 포기조바닥(나)에 접촉한 안내레일의 수평부에 접촉하면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은 수직에 대하여 어느정도 밖으로 경사되어 있으므로 자중에 의한 수평분력이 발생하여 수직분기관(4)와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의 자중에 의하여 안내레일(6)의 수평부위를 미끄러지면서 결국에는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이 수평이 되고 수직분기관(4)의 중앙하단에 설치한 간격제한봉(4-4)의 아래 부분은 포기조 바닥에 접촉하여 더 이상 내려가지 않게 되며 이때가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과 수직 분기관(4)가 정해진 위치에 설치된것이다.
이때 수직분기관(4)의 양쪽아래에 설치한 분기단관(4-3)과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은 회전자재한 회전이음장치(4)에 의하여 중량이 지지되고 회전자재하기 때문에 하강작업시 기구학적으로 아무런 무리가 없이 작업이 가능하며 가요성관(3-7)에도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공기관 굽힘 안내봉(3-2)에 의하여 가요성관(3-7)은 안내된 위치에서 완만히 굽어지므로 단면형상의 변형이 없어 공기의 기밀유지나 공기의 공급에 아무런 영향을 받지않고 정상적으로 작용할수 있다.
이작업이 끝나면 수직분기관(4)의 위쪽끝을 분기밸브(아)에 연결하면 설치가 완료되고 공기를 통과 시키면 즉시 정상 가동이 가능하다.
포기를 장기간 계속하다가 만약 산기관(1-1)이 분기니플(1-2)로부터 빠져서 이탈하거나 막히거나 파손되었을 때는 해당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에 연결된 분기밸브(아)를 잠그고 (다른 산기배관 단위조립체는 포기를 계속한다.)수직분기관(4)의 위쪽끝을 분기밸브(아)로부터 분리한다음 수직분기관(4)에 일체로 고정한 로우프 걸개용 돌기(4-1)에 로우프를 걸어 크레인 의 후크에 연결하여 서서히 들어올리면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은 앞쪽끝이 들리면서 서서히 인양되며 수평으로 설치되었던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은 자중에 의하여 회전이음장치(3)을 중심으로 하여 양쪽 끝이 안쪽으로 향하여 기울어지며 간격이 점점 오므라지며 계속 인양됨에 따라 나중에는 간격제한봉(4-4)에 걸려서 미리정한 각도로 기울어져서 두 개의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이 가깝게 오므려져서 포기조 중앙 상부의 개구부(바)를 통하여 밖으로 인양된다.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을 포기조의 개구부(바)를 통하여 수직으로 인양한다음 포기조스라브(라)의 위에 내려놓고 이탈 또는 막히거나 파손된 산기관을 교체하거나 보수한후 맨처음의 설치방법과 동일하게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을 설치함으로서 설치가 완료되고 공기를 공급하여 다시 포기를 시작한다.
회전이음장치(3)의 작용으로 회전이 자재하기 때문에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의 인양이나 하강시에 수직분기관(4)와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과의 상대적인 각도가 안내레일(6)의 안내면에 의하여 적절하게 조절되므로 포기조의 스라브에 걸리지않고 용이하고 신속하게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을 인양 또는 설치할수 있다.
만약 인양도중에 작업의 실수 등으로 인하여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1)이 개구부(바)의 가장자리 모서리에 접촉할 수가 있는데 이때는 산기배관 단위조립체(1)의 측면과 위쪽에 산기관(1-1)보다 높게 설치한 산기관 보호대(1-4),(1-5)가 먼저 접촉하게 되고 더 이상 산기관(1-1)과는 접촉이 될 수 없게 보호하기 때문에 접촉에 의하여 산기관(1-1)이 손상되는 일은 없다.
본발명은 하수처리장이나 폐수처리장 등 의 포기조 에서 산기관이 이탈되거나 막히거나 파손되었을 경우 해당 포기조의 운전을 계속하면서 해당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만 인양하여 보수한후 다시 설치하므로서 산기관의 보수를 위한 포기조의 운전중단이나 포기조의 물빼기 작업등이 필요없어 산기관의 보수를 신속히 할 수 있고 이에 수반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 할 수 있으며 산기관 보수시 포기조의 가동중단에 따른 다른 포기조의 부하증가 가없기 때문에 포기조의 처리효율이 높아지며 상대운동을 하는 밀봉부가 없기 때문에 수밀 효과가 우수하여 장기간 사용시에도 누수의 우려가 없고 산기장치의 설치나 인양시 포기조내에 아무런 보조기구나 연계동작을 필요로 하는 기구가 없어 전체적으로는 구조가 간단하고 인양 및 설치작업이 간단하고 용이, 신속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독립된 4각형의 구조물이 1개 이상으로 조합되고 포기조의 상부에 설치한 공기배관에 포기조의 중앙에 설치한 수직분기관을 연결하여 이곳을 통하여 포기조내의 바닥 근처에 위치한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에 설치한 산기관 에 공기가 공급되게 하고 포기조의 상부는 스라브로 복개하고 스라브의 중앙부에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 가 출입할수 있는 개구부를 가진 포기조;
    상기 포기조에서 포기조내의 각각의 산기배관 단위조립체로 포기용 공기를 공급하고 위쪽에 로우프걸개를 구비하고 아래쪽 끝에는 T형관을 형성하고 T형관 의 양쪽으로 아래쪽으로 수직하고 대칭되게 2개의 분기단관을 형성하고 T형관의 중앙 아래쪽으로는 간격 제한봉 을 구비한 수직 분기관;
    상기 수직분기관의 분기단관과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 와 를 회전자재하고 공기가 통하게하고 기밀이 유지되게 하고 중량을 지지할수 있게 연결하는 회전이음장치; 및
    상기 수직분기관의 분기단관에 회전이음장치를 통하여 연결되고 공기배관을 격자형으로 틀을 만들고 거기에 산기관 및 필요한 구성품을 부착하고 수직분기관에 대하여 양쪽으로 대칭되게 설치한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 를 포함하는 포기조의 산기장치.
  2. 포기조의 복개 스라브 중앙에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가 출입할수 있는 개구부를 가진 포기조;
    상기 포기조의 개구부에서 포기조내의 산기배관 단위조립체에 포기용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필요한 수 만큼 수직으로 설치하고 그 위쪽부근에는 로우프 걸개용 돌기를 일체로 형성하고 아래쪽에는 T형관을 형성하고 T형관의 아래에는 양쪽으로 수직이고 대칭되게 분기단관을 형성하고 T형관의 중앙 하부에는 수직으로 간격 제한봉 을 형성한 수직 분기관;
    상기 수직분기관의 하부에 형성한 분기단관에 회전이음장치를 통하여 각각 연결하여 서로 대칭위치에 설치한, 공기배관을 격자형으로 틀을 만들고 거기에 산기관 및 필요한 구성품을 부착한 2조의 산기배관 단위조립체;
    상기 수직분기관과 각각의 산기배관 단위조립체 와 를 회전자재하고 중량을 지지할수 있게 연결한 링크기구 와 각각의 산기배관 단위조립체의 앞쪽 중간에 일체로 형성한 공기헤다관의 중간에 굽힘이 자유로운 가요성관을 사용하여 수직분기관 과 산기배관 단위조립체와를 공기가 통하게 연결한 회전이음장치; 및
    상기 각각의 산기배관 단위조립체 의 중간뒤쪽 부근에서 연결한 회전자재한 힌지와 링크로 구성한 산기배관 단위 조립체의 간격 벌림장치를 포함한 포기조의 산기장치.
  3. 청구항 1에서 포기조의 개구부 양쪽끝에 수직으로 설치하여 산기장치 단위 조립체가 안내될수 있게한 안내레일을 설치한 포기조의 산기장치.
KR10-2001-0032651A 2001-06-11 2001-06-11 신속설치 및 제거가 가능한 포기조의 산기장치 KR100424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651A KR100424531B1 (ko) 2001-06-11 2001-06-11 신속설치 및 제거가 가능한 포기조의 산기장치
CN02120364A CN1398797A (zh) 2001-06-11 2002-05-23 曝气槽快速安装曝气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651A KR100424531B1 (ko) 2001-06-11 2001-06-11 신속설치 및 제거가 가능한 포기조의 산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523U Division KR200251854Y1 (ko) 2001-06-12 2001-06-12 신속설치 및 제거가 가능한 포기조의 산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444A true KR20020094444A (ko) 2002-12-18
KR100424531B1 KR100424531B1 (ko) 2004-03-27

Family

ID=19710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651A KR100424531B1 (ko) 2001-06-11 2001-06-11 신속설치 및 제거가 가능한 포기조의 산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24531B1 (ko)
CN (1) CN13987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491B1 (ko) * 2002-07-19 2004-12-29 그린엔텍 주식회사 폭기조 가동 상태에서 보수가 가능한 산기장치
CN107973407A (zh) * 2017-12-18 2018-05-01 张家港市清泉水处理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用生化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403B1 (ko) * 2011-06-17 2011-11-02 손근호 격자식 포기장치
CN103435149B (zh) * 2013-07-23 2015-04-01 北京恩菲环保股份有限公司 曝气装置
CO2018004570A1 (es) * 2018-04-27 2018-07-10 Emgesa S A Esp Sistema de micro inyección y dosificación de oxígeno para aguas de descarga de una hidroeléctrica
KR102277387B1 (ko) 2020-09-23 2021-07-14 주식회사 디에이치 탈부착이 가능한 산기장치
KR102238985B1 (ko) 2020-09-25 2021-04-12 주식회사 디에이치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491B1 (ko) * 2002-07-19 2004-12-29 그린엔텍 주식회사 폭기조 가동 상태에서 보수가 가능한 산기장치
CN107973407A (zh) * 2017-12-18 2018-05-01 张家港市清泉水处理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用生化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4531B1 (ko) 2004-03-27
CN1398797A (zh) 200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813B1 (ko) 정화장치
US4181330A (en) Horn shaped multi-inlet pipe fitting
KR100424531B1 (ko) 신속설치 및 제거가 가능한 포기조의 산기장치
KR100984743B1 (ko) 수평/수직 이동이 가능한 수중 폭기 장치
US6533543B2 (en) Vortex prevention apparatus in pump
JP2000297447A (ja) 建築排水システム
KR200251854Y1 (ko) 신속설치 및 제거가 가능한 포기조의 산기장치
US5421383A (en) Slide rail system for aeration diffusers and mixers
US5851448A (en) Single guide member retrievable aeration system
KR200250137Y1 (ko) 신속설치 가 가능한 포기조의 산기장치
KR200229195Y1 (ko) 포기조의 산기장치
JP2004249160A (ja) 曝気槽における散気体の昇降装置
JP2006207190A (ja) 建築排水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器具排水管ユニット
KR101075425B1 (ko) 오배수 통기밴트
CN108002534A (zh) 一种污水生化池用曝气系统及曝气方法
KR100939452B1 (ko) 공조 디퓨져
KR101257511B1 (ko) 집합 배수장치
KR102238985B1 (ko)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
JPH07251196A (ja) 多段式散気設備
KR20100131564A (ko) 시스템의 정지 없이 조 상부에서 손쉬운 탈부착이 가능한 산기장치
JP2003201727A (ja) 建築排水システム
KR101070808B1 (ko) 오배수 통기밴트
CN112196060A (zh) 基于内循环气流管的排污跌流竖井结构及其使用方法
CN216892770U (zh) 一种用于污水井的新型格栅
KR102277387B1 (ko) 탈부착이 가능한 산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