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2321A - 다기능 콜센타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기능 콜센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2321A
KR20020092321A KR1020020070955A KR20020070955A KR20020092321A KR 20020092321 A KR20020092321 A KR 20020092321A KR 1020020070955 A KR1020020070955 A KR 1020020070955A KR 20020070955 A KR20020070955 A KR 20020070955A KR 20020092321 A KR20020092321 A KR 20020092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ustomer
call center
gis
vp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우
박현수
권육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파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파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파워텍
Priority to KR1020020070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2321A/ko
Publication of KR20020092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232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1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 H04M3/5183Call or contact centers with computer-telephon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규모 기업체에서 실행되고 있는 기존의 콜센터 시스템에 있어서 CTI(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와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이용하여 호처리, 음성신호처리, ARS(Auto Response System), 지역 데이터베이스 구축, 지역 및 속성자료의 통합 해석, 실시간 Query등을 실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저가의 국산 unPBX에 접목하여 전통적인 PBX Solution 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콜센타를 구축하여, 중소기업 및 소규모자영업자들이 사용함에 있어 고객의 주문전화를 통해 위치정보를 자동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정보관리가 가능토록 하여 영리활동에 필요한 마케팅정보시스템을 보다 쉽고 저렴하게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콜센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콜센타 시스템{The functional Call center system}
본 발명은 기존의 콜센타 시스템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unPBX시스템과 소규모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여 기존 콜시스템의 프론트 엔드에 CTI를 이용한 고객 위치정보 추출자동화 시스템을 더하고 백엔드에 지번도를 이용한 고객위치 표시 시스템을 추가하여 중소기업이나 소규모 자영업자들이 이용하기 쉬운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서 적은 비용으로 첨단 기술을 활용한 마케팅정보 시스템을 활용 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콜센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있어서 CTI를 이용한 주소정보검색시스템은 초기 구축 비용이 고가이며, 구축 후 사용료도 중소기업이나 소규모자영업자들이 이용하기에는 부담스러운실정이며, 주로 대규모 콜센터나 소방본부 및 경찰청과 같은 사회 안전망 시스템 등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관련 기술들을 살펴보면, 특허 출원번호 1020010003440은 통합형 인터넷 콜센터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신 시스템에 관련되며 좀 더 특정하게는 인터넷 통합형 콜센터에 관련된다. 기존의 공중전화망을 이용하는 CTI 장비의 구성을 그대로 활용하여 인터넷 콜 센터를 구축할 수 있다. 고객의 컴퓨터가 상담을 원할 경우 인터넷 홈페이지 상에서 링크를 클릭하면 동기화된 브라우저 프로그램이 구동되며 이 프로그램은 호 제어 서버(call control server)로부터 상담원 컴퓨터의 인터넷 주소 및 구내 전화 교환기(PBX) 앞단에 연결된 게이트웨이의 인터넷 주소를 획득한다. 이 프로그램은 먼저 게이트웨이의 IP를 이용하여 게이트웨이로 접속하여, 게이트웨이로 특정 상담원이 가지고 있는 전화기의 내선 번호로 호 설정(call setup)을 요청하고, 이는 PBX에 전달된다. 상담원이 수화기를 들면 음성 통화가 이루어진다. 동시에 고객의 동기화된 브라우저 프로그램이 상담원 컴퓨터에게 동기화된 브라우징을 요청하여 상담원 컴퓨터가 이를 수락하여 제어함으로써 두 컴퓨터간에는 동기화된 브라우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다른 특허출원번호 1020000076344는 발신자의 인명 및 위치정보를 포함한 발신자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화를 건 발신자의 전화번호 정보를 CTI부로 전송하고, 발신자의 전화번호, 인명 및 위치정보를 발신자 아이디 송신부로 전송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발신자의 전화번호 정보를 수신하여상기 전화번호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로 인터넷을 통해 전송해 발신자의 인명 및 위치정보를 요구하고,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인명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CTI부; 가입자의 전화번호에 따른 위치 및 인명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CTI부로부터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발신자의 인명 및 위치정보 요구를 받을 경우, 상기 수신한 전화번호에 따른 발신자의 인명 및 위치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CTI부로 전송하는 정보 제공 서버;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발신자의 전화번호, 인명,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변환하고, 변환된 정보를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발신자 아이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관련 기술이 있으나, 상기 언급한바와 같이 고가의 장비를 이용한 선택의 폭이 좁은 단점이 있으며, 관련기술을 보다 체계화하여 실용성이 우수한 결합된 기술을 적용하여 효율적인 콜센터의 운영시스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일소키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콜센터 구축의 핵심이 되는 기술인 CTI관련 기술과 GIS관련 기술을 대규모 콜 센터나 사회안전망시스템(경찰본부, 소방본부 등)과 비교하여 저렴한 unPBX와 소규모의 데이터베이스을 이용 시스템화하여 중소기업이나 소규모 자영업자들이 고객의 주문전화를 통해 위치정보 등의 정보를 자동 획득하여 마케팅정보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다기능 콜센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기술적 과제를 두고 창안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대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전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진행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진행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진행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15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17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
1 : 획득부2 : 지역 데이터베이스
3 : 소프트웨어부4 : 제어부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대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전체 흐름도이고, 도 3,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흐름도이고, 도 5,6,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진행상태도이고, 도 8,9,10,11,12,13,14,15,16.17.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로서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다기능 콜센터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CTI관련기술을 이용하여 고객들에게 다양한 CTI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의 전화번호를 식별하여 획득하는 획득부(1)와,
전화국에서 발행한 전자 전화번호부CD등을 이용 수시로 업데이트를 하여 전화번호별 지리적위치 등의 데이터를 구축하여 두는 지역 데이터베이스(2)와,
GIS 정보를 맵핑시켜서 단순한 주소 정보뿐만 아니라 위치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고, 지역의 GIS(지리정보 시스템)의 정보를 이용하여 중소규모 서비스업체의 물류/운송진행사항 등의 고객주문정보 처리할 수 있는 소프트워어부(3)와
획득부(1)를 통하여 획득한 전화를 한 고객의 전화번호(ANI)를 지역데이터베이스(2)로 보내어 고객의 지역등록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소프트웨어부(3)를 통하여 검출된 고객 주소 정보를 활용하여 마케팅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4)로 구성된다.
상기의 본발명 시스템의 구성을 통한 지역 데이터베이스(2)(Local DataBase) 및 분산 DB를 이용한 신규/등록 고객의 전화번호 추출과 지역데이터베이스(2)의 고객의 지역 정보를 이용한 소프트웨어부(3)를 통한 GIS 자동 맵핑의 과정을 도 3,4를 참고로 살펴보면, 지역 데이터베이스(2)의 이용은 호 도착시 고객의 전화번호 정보를 교환기로부터 생성시킨 후 자체 지역 데이터베이스(2)를 검색한 결과인 고객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전화 고객 정보를 이용한다. 지역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전화국에서 발행한 전자 전화번호부 CD를 이용하여 구축하여 수시로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GIS와 고객전화번호정보정보 이용은 고객전화번호 정보를 기반으로 추출한 고객위치정보(ALI)를 얻은 후 이를 GIS시스템과 연계하여 보다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한다. 추출된 고객위치정보(ALI)를 이용해서 GIS DB의 위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고객의 위치 정보를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지역 데이터베이스(2)는 전화국의 주소 정보이용이 전화국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비용절감을 효과를 얻을 수도 있으며, 지역 데이터베이스(2) 구축은 DBMS를 이용하여 로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함으로써 전화국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지 않고도 값싸고 빠르게 고객의 주소 정보를 획득할 수 도 있다. 단, 지속적이고 빠른 자료의 갱신이 필수적인 요건이며, 로컬에서 실패했을 경우 웹을 통하여 본사의 중앙 DB에 접속한 후 검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소프트웨어부(3)에서는 GIS 정보를 맵핑시켜서 단순한 주소 정보뿐만 아니라 위치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서비스의 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지역의 지리정보 시스템의 정보를 이용하여 중소규모 서비스 업체의 물류/운송시스템 구축한다.
상기의 본발명 시스템의 하드웨어적인 구성을 통한 실시과정을 살펴보면, 본발명의 획득부(1)과 제어부(4)에 있어서 VPM보드1개를 팬티엄4 PC에 장착하여 고객아이디(이하 CID)를 추출한 후 CID를 이용하여 로컬 데이터베이스에서 주소 정보를 찾고 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그러므로 값비싼 교환기를 사용하지 않고 저가의 UNPBX보드를 이용 중소 규모의 업체의 경쟁력 제고를 기할 수 있다. 코드는 C++Builder 4를 사용하여 프로그래밍을 하였으며 로컬 데이터베이스(3) 테이블로 Paradox 7을 사용하였다.
실시 사용예를 보이기 위해 전화번호와 이름 그리고 주소 등의 필드 값을 가지는 데이터 1000여개를 입력하였다.
도 5,6,7을 참고로 하여 먼저 VPM보드의 configuration 창이 아래에 있다. VPM보드 1개가 등록된 보드로 나타난다. 하드웨어를 초기화시키려면 SmartDev Service관리자를 사용하여 자동 시작이나 수동 시작을 선택하여 실행시키면 서비스가 시작된다. 만약 서비스가 정상적이지 못할 경우 도7과 같은 메시지가 나타난다.
획득부(1)에서의 CID획득 과정을 살펴보면,
1. 채널 오픈. 디바이스 핸들을 chdev구조체에 할당한다.
2. 채널에 있는 톤을 지운다
3. BUSY Tone세팅
4. 채널에 톤 할당.
5. ring wait.
6. (ring 울리면)Caller ID는 1번째 Ring다음에 검출된다.vpm_getevt()
7. 실제 Caller ID를 가져온다. vpm_gtcallid()
8. CID를 이용하여 주소정보를 찾는다. SearchCid();
9. 전화를 받는다. vpm_wtring()
1~9의 진행을 통하여 코딩한 부분으로 vpm_gtcallid()를 사용하여 CID를 획득 가능하다.
//Caller ID 관련함수
// 1. vpm_gtcallid() : Caller ID 만 가져옴 //
// 2. vpm_gtextcallid() : 수신된 메시지가 MDM인 경우 //
// 3. vpm_wtcallid() :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기능으로 다음의 //
// 함수들을 포함한다. //
//1) vpm_setevtmsk()
//
//2) vpm_getevt()
//
//
//3) vpm_gtcallid()
//
// 4. vpm_sendcid() : spm Board로 전송하는 경우 사용한다. //
//////////////////////////////////////////////////////////////
#include <stdio.h>
#include <conio.h>
//#include "afxmt.h"
#include "Srllib.h"
#include "smartsdk.h"
#include "fcntl.h"
#define MAXCH16
void ArsService(int ch);
int chdev[MAXCH];
TfrmCidMain *frmCidMain;
//------------------------------------------------------------------------
__fastcall TfrmCidMain::TfrmCidMain(TComponent* Owner)
: TForm(Owner)
{
// GridFlag = 1;
NewFlag = 0;
}
//------------------------------------------------------------------------
//대기 상태로
void __fastcall TfrmCidMain::mnuWaitStatusClick(TObject *Sender)
{
NewFlag = 0;
frmCidMain->Caption = " 경동 파워텍 CID 서비스 대기상태";
frmCidMain->WindowState = wsMinimized;
ArsService(0);// 1개 채널만
}
//------------------------------------------------------------------------
void ArsService(int ch)
{
int ret;
char dev[10];
memset(dev,0,10);
sprintf(dev, "vpmB%dC%d",(ch/16)+1, (ch%16)+1);
// 채널 오픈. 디바이스 핸들을 chdev구조체에 할당한다.
if((chdev[ch] = vpm_open(dev, NULL)) == -1){
printf("\n board open error : %s", dev);
return;
}
//printf("\n channel open = %s", dev);
frmCidMain->Label1->Caption = " channel open = ";
frmCidMain->Label2->Caption = dev;
// 채널에 있는 톤을 지운다.
ret = vpm_deltones(chdev[ch]);
// BUSY Tone세팅
ret = vpm_blddtcad(100, 480, 50, 620, 50, 50, 10, 50, 10, 3);
// 채널에 톤 할당.
ret = vpm_addtone(chdev[ch], NULL, 100);
ret = vpm_blddtcad(101, 300, 50, 700, 50, 50, 10, 50, 10, 3);
ret = vpm_addtone(chdev[ch], NULL, 101);
int value = 1;
if( vpm_setparm(chdev[ch], VPMCH_CALLID, (void *)&value) < 0 ){
ShowMessage("vpm_setparm error");
//printf("vpm_setparm error\n");
}
value = 2;
if( vpm_setparm(chdev[ch], VPMCH_RINGCNT, (void *)&value) < 0){
ShowMessage("vpm_setparm error");
printf("vpm_setparm error\n");
}
if( vpm_setevtmsk(chdev[ch],DM_RINGS) == -1)
{
ShowMessage("Error handling vpm_setparm error");
//Error handling
}
vpm_sethook(chdev[ch], DX_ONHOOK, EV_SYNC);
vpm_sethook(chdev[ch], DX_OFFHOOK, EV_SYNC);
vpm_sethook(chdev[ch], DX_ONHOOK, EV_SYNC);
//printf("\n ring wait.. %d ch \n", chdev[ch]);
frmCidMain->Label1->Caption = " ring wait.. ";
frmCidMain->Label2->Caption = chdev[ch];
char buffer[256];
memset(buffer,0,sizeof(buffer));
String s;
int i,cid;
int WaitRing;
DX_EBLK eblk; WaitRing = 1;
while (WaitRing){
//Caller ID는 1번째 Ring다음에 검출된다.
if(vpm_getevt(chdev[ch],&eblk,-1) != -1){
if(eblk.ev_event == DM_RINGS){
printf("Ring event occurence.\n");
WaitRing = 0;
}
}
Sleep(10);
}
if( vpm_gtcallid(chdev[ch], buffer) < 0){//실제 CallerID를 가져온다.
printf("vpm_gtcaller ID Error\n");
}
else{
printf("Caller ID : %s\n", buffer);
frmCidMain->Label1->Caption = " ring detected...Caller ID : ";
i = 0;
while ( buffer[i] != '\v')
i = i +1;
i++;
frmCidMain->WindowState = wsMaximized;
frmCidMain->Label2->Caption = AnsiString(buffer+i);
SearchCid(AnsiString(buffer+i));
frmCustMain->Show();
}
if (vpm_wtring(chdev[ch],1,DX_OFFHOOK, -1) == -1){ //전화를 받는다.
printf("\n dl_wtrng error");
return;
}
printf("\nOFFHOOK %dch \n", chdev[ch]);
//#endif
획득부(1)를 통하여 획득된 CID를 이용하여 제어부(4)를 통해 로컬의 데이터베이스(2)에서 주소 정보를 찾는 과정을 도8,9,10,11을 통하여 살펴보면, 우선 CID와 같은 전화 번호가 있으면 "고객입니다."라는 메시지가 나타나지만 그렇지 않으면 본사의 웹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찾고 여기에도 없으면 새로운 고객이므로 "새로운 고객입니다. 등록하십요"라는 메시지가 나타난다. 도9는 웹에서 고객의 정보를 찾고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CID를 가진 서블릿을 이용하여 본사의 전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고객을 찾는 것이다. 만약 웹에서도 고객의 CID가 없다면 새로운 고객으로 로컬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을 하면 된다. 그리고 CID와 같은 전화 번호가 있을 경우 즉, 고객일 경우는 고객의 정보가 나타나며 '주문'메뉴를 선택하여 주문을 받을 수 있는 상황으로 넘어간다. 그러나 새로운 고객일 경우는 고객의 전화 번호를 자동 입력하고 주소와 성명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모드로 전환이 이루어진다. 새로운 고객의 자료를 입력하였거나 기존의 고객의 자료에 대한 수정을 하였을 경우 '완료'버튼을 눌러 모든 작업을 마친다. 도14,15에 도시된바와 같이 시스템 사용자는 이러한 주문데이터를 이용하여서 지역별 또는 상품별 주문 통계를 산출하여 마케팅자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void SearchCid(String Cid)
{
DataModule1->Table1->First();
frmCidMain->WindowState = wsMinimized;
while (( !DataModule1->Table1->Eof)
&& (DataModule1->Table1->FieldByName("Tel")->AsString != Cid)) {
DataModule1->Table1->Next();
if ( DataModule1->Table1->FieldByName("Tel")->AsString == Cid){
frmCustMain->WindowState = wsNormal;
NewFlag = 0;
ShowMessage("고객입니다.");
}
}// end of while
if ( DataModule1->Table1->Eof){
ShowMessage("새로운 고객입니다. 등록하십시요.");
NewFlag = 1;
DataModule1->Table1->First();
frmCustInput->Show();
NewTelNum = Cid;
frmCustInput->WindowState = wsNormal;
}
}
void __fastcall TfrmCustInput::bitAppendClick(TObject *Sender)
{
int custno,len,p;
String scustno;
char temp[8];
Mode = APPEND;
DataModule1->Table1->Last();
custno = StrToInt(DataModule1->Table1->FieldValues["CustomNo"]);
DataModule1->Table1->Append();
scustno = IntToStr(custno + 1);
len = scustno.Length();
for ( p = 0; p <= 7 - len; p++)
temp[p] = '0';
temp[p] = NULL;
scustno = temp + scustno;
DataModule1->Table1->FieldValues["CustomNo"] = scustno;
dbtxtCustName->SetFocus();
if (NewFlag == 1 ) {
DataModule1->Table1->FieldValues["Tel"] = NewTelNum;
NewFlag = 0;
}
bitEdit->Visible = False;
bitCancel->Visible = False;
bitAppend->Visible = False;
}
void __fastcall TfrmCustInput::bitDoneClick(TObject *Sender)
{
if (Mode == APPEND ) {
DataModule1->Table1->Post();
Mode = NORMAL;
}
WindowState = wsMinimized;
frmCustMain->WindowState = wsNormal;
bitEdit->Visible = True;
bitCancel->Visible = True;
bitAppend->Visible = True;
}
획득부(1)를 통하여 획득된 CID를 이용하여 제어부(4)를 통해 로컬의 데이터베이스(2)에서 정보를 추출하여 소프트웨어부(3)를 통한 본발명 시스템의 응용 사례로 피자 음식업종을 선택하여 도 12,13을 참고로 살펴보면 시스템의 주 화면에서 '주문' 메뉴를 누르면 피자 주문 창이 나타나고, CID로부터 획득되어진 주소와 고객의 성명 그리고 전화번호가 기본적인 정보로 제공되어지면서 세트메뉴와 애피타이저와 샐러드 그리고 파스타를 선택할 수 있다. 모든 선택이 되어지면 주문완료를 선택하면 주문 내역이 나타나, CID획득에서부터 주문까지 처리가 완료되면, 소프트웨어부(3)에서는 고객의 주소 및 목적지 경로를 보여주는데, 도16,17,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Global Position에 의거 계산하고 경로의 총길이에 따라 표시 도엽 Scale 결정한 후 목적지 까지의 Routing 경로를 Path Information에 따라 계산하여 결정된 도엽을 화면에 출력하고, 목적지 및 계산 경로를 표시하여 주는 것이다. 즉, ALI 정보의 GIS Mapping과, 지역 데이타베이스(2)에서 획득한 ALI의 Latitude & Longitude 정보를 이용하여 Mapping하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주어진 경로 Algorithm을 사용해서 획득하는데 획득한 ALI의 공간 DB 탐색이 실패할 경우, 지명 및 번지에서 가장 근사치의 위치를 선정하고, 해당 위치를 기준으로 Path-Routing하는 것이다.
가. Road & Path Map : Vector Mapping
- 주요 경로와 도로별 가중치를 공간 DB에 Path로 저장
- 주어진 Position에서 가장 가까운 Path를 찾아낸 후, 해당 Path에서 목적지 까지 경로 계산
- 지역별 / 시간대별 혼잡구간 별도 설정(가중치 부여)
나. 공간 DB의 Positioning : Global latitude & longitude 사용
- 전체 공간 DB의 Position을 GPS대응 Global latitude & Longitude를 사용하여 저장
- 추후 GPS 엔진을 이용하여 이동형 서비스에 대응하도록 설계
다. 목적지에서 가장 가까운 Path 획득 알고리즘
#define DONT_INTERSECT0
#define DO_INTERSECT1
#define COLLINEAR2
#define SAME_SIGNS(a,b) {((long)((unsigned long) a ^ (unsigned long) b)) >= 0 )
int lines_intersect(x1, y1, x2, y2, x3, y3, x4, y4, x, y)
long x1, y1, x2, y2, x3, y3, x4, y4, *x, *y;
{
long Ax, Bx, Cx, Ay, By, Cy, d, e, f, temp, num, offset;
short x1lo, x1hi, x3lo, x3hi, y1lo, y1hi, y3lo, y3hi;
Ax = x1 - x1;
Bx = x3 - x4;
if(Ax < 0) {
x1lo = (short)x2;
x1hi = (short)x1;
} else {
x1hi = (short)x2;
x1lo = (short)x1;
}
if(Bx > 0) {
if(x1hi < (short)x4 || (short)x3 < x1lo) return DONT_INTERSECT;
} else {
if(x1hi < (short)x3 || (short)x4 < x1lo) return DONT_INTERSECT;
}
Ay = y2 - y1;
By = y3 - y4;
if(Ay < 0) {
y1lo = (short)y2; y1hi = (short)y1;
} else {
y1hi = (short)y2; y1lo = (short)y1;
}
if(By > 0) {
if(y1hi < (short)y4 || (short)y3 < y1lo) return DONT_INTERSECT;
} else {
if(y1hi < (short)y3 || (short)y4 < y1lo) return DONT_INTERSECT;
}
cx = x1-x3;
cy = y1-y3;
d = By * Cx - Bx * Cy;
f = Ay * Bx - Ax * By;
if(f>0) {
if(d<0 || d>f) return DONT_INTERSECT;
} else {
if(d>0 || d<f) return DONT_INTERSECT;
}
e = Ax * Cy - Ay * Cx;
if(f>0) {
if(e<0 || e>f) return DONT_INTERSECT;
} else {
if(e>0 || e<f) return DONT_INTERSECT;
}
if(f == 0) return COLLINEAR;
num = d*Ax;
offset = SAME_SIGNS(num, f) ? f/2 : -f/2;
*x = x1 + (num + offset) / f;
num = d*Ay;
offset = SAME_SIGNS(num, f) ? f/2 : -f/2;
*y = y1 + (num +offset) / f;
return DO_INTERSECT;
}
상기와 같은 방법과 구성으로 이루어진 다기능 콜센타 시스템을 통하여 중소기업 또는 자영업을 하는 사용자들이 마케팅상에 콜센타 시스템을 보다 저렴하게 도입하여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CTI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양질의 서비스 뿐 만 아니라 GIS를 통하여 관리자에게도 편의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 및 관리자 양측에 도움을 줄수있는 경제성 및 효율성을 갖춘 콜센터 시스템으로 과히 그 기대되는 효과가 큰 발명이라 하겠다.

Claims (3)

  1. 통상의 콜센타 시스템에 있어,
    CTI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의 전화번호를 식별하여 획득하는 획득부(1)와,
    지리적위치 등의 데이터를 구축하여 두는 지역 데이터베이스(2)와,
    GIS 정보의 맵핑과 고객주문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부(3)와
    고객의 전화번호(ANI)를 지역데이터베이스(2)로 보내어 고객의 지역등록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소프트웨어로 제어하는 제어부(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콜센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4)는 기존의 팬티엄4 PC에 VPM보드와 UNPBX보드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콜센타 시스템.
  3. 호 도착시 고객의 전화번호 정보를 교환기로부터 생성시킨 후 자체 지역 데이터베이스(2)를 검색한 결과인 고객의 위치 정보(ALI)를 이용해서 GIS DB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콜센타 시스템.
KR1020020070955A 2002-11-15 2002-11-15 다기능 콜센타 시스템 KR200200923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955A KR20020092321A (ko) 2002-11-15 2002-11-15 다기능 콜센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955A KR20020092321A (ko) 2002-11-15 2002-11-15 다기능 콜센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321A true KR20020092321A (ko) 2002-12-11

Family

ID=27729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955A KR20020092321A (ko) 2002-11-15 2002-11-15 다기능 콜센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23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810A (ko) * 2002-06-17 2003-12-31 주식회사 타스테크 업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939A (ko) * 2000-08-11 2000-11-06 박복수 업종별 대표전화번호를 이용한 소비자와 가맹점간의자동연결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05561A (ko) * 2001-12-21 2002-01-17 정경희 주문배달 사업장의 고객관리시스템
KR20020025907A (ko) * 2002-01-23 2002-04-04 주식회사 동일정보통신 다채널 발신자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객관리 시스템
KR20020027880A (ko) * 2000-10-05 2002-04-15 김환옥 온/오프라인에서의 콜센타 운영방법
KR20020076684A (ko) * 2001-03-30 2002-10-11 (주)위니텍 소방본부 긴급구조시스템의 신고전화 처리 프로세스와시스템의 부분장애를 허용한 이중화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939A (ko) * 2000-08-11 2000-11-06 박복수 업종별 대표전화번호를 이용한 소비자와 가맹점간의자동연결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27880A (ko) * 2000-10-05 2002-04-15 김환옥 온/오프라인에서의 콜센타 운영방법
KR20020076684A (ko) * 2001-03-30 2002-10-11 (주)위니텍 소방본부 긴급구조시스템의 신고전화 처리 프로세스와시스템의 부분장애를 허용한 이중화 장치
KR20020005561A (ko) * 2001-12-21 2002-01-17 정경희 주문배달 사업장의 고객관리시스템
KR20020025907A (ko) * 2002-01-23 2002-04-04 주식회사 동일정보통신 다채널 발신자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객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6810A (ko) * 2002-06-17 2003-12-31 주식회사 타스테크 업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8537B2 (en) 911 location updating for an enterprise using VOIP telephones
US6985744B2 (en) Cellular phone and a base station thereof
CN1197273C (zh) 初始化进行调度呼叫的移动通信设备的方法
US74334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ewing contents via a computer network during a telephone call
NO20016359D0 (no) Telefondomenenavn
JP2003051883A (ja) 電気通信システムと接続確立方法
JPH06269044A (ja) 地域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
KR100407174B1 (ko) 불완전 호에 대한 발신자 번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WO2008130265A1 (fr) Procédé d&#39;entrée et de recherche d&#39;informations sur un objet dans une base de données distante
US6754317B1 (en) Telephony access using an email address
US20020022492A1 (en) Communication system
CN103369492A (zh) 一种基于智能手机提供远程服务的方法和系统
KR100722564B1 (ko)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92321A (ko) 다기능 콜센타 시스템
WO2007091260A1 (en) Short-code dialling where the full telephone number is returned from a server to a terminal
US5948071A (en) System converting a request message using computer protocol to telephone communication protocol for accessing telephone directory assistance information without assistance from an operator
CN101742486B (zh) 标签通信方法及支持该通信方法的手机和系统
BG1710U1 (bg) Система за улеснено телефонно избиране и свързване на телефонни абонати посредством модул-указател и модул за звуково разпознаване
US8320541B2 (en) Transfer of call information
KR100846539B1 (ko) 클릭콜 서비스를 이용한 인터넷 콜 센터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CA2435966C (en) Display device
KR101083089B1 (ko) 차세대통신망을 이용한 위치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88715A (ko) 유무선 통신망을 통한 위치정보 송수신 서비스 방법
KR100462023B1 (ko) 개방형 지능망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JP3073407U (ja) 情報発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