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2569A - 파이프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2569A
KR20020092569A KR1020010031240A KR20010031240A KR20020092569A KR 20020092569 A KR20020092569 A KR 20020092569A KR 1020010031240 A KR1020010031240 A KR 1020010031240A KR 20010031240 A KR20010031240 A KR 20010031240A KR 20020092569 A KR20020092569 A KR 20020092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late
screen
foreign matte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1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2119B1 (ko
Inventor
위흥덕
정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31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2119B1/ko
Publication of KR20020092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2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1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hearth-type furnaces
    • F27B3/24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5/00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08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heated electrically, with or without any other source of heat
    • F27B3/085Arc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2099/0085Accessories
    • F27D2099/0093Means to collect ashes or dust, e.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수 배관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유체를 이송시키는 파이프에 있어서, 고정판이 파이프의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고정 설치되고, 봉이 고정판의 내부에 슬라이딩되도록 삽입되며, 스크린이 봉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부에 돌출핀이 형성된 이물질 제거판이 고정판과 스크린사이에 고정 설치되며, 스프링이 봉에 설치된 스톱파와 고정판 사이에 설치되고, 유출관이 이물질 제거판의 위쪽에서 파이프의 측면으로 형성되고, 모음통이 유출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이프 이물질 제거장치{REMOVING APPARATUS OF SCALE FOR PIPE}
본 발명은 전기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로에 전기를 인가하는 고전력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로는 전기를 인가하여 원료를 용해하는 노로써 철강공장에서는 원료와 전극사이에 아크를 발생시키고 이 때 발생된 고온을 이용하여 원료를 용해하는 아크로(Electric Arc Furnace)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아크로는 신속한 용해를 통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변압기로부터 전극봉에 투입되는 단위시간당 전력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전기로에는 고전력의 전기를 인가하는 고전력 케이블이 설치되어야 한다.
고전력 케이블은 구리선이 여러가닥으로 꼬아져 있고 이 꼬아진 구리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구리선 보호관과 고무튜브가 이중으로 씌어져 있다.
이러한 고전력 케이블은 고전력을 인가하므로 구리선에 고열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구리선에서 발생된 고열을 식히기 위하여 케이블의 내부로 냉각수가 순환되는 수냉 케이블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수냉 케이블은 전극암의 승하강, 대천정의 선회 및 전기로의 경동시 구리선이 서로 마찰되므로 구리선의 일부가 절단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렇게 절단된 구리선은 냉각수 배관에 축적되어 냉각수 배관의 일부를 폐쇄시키므로 냉각이 불량하여 수냉 케이블에 고열이 발생된다.
따라서 전력공급을 중단하고 냉각수 배관으로부터 구리선을 제거한 후 조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이 중단되어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냉각수 배관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파이프 이물질 제거장치의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파이프 이물질 제거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파이프 이물질 제거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파이프 12 : 고정판
14 : 봉 16 : 스크린
18 : 이물질 제거판 20a, 20b : 스톱파
22 : 스프링 24 : 배출구
26 : 모음통 28 : 밸브판
30 : 필터 32 : 밸브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체를 이송시키는 파이프에 있어서, 고정판이 파이프의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고정 설치되고, 봉이 고정판의 내부에 슬라이딩되도록 삽입되며, 스크린이 봉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부에 돌출핀이 형성된 이물질 제거판이 고정판과 스크린사이에 고정 설치되며, 스프링이 봉에 설치된 스톱파와 고정판 사이에 설치되고, 유출관이 이물질 제거판의 위쪽에서 파이프의 측면으로 형성되고, 모음통이 유출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유출관을 개폐시키는 밸브판이 스크린에 일측 하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물질 제거판이 유출구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이물질 제거판에 대응하는 스크린이 봉의 선단에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파이프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파이프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파이프(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12)과, 고정판(12)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봉(14)과, 봉의 상단에 설치되는 스크린(16)과, 고정판(12)과 스크린(16)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이물질 제거판(18)과. 봉(14)에 형성된 스톱파(20a)와 고정판(12)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22)과, 이물질 제거판(18)의 위쪽에서 파이프(10)의 측면으로 형성되는 유출관(24), 유출관(24)에 이물질을 포집하도록 설치된 모음통(26)으로 이루어진다.
고정판(12)은 파이프(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중심에 봉(14)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된다. 또한 고정판(12)에는 유체가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고정판(12)을 관통하는 개구부(12a)가 다수 형성된다.
봉(14)은 고정판(12)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며, 상단에는 스크린(16)이 힌지 결합된다. 또한 봉(14)은 고정판(12) 상부와 하부의 구간에 스톱파(20a,20b)가 각각 형성되며, 상부에 형성된 스톱파(20a)와 고정판(12)의 상단 사이에 스프링(22)이 탄성 설치되며, 이 스프링(22)이 봉(14)을 상부로 밀어주므로 하부에 형성된 스톱파(20b)는 고정판(12)의 하단에 밀착된다.
스크린(16)은 봉(14)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고, 배출구(24)측에 하방으로 밸브판(28)이 설치된다. 이 밸브판(28)은 스크린(16)의 승하강에 의해서 유출구(24)를 개폐시킨다.
이물질 제거판(18)은 고정판(12)과 스크린(16) 사이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에 돌출핀(18a)이 설치된다. 여기서 돌출핀(18a)은 선단이 스크린(16)의 하강시 스크린(16)의 구멍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이물질 제거판(18)은 유출관(24) 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스크린(16)위의 이물질을 유출구(24)측으로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22)은 고정판(12)의 상부에 형성된 스톱파(20)와 고정판(12)의 상단 사이에 탄성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스프링(22)의 탄성력에 의해서 봉(14)이 상방으로 복귀하게 된다.
유출관(24)은 이물질 제거판(18)의 위쪽에 파이프(10)의 측면으로 형성되어 이물질 제거판(18) 위로 부상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유출관(24)은 다시 파이프(10)로 연결되며 출구측에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30)가 설치된다.
모음통(26)은 유출관(24)에 설치되며 상류에 밸브(32)가 설치되어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하여 모음통(26)을 열었을 때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모음통(26)의 상부는 유출관(24)에 나사 결합되어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의 이물질 제거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절단된 구리선이 파이프(10)를 따라 순환되어 스크린(16)의 상부에 쌓이게 되면 유로가 좁아져 저항이 커지므로 스크린(16) 상부의 압력이 증대된다. 이와 같이 압력이 증대되면 스크린(16)이 스프링(22)의 탄성력을 이기고 하강하게 된다.
스크린(16)이 하강함에 따라 유출관(24)이 개방되고 동시에 돌출핀(18a)이 스크린(16) 사이로 삽입된다. 따라서 돌출핀(18a)에 의해서 스크린(16)의 상부로 부상되는 이물질은 이물질 제거판(18)이 유출관(24) 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이에 대응되는 스크린(16)도 유출관(24) 측으로 경사지게 되어 이물질이유출관(24)을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된다.
유출관(24)을 통하여 이물질이 배출되면 스크린(16) 상부의 압력이 떨어지므로 스프링(22)에 의해 스크린(16)이 복귀된다. 스크린(16)이 복귀되면 밸브판(16a)이 유출관(24)을 폐쇄시킨다.
다음으로 이물질이 모음통(26)에 쌓이게 되면 유출관(24)에 설치된 밸브(32)를 닫고 유출관(24)에 나사결합된 모음통(26)을 탈거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이물질이 제거되면 모음통(26)을 다시 조립하고 밸브(32)를 연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의 이물질 제거장치는 냉각수의 이물질이 제거되므로 냉각수가 원활히 이동되어 수냉케이블이 발열하여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모음통으로 배출되는 이물질의 양에 따라 고전력케이블의 마모상태가 확인되어 예방정비가 가능하므로 정비시간을 효과적으로 분배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유체를 이송시키는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설치된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봉,
    상기 봉의 상단에 설치되는 스크린,
    상기 고정판과 상기 스크린 사이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에 돌출핀이 형성된 이물질 제거판,
    상기 봉에 설치된 스톱파와 상기 고정판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이물질 제거판의 위쪽에서 파이프의 측면에 형성되는 유출관,
    상기 유출관에 이물질을 포집하도록 설치된 모음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의 이물질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에 일측 하방으로 설치되는 밸브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의 이물질 제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판이 유출구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이물질 제거판에 대응하는 상기 스크린이 상기 봉의 선단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파이프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010031240A 2001-06-04 2001-06-04 파이프 이물질 제거장치 KR100752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1240A KR100752119B1 (ko) 2001-06-04 2001-06-04 파이프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1240A KR100752119B1 (ko) 2001-06-04 2001-06-04 파이프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569A true KR20020092569A (ko) 2002-12-12
KR100752119B1 KR100752119B1 (ko) 2007-08-24

Family

ID=27707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1240A KR100752119B1 (ko) 2001-06-04 2001-06-04 파이프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21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887A1 (en) * 2014-10-28 2016-05-06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Longitudinally offset partial area screens for well assembly
US10533400B2 (en) 2014-10-28 2020-01-14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Angled partial strainer plates for well assembly
US10641066B2 (en) 2015-07-06 2020-05-05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odular downhole debris separating assembli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964B1 (ko) * 2011-05-25 2011-11-11 이희곤 스케일 제거기능을 갖춘 온수분배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5832B2 (ja) * 1993-11-09 2001-01-22 コスモ工機株式会社 双方向流水管の夾雑物除去装置
JP3090568B2 (ja) * 1994-02-04 2000-09-25 コスモ工機株式会社 流水管の夾雑物除去装置
KR200215632Y1 (ko) * 1999-03-09 2001-03-15 송광영 하수맨홀용 개폐밸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887A1 (en) * 2014-10-28 2016-05-06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Longitudinally offset partial area screens for well assembly
US10400554B2 (en) 2014-10-28 2019-09-03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Longitudinally offset partial areas screens for well assembly
US10533400B2 (en) 2014-10-28 2020-01-14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Angled partial strainer plates for well assembly
US10641066B2 (en) 2015-07-06 2020-05-05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odular downhole debris separating assembl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2119B1 (ko) 200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2119B1 (ko) 파이프 이물질 제거장치
KR20130130758A (ko) 미립자 제거 장치를 구비한 유리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
EP0309583B1 (en) Method of melting and refining metals, and an apparatus for cooling electrodes used therefor
CN209945003U (zh) 分级熔炼型铝液熔炼炉
US2794058A (en) Glass furnace
KR840007027A (ko) 용광로 투입장치용 냉각장치
CN209181502U (zh) 一种用于增强回转窑使用寿命的窑头冷风套圈装置
CN104692646B (zh) 一种用于生产玄武岩连续纤维的窑炉拉丝系统
CN214109131U (zh) 一种波峰焊机
CN208475995U (zh) 一种金属融化炉
WO2000076275A1 (de) Schmelzgefässe versehen mit einer gekühlten bodenelektrode
WO2000075588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ieb von lichtbogenschmelzöfen und/oder widerstandsschmelzöfen
KR20000010604A (ko) 유체 탱크에서의 기판 처리 장치
RO119486B1 (ro) Dispozitiv de îndepărtare a depunerilor de praf dintr- un cuptor de topire
KR102482839B1 (ko) 유리화설비의 용융로 개폐장치
CN208071638U (zh) 分段式水冷套管
CN212457985U (zh) 铁屑回收熔炉的低温余热回收系统
CN113564375B (zh) 用于冶金真空蒸馏的恒温装置及蒸馏器
CN1159561C (zh) 电弧炉冷却装置
CN208288955U (zh) 一种双流水平连铸机的导流结构
CN214381063U (zh) 一种钢包吹氩位视频监测装置
CN219970961U (zh) 一种柔性振动盘料盘自动清料装置
CN215832481U (zh) 一种操作方便的烟化炉放空口装置
CN117831903B (zh) 一种防护型变压器
US5164146A (en) Foundry furnace having outlet flow pass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