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3237A - Ia-2 유전자를 녹아웃시킨 유전자 적중 마우스 - Google Patents

Ia-2 유전자를 녹아웃시킨 유전자 적중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3237A
KR20020093237A KR1020010031697A KR20010031697A KR20020093237A KR 20020093237 A KR20020093237 A KR 20020093237A KR 1020010031697 A KR1020010031697 A KR 1020010031697A KR 20010031697 A KR20010031697 A KR 20010031697A KR 20020093237 A KR20020093237 A KR 20020093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
mouse
breast cancer
knoc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1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식
신희섭
김선신
황대연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삼성생명공익재단(삼성서울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삼성생명공익재단(삼성서울병원)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삼성생명공익재단(삼성서울병원)
Priority to KR1020010031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3237A/ko
Publication of KR20020093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323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27New or modified breeds of vertebrates
    • A01K67/0275Genetically modified vertebrates, e.g. transgenic
    • A01K67/0276Knock-out verteb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5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animal cells
    • C12N15/850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animal cells for producing genetically modified animals, e.g. transgen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07Specifically defined cancers
    • G01N33/57415Specifically defined cancers of brea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17/00Genetically modified animals
    • A01K2217/07Animals genetically altered by homologous recombination
    • A01K2217/075Animals genetically altered by homologous recombination inducing loss of function, i.e. knock ou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10Mammal
    • A01K2227/105Mur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67/00Animals characterised by purpose
    • A01K2267/03Animal model, e.g. for test or diseases
    • A01K2267/0331Animal model for proliferative disea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Cell Biology (AREA)
  • Onc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A-2 유전자를 knock-out 시킨 유전자 적중(gene targeting) 마우스 및 그 제조방법과 새로운 기능을 가지는 IA-2 유전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IA-2 유전자는 유방암 억제 유전자로서 기능을 하며, 본 발명의 유전자 적중 마우스는 유방암 (breast cancer)의 새로운 동물 모델로서 유방암 억제제의 스크리닝 및 다른 유방암의 암유전자(oncogene) 과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데 유용하다.

Description

IA-2 유전자를 녹아웃시킨 유전자 적중 마우스{Gene targeting mouse from IA-2 gene knock-out}
본 발명은 IA-2 유전자를 녹아웃(knock-out)시킨 유전자 적중(gene targeting)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유전자 적중 마우스는 유방암(breast cancer)의 동물 모델로서 유용하다.
유방암은 미국 등 서구에서는 여성에서 가장 흔한 암으로서 현재 미국에서는 일년에 183,000 명의 새로운 환자가 발생하여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는 질병이며 (미국 2000 년 CDC 통계), 우리 나라에서도 서구화에 따라 발생 빈도가 급격히 늘고 있다. 따라서 1970 년대 부터 미국에서 가장 연구가 활발히 그리고 심도있게 연구되온 질환 중의 하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암의 발생 기전은 완전히 이해되지 않고 있으며 치료법에서도 근본적인 혁신이 없어 아직 미국에서만 일년에 40,000 명 이상이 사망하고 있다 (미국 2000 년 CDC 통계).
유방암이 유발된 실험동물 모델은 유방암 기전의 이해 및 유방암 치료제의 개발에 매우 유용하다. 현재까지 사용되는 실험동물 모델은 암유전자 (oncogene) 의 과다 발현 방법 또는 화학 물질의 투여 등의 방법으로 유방암이 유도되었는데, 이러한 모델들은 비생리적 (unphysiological) 모델이라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인간의 유방암의 기전을 이해하고 유방암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하여는 유전학적으로 유방암을 수반하는 새로운 생리적 모델이 필요하다.
유전자 적중법(gene targeting)은 적중 벡터를 염색체상의 특정 유전자에 도입함으로써 게놈 중의 특정 유전자를 파괴(knock-out)한 후 이 파괴된 유전자를 가지는 생물의 병리현상을 통해 개체 수준에서 파괴된 유전자의 본래의 기능을 연구하는 방법으로, 특히 파괴된 유전자가 유방암과 관련이 있는 경우에는 이 유전자에 적중된 실험동물은 유방암의 기전을 이해하고 유방암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생리적 실험동물 모델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IA-2 유전자는 종래에는 당뇨병-관련된(diabetes-associated) 자가항원 (autoantigen)의 유전자로 알려져 있으며, 구조상 타이로신포스파타제(tyrosine phosphatase) 도메인이 있으나 그 생리적 기능은 전혀 알려지지 않고 있다 (Rabin DU, Pleasic SM, Shapiro JA, Yoo-Warren H, Oles J, Hicks JM, Goldstein DE, RaePMM: Islet cell antigen 512 is a diabetes-specific islet autoantigen related to protein tyrosine phosphatase.Diabetes152:3183-3187, 1994; Lan MS, Lu J, Goto Y, Notkins AL: Molecular cloning and identification of a receptor-type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IA-2, from human insulinoma.DNA Cell Biol13:505-514, 1994). IA-2 분자는 췌장 소도 세포 또는 일부의 신경 세포에서 분비 과립 (secretary granule)의 막에 분포하고 있다고 하여 세포로 부터 호르몬 등의 분비에 관여할 가능성이 시사되었으나 (Solimena M, Dirkx R, Hermel J-M, Pleasic-Williams S, Shapiro JA, Caron L, Rabin DU: ICA 512, an autoantigen of type I diabetes, is an intrinsic membrane protein of neurosecretory granule.EMBO J15:2102-2114, 1996), 이는 아직 증명된 바 없다. 또한 IA-2가 자가항원으로 행동하여 당뇨병을 일으키고자 췌장 소도 세포의 분비 과립에 존재할 리는 없으므로, IA-2의 정확한 생리적 기능을 밝히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본 발명자들은 IA-2 의 유전자의 생리적 기능를 규명하기 위하여 이를 knock-out 한 유전자 적중 마우스를 제조하였으며, 놀랍게도 그 유전자 적중 마우스가 유방암이 발생함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발견은 IA-2 의 모르던 새로운 기능을 규명한 것으로 IA-2 유전자가 새로운 종양 억제 유전자로 작용하리라고 가설을 뒷받침해주고 있으며, IA-2 적중 마우스는 새로운 유방암 동물 모델로 사용될 수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IA-2 유전자를 녹아웃시킨 유전자 적중(gene targeting) 마우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유전자 적중 마우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유전자 적중 마우스를 이용하여 유방암(breast cancer)의 동물 모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유전자 적중 마우스를 이용하여 유방암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방암의 동물 모델로서 다른 유방암의 암유전자(oncogene)과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IA-2의 종양 억제 유전자로서의 생리적 기능을 밝히는 데 있다.
도 1은 IA-2의 상동 재조합을 위한 적중벡터를 구축하는 과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IA-2 -/- 유전자 적중 마우스의 경부 영역(유방 영역)에서의 거대 종양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출혈성 괴사를 갖는 유방암 종양의 전체 표본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유방의 분비형 선암종의 현미경 검사를 보여주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A-2 유전자를 녹아웃(knock-out)시켜 유방암을 발생시킨 유전자 적중(gene targeting) 마우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IA-2 유전자는 쥐(murine) IA-2 cDNA 프로브를 이용하여 쥐 게놈(genomic) DNA 라이브러리를 스크리닝하여 얻은 유전자의 일부 엑손들 또는 인트론들 사이에 마커 서열(marker sequence)를 삽입시킴으로써 그 정상적인 발현을 방해되어 녹아웃된다. 구체적으로는, IA-2 유전자의 추정상 엑손 I 및 그 5 상류를 포함하는 게놈 DNA 단편 및 원거리 엑손들 IV 및 V을 포함하는 다른 게놈 DNA 단편의 사이에 neo 유전자를 삽입함으로써 녹아웃시킨다.
본 발명에서, IA-2유전자의 유전자 적중(gene targeting)은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 (Pfeffer et al., Cell, 73: 457-467 [1993]; Fung-Leung et al., Cell, 65: 443-449 [1991])에 따라, knock-out 된 IA-2 유전자와 배아간(ES) 세포 핵내의 게놈 IA-2 유전자사이의 상보적(complementary) 서열간에 상동 재조합(homologous recombination)을 시킴으로써 실행한다.
본 발명에서, 녹아웃(knock-out) 마우스는 상기와 같은 IA-2 유전자의 결손이 상동 염색체 1쌍에서 모두 일어난 것으로 IA-2 -/- 의 유전형질을 가지는 동형접합체(homozygote)이며, 정상적으로 출생하지만, 유방암을 갖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유전자의 기능을 소멸시키는 마커 서열의 삽입에 의해 knock-out 된 IA-2 유전자를 포함하는 적중 벡터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적중 벡터를 배아간 (ES) 세포에 도입하는 단계, (3) 상기 배아간 세포를 포배아의 포배강에 주입하여 키메라 마우스를 얻는 단계, (4) 상기 키메라 마우스로부터 이형접합체를 유도하고 이를 상호 교배시켜 동형접합체인 knock-out 마우스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유전자 적중 마우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1) 단계에서, IA-2 유전자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 (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1989])에 의해 쥐 (murine) IA-2 cDNA 프로브를 이용하여 쥐 게놈(genomic) DNA 라이브러리를 스크리닝하여 얻어지며, 구체적으로는 IA-2 특이적 프라이머(정방향: 서열번호 1: CTGTTTBACCGCAGACTTTGTTC; 역방향: 서열번호 2: ATTAGCAGATGCTCCAAGAGAG)를 이용하여 쥐(murine) 뇌 cDNA 로부터 쥐 IA-2 cDNA 프로브를 클로닝한 다음 이를 이용하여 쥐 게놈(genomic) DNA 라이브러리를 스크리닝하여 얻어진다.
또한, IA-2 유전자의 녹아웃(knock-out)은 상기 IA-2 유전자를 특정 제한 효소로 절단하여 얻어진 일부 엑손들의 단편들 사이에 마커(marker) 유전자를 코딩하는 DNA 서열을 삽입시키든지 또는 엑손을 포함하는 유전자의 일부분을 마커 유전자로 대체시켜 줌으로써 생성된다. 삽입 위치는 원형(native) 유전자의 발현을 방해할 수 있는 부위로서 서열중 절단가능한 제한부위(restriction site)와 마커유전자의 적당한 위치에 따라 결정되며, 마커 유전자는 검출가능한 어떤 핵산 서열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neo(네오마이신 내성 유전자) 또는 beta-gal(베타-갈락토시다제)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IA-2 유전자의 추정상 엑손 I 및 그 5 상류를 포함하는 게놈 DNA 단편 및 원거리 엑손들 IV 및 V을 포함하는 다른 게놈 DNA 단편의 사이에 neo 유전자를 삽입함으로써 IA-2 유전자를 녹아웃시킨다.
이를 위하여 TK(티미딘 카이나제) 유전자 및 neo 유전자를 포함하는 pPNT 등의 보편적인 벡터를 사용하여 TK 유전자와 neo 유전자의 사이에 엑손 1 의 proximal portion 과 그 5' 상류 부분을 포함하는 단편을 삽입하고 neo와 ampr유전자 사이에 엑손 3 의 하류 부분을 삽입시킴으로써 적중 벡터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상기 (2) 단계에서, 상기 제조한 적중 벡터를 박테리아 세포에서 급속하게 증식한 후, 이를 배아간 (ES) 세포에 도입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한 적중벡터를 일렉트로포레이션법(electroporation), 미세주사법(microinjection) 또는 칼슘포스페이트법(calcium phosphate treatment)을 이용하여 마우스의 ES 세포에 형질감염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일렉트로포레이션법을 이용하여 마우스의 ES 세포를 트렌스펙션(transfection)시킨 후 특정 항생물질을 포함하는 선택 배지를 가하고 배양하여 내성 ES 클론을 선별함으로써 상동재조합이 된 세포 만을 취사 선택하였다. 이 ES 세포 DNA를 이용하여 서던(Southern) 블롯 분석을 시행함으로써 상동 재조합을 확인하였다. 또한, 핵형분석법(karyotyping)을 실시하여 선별한 ES 세포의 염색체가 완전(intact)한지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3) 단계에서, 상기 형질전환된 ES 세포를 포배아의 포배강에 주입하기 위하여, ES 세포 클론을 도너 (donor) 마우스의 배반포 (blastocyst)에 주사하고 이를 추후 자궁으로 옮긴다.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ES 세포 클론을 C57BL/6 도너(donor) 마우스의 배반포 (blastocyst)에 주사하고 이를 추후 자궁으로 옮겨 키메라 마우스를 생성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4) 단계에서, 우선 상기 키메라 마우스로부터 생식계열전달을 가지는 이형접합체를 유도하고 이를 상호교배시켜 동형접합체인 knock-out 마우스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키메라 마우스를 C57BL/6 마우스와 교배시키고 아구티 (agouti) 자손이 나온 후 그를 대상으로 생식계열(Germline) 전달을 확인하였다. 그 다음, 생식계열 전달이 확인된 이형접합체인 아구티 마우스 또는 그 아그티 마우스로부터 유래된 다른 이형접합체를 상호교배시켜 최종적으로 동형접합체인 IA-2-/- knock-out 마우스를 제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상기 IA-2 유전자를 녹아웃시킨 유전자 적중(gene targeting) 마우스에 약제를 투여하는 단계, 및 (2) 유방암의 치료효과에 대해 마우스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방암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양 억제 유전자로서의 새로운 기능이 밝혀진 IA-2 유전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IA-2 유전자를 녹아웃시킨 유전자 적중 마우스는 유방암의 새로운 동물 모델로서 다른 유방암의 암유전자 (oncogene)과의 상관관계를 밝히는데 뿐만 아니라, 새로운 종양 모델을 확립하고 IA-2의 생리적 기능을 밝히는 데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IA-2 유전자의 선택
IA-2 특이적 프라이머(정방향: 서열번호 1: CTGTTTBACCGCAGACTTTGTTC; 역방향: 서열번호 2: ATTAGCAGATGCTCCAAGAGAG)를 이용하여 쥐(murine) 뇌 cDNA 로부터 쥐 IA-2 cDNA 프로브를 클로닝한 다음 이를 이용하여 쥐 게놈(genomic) DNA 에 대하여 서던(Southern) 블롯 분석을 시행하여 IA-2 이 한 개인지 유사 유전자가 존재하는지 조사하였다. 같은 쥐 IA-2 cDNA 프로브를 이용하여 129/Sv 게놈 DNA로부터 제조한 gt11 파지 라이브러리(포항공대 제조)를 스크리닝하였다. 3차 스크리닝 까지를 실시하여 중첩되는 게놈 파지 클론을 검색하였다. 각종 제한효소를 이용하여 게놈 DNA 클론의 제한효소 매핑(mapping)을 실시한 다음, 게놈 DNA 시퀀싱(sequencing)을 실시하여 표적 영역의 엑손-인트론 구성을 규명하였다.
생쥐 IA-2 유전자의 cDNA 염기 서열: 서열번호 3:
AGAGCCGGGAAGGATGAGGCGCCCGCGGCGGCCCGGGGGCTCCGGGGGCTCCGGGGGCTCCGGGGGCCTCCGGCTGCTGGTCTGCCTGCTGTTGCTGAGCGGCCGCCCCGGGGGCTGCAGCGCCATCAGTGCCCACG^^GCTGTCTGTTTGACCGCAGACTTTGTTCGCATCTGGAAGTCTGTATTCAG^^ATGGCTTGTTTGGACAGTGCCAGGCAGGAGTGGGGCAGGCACGGCCCCTCTTACAAGTCACTTCCCCAGTTCTCCAGCGCCTACAAGGTGTGCTCCGGCAACTCATGTCCCAAG^^GCTTGTCCTGGCATGATGACCTTACCCAGCATGTGATCTCCCAGGAGATGGAACGCATCCCCAGGCTTCGCCCCCCAGAGCCCCATCCAAGGGACAGGTCTGGTTTGGTGCCCAGGAAACCAGGCCCTGCAGGGGAATTGCTAACT^^CAGGGCAATCCTACTGGCTCCTCTCCTGCTGCCCAGGGCTTTCCAAGGCCTGCAGGGGGTGGGGACGGAGCTGGGGCGGGCTCCCCACTGTCCTCTCTGCAGGCTGAGTTGTTACCCCCTCTCTTGGAGCATCTGCTAATGCCCCCACAGCCTCCACACCCTGC^^TCTGACCTATGAACCTGCACTGCTACAGCCTTACCTCTTCCACCAGTTTGGCTCCCGAGATGGCTCCCGGGGCTCAGAGAGCTCCTCTGGGGTAGTTGGTGTTGGTCACCTGTCCAAGGCTGAAGGTCCTGCACTCTTCAGCAGAAGTGCCTCCAAGGCCATTTTGGGGACTCACTCTGGACACTCTTTTGGGGACCTTACAGGTCCCTCACCTGCTCAACTTTTCCAAGATTCAGGGCTGCTCTACATGGCCCAAGAGTTGCCAGTGCCTGGCAGAGCCCGGGCACCAAGGTTGCCAGAGAATGGGGGCAACAGGGCAGAGGACTCTTCAGAGGGCCATGAGGAGGAAGTACTAGGGGGTCGTGGGGAGAAGTCCCCTCCCCAAGCAGCACAACCAGAATTGAGTCTGCAGAGATTGACTGCTGTACTGGCAGGCTATGGAGTAGAGCTGCGTCAGTTGACCCCGGAGCAGTTTTCTACCCTCTTGACCCTGCTGCAGTTGCTGCCCAAGGGCACAGGAAGAAATCTTGAAGGGGCTGTAAATGTTGGAGGAGCCGATGTCAAGAAAACAATACAACAGATGCAGAGAGGAGACCCAGCAGAAGCTCTGCCCCCCACACCCTCGCTTCCTGGGTACCTCACTGCCAGCCCTGCCTCCAGCGAAGTTCAGCAGG
(^^ 부분이 exon 이 나뉘어 지는 부위임. Exon 6 이하는 분석하지 않았음. 번역 (translation) 이 이루어 지기 시작하는 ATG 는 밑줄을 침).
실시예 2: IA-2 적중 벡터의 제조
적중(targeting) 벡터는 도 1에서 보여지듯이, IA-2 유전자를 특정제한효소로 절단하여 얻어진 추정상 엑손 1 및 그 5 상류를 포함하는 게놈 DNA 단편을 pPNT 벡터의 티미딘 카이나제 (TK) 및 neo 사이에 역방향 삽입하고, 원거리 엑손들 IV 및 V를 포함하는 다른 게놈 DNA 단편을 neo 및 ampr유전자 사이에 역시 역방향으로 삽입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실시예 3: ES 세포의 트렌스펙션(transfection)
제조한 적중 벡터를 일렉트로포레이션(electroporation) 법을 이용하여 ES 세포(포항공대제조)에 형질감염시켰다. 그후 G418/ganciclovir를 포함하는 선택 배지를 가하고 배양하여 내성 ES 클론을 선별하였다. 이렇게 하면 상동 재조합이 일어나 TK 유전자가 제거되고 neo 등의 마커 유전자만이 생식계열 DNA에 삽입된 세포만이 생존하게 되고 비상동 재조합(nonhomologous recombination)이 되어 TK 유전자가 마커 유전자와 같이 삽입된 세포는 생존하지 못하게 되므로 상동 재조합이 일어난 세포만을 선별할 수 있다. 이 ES 세포 DNA를 이용하여 서던(Southern) 블롯 분석을 시행함으로써 상동 재조합을 확인하였다. 핵형분석법(karyotyping)을 실시하여 선별한 ES 세포의 염색체가 완전(intact)한지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배아의 주사(injection) 및 이식(implantation)
상기 ES 세포 클론을 C57BL/6 도너(donor) 마우스(포항공대)의 배반포(blastocyst)에 주사하였다. 이를 추후 정관절제술 (vasectomy)을 실시한 웅성 생쥐와 교미시켜 제조한 가임신 (pseudopregnant) 자성 생쥐의 자궁으로 수술법을 사용하여 이전하였다.
실시예 5: 이형접합체(heterozygote)의 유도
상기 도너 마우스를 C57BL/6 마우스와 사육시키고 아구티(agouti) 자손이 나온 후 그를 대상으로 생식계열(Germline) 전달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는 서던(Southern) 블롯 분석 및 neo 트랜스유전자(transgene)에 대한 특이적 프라이머 세트(정방향 : 서열번호 4: CTGTGCTCGACGTTGTCACTG, 역방향 : 서열번호 5: CTCTTCGTCCAGATCATCCTG )을 이용한 PCR 법을 이용하였다.
실시예 6: 동형접합체(homozygote)의 생성
생식계열 전달이 확인되면 이종접합체인 아구티 마우스를 상호교배시켜 최종적으로 동형접합체인 IA-2-/- knock-out 마우스를 제조하였다. 각 세대에서의 IA-2-/야생형 (w) 마우스 및 -/- 마우스는 서던(Southern) 블롯 분석 및 결실된 IA-2 엑손에 특이적인 프라이머 세트(정방향: 서열번호 6: TGTTTGACCGCAGACTTTGTTC, 역방향: 서열번호 7: CTTGTAGGCGCTGGAGAACTG)를 이용한 PCR 법을 이용하여 판별하였다. 상기 제조된 IA-2 knock-out 마우스의 수정란은 2001년 4월 27일 유전자은행(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에 KCTC 0990BP로 기탁하였다.
실시예 7: 유방암 발생의 확인
상기 동형접합체 IA-2-/- knock-out 마우스를 사진촬영한 결과 경부영역에 마우스에 거대종양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도 2), 그 종양 부위를 절취한 결과 출혈성 귀사를 가지는 종양의 전체 표본을 얻을 수 있었다(도 3). 유방암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종양 조직을 절취한 후 10% buffered neutral formalin 에 고정하고, Paraffin block 을 제조하여 박편 조직으로 절단하고, Hematoxylin & Eosin 염색을 시행한 후, 현미경 관찰을 하였다. 현미경 관찰 결과는 유방의 분비형 선암종 (secretory-type carcinoma)을 보여 주고 있으며, 주변 정상 유방 조직도 또한 관찰되어 이 암종이 유방암임을 말해주고 있다 (도 4).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IA-2 유전자를 knock-out 시킨 유전자 적중(gene targeting) 마우스를 새로운 유방암(breast cancer)의 동물 모델로서 이용하여 유방암 치료제의 스크리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방암의 새로운 동물 모델로서 다른 유방암의 암유전자(oncogene)과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데 뿐만 아니라, IA-2의 유방암 억제(suppressor) 유전자로서의 생리적 기능을 밝히는 데도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6)

  1. IA-2 유전자를 녹아웃(knock-out)시켜 유방암을 발생시킨 유전자 적중(gene targeting) 마우스.
  2. 제 1 항에 있어서, IA-2 녹아웃 수정란 세포(KCTC 0990BP)로부터 유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적중 마우스.
  3. (1) 마커 서열의 삽입에 의해 녹아웃된 IA-2 유전자를 포함하는 적중 벡터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적중 벡터를 배아간(ES) 세포에 도입하는 단계, (3) 상기 배아간 세포를 포배아의 포배강에 주입하여 키메라 마우스를 얻는 단계, (4) 상기 키메라 마우스로 부터 이형 접합체 마우스를 유도하고 이를 상호 교배시켜 동형접합체인 녹아웃(knock-out) 마우스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전자 적중 마우스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적중 벡터는 도 1에 기재된 pPNT 적중 벡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1) 상기 IA-2 유전자를 녹아웃(knock-out)시킨 유전자 적중(gene targeting) 마우스에 약제를 투여하는 단계, 및 (2) 유방암의 치료효과에 대해 마우스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방암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
  6. 종양 억제 유전자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열번호 3의 IA-유전자.
KR1020010031697A 2001-06-07 2001-06-07 Ia-2 유전자를 녹아웃시킨 유전자 적중 마우스 KR200200932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1697A KR20020093237A (ko) 2001-06-07 2001-06-07 Ia-2 유전자를 녹아웃시킨 유전자 적중 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1697A KR20020093237A (ko) 2001-06-07 2001-06-07 Ia-2 유전자를 녹아웃시킨 유전자 적중 마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237A true KR20020093237A (ko) 2002-12-16

Family

ID=27708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1697A KR20020093237A (ko) 2001-06-07 2001-06-07 Ia-2 유전자를 녹아웃시킨 유전자 적중 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32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9948B2 (en) Genetically modified non-human animal with human or chimeric OX40
US11317611B2 (en) Genetically modified non-human animal with human or chimeric PD-L1
US11505806B2 (en) Genetically modified non-human animal with human or chimeric OX40
US10945418B2 (en) Genetically modified non-human animal with human or chimeric PD-L1
CN107815468B (zh) 人源化基因改造动物模型的制备方法及应用
Li et al. One-step efficient generation of dual-function conditional knockout and geno-tagging alleles in zebrafish
EP1186232A1 (en) Lkb1 gene knockout animals
CN109452229B (zh) 狗源化pd-1基因改造动物模型的制备方法及应用
Giel‐Moloney et al. Ubiquitous and uniform in vivo fluorescence in ROSA26‐EGFP BAC transgenic mice
CN111485003A (zh) 一种视网膜血管疾病模型的构建方法及其应用
ES2209650B2 (es) Mamiferos no humanos mutantes deficientes en receptores sigma y sus aplicaciones.
JP2001211782A (ja) tob遺伝子欠損ノックアウト非ヒト哺乳動物
CN108070614B (zh) 人源化基因改造动物模型的制备方法及应用
CN113999874B (zh) Phb1基因敲除非人动物的构建方法及其应用
WO1997035967A2 (en) Transgenic organisms with altered telomerase activity
US6642433B1 (en) Fgl-2 knockout mice
US8110719B2 (en) ABI1 conditional knockout mouse
KR20020093237A (ko) Ia-2 유전자를 녹아웃시킨 유전자 적중 마우스
EP1153543A1 (en) Animals with insufficient expression of uridine phosphorylase
CN116042714A (zh) 一种mettl7b基因肺部特异性敲入小鼠模型的构建方法及其应用
US8946503B2 (en) hnRNP A1 knockout animal model and use thereof
CN115786354A (zh) Tgfb1、garp和/或lrrc33基因人源化非人动物的构建方法及应用
CN115010799A (zh) Bcma基因人源化非人动物的构建方法及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