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2389A - 피복물 도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피복물 도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2389A
KR20020092389A KR1020027012295A KR20027012295A KR20020092389A KR 20020092389 A KR20020092389 A KR 20020092389A KR 1020027012295 A KR1020027012295 A KR 1020027012295A KR 20027012295 A KR20027012295 A KR 20027012295A KR 20020092389 A KR20020092389 A KR 20020092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ing
gap
roller
metering
contac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2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0547B1 (ko
Inventor
울리안드리아스
Original Assignee
솔리파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리파트 아게 filed Critical 솔리파트 아게
Publication of KR20020092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2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5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02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Controlling means therefor; Control of the thickness of a coating by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3/00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3/02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work being immersed in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3/12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work being immersed in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or treating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3/125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work being immersed in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or treating work of indefinite length the work being a web, band, strip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02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Controlling means therefor; Control of the thickness of a coating by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 B05C11/023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B05C11/025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with an essentially cylindrical body, e.g. roll or r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5/00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 B29B15/08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of reinforcements or fillers
    • B29B15/10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 B29B15/12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 B29B15/122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with a matrix in liquid form, e.g. as melt, solution or latex
    • B29B15/125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with a matrix in liquid form, e.g. as melt, solution or latex by di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2037/90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피복 및/또는 함침 대상 박판 성형체의 제조와 동시에 피복물을 도포하는 장치에 있어서, 피복된 박판 성형체의 두께는 박판 성형체에 대해 회전하는 2개의 계량 롤러(11, 13)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계량 롤러(11, 13)의 접촉면(12, 14) 사이의 거리 측정은 접촉면(12, 14)보다 직경(d1)이 작은 계량 롤러(11, 13)와 동심인 측정면(16, 18)에 의해 수행된다.

Description

피복물 도포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COATING MATERIAL}
피복 및/또는 함침 대상 박판 성형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방법 및 장치는 다수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법 및 장치로 예컨대, 플라스틱, 박판 금속 또는 유리 섬유와 같은 여러 재질의 기판을 피복할 수 있다. 예컨대, 티슈, 양모 및 직물과 같은 섬유 박판 성형체의 경우, 그러한 방법은 섬유 박판 성형체의 피복 뿐만 아니라 섬유 박판 성형체의 강화 및 충전에도 사용된다.
피복을 위해, 1성분계 및 2성분계 또는 혼합물을 마련하여 유체 상태로 압출 또는 브러싱(brushing)에 의해 기판 상에, 예컨대 도포할 수도 있다. 그러한 방법의 특별히 알려진 용례는, 인쇄 회로 기판 제조에 있어서 소위 "프리페그(prepeg)"를 제조하는 섬유 박판 성형체의 피복이다.
이 경우에 고도의 정밀도를 요한다. 피복 및/또는 함침 대상 박판 성형체의 두께는 매우 작은 공차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피복 대상 박판 성형체는통상 수십 밀리미터 정도 크기의 두께를 갖고, 공차 범위는 마이크로미터 범위에 있다.
그러므로, 피복물의 도포 후에 재료 웹에 대해 역주행하는 롤러에 의해 형성되는 조정 가능한 치수 결정용 갭을 제공하는 것이 이미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공개되지 않은 PCT 출원 PCT/CH/00513호).
그러나, 추가의 수고 없이는 이 공지된 방법으로 요구되는 공차를 얻을 수 없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롤러 표면 및 샤프트의 충분히 큰 중심도를 얻을 수 없었다. 따라서, 롤러의 특정한 편심 주행을 방지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피복 및/또는 함침 대상 박판 성형체의 제조와 동시에 피복물을 도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2개의 접촉 롤러의 장착부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예의 개략도.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단점을 회피하고, 특히 피복물의 도포와 함께 최상의 정밀도로 피복 및/또는 함침 대상 박판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청구 범위의 독립항의 특징부를 주안점으로 하는 장치 및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피복 및/또는 함침 대상 박판 성형체의 제조와 동시에 피복물을 도포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박판 성형체 상에 피막을 도포하는 이미 공지된 하나 이상의 도포 장치를 구비한다. 주행 방향에서 도포 장치 뒤에는, 피복 및/또는 함침 대상 박판 성형체의 두께 치수를 결정하는 치수 결정용 갭이 마련되고, 이 갭을 통해서 상기 박판 성형체가 가동한다. 상기 치수 결정용 갭의 폭은 피복 및/또는 함침 대상 박판 성형체의 두께가 조정될 수 있도록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치수 결정용 갭은 접촉면으로 박판 성형체를 압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계량 롤러와, 상대 접촉면에 의해 한정된다. 계량 롤러와 상대 접촉면에는 매 경우마다 측정면이 배치된다. 측정면들의 거리는 치수 결정용 갭보다 크다. 이렇게 하면, 공간이 없는 측정면 사이에 측정 센서를 배치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계량 롤러에는 축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원통형 측정면이 마련된다. 원통형 측정면의 직경은 롤러의 접촉면보다 작다. 상기 도포 장치는 또한 상대 접촉면과 관련하여 형성된 기준 측정면과 측정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측정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측정면은 계량 롤러와 상대 접촉면의 제조 과정에서, 접촉면에 대해 정확하게 정해진 위치에 형성된다.
측정면(들)이 추가로 마련되면 치수 결정용 갭의 폭은 간접적으로 매우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 원통형 측정면의 직경이 롤러의 접촉면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측정면과 기준 측정면 사이의 거리는 그 사이에 놓인 측정 센서에 의해 문제없이 측정될 수 있다. 측정면은 접촉면에 대해 정확하게 정해진 관계로 배치되기 때문에, 롤러의 베어링과 롤러의 접촉면 사이에서 임의로 발생하는 편심 주행은 접촉면 사이의 거리의 측정을 위하여 보정될 수 있다.
그러나, 접촉면과 측정면 사이의 편심을 기준 측정으로 결정할 수 있게 한 후 연산에 의해 보상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대 접촉면은 제2 롤러로서 형성된다. 기준 측정면은 제2 롤러의 적어도 일단부에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 롤러의 접촉면보다 직경이 작은 제2 원통형 측정면으로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 측정면은제2 롤러의 접촉면에 대해 대칭으로 그리고 동심으로 배치된다. 접촉면에 대해 기지(旣知)의 거리를 두고 배치된 2개의 원통형의 동심 측정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치수 결정용 갭의 폭을 간접적으로 매우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2개의 롤러는 박판 성형체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형 측정면(들)은 롤러(들)의 접촉면(들)의 직경의 50% 이상, 유리하게는 약 70%에 해당하는 직경을 갖는다. 측정면의 직경은 가능한 한 크게 선택된다. 측정면과 접촉면 사이의 (작은) 거리가 보다 정확하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측정면이 접촉면에 대해 가깝게 위치할 수록 편심이 양호하게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측정면은 접촉면과 동일한 직경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측정면들은 서로에 대해 매우 가깝게 놓이며 그 사이에 센서가 위치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롤러에 의해 제거되는 피복물에 의해 측정면의 오염 위험이 존재한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롤러의 베어링이 고정되고 다른 롤러의 베어링이 제1 롤러에 대해 박판 성형체의 이동 방향에 수직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치수 결정용 갭의 두께는 제1 롤러를 향해 또는 제1 롤러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제2 롤러를 변위시킴으로써 조정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롤러는 공압에 의하여 소정의 힘으로 함께 압박된다. 편심 주행을 보상하기 위한 변위 가능한 롤러는 공압의 힘에 저항하여 또는 그 공압의 힘에 의해, 특히 압전 소자에 의해 외측으로 압박되거나 내측으로 변위될 수 있다. 압전 소자를 적용하면 측정면 사이에서 측정된 거리에 따라 특히간단한 방식으로 치수 결정용 갭의 두께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에 의해 치수 결정용 갭의 두께는 또한 간단하게 (측정면 사이의 거리 조절을 통해 간접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포 장치에는 또한 갭 폭을 조정하는 조정 장치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피복 대상 박판 성형체의 두께를 측정하고 조정 장치를 통해 조절하는 것을 추가로 생각할 수 있다. 압전 소자에 의한 갭 폭의 조정은 편심 주행을 보상하는 데 사용되며, 조정 장치는 전체적으로 두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접촉면과 측정면 사이에는 언더컷이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언더컷은 접촉면에 의해 박판 성형체로부터 제거된 피복물에 의한 측정면의 오염을 방지한다.
롤러(들)에는 또한 공지의 방식으로 닥터 블레이드가 마련되며, 이 닥터 블레이드에 의해 접촉면에 부착된 피복물이 제거되어 유리하게는 도포 장치로 다시 안내된다.
상기 측정 장치는 비접촉 센서, 예컨대 와전류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다른 센서, 예컨대 광학 센서도 생각할 수 있다.
피복 및/또는 함침 대상 박판 성형체를 제조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전술한 타입의 장치에 의해 특히 간단하게 실시될 수 있다. 피복 및/또는 함침 대상 박판 성형체는 2개의 접촉면 사이의 조정 가능한 치수 결정용 갭을 통해 안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면과 관련하여 한정되고 접촉면들보다 서로에 대해 큰 거리로 놓인 측정면들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특히, 원통형 접촉면보다 직경이 작은하나의 측정면과, 제2 접촉면과 관련하여 정해진 기준 측정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이 측정 결과에 따라 진행하면, 치수 결정용 갭의 폭이 조정되고, 바람직하게는 제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계량 롤러의 디자인을 위한 제한 없이 상호의 거리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추가의 측정면을 마련하는 것에 기초한 제1 단계에 대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에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피복 또는 함침 대상 박판 성형체(F)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1)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박판 성형체(F)는 통상 웹 재료, 예컨대 유리 섬유 직물이다. 운동 방향(R)에서의 박판 성형체(F)는 먼저 예비 습윤부(2)에서 습윤되고 이어서 피복물(B)이 마련된 침지 스테이션(3)에서 습윤된다. 피복된 박판 성형체의 두께(D)는 계량 장치(6)에서 검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피복 및/또는 함침 대상 박판 성형체(F)는 이어서 건조기(5)로 안내되고, 이 건조기에서 박판 성형체(F) 상의 피복물(B)이 경화된다.
건조기(5), 함침 스테이션(3) 및 예비 습윤부(2)는 일반적으로 흔한 구성 요소이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계량 장치(6)는 공지된 방식의 2개의 계량 롤러(11, 13)를 구비한다. 상기 계량 롤러(11, 13)는 피복 대상 박판 성형체(F)를 위한 접촉면(12, 14)을 형성한다. 상기 접촉면(12, 14) 사이에는 치수 결정용 갭(10)이 형성된다. 치수 결정용 갭(10)의 폭(a;도 2 참조)은 피복/함침 대상 박판 성형체(F)의 두께(D)를 결정한다.
박판 성형체(F)는 수직 방향의 계량 롤러(11, 13) 사이에서 안내된다. 계량 롤러(11, 13)는 박판 성형체의 이동 방향(R)과 반대로 회전한다. 통상, 계량 롤러(11, 13)는 약 4 rpm으로 회전하는데, 이는 분당 약 3 미터에 해당한다. 접촉면(12, 14)과 피복 대상 박판 성형체(F)의 접촉에 의해 박판 성형체 상의 과잉 피복물(B)이 제거된다. 계량 롤러(11, 13)의 접촉면(12, 14)에 부착되는 피복물은 닥터 블레이드(4)에 의해 제거된다.
하나의 계량 롤러(11)는 다른 계량 롤러(13)를 향해 박판 성형체(F)에 대해 수직으로 변위 가능한 방향(E)에 있다. 이에 의해 치수 결정용 갭(10)의 폭(a)을 조정할 수 있다. 제2 계량 롤러(13)는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상기 치수 결정용 갭(10)의 폭(a)은 통상의 용례의 경우 약 0.3 mm이다. 이러한 이유로 접촉면(12, 14) 사이의 거리를 직접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계량 롤러(11, 13), 바람직하게는 양쪽 계량 롤러(11, 13)에는 측정면(16, 18)이 마련된다. 측정면(16, 18)은 축방향(A)으로 계량 롤러(11, 13)의 양단부(15)에 배치된다. 측정면(16, 18)은 접촉면(12, 14)과 동심으로 형성된다. 계량 롤러(11, 13)는 회전부로서 제조되고, 측정면(16, 18)의기계 가공시 접촉면(12, 14)은 기준으로서 작용한다. 계량 롤러(11, 13)의 어떤 편심 주행이 발생하더라도 측정면(16, 18)과 대응하는 접촉면(12, 14) 사이에는 정확하게 정해진 관계가 존재한다.
장치(1)에는 또한 측정면(16, 18)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 센서(17)가 마련된다. 측정 센서(17)는 통상 비접촉 센서, 예컨대 바이브로미터 에스아(Vibrometer SA)가 제조한 와전류 센서이다.
도 2에는 양 계량 롤러(11, 13)의 장착부가 확대 도시되어 있다. 접촉면(14)이 있는 제1 계량 롤러(13)는 베어링(19)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측정면(18)의 직경은 계량 롤러의 샤프트 직경보다 작다.
접촉면(12)이 있는 제2 계량 롤러(11)는 직선 안내부(26) 상의 베어링 셸(20)에 있으며 제1 계량 롤러(13)를 향해 박판 성형체(F)에 대해 수직 방향(E)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계량 롤러(11)용 베어링 셸(20)에는 압전 소자(23)에 대해 인장되는 공압 실린더(21)가 있다. 압전 소자(23)는 나사식 스핀들(25)과 모터(M)에 의해 변위될 수 있는 이중 웨지(22) 상에 지지된다.
치수 결정용 갭(10)을 원하는 갭의 폭(a)으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중 웨지(22)를 변위시킴으로써 갭(a)을 원하는 값으로 설정한다. 이 값은 통상 0.3 mm이다. 2개의 측정 센서(와전류 센서)(17)는 서로 거리(b)를 두고 있는 측정면(16, 18) 사이에 배치된다. 측정 센서(17)는 통상 측정면(16, 18)으로부터 각각 0.1 mm 및 0.2 mm 떨어져 배치된다. 작동시 측정 센서(17)는 각각의 측정면(16, 18)에 대한 거리를 계속 측정한다. 이에 의해 측정면(16, 18) 사이의거리(b)가 결정될 수 있다. 측정면(16, 18)과 접촉면(12, 14) 사이에 정확하게 정해진 관계 때문에, 편심 주행으로 인한 측정면(16, 18) 간에 거리(b)의 변화는 접촉면(12, 14) 간에 갭의 폭(a)의 변화에 대응한다. 따라서, 정밀한 모니터링이 가능한데, 그 이유는 예컨대 접촉면(12, 14)으로부터 정밀하게 연장되는 측정면(16, 18)이 기준으로서 형성되기 때문이다.
측정면(16, 18) 사이의 거리(b)는 측정 센서(17)를 통해 조절된다. 측정 센서의 판독에 따라 좌우되는 전압은 압전 소자(23)로 인가된다. 최초 위치에서, 압전 소자(23)에는 통상 500 볼트의 전압이 인가된다. 0 내지 1,000 볼트 사이의 전압 변화에 의해 계량 롤러(11)는 양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으며, 이 수단에 의해 임의로 발생하는 계량 롤러(11, 13)의 편심 주행이 보상될 수 있다. 따라서, 측정면(18, 16) 사이의 거리(b)는 압전 소자(23)(입력 변수: 압전 소자에서의 전압)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회로는 도시의 편의상 도 2에 도시하지 않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특히 박판 성형체에 솔벤트 함유 수지를 함침시키는 데에 적용된다. 따라서, 사용되는 모든 구성 요소가 폭발에 안전한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측정 센서(17)로서는 와전류 센서(제조사 바이브로미터)가 사용된다. 압전 소자(23)는 폭발에 안전한 방식으로 하우징 내에 수용된다.
공압 실린더(21), 베어링 셸(20), 압전 소자(23), 이중 웨지(22) 및 베어링(19)은 동일 평면에 놓인다.
측정면(16, 18)의 직경은 가능한 한 크게 선택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촉면(12, 14)에 대해 가능한 한 작은 공차가 달성될 수 있다. 접촉면(12, 14)은 직경(d2)을 갖는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접촉면(12, 14)의 직경(d2)은 240 mm인 반면에, 측정면(16, 18)의 직경(d1)은 170 mm이다. 직경(d1)은 측정 센서(17)가 여전히 측정면(16, 18) 사이에 위치될 수 있을 만큼 크게 선택된다.
더욱이, 직경(d1, d2)이 상이하면 접촉면(12, 14)에 부착되는 피복물에 의한 측정면(16, 18)의 오염이 방지된다.
갭 폭(a)의 조절은 약 30 헤르쯔의 주파수로 행하여진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변형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변형예에 따르면, 직경이 보다 작은 측정면(16)이 있는 하나의 측정 롤러(11)만을 제공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며, 다른 측정 롤러(13) 상의 측정면(28)은 접촉면(14)의 연장부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도 또한 측정 센서가 2개의 계량 롤러(11, 13) 사이에 위치될 수 있게 한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 도 3에는 하나의 계량 롤러(11)의 측정면(16)과 접촉면(12) 사이에 언더컷(24)이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언더컷(24)은 측정면(16) 상의 접촉면(12)으로부터 피복물(M)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마찬가지로, 다른 계량 롤러 상에는 접촉면(14)을 측정면(28)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언더컷(24)이 마련되어 있다.
축방향(A)에서 보이는 측정면은 롤러(11, 13)의 양측부 상에 배치되며, 마찬가지로 측정 센서도 양측부 상에 배치된다. 그러나, 한 측부에서만 측정을 수행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특정 용례의 경우, 회전 가능한 롤러가 있는 일측부 상에만 위치 결정용 갭을 형성하고, 다른 측부 상의 박판 성형체를 고정된 상대 접촉면 위로 안내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Claims (11)

  1. 피복 및/또는 함침 대상 박판 성형체(F)의 제조와 동시에 피복물(B)을 도포하는 장치로서, 박판 성형체(F) 상에 피복물(B)을 도포하는 하나 이상의 도포 장치(2, 3)와, 피복 및/또는 함침 대상 박판 성형체(F)의 두께(D) 치수를 결정하는 치수 결정용 갭(10)을 구비하며, 상기 박판 성형체는 상기 치수 결정용 갭(10)을 통해 가동하고, 상기 치수 결정용 갭(10)의 폭(a)은 미리 결정될 수 있고, 상기 치수 결정용 갭(10)은 박판 성형체(F)에 대해 접촉면(12)으로 압박 가능한 하나 이상의 계량 롤러(11)와, 상대 접촉면(14)에 의해 형성되는 도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량 롤러(11)와 접촉면(12)에는 서로에 대한 거리(b)가 갭의 폭(a)보다 큰 측정면(16, 18, 28)이 매 경우에 배치되고,
    특히 계량 롤러(11)의 적어도 축방향의 일단부(15)에는 직경(d1)이 계량 롤러(11)의 접촉면(12)의 직경보다 작은 원통형의 측정면(16)이 마련되며,
    상기 도포 장치(1)는 상대 접촉면(18, 19)과 관련하여 정해진 측정면과 기준 측정면(18, 28) 사이의 거리(b)를 측정하는 측정 장치(1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접촉면은 제2 계량 롤러(13)로서 형성되고, 상기 기준 측정면은 직경(d1)이 제2 롤러(13)의 직경(d2)보다 작은 제2 원통형 측정면(18)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롤러(11, 13)는 박판 성형체(F)의 운동 방향(R)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측정면(16) 또는 원통형 측정면(16, 18)은 접촉면(12, 14)의 직경(d2)의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70%에 해당하는 직경(d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롤러(11, 13)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 계량 롤러(13)의 베어링(19)은 고정되며,
    상기 제2 계량 롤러(13)의 베어링(20)은 편심 주행을 보상하기 위해 박판 성형체(F)에 수직 방향(E)으로 다른 계량 롤러(13)에 대해 변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공압 실린더(21)가 있는 하나의 계량 롤러(11)는 다른 계량 롤러(13)에 대해 소정의 힘으로 압박될 수 있고,
    치수 결정용 갭(10)의 갭 폭(a)은 조정 장치(M, 22)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 실린더(2)의 힘으로 또는 그 힘에 저항하여 계량롤러(11, 13)를 이동시키기 위해 압전 소자(23)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계량 롤러(11, 13) 상에는 접촉면(12, 14)과 측정면(16, 18, 28) 사이에 하나 이상의 언더컷(2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 장치(17)는 하나 이상의 비접촉 센서, 특히 와전류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장치.
  10. 피복 및/또는 함침 대상 박판 성형체(F)를 특히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포 장치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피복 및/또는 함침 대상 박판 성형체(F)는 2개의 접촉면(12, 14) 사이의 조정 가능한 위치 결정용 갭(10)을 통해 안내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접촉면과 관련하여 정해진 측정면(16), 특히 원통형 접촉면(12)보다 직경(d1)이 작은 원통형 측정면과 제2 접촉면(14)과 관련하여 정해진 기준 측정면(18) 사이의 거리(b)를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에 따라 치수 결정용 갭(10)의 폭(a)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면(16)과 기준 측정면(18) 사이의 거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27012295A 2000-03-20 2001-03-19 피복물 도포 장치 및 방법 KR100600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105823.9 2000-03-20
EP00105823A EP1136137B1 (de) 2000-03-20 2000-03-20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tragen von Beschichtungs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389A true KR20020092389A (ko) 2002-12-11
KR100600547B1 KR100600547B1 (ko) 2006-07-13

Family

ID=8168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2295A KR100600547B1 (ko) 2000-03-20 2001-03-19 피복물 도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827785B2 (ko)
EP (1) EP1136137B1 (ko)
JP (1) JP2003528712A (ko)
KR (1) KR100600547B1 (ko)
CN (1) CN1227070C (ko)
AT (1) ATE399063T1 (ko)
DE (1) DE50015224D1 (ko)
ES (1) ES2312312T3 (ko)
WO (1) WO20010704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460B1 (ko) * 2007-01-26 2010-03-17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판상재의 도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4076B2 (ja) * 2007-04-03 2012-11-14 中外炉工業株式会社 基板の塗装装置および塗装方法
JP2012533431A (ja) * 2009-07-20 2012-12-27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医療器具コーティング・システム
CA3131967A1 (en) 2010-12-29 2012-07-05 F. Hoffman-La Roche Ag Small molecule conjugates for intracellular delivery of nucleic acids
US9841265B2 (en) * 2014-04-16 2017-12-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of measuring a gap between a first and second roll
EP3835698A1 (en) * 2019-12-12 2021-06-16 Andritz Gouda B.V. Double drum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DE102021115977A1 (de) 2021-06-21 2022-12-22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Imprägnieren einer Foli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ransdermalen therapeutischen Systems
CN113894967A (zh) * 2021-09-30 2022-01-07 宁波甬强科技有限公司 浸胶上布调节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7750A (en) * 1975-05-16 1976-10-26 Perfecto, Inc. Free standing strip oiler and feeder
CH688180A5 (de) * 1991-02-01 1997-06-13 Pechiney Rhenalu Messeinrichtung zur Walzspaltregelung.
DE4111255A1 (de) * 1991-04-08 1992-10-15 Wolfen Filmfab Ag Vorrichtung zur beidseitigen folienbahnbeschichtung
DE69307133T2 (de) * 1992-03-31 1997-04-24 Minnesota Mining & Mfg Riegelvorrichtung für einen walzenspalt
DE4241743A1 (de) * 1992-12-11 1994-06-16 Bhs Bayerische Berg Beleimungsvorrichtung für eine Wellpappen-Anlage
JPH0788412A (ja) * 1993-09-24 1995-04-04 Sumitomo Metal Ind Ltd コ−タロ−ル間隙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JPH10249402A (ja) * 1997-03-12 1998-09-22 Ono Roll Kk 圧延機
KR100266448B1 (ko) 1997-06-26 2000-09-15 박종헌 식물세포 배양 중의 온도변화에 의한 택솔의 대량생산 방법
EP1000668A1 (de) 1998-11-12 2000-05-17 Solipat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tragen von Beschichtungsmaterial beim Herstellen beschichteter und/oder imprägnierter Flächengebil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460B1 (ko) * 2007-01-26 2010-03-17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판상재의 도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7070C (zh) 2005-11-16
US20030180443A1 (en) 2003-09-25
EP1136137A1 (de) 2001-09-26
DE50015224D1 (de) 2008-08-07
KR100600547B1 (ko) 2006-07-13
WO2001070415A1 (de) 2001-09-27
ATE399063T1 (de) 2008-07-15
WO2001070415A9 (de) 2002-07-18
EP1136137B1 (de) 2008-06-25
JP2003528712A (ja) 2003-09-30
ES2312312T3 (es) 2009-03-01
CN1418132A (zh) 2003-05-14
US6827785B2 (en) 2004-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0547B1 (ko) 피복물 도포 장치 및 방법
US473277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hickness of coatings on paper or other materials
FI119260B (fi) Menetelmä mittauslaitteiston kalibroimiseksi ja mittauslaitteisto
US7999561B2 (en) Resin impregnated amount measuring method and resin impregnated amount measuring device in filament winding molding
US9545779B2 (en) Device for producing a web of corrugated cardboard that is laminated on at least one side
RU272113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несения клея на пленку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многослойной пленк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этого устройства нанесения
WO1993020275A1 (en) Roll gap controller
US20060081179A1 (en) Device,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essing two axis-parallel rollers approachable to one another in a device for producing and/or treating a web of material
KR20110016495A (ko) 롤식 코터장치 및 도장 금속띠의 제조방법
US50284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ating a thin film web by use of a plurality of pads facing an orifice
JP6728740B2 (ja) 両面塗工装置および塗膜付きウエブの製造方法
US38570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thickness of a coating on a substrate
JP5023335B2 (ja) ダイ、ダイ方式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USRE33741E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oatings on paper or other materials
TW497992B (en) A device and a method for depositing coating materials
FI94908C (fi) Laite kappaleiden muodon ja/tai muotovirheiden mittaamiseksi
KR20220102243A (ko) 전지 제조용 코팅 롤의 진원도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KR102129193B1 (ko) 압연 장치 및 압연 장치의 개조 방법
JP2004156931A (ja) 隙間調整方法及び装置
KR100355965B1 (ko) 필라멘트 와인딩용 수지함침 장치
JP6769224B2 (ja) 塗布ヘッド、塗布装置および塗布ヘッドの調整方法
US20080105027A1 (en) Apparatus for reducing the friction between two bodies
FI113697B (fi) Järjestelmä ja menetelmä nipin paineen ja/tai painejakauman mittaamiseksi paperikoneessa tai vastaavassa, sekä järjestelmän käyttö
JP4619741B2 (ja) 塗工用スロットダイおよび塗工用スロットダイのリップと塗工ロールとの隙間測定方法および隙間設定方法
FI121753B (fi) Menetelmä kaapimen tukilistan asettamiseksi ja kaavinasem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