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0248A - 간세포 보호 및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나타내는파슬리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간세포 보호 및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나타내는파슬리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0248A
KR20020090248A KR1020010029197A KR20010029197A KR20020090248A KR 20020090248 A KR20020090248 A KR 20020090248A KR 1020010029197 A KR1020010029197 A KR 1020010029197A KR 20010029197 A KR20010029197 A KR 20010029197A KR 20020090248 A KR20020090248 A KR 20020090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sley
liver
extract
group
ethanol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9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동환
김윤철
이병훈
Original Assignee
손동환
김윤철
이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동환, 김윤철, 이병훈 filed Critical 손동환
Priority to KR1020010029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0248A/ko
Publication of KR20020090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024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세포 보호 및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나타내는 파슬리 (Petroselinum cryspum[Mill.])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세포 보호 및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파슬리 추출물은 우수한 간 보호작용을 나타내면서도 인체에 안전하여 간세포 보호 및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간세포 보호 및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나타내는 파슬리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EXTRACT OF PETROSELINUM CRYSPUM (MILL.) HAVING LIVER CELL PROTECTIVE EFFECT AND LIVER INJURY PREVENTIVE OR THERAPEUTIC EFFECT AND A COMPOSITION CONTAINING SAME}
본 발명은 간세포 보호 및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활성을 나타내는 파슬리 (Petroselinum cryspum[Mill.])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세포 보호 및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파슬리 추출물은 우수한 간 보호작용을 나타내면서도 인체에 안전하여 간세포 보호 및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간은 인체 내 소화기계와 전신순환계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외부에서 들어온 생체 외 물질로부터 전신을 방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생체 내로 들어온 생체 외 물질은 일단 간을 통과하게 되므로 간은 영양소 이외에도 많은 독성물질에 노출될 위험이 다른 장기보다 많아 그만큼 손상될 확률도 매우 높다. 간은 재생능력이 우수한 장기로 약간의 손상이 있을 경우에는 충분히 정상으로 회복되지만, 손상이 지속될 경우에는 간 조직의 일부가 완전히 파괴되고 간 기능도 저하되는 등 정상간으로의 회복이 어려운 상태가 된다. 이러한 간 손상이 만성화되면 그 원인에 상관없이 간 섬유화 또는 간경화, 간암으로 진행된다. 간 섬유화, 간경화, 간암 등은 현재 뚜렷한 치료제 및 치료법이 없는 질환으로 그 사망률 또한 높은 질환이다. 그러므로 간 손상이 만성화되기 전에 이러한 간 손상을 예방 및 치료하는 것이 간 섬유화, 간경화 또는 간암으로의 진행을 억제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간 질환 치료제로는 대표적으로 실리마린 (silymarin)과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DDB)가 있다. 실리마린은 엉겅퀴 (Silybum marianum)의 씨로부터 추출 분리하여 신약화한 제제이며 DDB는 1980년도부터 중국의 중약연구소 (베이징 소재)에서 오미자 (Schizandra chinensis)로부터 분리되어 유사한 구조로 합성된 제제로서 현재 국내 임상치료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급성 간 질환의 경우 휴식과 고단백질 식이 및 비타민류를 충분히 공급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며, 간에 부담이 되는 약물요법은 오히려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실리마린, DDB 등의 약물은 예방제의 개념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치료제의 개념으로, 즉 간염 치료의 필요성이 있을 경우에만 사용되고 있다.
간은 침묵의 장기로 질환 초기에는 자각증상이 없고 간 손상 정도가 심한 정도에 이르러서야 자각증상이 나타남으로써 간 질환의 조기 발견은 그만큼 어렵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평상시 용이하게 섭취하여 간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간 손상을 치료할 뿐 아니라 예방할 수 있는 천연 물질을 찾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사염화탄소 (CCl4)는 간에 독성을 주는 표본물질로서 간세포 배양, 간 박편 (slice) 배양 그리고 마우스나 래트에 직접 투여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간 독성을 연구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사염화탄소는 간에서 복합적인 기능을 하는 시토크롬 (cytochrome) P450과 같은 대사효소에 의해 대사되어 매우 반응성이 강한 자유 라디칼인 CCl3와 Cl을 형성하게 되고 자유 라디칼인 CCl3은 축적된 간 중성지방이나 막 인지질에 있는 지방산의 산화를 유발시켜 지질의 산패를 일으켜 산소와 결합한 후 지질 과산화 작용을 통하여 유기 과산화물을 형성한다. 이어서 지질 과산화작용을 통하여 간장에 지방이 축적되고, 단백질 합성능력은 감소하게 되어 글리코겐이 분해되고 혈관내의 세포질 효소들이 파괴되어 간조직의 괴사가 일어난다 (Recknagel, R. O., et al.,Pharmacol. Rev., 19:145-208, 1967; Chang, I. M., et al.,Drug and chemical toxicology, 6(5):443-453, 1983).
한편, 파슬리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유럽 남동부와 아프리카 북부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다. 포기 전체에 키니네의 대용품으로 사용하는 아피올이 들어 있어 독특한 향기가 나므로 요리·수프·소스·샐러드·튀김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인들은 향미료 외에 화환에도 사용하였으며, 이것을 먹으면 식중독을 예방한다고 믿었다. 비타민 A와 C, 칼슘과 철분도 많이 함유하고 있다 (두산세계대백과사전).
이에 본 발명자들은 섭취가 용이하고 인체에 안전하며 간 손상을 치료할 뿐 아니라 예방할 수 있는 천연 물질을 찾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식용으로 사용되는 파슬리 (Petroselinum cryspum[Mill.]) 추출물이 우수한 간 보호작용을 나타내면서도 인체에 안전하여 간세포 보호 및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섭취가 용이하고 인체에 안전하며 간 손상을 치료할 뿐 아니라 예방할 수 있는 천연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세포 보호 및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간 보호작용이 우수하고 생체 안전성이 뛰어난 파슬리 (Petroselinum cryspum[Mill.])의 저급 알콜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파슬리의 저급 알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세포 보호 및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은 간 보호작용이 우수하고 생체 안전성이 뛰어난 파슬리 (Petroselinum cryspum[Mill.])의 저급 알콜 추출물을 제공한다.
상기 파슬리 추출물은 파슬리로부터 저급 알콜을 이용하여 통상의 추출방법으로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저급 알콜 추출방법은 건조시킨 파슬리 지상부에 1 내지 10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배의 저급 알콜을 가하고 6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로 가열하면서 1 내지 12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시간 동안 환류하고 냉각 및 여과한 후 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하여 점조성의 파슬리 저급 알콜 추출물을 얻으며, 이때 여과 후 남은 잔사에 대하여 여과 과정을 2회 이상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추출용매인 저급 알콜로는 메탄올, 메탄올 수용액, 에탄올, 에탄올 수용액,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60 내지 80%의 에탄올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80%의 에탄올을 사용하여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추출방법에 의해 파슬리로부터 추출된 저급 알콜 추출물이 간세포 보호작용 및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나타내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동물실험과 세포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간 손상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사염화탄소 유도법 (Aniya, Y., et al.,Biol. Pharm. Bull., 23(3): 309-312, 2000)을 사용하였는데, 사염화탄소를 처리하여 급성 간 손상이 유발된 흰쥐에 파슬리의 에탄올 추출물을 투여하고, 혈청 중 ALT (알라닌 트랜스아미나제; Alanine transaminase), AST (아스파르테이트 트랜스아미나제; Aspartate transaminase) 양을 측정함으로써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의 간 보호효과를 측정하였다. 또한, 정상흰쥐에서 분리한 간세포에서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세포 손상 시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후 간세포 배양액 내 AST 양을 측정함으로써 간세포 보호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본 발명의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은 정상군에서는 고농도에서도 간 독성을 유발하지 않으며,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 손상이 유발된 실험군에서는 간 손상을 예방 및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파슬리의 저급 알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세포 보호 및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우수한 간 보호작용을 나타내면서도 인체 안전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입증된 본 발명의 파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은 간세포 보호 및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임상 투여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대체 치료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약학 조성물은 실제 임상 투여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파슬리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대체 치료,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슬리 추출물의 통상적인 1일 투여량은 1 내지 2000 ㎎/㎏,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 ㎎/㎏ 체중의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활성 성분의 실제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파슬리 추출물의 제조
농협 (전북 전주 소재)에서 구입한 파슬리 (Petroselinum cryspum[Mill.])를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김윤철 교수로부터 확인 검증하여 본 발명에 사용하였다. 건조하여 얻은 파슬리 지상부 228.1 g에 3ℓ의 80% 에탄올을 가하고 90℃로 가열하면서 3시간 동안 환류하고 냉각 및 여과한 후 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하여 점조성의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 35.8 g을 얻었다.
<실시예 2>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의 간 손상 예방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파슬리의 에탄올 추출물의 간 손상 예방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동물실험을 수행하였다. 우선, 체중 22 내지 25 g의 웅성 생쥐 (대한 실험동물센터; 충북 음성)를 1주간 실험실 환경에 적응시키고, 사료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면서 사육하였다.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을 생리식염수에 용해시켜 생쥐에 3일간 손데 (sonde)를 사용하여 경구 투여한 후 사염화탄소를 옥수수기름에 0.05 ㎖/㎏ 농도로 혼합하여 생쥐에게 1회 복강 내 주사하였다. 각 군과 실험동물의 수는 하기와 같다.
1군 (n=6) 생리식염수 투여군 (정상군)
2군 (n=6)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 (100 ㎎/㎏/day, p.o.)
3군 (n=6)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 (500 ㎎/㎏/day, p.o.)
4군 (n=6)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 (1000 ㎎/㎏/day, p.o.)
5군 (n=8) 생리식염수 투여 후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 손상 유발군
6군 (n=8)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 투여 (100 ㎎/㎏/day, p.o.) 후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 손상 유발군
7군 (n=8)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 투여 (500 ㎎/㎏/day, p.o.) 후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 손상 유발군
8군 (n=8)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 투여 (1000 ㎎/㎏/day, p.o.) 후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 손상 유발군
1군과 5군은 대응량의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이고 다른 군들은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을 손데를 이용하여 경구투여한 실험군이다. 3일간 추출물을 투여하고 마지막 경구투여 후 1시간이 경과한 뒤 1 내지 4군에는 대응량의 옥수수기름 (동방유량 제품)을, 5 내지 8군은 옥수수기름에 혼합한 사염화탄소를 1회 복강 내 주사하였다. 이로부터 24시간 경과한 후 생쥐의 경동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고, 상온에서 1시간 이상 방치한 뒤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얻었으며, 실험 전까지 혈청은 영하 20℃에서 보관하였다.
혈청 중 ALT 및 AST 수치는 일본 ARKRAY사의 스포트켐 자동분석기 Ⅱ (Spotchem SP4410,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표 1에 나타내었다.
군번호 ALT(IU/L) AST(IU/L) 군번호 ALT(IU/L) AST(IU/L)
1 30±14 169±84 5 6393±1454 3014±985
2 30±15 163±71 6 5734±1974 3019±807
3 30±8 157±68 7 3053±942 1115±411
4 29±14 160±78 8 2870±1031 1088±416
상기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은 1000 ㎎/㎏/day의 투여량까지 간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2 내지 4군)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이 투여되지 않은 대조군 (5군)에서는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 손상이 유발되어 ALT 및 AST 수치가 각각 6393±1454 IU/L 및 3014±985 IU/L까지 현저하게 증가한 반면,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이 500 ㎎/㎏/day 농도 이상 투여된 실험군 (7 및 8군)에서는 사염화탄소 투여 후에도 ALT 및 AST 수치가 대조군의 50% 및 30% 정도밖에 증가하지 않아 본 발명의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이 생체 안전성이 우수하면서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 손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의 간 손상 치료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체중 22 내지 25 g의 웅성 생쥐 (대한 실험동물센터; 충북 음성)를 1주간 실험실 환경에 적응시키고, 사료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면서 사육하였다.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의 간 손상 치료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염화탄소를 옥수수기름에 0.05 ㎖/㎏ 농도로 혼합하여 생쥐에게 1회 복강 내 주사하였다. 이로부터 30분 경과 후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을 생리식염수에 용해시켜 생쥐에 손데를 사용하여 1회 경구투여하였다. 각 군과 실험동물의 수는 하기와 같다.
1군 (n=6) 옥수수기름 주사 후 생리식염수 투여군 (정상군)
2군 (n=8) 사염화탄소 주사 후 생리식염수 투여군
3군 (n=8) 사염화탄소 주사 후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 (100 ㎎/㎏)
4군 (n=8) 사염화탄소 주사 후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 (500 ㎎/㎏)
5군 (n=8) 사염화탄소 주사 후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 (1000 ㎎/㎏)
1군에는 대응량의 옥수수기름을, 2 내지 5군에는 옥수수기름에 혼합한 사염화탄소를 1회 복강 내 주사하고 30분이 경과한 후 1, 2군은 대응량의 생리식염수를, 다른 군들은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을 손데를 이용하여 1회 경구투여하였다. 사염화탄소를 주사하고 24시간 경과한 후 생쥐의 경동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고, 상온에서 1시간 이상 방치한 뒤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얻었으며, 실험 전까지 혈청은 영하 20℃에서 보관하였다.
혈청 중 ALT 및 AST 수치는 일본 ARKRAY사의 스포트켐 자동분석기 Ⅱ (Spotchem SP4410,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표 2에 나타내었다.
군번호 ALT(IU/L) AST(IU/L) 군번호 ALT(IU/L) AST(IU/L)
1 33±19 172±84 3 6836±1583 2949±594
2 6935±1710 3149±946 4 3189±962 1263±521
5 2996±1014 1194±623
상기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염화탄소 주사 후 생리식염수가 투여된 군 (2군)에서는 간이 손상되어 ALT 및 AST 수치가 각각 6935±1710 IU/L 및 3149±946IU/L로 정상군 (1군)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사염화탄소 주사 후 본 발명의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이 투여된 군 (3 내지 5군)에서는 ALT 및 AST 수치 증가량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이 1000 ㎎/㎏ 투여된 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57% 및 63% 감소된 ALT 및 AST 수치를 나타내어 본 발명의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이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 손상을 치료하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의 간세포 보호작용 측정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사육된 정상 흰쥐로부터 Seglen 등의 방법 (Seglen, P.O.,Methods Cell Biol., 13: 29-83, 1976)에 의해 간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간세포를 콜라겐 코팅된 24 웰 플레이트 (24 well plate)에 1 × 106세포/웰이 되도록 첨가하고 5% 이산화탄소가 공급되는 37℃ 배양기에서 3시간 동안 배양한 후 웰 플레이트를 HBSS로 세척하여 부착되지 않은 세포를 제거하고 16시간 동안 다시 배양하였다. 배양액은 10-8M 인슐린 (Insulin), 10% FBS, 10-6M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 페니실린 (Penicillin, 100 IU/㎖), 스트렙토마이신 (Streptomycin, 100 ㎍/㎖)을 함유한 윌리엄 배지 E (William's Media E, GibcoBRL)를 사용하였다.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세포 손상을 유발하기 위하여 5 mM 사염화탄소와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을 함유한 배양액으로 바꾼 후 1.5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배양액중의 AST치를 측정하였다. 이때, 사염화탄소는 에탄올을,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은 DMSO를 용매로 사용하였다. 각군의 배양액으로 분비된 AST 수치는 일본 ARKRAY사의 스포트켐 자동분석기 Ⅱ (Spotchem SP4410,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간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5 mM 사염화탄소와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을 함유한 배양액을 제거하고 HBSS로 세척한 후 0.5% MTT를 함유하는 배양액을 첨가한 다음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MTT 함유 배양액을 제거하고 DMSO를 첨가하여 살아있는 간세포에 의해 생성된 포마잔 (formazan)을 용해하여 550 ㎚ 파장에서의 흡광도 값을 구하였다. 각 군과 실험횟수는 하기와 같다.
1군 (n=4) 용매로 사용된 에탄올 (1%)과 DMSO (1%) 처리군 (정상군)
2군 (n=4) 에탄올 (1%)과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 (1 ㎎/㎖)
3군 (n=4) 에탄올 (1%)과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 (10 ㎎/㎖)
4군 (n=4) 에탄올 (1%)과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 (100 ㎎/㎖)
5군 (n=4) 에탄올 (1%)과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 (500 ㎎/㎖)
6군 (n=4) 에탄올 (1%)과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 (1000 ㎎/㎖)
7군 (n=4) 용매로 사용된 DMSO (1%)와 5 mM 사염화탄소 처리군
8군 (n=4) 5 mM 사염화탄소와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 (1 ㎎/㎖)
9군 (n=4) 5 mM 사염화탄소와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 (10 ㎎/㎖)
10군 (n=4) 5 mM 사염화탄소와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 (100 ㎎/㎖)
11군 (n=4) 5 mM 사염화탄소와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 (500 ㎎/㎖)
12군 (n=4) 5 mM 사염화탄소와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 (1000 ㎎/㎖)
상기와 같이 측정된 배양액 중 AST 수치와 생존율을 하기표 3에 나타내었다.
군번호 AST(IU/L) 생존율(%) 군번호 AST(IU/L) 생존율(%)
1 38±12 100±7 7 365±78 35±2
2 41±14 103±5 8 401±631 40±3
3 39±11 95±7 9 195±23 70±8
4 37±18 93±6 10 84±17 89±6
5 44±20 104±8 11 73±12 93±3
6 36±16 94±6 12 62±6 92±3
상기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은 1000 ㎎/㎖ 농도까지 간세포에 안전하게 작용하였다 (2 내지 6군). 한편, 사염화탄소만 처리된 간세포 (7군)의 AST 수치는 365±78 IU/L로 정상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하고 생존율은 35±2%로 현저하게 감소한 반면, 사염화탄소와 함께 본 발명의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이 동시에 처리된 간세포 (8 내지 12군)의 AST 수치는 훨씬 감소하여 1000 ㎎/㎖ 농도에서 대조군의 최고 84%까지 감소하였고 생존율 역시 60% 이상 증가하여 본 발명의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이 우수한 간세포 보호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급성독성 시험
생쥐를 대상으로 각 군당 10마리씩으로 이루어진 실험군 5군에 대하여 실시예 2의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을 1000 내지 6000 ㎎/㎏의 농도로 경구투여하고 7일간 관찰하여 최대 허용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표 4에 나타내었다.
군당 마리수 투여량 (㎎/㎏) 치사여부 최대허용량 (㎎/㎏)
생쥐 (Mouse) 10 1000 0/10 -
10 2000 0/10 -
10 3000 0/10 -
10 6000 0/10 6000 이상
대조군 10 0 0/10
상기표 4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파슬리 에탄올 추출물은 경구 투여시에 최대 허용량이 6000 ㎎/㎏ 이상으로 생체 안정성이 매우 높아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세포 보호 및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생체에 안전하게 투여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슬리 (Petroselinum cryspum[Mill.])의 에탄올 추출물은 우수한 간 보호작용을 나타내면서도 인체에 안전하여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은 간세포 보호 및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6)

  1. 파슬리 (Petroselinum cryspum[Mill.])의 지상부를 저급 알콜로 추출하여 얻어지고, 점조성이며, 간세포 보호 및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활성을 나타내는 파슬리 추출물.
  2. 제 1항에 있어서,
    저급 알콜이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슬리 추출물.
  3. 파슬리의 저급 알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세포 보효용 약학 조성물.
  4. 파슬리의 저급 알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저급 알콜이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6.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파슬리의 저급 알콜 추출물이 1 내지 2000 ㎎/㎏/일의 함량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010029197A 2001-05-26 2001-05-26 간세포 보호 및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나타내는파슬리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0200902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197A KR20020090248A (ko) 2001-05-26 2001-05-26 간세포 보호 및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나타내는파슬리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197A KR20020090248A (ko) 2001-05-26 2001-05-26 간세포 보호 및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나타내는파슬리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248A true KR20020090248A (ko) 2002-12-02

Family

ID=27706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197A KR20020090248A (ko) 2001-05-26 2001-05-26 간세포 보호 및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나타내는파슬리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02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248B1 (ko) 신생혈관형성 억제용 한약 조성물
KR20120003693A (ko) 적포도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0310979B1 (ko)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생약조성물
CN100389813C (zh) 一种抗氧化、防治老年性痴呆症的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KR100436428B1 (ko) 간세포 보호 및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나타내는연자육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040084168A (ko) 피니톨 또는 카이로이노시톨을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CN104474135A (zh) 一种对化学性肝损伤具有辅助保护功能的药物组合物
KR100733984B1 (ko) 한약재와 곤약을 이용한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치료 및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160108771A (ko) 능이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Mohammed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 of aqueous leaf extract of jute mallow corchorus olitorius on some biochemical parameters in alloxan-induced diabetic rats
KR20020090248A (ko) 간세포 보호 및 간 손상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나타내는파슬리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030001659A (ko)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102173882B1 (ko) 당귀 추출물, 천궁 추출물 및 작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간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06950B1 (ko)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강효과에 대한 조성물
KR100529991B1 (ko) 간염 치료제 및 예방제 또는 간보호제로 유용한 섬오갈피추출물
KR20020089817A (ko) 조혈기능 증진 및 방사선 방호용 생약추출물
KR100485936B1 (ko) 진세노사이드 Rh2 및 Rg3 항암 조성물
KR100679291B1 (ko) Hgd­sj­101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동맥경화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44755B1 (ko) 뇌졸중 또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26737A (ko) 발효울금 분말을 함유한 알코올성 간손상 보호용 조성물
KR100977583B1 (ko) 불미나리에서 간세포 보호 및 간손상 예방 효능을 갖는카페익산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건강지향식품
KR102210856B1 (ko) 장 누수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Ibrahim et al. The Bioactive Effects of Sesame Seeds on Atherosclerosis and Inflammation in Rats.
KR20070089434A (ko) 용아초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 바이러스성 간염 또는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식품조성물
KR100470976B1 (ko) 간염 치료제 및 예방제 또는 간보호제로 유용한 오갈피추출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