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3531A -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3531A
KR20020093531A KR1020010032333A KR20010032333A KR20020093531A KR 20020093531 A KR20020093531 A KR 20020093531A KR 1020010032333 A KR1020010032333 A KR 1020010032333A KR 20010032333 A KR20010032333 A KR 20010032333A KR 20020093531 A KR20020093531 A KR 20020093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evator
fixed
guide rail
contact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2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4406B1 (ko
Inventor
유승주
Original Assignee
오티스엘리베이터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엘리베이터캄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엘리베이터캄파니
Priority to KR10-2001-0032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4406B1/ko
Publication of KR20020093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3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4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내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프레임에 가이드레일이 고정되고, 좌우측 양쪽 카 도어의 상측부에 고정된 행거 플레이트의 상측 양단부에는 한 쌍의 접촉위치 가변형 롤러조립체가 각각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접촉위치 가변형 롤러조립체는 상기 축이 중간부에 고정된 연결부재의 양단부에 한 쌍의 롤러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각 접촉위치 가변형 롤러조립체의 양쪽 롤러가 가이드레일의 부분적 형태에 따라 접촉위치가 연속적으로 가변되면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가이드레일의 직선도 및 표면상태가 부분적으로 변형되어 균일하지 못하거나, 윤활성이 떨어진 경우에도 원활하게 이동되며, 또한 작동 소음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카 도어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고, 소음이 없어 설비의 가치가 향상되고, 신뢰성 및 경쟁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내장치{APPARATUS GUIDING DOOR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측에 접촉위치 가변형 롤러를 설치하여 가이드레일의 직선도, 표면상태 및 윤활성이 부분적으로 다른 경우에도 가이드레일에 접촉되는 위치가 연속적으로 가변되면서 원활하게 구름 접촉되어 도어가 부드럽게 개폐되도록 하는데 적합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고층 건물에서 승강로를 따라 카가 상,하로 이동하며 승객 또는 화물을 운송하는데 사용되어 지며, 각 층에서 승객 또는 화물의 승,하차 출입을 위하여 카에는 카 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승강장에는 승장 도어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카 도어 및 승장 도어는 좌우 양측 도어의 상단부 양쪽에 롤러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벽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 위에 롤러가 구름접촉되도록 결합되어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면 롤러가 가이드레일을 타고 이동함에 의해 도어가 개폐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가이드레일과 롤러로 이루어진 종래의 도어 이동 안내장치는 접촉위치 고정형 롤러를 이용함에 따라 가이드레일의 상태에 따라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고,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 도어 이동 안내장치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측 개폐장치부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 도어 이동 안내장치의 정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카(도시되지 않음) 상단부에 가로 방향으로 카 도어 프레임(1)이 부착 고정되어 있고, 그 카 도어 프레임(1)의 전면에는 한쌍의 행거 플레이트(2)에 매달린 카 도어(3)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행거 플레이트(2)에는 승강장에서 승장 도어를 함께 열수 있도록 도어 커플링장치(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행거 플레이트(2)의 상측에는 운행중에는 잠기고 승강장에 도착하면 열리도록 카 도어 록킹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카 도어 프레임(1)의 상단부 일측에는 구동 모터(6)가 설치되어 있고, 그 구동 모터(6)는 카 도어 프레임(1)의 전면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구동 풀리(7)에 감속벨트(8)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풀리(7)는 반대쪽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종동 풀리(9)와 구동 벨트(10)로 연결되어 있고, 그 구동벨트(10)에 행거 플레이트(2)가 연결되어 있어서, 모터(6)의 정역구동에 따라 행거 플레이트(2)의 후면에 고정된 롤러(11)들이 카 도어 프레임(1)에 고정된 가이드레일(12)을 따라 구름접촉되어 행거 플레이트(2)를 이동시켜서 카 도어(3)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도어 커플링장치(4)는 한쪽의 카 도어(3)에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21)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 베인(22)과, 그 고정 베인(22)과 일정간격으로 두고 배치되는 가동 베인(23)과, 그 가동 베인(23)의 하단부에 일정 높이차를 두고 연결되는 한쌍의 레버(24)와, 상기 가동 베인(23)의 상단부 후면에 결합되며 카 도어 프레임(1)에 고정설치된 캠 플레이트(25)를 따라 안내 이동되어 가동베인(23)을 고정 베인(22)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돌출편(28)과, 상기 레버(24)의 하측에 각각 고정되어 카 도어(3)가 열릴 때 레버(24)의 역회동을 억제하는 역회동저지핀(29)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도어 이동 안내장치는 도어 개방을 위하여 구동 모터(6)가 작동되면, 그 구동 모터(6)에 의하여 구동 벨트(10)가 이동을 하고, 그 구동 벨트(10)로 구동력이 전달됨에 따라 양쪽 행거 플레이트(2)의 상측 양단부에 각각 고정된 롤러(11)가 카 도어 프레임(1)에 고정된 가이드레일(12) 위에 구름 접촉되어 이동하므로 양쪽 카 도어(3)가 행거 플레이트(2)와 함께 열리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도어 이동 안내장치는 양쪽 카 도어(3)의 상측부에 고정된 행거 플레이트(2)의 상단부 양쪽에 롤러(11)가 접촉위치 고정형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가이드레일(12)의 조립단계 및 사용 중에 부분적으로 휘어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거나, 가이드레일(12)을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이물질이 부분적으로 고착되어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거나, 윤활력이 떨어지게 되면 원활하게 이동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작동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엘리베이터의 도어는 행거 플레이트(2)와 도어 커플링장치(4)를 포함한 여러 가지 부품이 결합되어 있어 자체 중량이 크기 때문에 가이드레일(12)과 롤러(11)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나, 위와 같이 접촉위치 고정형 롤러(11)에 따르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카 도어(3)의 개폐동작이 원활하지 못하고, 작동 소음이 발생하게되어 설비의 가치가 저하되고, 신뢰성 및 경쟁력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물론 승장 도어에도 발생되는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품질 고급화를 위하여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측에 접촉위치 가변형 롤러를 설치하여 가이드레일의 직선도, 표면상태 및 윤활성이 부분적으로 다른 경우에도 가이드레일에 접촉되는 위치가 연속적으로 가변되면서 원활하게 구름 접촉되도록 하고, 이에 의해 도어가 부드럽게 개폐되도록 하는데 적합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부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종래 도어 이동 안내장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이동 안내장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이동 안내장치의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카 도어 프레임2 : 행거 플레이트
3 : 카 도어12 : 가이드레일
100 : 접촉위치 가변형 롤러조립체101 : 축
102 : 연결부재103 : 롤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어 이동 안내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프레임에 가이드레일이 고정되고, 좌우측 양쪽 카 도어의 상단부에 고정된 행거 플레이트의 상측 양단부에는 한 쌍의 접촉위치 가변형 롤러조립체가 각각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접촉위치 가변형 롤러조립체는 상기 축이 중간부에 고정된 연결부재의 양단부에 한 쌍의 롤러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하,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내장치를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이동 안내장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이동 안내장치의 요부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이동 안내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프레임(1)에 가이드레일(12)이 고정되고, 좌우측 양쪽 카 도어(3)의 상단부에 고정된 행거 플레이트(2)의 상측 양단부에는 한 쌍의 접촉위치 가변형 롤러조립체(100)가 각각 축(101)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위치 가변형 롤러조립체(100)는 상기 축(101)이 중간부에 고정된 연결부재(102)의 양단부에 한 쌍의 롤러(103)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도어 이동 안내장치는 도어 개방을 위하여 도 1을 참조하여, 구동 모터(6)가 작동되면, 그 구동 모터(6)에 의하여 구동 벨트(10)가 이동을 하고, 그 구동 벨트(10)로 구동력이 전달됨에 따라 양쪽 행거 플레이트(2)의 상측 양단부에 각각 고정된 접촉위치 가변형 롤러조립체(100)의 양쪽 롤러(103)가 카 도어 프레임(1)에 고정된 가이드레일(12) 위에 구름 접촉되어 이동하므로 양쪽 카 도어(3)가 행거 플레이트(2)와 함께 열리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도어 이동 안내장치는 양쪽 카 도어(3)의 상측부에 고정된 행거 플레이트(2)의 상단부 양쪽에 각각 접촉위치 가변형 롤러조립체(10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가이드레일(12)의 조립단계 및 사용 중에 부분적으로 휘어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하거나, 가이드레일(12)을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이물질이 부분적으로 고착되어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거나, 윤활력이 떨어지게 된 경우에도 접촉위치 가변형 롤러조립체(100)의 양쪽 롤러(103)가 가이드레일(12)에 접촉위치가 연속적으로 가변되면서 구름 이동되므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고, 또한 작동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내장치는양쪽 카 도어의 상측부에 고정된 행거 플레이트의 상단부 양쪽에 접촉위치 가변형 롤러조립체가 결합되어 각 접촉위치 가변형 롤러조립체의 양쪽 롤러가 가이드레일의 부분적 형태에 따라 접촉위치가 연속적으로 가변되면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가이드레일의 직선도 및 표면상태가 부분적으로 변형되어 균일하지 못하거나, 윤활성이 떨어진 경우에도 원활하게 이동되며, 또한 작동 소음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카 도어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고, 소음이 없어 설비의 가치가 향상되고, 신뢰성 및 경쟁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 프레임에 가이드레일이 고정되고, 좌우측 양쪽 카 도어의 상단부에 고정된 행거 플레이트의 상측 양단부에는 한 쌍의 접촉위치 가변형 롤러조립체가 각각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접촉위치 가변형 롤러조립체는 상기 축이 중간부에 고정된 연결부재의 양단부에 한 쌍의 롤러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내장치.
KR10-2001-0032333A 2001-06-09 2001-06-09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내장치 KR100434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333A KR100434406B1 (ko) 2001-06-09 2001-06-09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333A KR100434406B1 (ko) 2001-06-09 2001-06-09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531A true KR20020093531A (ko) 2002-12-16
KR100434406B1 KR100434406B1 (ko) 2004-06-04

Family

ID=37490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333A KR100434406B1 (ko) 2001-06-09 2001-06-09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44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65757A (zh) * 2022-09-09 2022-12-13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门挂轮机构及电梯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9157B1 (ko) * 1991-11-29 1993-09-23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도어 개폐장치
DE4324340C2 (de) * 1993-07-20 1997-02-20 Salice Arturo Spa Führungsschiene mit einem in dieser verschieblich geführten Tragteil
KR970039794U (ko) * 1995-12-23 1997-07-29 이동수 행거 롤러용 문속 문틀 레일
US5845363A (en) * 1997-05-22 1998-12-08 Quanex Corporation Adjustable roller assembly
KR200183368Y1 (ko) * 1999-10-15 2000-05-15 주식회사엘지화학 걸이식 미세기 창 또는 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65757A (zh) * 2022-09-09 2022-12-13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门挂轮机构及电梯
CN115465757B (zh) * 2022-09-09 2023-11-21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门挂轮机构及电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4406B1 (ko) 2004-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07653C1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единения кабинной и шахтной дверей лифта
CN112125106B (zh) 一种基于电梯轿厢门联动的防剪切保护装置
CN107438577B (zh) 用于进入井道的电梯轿厢壁
JPH07285763A (ja) エレベーターの連動装置
JP5448306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側ドア施錠装置
CN1076005C (zh) 自动电梯门的开闭装置和门联接器
WO2018138896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US5636715A (en) Elevator door structure and method of adjusting the same
JP2016150835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863514B1 (ko)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 장치
KR100434406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안내장치
JP6058710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1627842A1 (en) Door device of elevator
US5485896A (en) Rotary elevator car door coupling
CN113544076B (zh) 电梯的轿厢门装置
JP6880317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US5695024A (en) Car operated safety gate for horizontally transferrable elevator cab
KR100351281B1 (ko) 출입구 개폐장치
US11884515B2 (en) Clamping device and elevator system
US20080011556A1 (en) Elevator door operator and interlock arrangement
JP3714769B2 (ja) エレベーター出入口の隙間塞ぎ装置
KR20020093534A (ko) 엘리베이터의 가동베인 작동장치
JP5945020B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507651Y2 (ja) 斜行エレベ―タのドア係合装置
KR20230135296A (ko) 열차 도어용 기계식 잠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