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985B1 -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 - Google Patents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985B1
KR102238985B1 KR1020200124901A KR20200124901A KR102238985B1 KR 102238985 B1 KR102238985 B1 KR 102238985B1 KR 1020200124901 A KR1020200124901 A KR 1020200124901A KR 20200124901 A KR20200124901 A KR 20200124901A KR 102238985 B1 KR102238985 B1 KR 102238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ipe
expansion
diffus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옥
김준명
염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이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이치
Priority to KR1020200124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9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 및 폐수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호기조에 설치되어 있는 산기장치의 산기관이 개별적 또는 부분적으로 파손되는 경우, 호기조 내의 슬러지를 배출하거나 하수 처리 시스템의 운영을 중단하지 않고 기존의 산기장치위에 산기관 및 공기 공급관을 추가하여 확장해서 설치할 수 있는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이동가능하도록 호기조의 상부를 가로지르며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받침 프레임(10) 및 상기 받침 프레임(10)의 상부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12)을 구비하는 확장 설치부(102)와; 상기 확장 설치부(102)의 하부에 수직 하방으로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6)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16)의 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수직 상방으로 하중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고정홀더(106)를 구비하는 확장 고정부(104)와; 상기 고정홀더(106)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세로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세로 공급관(38)과, 상기 세로 공급관(38)의 하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산기관(200)이 구비되고, 상기 세로 공급관(38)의 상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부 분기관(42)이 형성되며, 상기 세로 공급관(38)의 중단부에는 상기 고정홀더(106)에 탄력적으로 결합 고정되는 배관 고정관(44)이 형성된 확장 배관부(112)를 포함하여 호기조의 물을 방류하지 않고 기존의 호기조에 확장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는, 호기조 내의 산기관의 일부가 고장난 경우, 처리장의 하수를 방류하지 않고 산기장치를 추가로 확장 설치하는 작업이 가능하고 기존에 산기장치가 설치된 대형 하수 처리장 및 중형 하수 처리장에도 모두 확장 설치가 가능하여 작업성이 우수하고 작업효율이 향상됨과 동시에 하수처리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Air Diffusing Equipment for expansion installation}
본 발명은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 및 폐수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호기조에 설치되어 있는 산기장치의 산기관이 개별적 또는 부분적으로 파손되는 경우, 호기조 내의 슬러지를 배출하거나 하수 처리 시스템의 운영을 중단하지 않고 기존의 산기장치위에 산기관 및 공기 공급관을 추가하여 확장해서 설치할 수 있는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하천으로 방류되는 오,폐수 및 하수는 직접 하천에 방류되어 하천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하수처리장치를 이용하여 폐수 및 하수를 정화처리 한 후, 하천으로 방류하고 있다.
오,폐수 및 하수 처리를 하기 위한 하수처리장치는 침전조와 호기조로 분리되어 오폐수가 침전조에 유입된 후 이물질을 침전시키고 이러한 오폐수 및 하수를 호기조로 유입시킨다.
그리고 호기조 내에서는 용존산소가 존재하는 호기성 상태하에서 호기조 내의 오폐수에 존재하는 각종 유기물질들을 미생물의 혼합액을 투입하여 배양시키고 배양된 미생물로 하여금 오폐수 및 하수에 혼합된 유기물질을 호기성 상태에서 산화, 분해, 응집, 흡착 및 침전 등의 단계적인 과정을 통해 오폐수 및 하수를 정화처리한다.
이때, 상기 호기조내에 용존산소를 높여서 미생물이 양성되도록 포기조 내부의 바닥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기관이 설치되는데, 산기관은 폴리에틸렌관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산기관은 물보다 비중이 가벼워서 수중에 설치되면 부력이 발생하고 호기조내의 바닥에 설치된 상태에서 공급배관으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고압의 맥동압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무거운 추를 달아 매거나 로프 또는 앵커 등으로 고정하였으나 오랜 기간이 지나면 노후화되거나 전술한 고압의 맥동압 또는 부력 및 그 외의 여러 요인들에 의하여 파손 및 고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산기관의 설치구조는 호기조 내의 바닥에 그물망 형태로 설치되고,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배관 라인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호기조의 크기는 최소 수 미터이고 그 폭도 수십여미터에 달하며 호기조 내에 채워진 오폐수 및 하수도 2-3천여톤에 이르므로 호기조 내에 설치된 산기관을 수리하고자 할 때, 오폐수 및 하수를 모두 빼야 되는데 하수배출 작업에 상당한 작업시간이 소모되었고 호기조 내에 채워진 오폐수 및 하수는 그냥 방류할 수 할 수 없으므로 다시 채워 넣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산기관의 보수 및 수리가 필요한 경우, 호기조의 운전을 중단하고 조 내의 물을 모두 배출한 뒤에 산기관의 수리 및 교체를 하여야 함에도 교체하는 경우에는 산기장치의 인양에 필요한 경우 별도의 인양장치가 필요하였고, 인양을 하기 위한 작업시간도 오래 걸렸으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가 운영되는 시스템을 완전하게 중단시켜야 했으므로 중단되는 시간 동안 시스템의 과부하로 인하여 전체 시스템이 다운되어 단수조치를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산기관이 고장난 상태에서 방치하고 호기조를 계속 운영할 경우에는 호기조의 효율이 크게 감소하여 하수처리장으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24531호 (2004.03.27.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0401442호(2003. 10.17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의 호기조 내의 산기장치에 설치된 산기관이 파손되었을 경우, 호기조 내의 물을 빼지 않거나 하수처리 시스템을 정지하지 않으면서도 산기관 및 공기 공급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대형 하수처리장에서 산기관의 유지보수를 다리를 설치하여 확장용 배관을 추가로 설치하고 보수를 하도록 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작업을 간소화하여 빠르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수처리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수 처리장의 처리조 상부를 가로방향으로 다리로 연결하고 다리로부터 하향방향으로 고정홀더를 수직하게 호기조 내부로 내려서 측벽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고정홀더에 공기 공급관을 고정 설치하여 산기장치를 추가함으로써 확장 설치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이동가능하도록 호기조의 상부를 가로지르며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받침 프레임(10) 및 상기 받침 프레임(10)의 상부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12)을 구비하는 확장 설치부(102)와; 상기 확장 설치부(102)의 하부에 수직 하방으로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6)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16)의 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수직 상방으로 하중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고정홀더(106)를 구비하는 확장 고정부(104)와; 상기 고정홀더(106)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세로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세로 공급관(38)과, 상기 세로 공급관(38)의 하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산기관(200)이 구비되고, 상기 세로 공급관(38)의 상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부 분기관(42)이 형성되며, 상기 세로 공급관(38)의 중단부에는 상기 고정홀더(106)에 탄력적으로 결합 고정되는 배관 고정관(44)이 형성된 확장 배관부(112)를 포함하여 호기조의 물을 방류하지 않고 기존의 호기조에 확장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홀더(106)는, 확장 고정부(104) 고정 프레임(16)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기역자(ㄱ)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수직 고정몸체(18) 및 수직 지지체(20)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고정몸체(18)의 상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가이드 고정부(22) 및 안내부(24)가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고정부(22)가 브이자(V) 형상으로 벌어져서 상기 배관 고정관(44)을 안내하도록 수직 고정부(108)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홀더(106)는, 확장 고정부(104) 고정 프레임(16)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수직 고정부(108)의 내측부에 설치되되,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좌우로 탄력적으로 벌어지고 오므라들도록 형성되어 배관 고정관(44)을 탄력적으로 고정하는 한 쌍의 탄력편(28)과; 상기 탄력편(28)의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배관 고정관(44)을 좌우측부에서 안내하는 배관 가이드부(30)와; 상기 배관 가이드부(30)의 상방 외측으로 벌어지며 브이자(V)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수직 고정부(108)의 안내부(24)에 고정되는 가이드 패널(32)이 형성되는 탄력 고정부(11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는, 호기조 내의 산기관의 일부가 고장난 경우, 처리장의 하수를 방류하지 않고 산기장치를 추가로 확장 설치하는 작업이 가능하고 기존에 산기장치가 설치된 대형 하수 처리장 및 중형 하수 처리장에도 모두 확장 설치가 가능하여 작업성이 우수하고 작업효율이 향상됨과 동시에 하수처리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산기장치에 사용되는 고정홀더의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의 고정홀더의 설치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전체 설치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산기장치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세로공급관의 맥동을 완화하기 위해 회동지지대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산기장치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다수개의 산기관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으로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하기에 실시예로서 기술되는 구성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산기장치에 사용되는 고정홀더의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의 고정홀더의 설치상태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전체 설치상태도이다.
이어서, 도 9는 본 발명의 산기장치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세로공급관의 맥동을 완화하기 위해 회동지지대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산기장치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다수개의 산기관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를 설명하여 보면,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100)는 확장 설치부(102)와, 다수개의 확장 고정부(104)와, 고정홀더(106)와, 다수 개의 확장 배관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홀더(106)는 상기 다수개의 확장 고정부(104)에 각각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확장 배관부(112)는 상기 고정홀더(106)에 각각 대응하여 결합설치된다.
상기 확장 설치부(102)는 호기조 상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설치 작업시 이동하는 다리로 이용되도록 받침 프레임(10)이 구비되고, 상기 확장 설치부(102)에는 수직한 아래방향으로 확장 고정부(104)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확장 고정부(104)의 하단부에는 고정홀더(10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확장 고정부(104)의 고정홀더(106)에는 산기관(200)이 구비된 확장 배관부(112)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홀더(106)는 상기 확장 배관부(112)를 안내하는 수직고정부(108)와 상기 확장 배관부(112)를 탄력적으로 잡아주기 위한 탄력 고정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확장 배관부(112)에는 산기관(200)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균등 분배관(114)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균등 분배관(114)은 확장 배관부(112)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분기시킴으로써 다수의 확장 배관부(112)를 연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확장 설치부(102)는 호기조의 상부에 다리 형태가 되도록 폭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가로질러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확장 설치부(102)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확장 고정부(104)가 수직하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확장 고정부(104)의 하단부에는 고정홀더(106)가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고정홀더(106)에 고정되도록 확장 배관부(112)가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확장 배관부(112)는 그 중단부가 상기 고정홀더(106)에 탄력적으로 끼워져서 고정되고, 상단부는 상기 균등 분배관(114)에 연결 설치되고, 하단부에는 산기관(200)이 설치된다.
상기 산기관은 본 발명에서는 하나가 설치되는 것을 실시예로 설명하지만, 적어도 두개 이상의 산기관을 구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설치부(10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확장 설치부(102)의 하부에 확장 고정부(104)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확장 고정부(104)의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홀더(106)에 끼워져서 확장 배관부(11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확장 배관부(112)의 하단에는 산기관(200)이 연결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호기조 상부에 가로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확장 배관부(112)를 설치하기 위해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확장 설치부(10)는, 다리 형태로 형성된 받침프레임(10)과, 상기 받침 프레임(10)의 상부에 각각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12)과 상기 지지 프레임(12)의 외측면부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작업자가 받침 프레임(10) 외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난간(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 프레임(12)의 상부면에는 전술된 균등 분배관(114)이 얹혀져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 프레임(10)의 하부에는 상기 확장 고정부(104)의 상단부가 수직 하향으로 융착 고정된다.
상기 확장 고정부(104)는 세로방향으로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6)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15)의 하단부에는 일측방향 바람직하기로는 수평방향으로 고정홀더(106)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홀더(106)는 상기 확장 배관부(112)를 흔들리지 않고 설치되도록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홀더(106)는 수직 고정부(108)와, 상기 수직 고정부(108)의 내측부에 고정되는 탄력 고정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 고정부(108)는 상기 확장 배관부(112)의 결합시 위치를 잡아주고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안내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탄력 고정부(110)는 상기 확장 배관부(112)가 결합되는 경우 좌우방향에서 탄력적으로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수직 고정부(108)의 내측에 고정되는 탄력 고정부(110)는 본 발명에서는 볼트, 너트, 스크류, 리벳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으나 더 나아가서는 수직 고정부(108)의 안내부(24)에 스팟용접을 이용하여 융착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홀더(106)의 수직 고정부(108)는 기역자(ㄱ)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평하게 형성된 수직 고정몸체(18)와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 지지체(20)로 형성된다. 상기 수직 지지체(20)는 상부에서 하부로 작용하는 외부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 고정몸체(18)의 상부에는 상방향으로 팔을 벌리듯이 브이자(V) 모양으로 서로 마주보면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고정부(22) 및 안내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고정부(22)는 수직하게 고정되고, 상기 안내부(24)는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대향하며 마주보도록 바깥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가이드 고정부(22)에 의해서 가운데 부분에는 개구부(26)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6)의 상부에서 상기 확장 배관부(112)가 가이드 고정부(22)에 의해 안내되면서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상기 수직 고정부(108)의 내측부에는 탄력 고정부(110)가 결합 고정되는바, 상기 탄력 고정부(110)는 서로 마주보며 한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확장 배관부(112)의 외주면을 탄력적으로 잡아주도록 형성되는 외측방향으로 볼록한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진 탄력편(28)이 형성되고, 상기 탄력편(28)의 수직 상부로 연장되어서 배관 가이드부(30)가 형성되며, 상기 배관 가이드부(30)의 상방으로 연장되되, 브이자(V) 모양을 이루도록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는 가이드 패널(32)이 형성된다.
상기 탄력 고정부(110)는 서로 마주보도록 이루어져 있고, 그 가운데 부분은 개구부(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34)에는 전술한 확장 배관부(112)가 수직 상방에서 하방으로 안내되면서 결합된다.
상기 확장 배관부(112)는 공기가 공급되는 배관으로서, 수직한 세로방향으로 세로 공급관(38)이 형성되고, 상기 세로 공급관(38)의 하단에는 니은자(ㄴ)로 절곡되어 가로 공급관(40)이 형성되고, 상기 세로 공급관(38)의 상단부는 기역자(ㄱ)로 절곡되어 상부 분기관(42)이 형성되며, 상기 세로 공급관(38)의 중단부에는 수평방향으로 배관 고정관(4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확장 배관부(112)는 수직 상방에서 하방으로 설치되되, 상기 배관 고정관(44)이 수직하게 하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고정홀더(106)에 수직하게 끼워지며 고정 설치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배관 고정관(44)이 상기 고정홀더(106)의 수직 고정부(108)에 형성된 개구부(26)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상기 탄력 고정부(11)의 개구부(34)에 의해 위치를 잡고 안내되면서 탄력 안착부(36)에 탄력적으로 끼워져서 결합된다.
이때, 상기 배관 고정관(44)은 아치형상의 상기 탄력편(28)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탄력편(28)을 좌우방향으로 밀어내면서 끼워지고, 탄력적으로 밀려난 탄력편(28)은 상기 배관 고정관(44)이 안착된 후 다시 탄력적으로 안쪽으로 오무라들면서 "딸칵"하는 음향을 발생하면서 배관 고정관(44)을 탄력적으로 잡아준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정면도 및 평면도로서, 균등 분배관(114)에 의해 다수의 확장 배관부(112)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호기조의 상부에 확장 설치부(102)가 설치되고, 상기 확장 설치부(102)에는 상기 균등 분배관(114)이 가로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균등 분배관(114)의 중간부분에는 일정한 이격거리를 두고 세로 공급관(38)이 형성된 다수의 확장 배관부(112)가 아래방향으로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다수의 확장 배관부(12)들은 다수의 확장 고정부(104)들에 의해 끼워져서 고정된다.
상기 확장 고정부(104)에는 고정홀더(106)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홀더(106)에 결합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홀더(106)는 바람직하기로는 호기조 내에 채워진 물의 수면보다 위쪽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더 나아가서는 수면 하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홀더(106)는 본 발명에서는 고정 프레임(16)의 하단부에 형성된 하나의 위치에 형성되어 확장 배관부(112)를 고정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고정 프레임(16)의 길이에 따라 2-3개소의 위치에 다수개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고 이는 본 발명의 권리 내에 존재한다 할 것이다.
계속해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고정 홀더의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도로서, 상기 수직 고정부(108)의 안내부(24)가 양쪽 바깥 방향으로 벌어져서 개구부(2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26)에 의해 안내되어 배관 고정관(44)이 결합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관 고정관(44)은 탄력 안착부(36)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탄력편(28)에 의해 좌우측방향에서 탄력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탄력 고정부(110)는 상기 수직 고정부(108)의 내측에 고정되되, 볼트,너트, 리벳, 스크류 등의 다수의 고정수단(도면부호 도시안함)에 의해 안내부(24)에 고정되고, 상기 다수의 고정수단에 의해 탄력 고정부(110)의 상단부가 외측방향으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내측 하단부에 형성된 탄력편(28)이 안쪽 방향으로 탄발하면서 상기 배관 고정관(44)을 강하게 잡아준다.
그리고, 도 7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확장 배관부(112)의 배관 고정관(44)은 화살표와 같이 수직상방에서 수직하방으로 내려오면서 상기 수직 고정부(108)가 수직 하방에서 상방향으로 받쳐주듯이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의 전체 설치 상태도로서, 호기조의 상부에 작업자가 작업이 가능하도록 이동이 가능한 다리 기능을 하는 확장 설치부(102)가 설치되고, 상기 확장 설치부(102)의 상부에 산기관(200)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균등 분배관(11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확장 설치부(102)의 하부에는 다수의 확장 고정부(104)가 수직 하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확장 배관부(112)의 일단부는 상기 균등 분배관(114)에 연결 설치되고, 타단에는 산기관(200)이 연결되는 확장 배관부(112)가 상기 확장 고정부(104)에 결합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의 산기장치는 기존의 산기관(400)들이 구비된 산기장치가 고장나는 경우, 효율이 저하되므로 하수 처리장의 물을 방류하지 않고 시스템을 정지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확장 배관부(112)를 상기 확장 고정부(104)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간단하고 빠르며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오히려 효율을 우수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산기장치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세로공급관의 맥동을 완화하기 위해 회동지지대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산기장치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다수개의 산기관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장 배관부(112)의 설치시 호기조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경우 발생하는 맥동에 의해 확장 배관부(112)의 세로 공급관(38)에 형성된 배관 고정관(44)에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회동 지지대(1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동 지지대(116)는 중간에 회동 힌지부(4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양단 끝부는 세로 공급관(38)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세로 공급관(38)의 길이는 수미터이고 양측에 바라보며 설치되는 폭도 수미터이므로 상기 회동지지대(116)를 길이와 폭에 적합하도록 설계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 지지대(116)는 회동 힌지부(46)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이 가능하고 거리가 조절되며 180도로 횡방향으로 수평하게 펼쳐져서 세로 공급관(38)을 지지한다. 즉, 상기 회동 지지부(46)를 상하로 움직여서 가장 적합한 상태로 세로 공급관(38)의 거리를 유지한 후, 양단을 미도시된 볼트,너트,리벳, 스크류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상기 회동 지지부(46)도 미도시된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켜서 호기조의 공급관의 맥동을 완화시키도록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10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산기관은 하수 처리장의 크기, 산기관의 파손 및 노후화 정도에 따라 적어도 두개 이상 설치하여 경제성을 우수하게 향상시킴과 동시에 하수처리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범위내의 기술적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고 할 것이다.
10 : 받침 프레임 12 : 지지 프레임
14 : 난간 16 : 고정 프레임
18 : 수직 고정몸체 20 : 수직 지지체
22 : 가이드 고정부 24 : 안내부
26 : 개구부 28 : 탄력편
30 : 배관 가이드부 32 : 가이드 패널
34 : 개구부 36 : 탄력 안착부
38 : 세로 공급관 40 : 가로 공급관
42 : 배관 고정관 44 : 상부 분기관
100 : 산기장치
102 : 호가장 설치부 104 : 확장 고정부
106 : 고정홀더 108 : 수직 고정부
110 : 탄력 고정부 112 : 확장 배관부
114 : 균등 분배관 200 : 산기관

Claims (3)

  1. 작업자가 이동가능하도록 호기조의 상부를 가로지르며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받침 프레임(10) 및 상기 받침 프레임(10)의 상부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12)을 구비하는 확장 설치부(102)와;
    상기 확장 설치부(102)의 하부에 수직 하방으로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6)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16)의 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수직 상방으로 하중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고정홀더(106)를 구비하는 확장 고정부(104)와;
    상기 고정홀더(106)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세로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세로 공급관(38)과, 상기 세로 공급관(38)의 하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산기관(200)이 구비되고, 상기 세로 공급관(38)의 상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부 분기관(42)이 형성되며, 상기 세로 공급관(38)의 중단부에는 상기 고정홀더(106)에 탄력적으로 결합 고정되는 배관 고정관(44)이 형성된 확장 배관부(112)를 포함하여 호기조의 물을 방류하지 않고 기존의 호기조에 확장 설치하되,
    상기 이웃하는 2개의 확장 배관부(112)에 회동 지지대(116)가 결합 설치되고, 상기 회동 지지대(116)는 중간에 회동 힌지부(46)가 설치되어 진동 및 충격을 안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홀더(106)는,
    확장 고정부(104) 고정 프레임(16)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기역자(ㄱ)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수직 고정몸체(18) 및 수직 지지체(20)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고정몸체(18)의 상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가이드 고정부(22) 및 안내부(24)가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고정부(22)가 브이자(V) 형상으로 벌어져서 상기 배관 고정관(44)을 안내하도록 수직 고정부(10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홀더(106)는,
    확장 고정부(104) 고정 프레임(16)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수직 고정부(108)의 내측부에 설치되되,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좌우로 탄력적으로 벌어지고 오므라들도록 형성되어 배관 고정관(44)을 탄력적으로 고정하는 한 쌍의 탄력편(28)과;
    상기 탄력편(28)의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배관 고정관(44)을 좌우측부에서 안내하는 배관 가이드부(30)와;
    상기 배관 가이드부(30)의 상방 외측으로 벌어지며 브이자(V)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수직 고정부(108)의 안내부(24)에 고정되는 가이드 패널(32)이 형성되는 탄력 고정부(1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
KR1020200124901A 2020-09-25 2020-09-25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 KR102238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901A KR102238985B1 (ko) 2020-09-25 2020-09-25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901A KR102238985B1 (ko) 2020-09-25 2020-09-25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985B1 true KR102238985B1 (ko) 2021-04-12

Family

ID=75439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901A KR102238985B1 (ko) 2020-09-25 2020-09-25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98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442B1 (en) 2002-10-10 2003-10-17 Primaatec Inc Diffuser block having lifting device
KR100424531B1 (ko) 2001-06-11 2004-03-27 (주)범한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신속설치 및 제거가 가능한 포기조의 산기장치
KR20080072170A (ko) * 2007-02-01 2008-08-06 박영식 거푸집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
KR20100131564A (ko) * 2009-06-08 2010-12-16 대호산업 주식회사 시스템의 정지 없이 조 상부에서 손쉬운 탈부착이 가능한 산기장치
KR101800762B1 (ko) * 2017-02-22 2017-11-27 주식회사 해성이엔지 하수처리장의 산기관 교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531B1 (ko) 2001-06-11 2004-03-27 (주)범한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신속설치 및 제거가 가능한 포기조의 산기장치
KR100401442B1 (en) 2002-10-10 2003-10-17 Primaatec Inc Diffuser block having lifting device
KR20080072170A (ko) * 2007-02-01 2008-08-06 박영식 거푸집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
KR20100131564A (ko) * 2009-06-08 2010-12-16 대호산업 주식회사 시스템의 정지 없이 조 상부에서 손쉬운 탈부착이 가능한 산기장치
KR101800762B1 (ko) * 2017-02-22 2017-11-27 주식회사 해성이엔지 하수처리장의 산기관 교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87106248A (zh) 净化设备
KR102238985B1 (ko) 산기관의 확장 및 보수설치가 가능한 산기장치
JP2022550028A (ja) 拡散装置用回収可能な取り付けフレームアセンブリを備えた水処理システム
WO2009052008A2 (en) Retrievable diffuser module with internal ballast/buoyancy chamber
CN208814731U (zh) 一种便携式曝气填料一体化装置
CN104773849B (zh) 一种模块式曝气充氧装置
US20110278746A1 (en) Retrievable diffuser module with truss construction
CZ292599B6 (cs) Zařízení pro zavádění plynu do kapaliny v jemných bublinách
KR100424531B1 (ko) 신속설치 및 제거가 가능한 포기조의 산기장치
CN204151128U (zh) 新型平板膜生物反应器曝气组件装置
CN108002534A (zh) 一种污水生化池用曝气系统及曝气方法
Zlatov et al. Wastewater treatment of the thermal power plants for desulfurization of flue gas
CN207760124U (zh) 一种可实现在线更换曝气软管的支架系统
CN208378554U (zh) 一种污水处理用曝气池
KR102277387B1 (ko) 탈부착이 가능한 산기장치
CN217838484U (zh) 可更换曝气管的曝气装置
CN101602542B (zh) 一种曝气装置
KR200163268Y1 (ko) 산기관블럭인양장치
CN204999690U (zh) 便于调节维护的废水处理池曝气装置
CN210495903U (zh) 一种用于脱硫塔的脱硫浆液循环泵检修的封堵装置
KR20070100115A (ko) 수압방지 및 도류벽 기능을 갖는 물탱크
KR100461491B1 (ko) 폭기조 가동 상태에서 보수가 가능한 산기장치
CN208500499U (zh) 一种可移动简易曝气装置
US5545358A (en) Tank cover structure with aeration distribution
CN220351858U (zh) 一种无隔墙好氧池曝气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