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2992A - 스트로우 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트로우 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2992A
KR20020092992A KR1020027012259A KR20027012259A KR20020092992A KR 20020092992 A KR20020092992 A KR 20020092992A KR 1020027012259 A KR1020027012259 A KR 1020027012259A KR 20027012259 A KR20027012259 A KR 20027012259A KR 20020092992 A KR20020092992 A KR 20020092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traw
outer circumferential
ridge
circumferentia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2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7895B1 (ko
Inventor
호시카츠마사
이시와타리키요카주
수야마미노루
Original Assignee
쇼와 덴코 플라스틱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덴코 플라스틱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 덴코 플라스틱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2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2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8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02Handling tubes, e.g. transferring between shaping stations, loading on mandr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0014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for shaping tubes or blown tubular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85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008Drinking str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Table Equipment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의 외주벽에 그 길이방향을 따른 홈(4)과, 이 홈에 인접하고, 상기 외주벽의 기준면 보다 외방으로 돌출한 융기부(5)가 형성되어 있는 스트로우 관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스트로우 관은, 음료용기 내의 음료를 흡인할 때, 음료용기 안이 감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본체가 장착되는 관장착홈이 형성된 회전 들머과, 캠기구에 의해 관장착홈내를 왕복운동하고, 표면에 홈이 형성된 암형로드, 상기 암형로드의 홈에 대응하는 융기부를 갖는 수형롤을 구비하고, 상기 암형로드의 홈과 상기 수형롤의 융기부가 관본체를 샌드위치하면서 결합하도록, 상기 암형로드가 배치되고, 또한 상기 암형로드 및 수형롤이 동기하는 스트로우 관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트로우 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스트로우 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음료용기 안의 음료를 흡인할 때, 음료용기 안이 감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트로우 관을 용이하게, 또한 효율좋게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트로우 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STRAW TUBE, AND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TRAW TUBE}
내부에 공중을 갖는 밀봉형의 음료용기에 스트로우 관을 삽입하고, 흡인함으로써, 음료용기 안의 음료를 마실수 있는 음료제품이 시판되고 있다.
도 12는, 음료제품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이 음료제품(40)은, 상면에 플라스틱 필름 등으로 밀봉된 흡인구멍(41)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용기본체(42)와, 용기본체(42)의 측면에 백(43)에 수용되어서 부착된 이단식 스트로우 관(44)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이단식 스트로우 관과는, 직경이 다른 내관과 외관이 신축 가능하게 결합된 스트로우 관이다.
용기본체(42) 안의 음료를 음용할 때에는, 내관(45)과 외관(46)을 슬라이딩 시켜서 이단식 스트로우 관(44)을 확대하고, 이단식 스트로우 관(44)의 선단에서흡인구멍(41)을 밀봉하고 있는 플라스틱 필름을 파열시켜, 이단식 스트로우 관(44)을 용기본체(42)내에 삽입하여, 이단식 스트로우 관(44)의 기단부로부터 용기본체(42)내의 음료를 흡인한다.
그렇지만, 보통으로 이단식 스트로우 관(44)을 용기본체(42)내에 삽입하고, 용기본체(42) 내의 음료를 흡인하면, 용기본체(42) 안이 감압되고, 용기본체(42)가 변형하여 마시기 어려워지거나, 흡인을 중단 또는 종료했을 때에 급격하게 이단식 스트로우 관(44)을 통해서 용기본체(42)내에 공기가 들어감으로써 불쾌음이 발생하거나 하였다.
그 때문에, 지금까지, 외관의 외주벽에 그 길이방향을 따른 홈을 형성한 스트로우 관이, 실개소59-70574호 공보, 실공평3-49570호 공보, 특허 제2582005호, 특허공개 평7-l63450호 공보, 의장등록번호 957695, 특허공개 평7-222664호 공보, 특허공개 평7-222665호 공보, 특허공개 평7-322948호 공보 등에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홈을 형성한 스트로우 관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본체(42)의 흡인구멍(41)의 둘레가장자리(47)와, 이 스트로우 관(50)의 홈(51) 사이에 공극(48)을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흡인시에도 공기를 도입할 수 있으므로, 용기본체(42) 안이 감압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본체(42)의 변형이나 불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렇지만, 스트로우 관(50)의 홈(51)이 얕기 때문에, 흡인구멍(41)의 둘레가장자리(47)와, 이 스트로우 관(50)의 홈(51)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48)이 작고,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흡인구멍(4l)의 둘레가장자리(47)가, 스트로우 관(50)의홈(51)과 합치하여, 흡인중 흡인구멍(41)의 둘레가장자리(47)가 공극(48)을 가로막아, 용기본체(42) 안이 감압상태가 되는 것이 자주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트로우 관을 음료용기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하여 흡인하는 형식의 음료용기에 있어서, 흡인시, 음료용기 안이 감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마시기 쉽고, 또한 불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 스트로우 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음료용기 안의 음료를 흡인하기 위한 스트로우 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흡인시, 음료용기 안이 감압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트로우 관에 관한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국에서의 특허출원(특원2000-82971 및 특원2000-210372)에 기초한 것이며, 상기 일본출원의 기재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참조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트로우 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고, (a)는 상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스트로우 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트로우 관을 음료용기내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트로우 관의 제조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의 V방향으로부터 본 회전드럼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스트로우 관의 제조장치의 암형로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스트로우 관의 제조장치의 수형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암형로드를 외관내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암형로드의 홈과, 수형롤상에 형성된 수형의 융기부가, 가열된 관을 사이에 두고 끼워맞춰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O은, 본 발명의 스트로우 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상면도이며, (b)은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스트로우 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a)는 내관이 외관내에 수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b)는 잡아 늘린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l2는, 음료용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l3은, 종래의 스트로우 관을 음료용기내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스트로우 관은, 관의 외주벽에 그 길이방향을 따른 홈과, 이 홈에 인접하고, 상기 외주벽의 기준면 보다 외방으로 돌출한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스트로우 관은, 음료용기 안의 음료를 흡인할 때, 음료용기 안이 감압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음료용기 안의 음료를 흡인하기 쉽고, 또한 불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스트로우 관은, 관의 외주벽에, 그 길이방향을 따른 복수개의 홈과, 이들의 홈 사이에 있고, 상기 외주벽의 기준면 보다 외방으로 돌출한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스트로우 관은, 음료용기 안의 음료를 흡인할 때, 음료용기 안이 감압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음료용기 안의 음료를 흡인하기 쉽고, 또한 불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스트로우 관은, 직경이 다른 2개 이상의 관이 신축 가능하게 결합된 다단식 스트로우 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단식 스트로우 관은, 음료용기 안의 음료를 흡인할 때, 음료용기 안이 감압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또한 수축시킨 상태로 용기본체에 부착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다단식 스트로우 관의 2개 이상의 관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최외 관의 외주벽에 홈과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단식 스트로우 관은, 음료용기 안의 음료를 흡인하기 쉽고, 또한, 상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홈은 2개이며, 상기 융기부는 그들의 사이에 인접한 1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트로우 관에 있어서는, 홈과 융기부의 형성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홈 및 융기부의 길이는, 홈 및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관의 1/3 ∼ 3/4의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트로우 관은, 스트로우 관으로서의 성능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음료용기 안이 감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융기부의 높이는,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관의 외주벽의 기준면으로부터 O.05 ∼ l.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트로우 관에 있어서는, 충분한 감압 방지 효과와, 융기부의 형성의 쉬움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의 깊이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관의 외주벽의 기준면으로부터 0.1 ∼ 0.8mm인 것이 바람직하다.이러한 스트로우 관에 있어서는, 충분한 감압 방지 효과와, 홈 형성의 용이함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트로우 관 재질은, 멜트 플로우 인덱스가 3 ∼ 16g/1Omin의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또는 호모 폴리프로필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트로우 관은, 스트로우관의 가공시에 홈을 손상시키지 않고, 융기부를 외주벽의 기준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하기 쉬워 진다.
또한, 상기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는,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트로우 관은, 게다가, 스트로우 관의 가공시에 융기부를 외주벽의 기준면으로부터 돌출시켜 형성하기 쉬워 진다.
또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의 에틸렌 함량은, 2 ∼ 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트로우 관은, 융기부 및 홈 부분을 백화시키지 않고, 스트로우 관의 가공시에 융기부를 외주벽의 기준면으로부터 돌출시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트로우 관의 제조장치는, 관의 외주벽에 그 길이방향을 따른 복수개의 홈과, 이들의 홈 사이에 있고, 상기 외주벽의 기준면 보다 외방으로 돌출한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스트로우 관의 제조에 사용하는 장치로서, 관이 장착되는 복수의 관장착 홈이 외주벽에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회전드럼과, 캠 기구에 의한 왕복 운동에 의해 관장착 홈내의 관내에 삽입 및 관내로부터 인출가능하고, 관장착 홈으로부터 노출한 관의 표면에 대응한 위치에 복수개의 홈이 형성된 암형(female)로드와, 상기 암형로드의 홈에 대응하는 융기부를 갖는 수형(male)이 외주벽상에 복수개소 형성된 수형롤을 구비하고, 상기 암형로드의 홈과 상기 수형롤의 융기부가 관을 사이에 두고 끼워맞춰지도록, 상기 수형롤이 배치되며, 또한 상기 암형로드 및 수형롤이 동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스트로우 관의제조장치에 따르면, 음료용기 안의 음료를 흡인할 때, 음료용기 안이 감압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트로우 관을 용이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스트로우 관의 제조방법은, 관의 외주벽에 그 길이방향을 따른 복수개의 홈과, 이들의 홈 사이에 있고, 상기 외주벽의 기준면 보다 외방으로 돌출한 융기부와가 형성되어 있는 스트로우 관의 제조방법으로서, 회전드럼의 외주벽에 그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장착 홈에, 관을 장착하는 공정과, 상기 관장착 홈으로부터 노출된 관의 표면에 대응한 위치에 복수개의 홈이 형성된 암형로드를, 상기 관내에 삽입하는 공정과, 관내에 있는 암형로드의 홈과, 수형롤상에 형성된 수형의 융기부가 관을 사이에 두고 끼워맞춰지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스트로우 관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음료용기 안의 음료를 흡인할 때, 음료용기 안이 감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트로우 관을 용이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형로드의 홈이 2개이며, 상기 수형롤상에 형성된 수형의 융기부가 2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스트로우 관을 더욱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형태예1)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스트로우 관의 일형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스트로우 관은, 관본체(1)의 외주벽에 그 길이방향을 따른 2개의 홈(4,4)과, 이들의 홈(4,4)에 끼워지고, 상기 외주벽의 기준면 보다 외방으로 돌출한 융기부(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홈(4) 및 융기부(5)의 길이는, 스트로우 관을 음료용기에 삽입했을 때에 상기 융기부(5)가 음료용기의 흡인구멍에게 접촉하도록 조절되면 좋고,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실용상, 제조상의 관점에서, 스트로우 관의 길이의 1/3 ∼ 3/4의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홈(4) 및 융기부(5)의 길이가, 스트로우 관의 길이의 1/3 미만에서는, 스트로우 관을 음료용기에 삽입하는 길이에 따라서, 융기부(5)가 음료용기의 흡인구멍에게 접촉하지 않는 우려가 있고, 홈(4) 및 융기부(5)의 길이가 스트로우 관의 길이의 3/4을 초과하면, 다단식 스트로를 제조할 경우에, 스트로우 내관과 스트로 외관의 접합부에서의 결합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상기 융기부(5)의 높이는, 스트로우 관을 음료용기에 삽입했을 때에 상기 융기부(5)가 음료용기의 흡인구멍을 눌러 넓힐 수 있는 정도의 높이이면 좋고,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용상, 제조상의 관점에서, 관본체(1)의 외주벽의 기준면으로부터 0.05 ∼ 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융기부(5)의 높이가, 관본체(1)의 외주벽의 기준면으로부터 0.05mm 미만이면, 음료용기의 흡인구멍을 눌러 넓히는 효과가 불충분하게될 우려가 있고, 융기부(5)의 높이가, 관본체(1)의 외주벽의 기준면으로부터 1.0mm을 초과하면, 융기부(5)의 형성이 곤란하게 된다.
여기에서, 외주벽의 기준면이란, 홈(4) 및 융기부(5)가 형성되지 않았을 때의 관본체(1)의 외주벽의 표면이다.
상기 홈(4)의 깊이는, 스트로우 관을 음료용기에 삽입했을 때에 상기 홈(4)이 음료용기의 흡인구멍과 일치하지 않은 정도의 깊이이면 좋고, 특별하게 한정되지는 않지만, 실용상, 제조상의 관점에서, 관본체(1)의 외주벽의 기준면으로부터 O.1 ∼ 0.8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홈(4)의 깊이가, 관본체(1)의 외주벽의 기준면으로부터 O.1mm 미만이라면, 음료용기의 흡인구멍과 같게되고, 흡인구멍과 홈(4) 사이에 형성된 공극이 차단되는 우려가 있고, 홈(4)의 깊이가, 관본체(1)의 외주벽의 기준면으로부터 0.8mm을 초과하면 홈(4)의 형성이 곤란하게 된다.
스트로우 관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 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 ABS수지, 종이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과의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이들 폴리프로필렌중에서도, 멜트 플로우 인덱스가 3 ∼ 16g/1Omin의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또는 호모 폴리프로필렌이, 관본체(1)의 가공시에 융기부(5)를 외주벽의 기준면으로부터 돌출시켜 형성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또는 호모 폴리프로필렌의 멜트 플로우 인덱스가 3g/10min 미만에서는, 관본체(1)의 가공시에 융기부(5)를 돌출시켜 형성하기 어렵고, 또 관본체(1)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한편, 멜트 플로우 인덱스가 16g/10min을 초과하면, 관본체(1)의 가공시에 홈(4)이 흔들리기 쉽고, 또 관본체(1)의 원형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여기에서, 멜트플로인덱스는, JIS K7210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값이다.
또한, 이들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중에서도,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가, 관본체(1)의 가공시에 융기부(5)를 외주벽의 기준면으로부터 돌출시켜 형성하기 쉽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의 에틸렌 함량은, 2 ∼ 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 함유량이 2질량% 미만이라면, 관본체(1)의 가공시에 융기부(5)를 돌출시켜서 형성하기 어렵고, 또 관본체(1)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한편, 에틸렌 함유량이 20질량%을 초과하면, 홈(4) 및 융기부(5)의 부분이 백화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스트로우 관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를 음료용기 용기본체(10)의 흡인구멍(11)에 삽입했을 때, 융기부(5)가 흡인구멍(11)의 둘레가장자리(12)을 눌러서 넓히고, 홈(4,4)과 흡인구멍(11)의 둘레가장자리(12)의 사이에 공극(13,13)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융기부(5)가 흡인구멍(11)의 둘레가장자리(12)를 항상 눌러 넓힌 상태로 하고 있기 때문에, 흡인구멍(11)의 둘레가장자리(12)가 홈(4,4)에 일치하여, 공극(l3,13)을 막아버리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용기 본체(10)안이 감압상태로 되는 것이 방지되고, 용기본체(10)의 변형이나 불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효과는, 2개의 홈(4,4)과, 이들의 홈(4,4)에 끼워지고,관본체(1)의 외주벽의 기준면 보다 외방으로 돌출한 1개의 융기부(5)를 병설하여 비로서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즉, 단지 2개의 홈을 설치한 것 만으로는, 흡인구멍을 눌러 넓힐 수 없고, 흡인구멍의 주변과 홈과의 사이 공극은, 흡인구멍의 둘레가장자리에 의해 차단될 우려가 있다.
한편, 도시한 예의 스트로우 관은, 관본체(1)의 외주벽에 형성된 홈이 2개이며, 융기부가 그들의 사이에 인접한 1개인 것이지만, 본 발명의 스트로우 관은 이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홈이 1개이며, 융기부가 그것에 인접한 1개인 것; 홈이 3개이며, 융기부가 그들의 사이에 인접한 2개인 것; 홈이 4개이며, 융기부가 그들의 사이에 인접한 3개인 것이어도 상관 없다. 단, 용기본체 안이 감압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는, 홈이 2개이며, 융기부가 그들의 사이에 인접한 1개인 스트로우 관에서도 충분하게 발휘되므로, 형성의 쉬움등을 고려했을 경우, 홈의 수는 2개이며, 융기부의 수는 1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스트로우 관의 제조장치 및 이를 사용한 스트로우 관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트로우 관의 제조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소정의 길이의 관형상의 관본체(1)를 형성하는 관형성 장치(도시하지 않음)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관본체(1)에 홈(4)과 융기부(5)를 형성하는 관가공장치(20)를 갖고 개략적으로 구성되는 제조장치를 들 수 있다.
관가공장치(2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21)과, 상기 프레임(21) 상부에 설치되고, 관형성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된 다수의 관본체(1)가 수납된 호퍼(22)와, 상기 프레임(2l)내에 설치되고, 호퍼(22)의 공급롤(23)로부터 공급된 관본체(1)가 장착되는 복수의 관장착 홈(24,24...)이 외주벽에 축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 회전드럼(25)과, 상기 관장착 홈(24)내의 관본체(1)을 가열하는 가열롤(27)(가열장치)과, 상기 회전드럼(25)의 기단부를 덮도록 프레임(21)에 고정되어 설치된 캠플로어(3l)(캠기구)와, 상기 캠플로어(31)에 의한 왕복 운동에 의해 관장착 홈(24)내의 관본체(1)내에 삽입 및 관본체(1)로부터 인출될 수 있는 암형로드(26,26 …)와, 상기 암형로드(26)에 대응하는 수형이 외주벽상에 복수개소 설치된 수형롤(28)과, 회전드럼(25)로부터 낙하한 관본체(1)를 반송하는 벨트 컨베이어(29) 및 컨트롤박스(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캠플로어(31)는, 상기 회전드럼(25)에 접하지 않는 정도의 간격으로, 상기 회전드럼(25)의 외주를 덮도록 설치된 로드압출 가이드(32)와 로드리턴 가이드(33)의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로드압출 가이드(32)와 로드리턴 가이드(33)는, 그 사이에 일정한 간격(34)이 형성되도록 프레임(21)에 고정되고, 회전드럼(25)로부터 독립해서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드럼(25)과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암형로드(26)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장착 홈(24)으로부터 노출한 관본체(1)의 표면에 대응한 위치에 2개의 홈(35,3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기단부에는, 롤러(36)가 축 지지되어 있다. 이 롤러(36)를, 회전드럼(25)의 회전에 따라, 상기 캠플로어(31)의 로드압출 가이드(32)과 로드리컨 가이드(33) 사이의 간격(34)에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암형로드(26)가 관장착 홈(24) 내에서왕복 운동되고, 도 5에 나타내는 관장착 영역(A)에 있어서, 암형로드(26)가 관본체(1)로 삽입되거나, 관본체(1)로부터 인출된다.
상기 수형롤(28)에는,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암형로드(26)의 홈(35,35)에 대응하는 융기부(37,37)를 갖는 수형(38,38…)이 외주벽상에 복수 개소,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암형로드(26)의 홈(35,35)과 상기 수형롤(28)의 융기부(37,37)가 끼워 맞추어지도록, 상기 수형롤(28)이 배치되고, 또한 상기 암형로드(26) 및 수형롤(28)이 동기된다.
한편, 도시된 예의 암형로드의 홈 및 수형롤상에 형성된 수형의 융기부는, 각각 2개이지만, 관의 외주벽에, 그 길이방향을 따른 홈과, 이 홈에 인접하고, 상기 외주벽의 기준면 보다 외방으로 돌출한 융기부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암형로드의 홈 및 수형롤의 융기부의 수는, 도시된 예의 것으로 특정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단, 암형로드의 홈 및 수형롤상에 형성된 수형의 융기부의 수가 많아지면, 암형로드가 관으로부터 인출하기 어려워, 관의 홈 및 융기부의 형성이 곤란해짐으로, 암형로드의 홈 및 수형롤상에 형성된 수형의 융기부의 수는, 2개가 적당하다.
또한, 캠 기구는, 도시된 예의 캠플로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암형로드를 왕복 운동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형태의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가열 장치도, 도시된 예의 가열 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관본체(1)를 가열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가열 장치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회전드럼(25)의 외주벽에는, 호퍼(22)의 공급 롤(23) 근방으로부터 벨트 컨베이어(29)의 상방에 이르기까지, 관본체(1) 낙하 방지용의 벨트를 가열 롤(27)이나 수형롤(28)과 접촉하지 않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이 스트로우 관의 제조장치를 사용한 스트로우 관의 제조는 아래와 같이 해서 행하여진다.
우선, 관형성 장치(도시하지 않음)에서, 미리 소정 길이의 관본체(1)를 형성한다.
관형성 장치로부터 공급되어, 호퍼(22)에 수납된 관본체(1)가, 공급 롤(23)에 의해 회전드럼(25)의 외주벽에 그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장착 홈(24)내의 관장착 영역(A)에 하나씩 장착된다.
회전드럼(25)이 회전함에 따라서, 캠플로어(31)에 의해 압출된 암형로드(26)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장착 홈(24)로부터 노출한 관본체(1)의 표면에 대응한 위치에 홈(35,35)이 위치하도록 관본체(1) 안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관장착 홈(24) 안에 장착된 관본체(1)는, 회전드럼(25)에 접하는 가열 롤(27)에 의해 가열된다.
관본체(1)를 가열한 후, 관본체(1)내에 있는 암형로드(26)의 홈(35,35)과, 상기 암형로드(26)의 홈(35,35)에 대응하고, 수형롤(28)상에 형성된 수형(38)의 융기부(37,37)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된 관본체(1)를 샌드위치하면서 결합함으로써, 관본체(1)의 외주벽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을 따른 2개의 홈(4,4)과, 이들의 홈(4,4)에 끼워지고, 상기 외주벽의 기준면 보다 외방으로 돌출한 융기부(5)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홈(4,4)에 끼워지고, 관본체(1)의 외주벽의 기준면 보다 외방으로 돌출한 융기부(5)의 형성기술은, 플라스틱 가공분야에서는 신규인 형성 가공 기술이라고 생각되며, 그 상세한 것은 현 단계에서는 해명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서든지, 암형로드(26)의 홈(35,35)과 수형롤(28)의 융기부(37,37)를 관본체(1)를 사이에 둔체로 결합시키여, 관본체(1)에 홈(4,4)을 형성할 때, 관본체(1)의 외주벽의 융기부(5)에 대응하는 개소가 끼워맞춤시의 압력에 의해 외주벽의 기준면 보다 외방으로 압출되는 형태로 되어, 관본체(1)의 융기부(5)가 형성되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또한, 스트로우 관의 재질로서, 멜트 플로우 인덱스가 3 ∼ 16g/10min의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또는 호모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 경우에는, 관본체(1)의 외주벽의 기준면 보다 외방으로 돌출한 융기부(5)를 보다 형성하기 쉬워진다.
외주벽에 홈(4,4)과 융기부(5)가 형성된 관본체(1)는, 회전드럼(25)의 하부에 도달했을 때에, 관본체(1) 안에 삽입되어 있던 암형로드(26)가 캠플로어(31)에 의해 관본체(1)로부터 인출됨으로써, 회전드럼(25) 하방의 벨트 컨베이어(29)상에 낙하하고, 벨트 컨베이어(29)에 의해 관가공장치의 외부로 반송된다. 다음으로, 관본체(1)의 선단부가 경사지도록 절단됨으로써, 스트로우 관이 완성되어진다.
상기 가열 롤(27)에 의한 관본체(1)의 가열 온도는, 특정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관본체(1)를 70 ∼ 80℃로 가열하여 두면, 백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트로에 있어서는, 관본체(1)의 가열공정이 없더라도 형성에는 문제가 없지만, 상기 가열 롤(27)을 사용함으로써, 스트로우 관의 외관의 면으로부터 바람직한효과가 얻어진다.
이러한 관가공장치(20) 및 이를 사용한 스트로우 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회전 롤(25)이 회전함에 따라, 암형로드(26)가 관본체(1)에 삽입되고, 이어서 암형로드(26)의 홈(35,35)과 상기 수형롤(28)의 융기부(37,37)가 끼워 맞추어져서, 관본체(1)에 홈(4,4) 및 융기부(5)가 형성되기 때문에, 스트로우 관을 용이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형태예 2)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스트로우 관의 다른 형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이단식 스트로우 관(15)은, 직경이 다른 내관(2)과 최외관(3)이 신축가능하게 조합된 것이며, 상기 최외관(3)의 외주벽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른 2개의 홈(4,4)과, 이들의 홈(4,4)에 끼워지고, 상기 외주벽의 기준면 보다 외방으로 돌출한 융기부(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최외관(3)의 양단에는, 구속부(6) 및 구속부(7)가 형성되고, 외관을 향한 도중의 선단측에는, 구속부(8,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관(2)의 기단부에는, 상기 구속부(6) 및 구속부(7)로부터 내관(2)이 빠지지 않도록 하고, 또한 상기 구속부(8,8)에 포획됨으로써, 일단 확대된 이단식 스트로우 관(15)이 다시 축소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톱퍼부(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4) 및 융기부(5)의 길이는, 이단식 스트로우 관(15)을 음료용기에 삽입했을 때에, 상기 융기부(5)가 음료용기의 흡인구멍에게 접촉하도록 조절되면좋고, 특별하게 한정되지는 않지만, 실용상, 제조상의 관점에서, 최외관(3)의 길이의 1/3 ∼ 3/4의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홈(4) 및 융기부(5)의 길이가, 최외관(3)의 길이의 1/3 미만이라면, 이단식 스트로우 관(15)을 음료용기에 삽입하는 길이에 따라서, 융기부(5)가 음료용기의 흡인구멍에게 접촉하지 않을 우려가 있고, 홈(4) 및 융기부(5)의 길이가 최외관(3)의 길이의 3/4을 초과하면, 이단식 스트로우 관(15)의 내관(2)과 최외관(3)의 접속부에서의 결합성이 감소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융기부(5)의 높이는, 이단식 스트로우 관(l5)을 음료용기에 삽입했을 때에, 상기 융기부(5)가 음료용기의 흡인구멍을 눌러서 넓힐 수 있는 정도의 높이이면 좋고, 특별하게 한정되지는 않지만, 실용상, 제조상의 관점에서, 최외관(3)의 외주벽의 기준면으로부터 0.05 ∼ 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융기부(5)의 높이가, 최외관(3)의 외주벽의 기준면으로부터 0.05mm 미만이라면, 음료용기의 흡인구멍을 눌러 넓히는 효과가 불충분하게될 우려가 있고, 융기부(5)의 높이가, 최외관(3)의 외주벽의 기준면으로부터 10mm을 초과하면 융기부(5)의 형성이 곤란하게 된다.
여기에서, 외주벽의 기준면과는, 홈(4) 및 융기부(5)가 형성되어 있지 않을 때의 최외관(3)의 외주벽의 표면이다.
상기 홈(4)의 깊이는, 이단식 스트로우 관(15)을 음료용기에 삽입했을 때에, 상기 홈(4)이 음료용기의 흡인구멍과 일치하지 않는 정도의 깊이이면 좋고, 특별하게 한정되지는 않지만, 실용상, 제조상의 관점에서, 최외관(3)의 외주벽의 기준면으로부터 0.1 ∼ 0.8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홈(4)의 깊이가 최외관(3)의 외주벽의기준면으로부터 0.lmm 미만이라면, 음료용기의 흡인구멍과 일치하게되고, 흡인구멍과 홈(4)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극이 가로막힐 우려가 있고, 홈(4)의 깊이가 최외관(3)의 외주벽의 기준면으로부터 0.8mm을 초과하면 홈(4)의 형성이 곤란하게 된다.
이단식 스트로우 관(15)의 재질로서는, 형태예 1의 스트로우 관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이단식 스트로우 관(15)에 있어서는, 형태예 1의 스트로우 관과 동일하게, 이를 음료용기 용기본체의 흡인구멍에게 삽입했을 때에, 융기부(5)가 흡인구멍의 둘레가장자리를 눌러 넓혀서, 홈(4,4)과 흡인구멍의 둘레가장자리 사이에 공극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융기부(5)가 흡인구멍의 둘레가장자리를 항상 눌러 넓힌 상태로 하고 있기 때문에, 흡인구멍의 주변이 홈(4,4)과 일치하여, 공극을 가로막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용기본체 안이 감압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본체의 변형이나 불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단식 스트로우 관으로 함으로써, 수축시킨 상태로 용기본체에 부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스트로우 관은, 도시된 예와 같이, 이단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3단 이상의 다단식 스트로우 관이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스트로우 관은, 도시된 예와 같이, 홈(4) 및 융기부(5)가 이단식 스트로우 관의 최외관(3)에 형성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홈(4) 및 융기부(5)가 내관(2)에 형성되어도 좋다.
다음으로, 다단식 스트로우 관의 제조장치 및 이를 사용한 다단식 스트로우관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단식 스트로우 관(15)의 제조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소정의 길이의 관형상의 내관(2) 및 최외관(3)을 형성하는 관형성 장치와, 최외관(3)에 홈(4)과 융기부(5)를 형성하는 최외관 가공장치와, 내관(2)과 최외관(3)을 조립하여, 이단식 스트로우 관(15)을 완성하는 조립장치를 갖고 구성되는 제조장치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최외관 가공장치로서는, 형태예 1의 스트로우 관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사용된 관가공장치(20)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이단식 스트로우 관의 제조장치를 사용한 이단식 스트로우 관(15)의 제조는 아래와 같이 행하여진다.
우선, 관형성 장치에서, 미리 소정의 길이의 내관(2) 및 최외관(3)을 형성한다.
관형성 장치에서 형성된 최외관(3)의 외주벽에는, 형태예 1의 스트로우 관의 제조장치에서 사용된 관가공장치(20)에 의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을 따른 2개의 홈(4,4)과, 이들의 홈(4,4)에 끼워지고, 상기 외주벽의 기준면 보다 외방으로 돌출한 융기부(5)가 형성된다.
외주벽에 홈(4,4)과 융기부(5)가 형성된 최외관(3)은, 벨트 컨베이어(29)에 의해, 다음 조립장치로 반송되고, 여기에서, 관형성장치로부터 공급된 내관(2)과, 관가공장치(20)에서 홈(4,4)과 융기부(5)가 형성된 최외관(3)을 조립하여, 이단식 스트로우 관(15)이 완성된다.
이러한 관가공장치(20) 및 이를 사용한 이단식 스트로우 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회전 롤(25)이 회전함에 따라, 암형로드(26)가 최외관(3)에 삽입되고, 이어서 암형로드(26)의 홈(35,35)과 상기 수형롤(28)의 융기부(37,37)가 끼워 맞춰지고, 최외관(3)에 홈(4,4) 및 융기부(5)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단식 스트로우 관(15)을 용이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설명한다.
멜트 플로우 인덱스가 1lg/min, 에틸렌 함량이 12질량%인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관을, 도 4에 나타내는 관가공장치(20)를 사용하여, 가열 롤(27)에 의한 최외관(3)의 가열온도80℃, 800개/min의 가공속도로 가공하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경 5.8mm, 두께 0.26mm, 융기부(5)의 높이 0.5mm, 홈(4)의 깊이 0.6mm, 융기부(5) 및 홈(4)의 길이 36mm인 최외관(3)을 얻었다. 이 최외관(3)의 융기부(5) 및 홈(4)의 부분에 백화현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다음으로, 이 최외관(3)과 내관(2)을 조립하여 이단식 스트로우 관(15)을 제작하고, 이를 실제로 음료용기에 삽입하여, 음료를 흡인해본 바, 음료용기내에 감압은 일어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스트로우 관은, 음료용기내의 음료를 흡인할 때, 음료용기 안이 감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음료용기 안의 음료의 흡인이 용이하고, 또한 불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트로우 관이, 직경이 다른 2개 이상의 관이 신축 가능하게 조립된 다단식 스트로우 관이면, 음료용기내의 음료를 흡인할 때, 음료용기 안이 감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수축시킨 상태로 용기본체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트로우 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따르면, 음료용기 안의 음료를 흡인할 때, 음료용기 안이 감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트로우 관을 용이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Claims (21)

  1. 관의 외주벽에 그 길이방향을 따른 홈, 및 이 홈에 인접하고 상기 외주벽의 기준면 보다 외방으로 돌출한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관.
  2. 제 1항에 있어서, 관의 외주벽에 그 길이방향을 따른 복수개의 홈, 및 이들의 홈 사이에 있고 상기 외주벽의 기준면 보다 외방으로 돌출한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관.
  3. 제 1항에 있어서, 직경이 다른 2개 이상의 관이 신축가능하게 조합된 다단식 스트로우 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관.
  4. 제 3항에 있어서, 관의 외주벽에 그 길이방향을 따른 복수개의 홈, 및 이들의 홈 사이에 있고 상기 외주벽의 기준면 보다 외방으로 돌출한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관.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관 중 1개 이상의 관의 외주벽에 홈 및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관.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관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최외관의 외주벽에 홈 및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관.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2개이며, 상기 융기부가 그들의 사이에 인접한 1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관.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및 융기부의 길이는 홈 및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관의 1/3 ∼ 3/4의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관.
  9.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의 높이는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관의 외주벽의 기준면으로부터 0.05 ∼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관.
  10.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깊이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관의 외주벽의 기준면으로부터 0.1 ∼ 0.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관.
  11.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멜트 플로우 인덱스는 3 ∼ 16g/10min의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관.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는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관.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의 에틸렌 함량은 2 ∼ 2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관.
  14.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멜트 플로우 인덱스는 3 ∼ 16g/10min의 프로필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관.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는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관.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의 에틸렌 함량은 2 ∼ 2O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관.
  1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멜트 플로우 인덱스는 3 ∼ 16g/10min의 호모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관.
  18. 관의 외주벽에 그 길이방향을 따른 복수개의 홈, 및 이들의 홈 사이에 있고 상기 외주벽의 기준면 보다 외방으로 돌출한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스트로우 관의 제조에 사용하는 장치로서,
    관이 장착되는 복수의 관장착 홈이 외주벽에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회전드럼, 캠 기구에 의한 왕복운동에 의해 관장착 홈내의 관내에 삽입 및 관내로부터 인출가능하게 되며, 관장착 홈으로부터 노출된 관의 표면에 대응한 위치에 복수개의 홈이 형성된 암형로드, 및 상기 암형로드의 홈에 대응하는 융기부를 갖는 수형이 외주벽상에 복수 개소 설치된 수형롤을 구비하고,
    상기 암형로드의 홈과 상기 수형롤의 융기부가 관을 사이에 두고 끼워맞춰지도록 상기 수형롤이 배치되고, 또한 상기 암형로드 및 수형롤이 동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관의 제조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로드의 홈은 2개이며, 상기 수형롤상에 형성된 수형의 융기부가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관의 제조장치.
  20. 관의 외주벽에 그 길이방향을 따른 복수개의 홈, 및 이들의 홈 사이에 있고 상기 외주벽의 기준면 보다 외방으로 돌출한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스트로우 관의 제조방법으로서,
    회전드럼의 외주벽에 그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장착 홈에 관을 장착하는공정;
    상기 관장착 홈으로부터 노출된 관의 표면에 대응한 위치에 복수개의 홈이 형성된 암형로드를 상기 관내에 삽입하는 공정; 및
    관내에 있는 암형로드의 홈과 수형롤상에 형성된 수형의 융기부를, 관을 사이에 두고 끼워맞추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관의 제조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로드의 홈은 2개이며, 상기 수형롤상에 형성된 수형의 융기부는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우 관의 제조방법.
KR10-2002-7012259A 2000-03-23 2001-03-21 스트로우 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5378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82971 2000-03-23
JP2000082971 2000-03-23
JP2000210372A JP3380219B2 (ja) 2000-03-23 2000-07-11 ストロー管、そ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JP-P-2000-00210372 2000-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992A true KR20020092992A (ko) 2002-12-12
KR100537895B1 KR100537895B1 (ko) 2005-12-21

Family

ID=26588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2259A KR100537895B1 (ko) 2000-03-23 2001-03-21 스트로우 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269896A4 (ko)
JP (1) JP3380219B2 (ko)
KR (1) KR100537895B1 (ko)
HK (1) HK1053775A1 (ko)
TW (1) TWI223990B (ko)
WO (1) WO20010700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995B1 (ko) * 2009-02-24 2011-07-26 주식회사 서일 에티켓 스트로우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065B1 (ko) * 2009-02-23 2011-03-22 주식회사 서일 에티켓 스트로우 제조장치
CN104433641A (zh) * 2014-11-28 2015-03-25 韦江华 一种带吸管的叉子
US20180086526A1 (en) * 2016-09-28 2018-03-2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Container with Tube Member
TWI739132B (zh) * 2019-07-17 2021-09-11 郭明哲 一種線材製造裝置
TWI776712B (zh) * 2021-09-22 2022-09-01 段睿紘 具伸縮結構的吸管及具有此吸管的容器和遮蓋物
CN116135350A (zh) * 2021-11-18 2023-05-19 玩艸植造股份有限公司 植物吸管制造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7603954L (sv) * 1976-04-02 1977-10-03 Novia Livsmedelsindustrier Ab Sugror
JPS5824255B2 (ja) * 1979-03-28 1983-05-20 横溝物産株式会社 ひだ付ストロ−製造装置
JPS5941179U (ja) * 1982-09-09 1984-03-16 サンデン株式会社 ストロ−
JPS6257526A (ja) * 1985-08-01 1987-03-13 昭和電工株式会社 二段式伸縮自在ストロ−
JPS6389326A (ja) * 1986-10-03 1988-04-20 Sanyo Shiki Kk 飲料用ストロ−のストツパ−成形装置
US5039012A (en) * 1988-01-07 1991-08-13 Koichi Inaba Straw for beverages
JPH01164873U (ko) * 1988-05-09 1989-11-17
AU7245691A (en) * 1990-02-26 1991-09-18 Jung Min Lee Straw
JP3023252U (ja) * 1995-07-13 1996-04-16 中甫 茆 液体封入容器用ストロー
JPH1014740A (ja) * 1996-07-01 1998-01-20 Toyo Cap Kk 飲料用ストロー
JP3713351B2 (ja) * 1997-02-17 2005-11-09 東洋キャップ製造株式会社 溝付きストロー成形装置及び該成形装置を組み込んだストロー製造装置
JPH11285436A (ja) * 1998-04-02 1999-10-19 Toyo Cap Kk 飲料用ストロ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995B1 (ko) * 2009-02-24 2011-07-26 주식회사 서일 에티켓 스트로우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70082A1 (fr) 2001-09-27
JP3380219B2 (ja) 2003-02-24
TWI223990B (en) 2004-11-21
HK1053775A1 (zh) 2003-11-07
KR100537895B1 (ko) 2005-12-21
EP1269896A4 (en) 2006-05-17
EP1269896A1 (en) 2003-01-02
JP2001333848A (ja) 2001-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5103B2 (en) Straw tub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0537895B1 (ko) 스트로우 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6421458B2 (ja) 積層剥離容器
US10669059B2 (en) Delaminatable container
KR890700460A (ko) 플라스틱 파이프 압출방법 및 장치
US20180020856A1 (en) Straw
JP6451087B2 (ja) 積層剥離容器
JP2015101396A (ja) 積層剥離容器
WO2016039134A1 (ja) 被加工物の加工方法、穴あけドリル
JP3380207B2 (ja) 多段式ストロー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930021281A (ko) 압출용 다이스 및 압출가공방법
JP2003135242A (ja) 多段式ストロー
JP4214018B2 (ja) ブローニードル
US20040131716A1 (en) Device for producing double-walled corrugated pipes
JP2015127243A (ja) 積層剥離容器
JP5782007B2 (ja) 飲料用ストローの縮径部及びリング状拡径部の加工方法
JP2006315205A (ja) プレス加工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ひだ付きカップ製造方法
JP2008230087A (ja) エジェクトピン及び該エジェクトピンを具えた成形装置
JP2015127235A (ja) 積層剥離容器
US6715326B2 (en) Dual chamber apparatus useful as spot remover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
JPS63109823A (ja) ストツパ−付き2段式ストロ−
JPH0576445A (ja) 二重パイプ式伸縮ストロー
KR20170114529A (ko) 압출용 다이스
JP2004322544A (ja) 合成樹脂管の押出成形方法
JPS63194934A (ja) プラスチツク管の押出し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