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9779A -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 및 그제어 방법과, 그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 및 그제어 방법과, 그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9779A
KR20020089779A KR1020010028671A KR20010028671A KR20020089779A KR 20020089779 A KR20020089779 A KR 20020089779A KR 1020010028671 A KR1020010028671 A KR 1020010028671A KR 20010028671 A KR20010028671 A KR 20010028671A KR 20020089779 A KR20020089779 A KR 20020089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user
bonus
bonus gam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8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광수
양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안다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안다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안다미로
Priority to KR1020010028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9779A/ko
Publication of KR20020089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977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5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to players
    • A63F13/88Mini-games executed independently while main games are being load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01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 A63F2009/2402Input by manual operation
    • A63F2009/2407Joysti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250/00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 A63F2250/14Coin operated
    • A63F2250/142Coin operated with pay-out or rewarding with a prize
    • A63F2250/148Enabling replay, e.g. giving a bonus b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임 실행에 필요한 지시 메시지를 표시하고 동전 및/또는 지폐 투입여부와 사용자가 설정하는 게임 제어 명령을 인식하여 지정된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키입력조건 및 로딩된 게임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하나의 게임 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게임을 각각 독립적으로 실행하고, 상기 하나의 게임 실행결과 또는 복수의 게임 실행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상기 하나의 게임 또는 다른 종류의 복수의 게임중의 하나를 이미 실행된 게임에 대한 보너스 게임으로 실행하는 복수의 게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게임기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보너스 게임으로 다양한 게임을 제공,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게임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고, 각 게임기를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그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GAME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PROVIDING ANOTHER BONUS GAME, AND MEDIA FOR STORING PROGRAM SOURCE THEREOF}
본 발명은 게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게임 또는 복수의 게임을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게임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하나의 게임 또는 복수의 게임 실행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상기 하나의 게임 또는 다른 종류의 복수의 게임 중의 하나를 보너스 게임으로 실행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게임기라 함은 각종 전자 부품을 이용한 유희 기구로서, 스트레스 해소 및 지능 개발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게임기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어린이 및 청소년용 게임기와 성인용 게임기가 주를 이루고 있다.
종래의 게임기는 사용자의 게임 동기를 유발시키기 위해 일정 점수를 획득한 사용자에게 보너스 게임을 제공하여 상기 게임기에서 한번 더 게임을 할 수 있게 하거나, 게임기의 일측 소정 공간에 경품 지급기를 부설하여 게임 결과값에 따라 자동으로 경품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보너스 게임을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는 선택의 여지가 없이 한 종류의 게임만을 이용하게 되므로 오락 게임이 단조로워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경품 지급기를 부설하는 경우는 경품만을 주기 위해 따로 경품 지급기를 부설해야 하므로 게임기 단가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하나의 게임 또는 서로 다른 복수의 게임을 각각 독립적으로 실행하고, 상기 하나의 게임 실행 결과 또는 복수의 게임 실행 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상기 하나의 게임 또는 다른 종류의 복수의 게임 중의 하나를 이미 실행된 게임에 대한 보너스 게임으로 실행하는 복수의 게임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다양한 게임을 보너스 게임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각각 복수의 게임기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 경제적인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게임 실행에 필요한 지시 메시지를 표시하고 동전 및/또는 지폐 투입여부와 사용자가 설정하는 게임 제어 명령을 인식하여 지정된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키입력조건 및 로딩된 게임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하나의 게임 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게임을 각각 독립적으로 실행하고, 상기 하나의 게임 실행결과 또는 복수의 게임 실행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상기 하나의 게임 또는 다른 종류의 복수의 게임중의 하나를 이미 실행된 게임에 대한 보너스 게임으로 실행하는 복수의 게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게임 진행에 필요한 지시 메시지를 표시하고 동전 또는 지폐 투입 여부와 사용자가 설정하는 게임 제어 명령을 인식하여 하나의 게임 또는 서로 다른 복수의 게임을 각각 독립적으로 실행하는 복수의 게임 제어부와, 상기 각각의 복수의 게임 제어부를 연결해주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하는 게임기에서 상기 각각의 게임 제어부의 보너스 게임 제공 방법에 있어서, 현재 수행되는 게임 종료에 따라 게임의 결과를 체크하고, 상기 게임 결과가 기설정된 보너스 게임 제공 조건 부합되는지를 판단하는 제 1단계와;상기 판단 결과, 보너스 게임 제공 조건에 부합할 경우, 보너스 게임 제공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에 출력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으로부터 게임 실행 신호 입력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보너스 게임을 실행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게임 진행에 필요한 지시 메시지를 표시하고 동전 또는 지폐 투입 여부와 사용자가 설정하는 게임 제어 명령을 인식하여 하나의 게임 또는 서로 다른 복수의 게임을 각각 독립적으로 실행하는 복수의 게임 제어부와, 상기 각각의 복수의 게임 제어부를 연결해주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하는 게임기에서 상기 각각의 게임 제어부의 보너스 게임 제공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현재 수행되는 게임 종료에 따라 게임의 결과를 체크하고, 상기 게임 결과가 기설정된 보너스 게임 제공 조건 부합되는지를 판단하는 제 1프로세스와; 상기 판단 결과, 보너스 게임 제공 조건에 부합할 경우, 보너스 게임 제공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에 출력하는 제 2프로세스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으로부터 게임 실행 신호 입력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보너스 게임을 실행하는 제 3프로세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장치의 외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장치의 제어 방법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 1 게임기 200 : 제 2 게임기
110, 210, 310 : 시스템 버스 120 : 제 1 제어부
130 : 제 1 메모리 140 : 제 1 표시 구동부
150 : 제 1 표시부 160, 260 : 조작 수단
161, 261 : 조작 버튼 162, 262 : 조작 레버
220 : 제 2 제어부 230 : 제 2 메모리
240 : 제 2 표시 구동부 250 : 제 2 표시부
300 : 인터페이스 수단 320 : 인터페이스 제어부
330 : 인터페이스 메모리 340 : 동전 또는 지폐 투입 인식부
350 : 동전 또는 지폐 투입구 360 : 제 1 게임 선택 수단
370 : 제 2 게임 선택 수단 380 : 게임 선택 요청 수단
본 발명의 이들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키입력조건 및 로딩된 게임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하나의 게임 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게임을 각각 독립적으로 실행하고, 상기 하나의 게임 실행결과 또는 복수의 게임 실행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상기 하나의 게임 또는 다른 종류의 복수의 게임중의 하나를 이미 실행된 게임에 대한 보너스 게임으로 실행하는 복수의 게임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는 상기 복수의 게임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보너스게임 제공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복수의 게임 제어부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하나의 게임 제어부에 보너스 게임 실행을 위한 명령을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본 발명 방법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램된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같은 실시 예를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 세트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메모리(램)에 상주하며, 이들 명령어 세트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필요로 할 때까지 예를 들어 디스크 드라이브 내의 다른 컴퓨터 메모리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써 저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2가지의 서로 다른 종류의 게임기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하나의 게임 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기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의 전체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는 제 1 게임기(100) 및 제 2 게임기(200)와, 상기 제 1 게임기(100)와 제 2 게임기(200) 사이의 신호 전송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의 외관도를 나타낸다.
하기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본체 외부 구성 요소와 연계하여 내부 회로를 포함한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는 제 1 게임기(100) 및 제 2 게임기(200)가 하나의 커버 케이스에 의해 하우징되어 본체를 형성한다.
상기 제 1 게임기(100) 또는 제 2 게임기(200)는 구현 가능한 모든 종류의 게임기일 수 있다.
상기 제 1 게임기(100) 및 제 2 게임기(200)는 각각은 각 구성 요소를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시스템 버스(110, 210)와, 상기 제 1 게임 및 제 2 게임의 주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제 1 메모리(130) 및 제 2 메모리(230)와, 상기 주제어 프로그램 및 사용자의 시작 명령에 따라 게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 1 및 제 2 제어부(120, 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제 1 게임기(100)는 인터넷 접속 가능한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사용자의 온라인 비디오 게임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또는 제 2 제어부(120, 220)는 게임 실행 결과에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보너스 게임 제공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 1 또는 제 2 제어부(120, 220)의 상세한 동작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게임기(100) 및 제 2 게임기(200)는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부(120, 22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 1 또는 제 2 표시부(150, 250)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 1 표시 구동부(140)와, 제 2 표시 구동부(24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 1 게임기(100) 및 제 2 게임기(200)는 제 1 게임기(100) 및 제 2 게임기(200) 각각의 상부 소정의 공간에 사용자의 게임 제어 명령어 입력을 위한 조작 수단(160, 260)이 형성된다.
상기 조작 수단(160, 260)은 상기 사용자가 제 1 및 제 2 표시부(150, 250)로 출력되는 지시 신호에 따라 제 1 게임 또는 제 2 게임을 수행하기 위해 게임 제어 신호를 제 1 또는 제 2 제어부(120, 220)로 출력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동전 또는 지폐 투입구(350)가 상기 본체 전면 일측 소정의 공간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동전 또는 지폐 투입구(350)는 제 1 게임기(100) 및 제 2 게임기(200) 각각에 따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동전 또는 지폐 투입구(350)로부터 동전 또는 지폐 투입 신호를 인식하는 동전 또는 지폐 투입 인식부 또한 상기 제 1 게임기(100) 및 제 2 게임기(200) 각각에 따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제어부(120, 220) 중 어느 하나에 게임 실행 명령 신호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후자일 경우, 동전 또는 지폐 투입 인식부는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게임 실행 요청에 반응하여, 게임 실행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게임 실행 명령 신호를 상기 제 1 또는 제 2 제어부(120, 220) 중 기 선택된 제어부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 1 또는 제 2 제어부(120, 220)는 사용자로부터 게임 선택 신호에 따라 게임 실행 대기 상태로 세팅되고, 상기 동전 또는 지폐 투입 신호가 지정된 시간 안에 입력될 경우, 지정된 게임을 실행하게 된다.
그러나, 후술되는 것과 같이 상기 동전 또는 지폐 투입구(350),동전 또는 지폐 투입 인식부(340)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300)에 포함되어, 인터페이스 제어부(320)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300)은 각 구성 요소를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시스템 버스(310)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320)와, 상기 동전 또는 지폐 투입구(350)로부터 출력되는 동전 또는 지폐 투입을 감지하여 게임 실행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동전 또는 지폐 투입 인식부(340)와, 상기 제 1 및 제 2 게임 선택 수단(360, 370)과, 게임 선택 요청 수단(3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320)는 상기 제 1 제어부(120) 또는 제 2 제어부(220)에서 발생되는 보너스 게임 제공 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제 1 또는 제 2 게임 제어부(120, 220) 중 사용자가 원하는 하나의 게임 제어부에 보너스 게임 실행을 위한 명령을 전송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320)는 상기 복수의 게임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보너스 게임 제공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 메모리(330)에 저장해두었다가 순서대로 처리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320)의 상세한 동작 설명은 도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게임 또는 제 2 게임 선택 수단(360)은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해당하는 게임 선택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320)에 출력한다.
상기 게임 선택 요청 수단은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320)에 의해 사용자의 키입력 대기 상태로 세팅되고, 상기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상기 제 1 또는 제 2 게임 선택 수단(360, 370)을 사용자 키입력 대기 상태로 세팅되도록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320)에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장치의 동작 설명을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하기에서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장치의 동작 설명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하기로 한다.
상기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의 전원이 온되면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320)는 상기 게임 선택 요청 수단(380)을 키입력 대기 상태로 세팅시키고, 게임기 선택 요청 신호를 반복적으로 출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게임기 버튼을 확인한 후, 코인을 넣어주세요"라는 멘트를 반복해서 상기 제 1 표시부(150) 또는 제 2 표시부(250)에 화상 데이터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출력하고,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스피커를 통해 음향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지원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320)는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상기 제 1 게임 선택 수단(360) 또는 제 2 게임 선택 수단(370)을 사용자 키입력 대기 상태로 세팅시킴과 동시에, "녹색"으로 점등되어 선택 대기 상태를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320)는 상기 제 1 게임 선택 수단(360) 또는 제 2 게임 선택 수단(370)은 중 하나의 상기 사용자의 키입력를 인식하면, 상기 동전 또는 지폐 투입 인식부(340)로부터 동전 또는 지폐 투입 신호가 출력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선택된 제 1 게임기 선택 수단(360) 또는 제 2 게임기 선택 수단(370)은 "적색"으로 점등되어 선택 대기 상태와 차별됨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사용자가 제 1 게임 선택 수단(360)을 선택했을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320)는 상기 동전 또는 지폐 투입 신호를 입력받아상기 제 1 제어부(120)에 게임 실행 요청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동전 또는 지폐 투입 인식부(340)는 동전 또는 지폐의 불량 유무를 판단하여 정상으로 감지되면, 동전 또는 지폐 투입 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상기 동전 및 지폐가 만약 불량으로 감지되면 상기 동전 및 지폐를 반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320)는 상기 동전 및/또는 지폐 투입 인식부(340)로부터 동전 및/또는 지폐 투입 신호가 출력되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했을 경우 상기 제 1 게임 선택 수단(360)에 선택 해제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 1 게임 선택 수단(360)을 "적색"에서 "녹색"으로 변환하여 점등되도록 지원한다.
그러나,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320)는 상기 동전 또는 지폐 투입 인식부(340)로부터 동전 또는 지폐 투입 신호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출력되면, 상기 제 1 제어부(120)에 게임 실행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 1 제어부(120)는 상기 게임 실행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제 1 표시 구동부(140)를 통해 게임 옵션 입력 지시 메시지(예를 들면, 게임 시작 단계나 난위도, 또는 자동차 게임일 경우 자동차 모양 등)가 상기 제 1 표시부(150)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메시지에 따라 상기 조작 수단(160)을 이용하여 옵션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제 1 제어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옵션 신호에 응하여 전체 시스템을 세팅하고, 시작을 유도하는 메시지가 포함된 화상 데이터가 제 1 표시부(150)에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미도시된 스피커로 음향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조작 수단(160)으로부터 게임 시작 명령 신호가 출력되면(S400), 상기 제 1 제어부(120)는 제 1 메모리(130)에서 게임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제 1 게임을 실행시킨다(S410).
상기 제 1 게임이 실행되는 동안 상기 제 1 제어부(120)는 상기 사용자의 게임 결과값을 저장하고(S420), 상기 제 1 표시부(150)의 소정 영역에 상기 게임 결과값이 실시간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 1 게임의 기본 게임이 종료(S430)되면, 상기 제 1 제어부(120)는 보너스 게임 제공 여부를 판단한다(S440).
상기 S440의 단계는 상기 제 1 메모리(130)에 저장된 기설정된 보너스 게임 제공 기준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게임 옵션에 보너스 게임 제공 기준 선택 옵션을 포함시켜, 사용자가 선택한 보너스 게임 제공 기준에 따라 상기 S440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테트리스 게임일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테트리스 게임은 일명 벽돌 쌓기 게임으로 다양한 모양의 벽돌을 빈틈없이 채워 가로로 한 줄이 형성될 때마다 상기 형성된 한 줄이 제거되고, 벽돌이 제거되지 않아 상기 벽돌을 쌓을 공간이 없어지면 게임이 종료된다.
상기 테트리스 게임은 여러 단계로 이루어져, 높은 단계로 올라갈수록 벽돌이 하강하는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상기 테트리스 게임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게임 실력은 두 가지로 평가될 수 있는데, 상기 사용자가 통과한 게임 단계와 얼마나 빠른 속도 또는 얼마나 효과적으로 벽돌을 제거하는지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획득 점수 등이 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의 게임 실력이 평가될 수 있는 경우, 상기 보너스 게임 제공 기준은 제 1 게임기(100)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제 1 제어부(120)는 상기 사용자가 제 1 게임을 수행한 후, 상기 게임 결과가 기설정된 보너스 게임 제공 조건에 부합하는 지를 판단(S440)한다.
상기 S440의 판단 결과, 상기 게임 결과가 기설정된 보너스 게임 제공 조건에 부합할 경우, 상기 제 1 제어부(120)는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320)에 보너스 게임 제공 신호를 출력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 표시부(150)에 상기 제 1 게임 또는 제 2 게임 중 보너스 게임으로 제공받을 복수의 게임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출력한다(S450).
그러나, 상기 S440의 판단 결과, 상기 게임 결과가 기설정된 보너스 게임 제공 조건에 부합하지 않을 경우, 제 1 제어부(120)는 상기 제 1 게임을 종료시키고, 상기 제 1 표시부(150)에 게임 종료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S440의 단계는 제 1 게임기(100)를 통해 수행할 수 있는 게임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만약 제 1 게임기(100)에 탑재된 게임이 테트리스 게임일 경우, 상기 S440 단계의 보너스 게임 제공 기준은 통과 단계가 되면, 상기 제 1 게임기(100)에 탑재된 게임이 두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상기 S440의 단계의 보너스 제공 기준은 게임의 승리자가 된다.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의 인터페이스 제어부(320)는 제 1 제어부(120)로부터 보너스 게임 제공 신호를 출력받아 상기 게임 선택 요청 수단이 키입력 대기 상태로 세팅되도록 지원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320)는 상기 게임 선택 요청 수단을 통한 사용자의 키입력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제 1 게임 선택 수단(360)과 제 2 게임 선택 수단(370)을 키입력 대기 상태로 세팅시킨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32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 1 게임 선택 수단(360)과 제 2 게임 선택 수단(370)중 하나의 사용자 키입력 신호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제어부에 보너스 게임 요청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 1 제어부(120)는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320)로부터 보너스 게임 요청 신호가 출력되는지를 판단(S460)한다.
상기 S460 단계의 판단 결과, 보너스 게임 요청 신호가 출력되면, 보너스 게임을 실행한다(S470).
한편, 상기 S460의 단계를 통해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게임기(200)에 의해 보너스 게임이 실행되면, 상기 제 2 제어부(220)는 상기 제 2 게임기(200)의 제 2 표시부(250)에 "보너스 게임입니다"라는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보너스 게임 제공 시, 제 2 게임기(200) 또한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다른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을 경우에는 제 1 게임기(100)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게임기(100)가 목표물 획득 게임일 경우 집게 집는 발의 힘이 평상시 게임의 힘보다 일정 부분 더 세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게임기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보너스 게임으로 다양한 게임을 제공,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게임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고, 각 게임기를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Claims (30)

  1. 게임 실행에 필요한 지시 메시지를 표시하고 동전 및/또는 지폐 투입여부와 사용자가 설정하는 게임 제어 명령을 인식하여 지정된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키입력조건 및 로딩된 게임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하나의 게임 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게임을 각각 독립적으로 실행하고, 상기 하나의 게임 실행결과 또는 복수의 게임 실행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상기 하나의 게임 또는 다른 종류의 복수의 게임중의 하나를 이미 실행된 게임에 대한 보너스 게임으로 실행하는 복수의 게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게임 제어부과 연결되는 하나의 동전 또는 지폐 투입구와, 상기 동전 또는 지폐 투입구를 통한 동전 또는 지폐 투입을 감지하여 상기 복수의 게임 제어부 중 어느 한 항에 게임 실행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동전 또는 지폐 투입 인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동전 또는 지폐 투입 인식부는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게임 실행 요청에 반응하여, 게임 실행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게임 실행 명령 신호를 상기 복수의 게임 제어부 중 기선택된 게임 제어부에 출력하도록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복수 게임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의 게임 선택 신호에 따라 게임 실행 대기 상태로 세팅되고, 상기 동전 또는 지폐 투입 신호가 지정된 시간 내에 입력될 경우, 지정된 게임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게임 제어부는,
    상기 하나의 게임 실행결과 또는 복수의 게임 실행결과에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보너스게임 제공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장치.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복수 게임 제어부는
    보너스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기준치를 가지고 있고, 상기 기준치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게임 수행후 획득한 점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장치.
  7.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복수 게임 제어부는
    보너스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기준치를 가지고 있고, 상기 기준치는 사용자가 게임 수행 후 통과한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장치.
  8.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복수 게임 제어부는
    보너스 게임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기준치를 가지고 있고, 상기 기준치는 상기 게임이 2인용 게임일 경우 게임에서 승리한 사용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장치.
  9.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게임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보너스게임 제공신호를 추출하여 상기 복수의 게임 제어부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하나의 게임 제어부에 보너스 게임 실행을 위한 명령을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해당하는 게임 선택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 부에 출력하는 복수의 게임 선택 수단과;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에 의해 사용자의 키입력 대기 상태로 세팅되고, 상기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게임 선택 수단을 사용자 키입력 대기 상태로 세팅되도록 요청하는 게임 선택 요청 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게임 제어부로부터 발생되는 보너스 게임 제공 신호에 따라 상기 게임 선택 요청 수단을 사용자 키입력 대기 상태로 세팅시키고, 그 상태에서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게임 선택 수단을 사용자 키입력 대기 상태로 세팅시키고, 상기 사용자의 복수의 게임 선택 수단 중 하나의 키입력에 따른 게임 선택 신호를 그에 해당하는 게임 제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게임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보너스 게임 제공 신호를 출력된 순서대로 저장한 후, 순서대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
  13. 제 10항 또는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게임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보너스 게임 제공 신호를 출력된 순서대로 저장한 후, 순서대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동전 또는 지폐 투입구와, 상기 동전 또는 지폐 투입구를 통한 동전 또는 지폐 투입을 감지하여 게임 실행 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지폐 투입 인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게임 실행 요청에 반응하여, 상기 동전 또는 지폐 투입 인식부로부터 출력되는 동전 또는 지폐 투입 신호를 해당 게임 제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선택된 하나의 게임 실행 요청 후, 지정된 시간을 체크하여, 상기 지정된 시간 동안만 상기 동전 또는 지폐 투입 신호를 해당 게임 제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
  17. 게임 진행에 필요한 지시 메시지를 표시하고 동전 또는 지폐 투입 여부와 사용자가 설정하는 게임 제어 명령을 인식하여 하나의 게임 또는 서로 다른 복수의 게임을 각각 독립적으로 실행하는 복수의 게임 제어부와, 상기 각각의 복수의 게임 제어부를 연결해주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하는 게임기에서 상기 각각의 게임 제어부의 보너스 게임 제공 방법에 있어서,
    현재 수행되는 게임 종료에 따라 게임의 결과를 체크하고, 상기 게임 결과가 기설정된 보너스 게임 제공 조건 부합되는지를 판단하는 제 1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보너스 게임 제공 조건에 부합할 경우, 보너스 게임 제공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에 출력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으로부터 게임 실행 신호 입력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보너스 게임을 실행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키입력 조건에 따라 게임 실행 대기 상태로 세팅하고, 상기 동전 및/또는 지폐 투입 신호가 지정된 시간 내에 입력될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다수의 기준치에 의해 보너스 게임을 제공하되, 상기 기준치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게임 수행후 획득한 점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다수의 기준치에 의해 보너스 게임을 제공하되, 상기 기준치는 사용자가 게임 수행 후 통과한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다수의 기준치에 의해 보너스 게임을 제공하되, 상기 기준치는 상기 게임기가 2 인용일 경우, 상기 게임에서 승리한 사용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보너스 게임 제공 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보너스 게임으로 제공받을 복수의 게임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출력 수단에 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
  23. 제 17항 또는 제 18항 또는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보너스 게임 제공 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상기 복수의 게임 중 하나를 보너스 게임으로 선택받도록 사용자 키입력 대기 상태로 세팅시키는 단계(2-1);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으로부터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른 보너스 게임 실행 명령 신호가 출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
  24. 게임 진행에 필요한 지시 메시지를 표시하고 동전 또는 지폐 투입 여부와 사용자가 설정하는 게임 제어 명령을 인식하여 하나의 게임 또는 서로 다른 복수의 게임을 각각 독립적으로 실행하는 복수의 게임 제어부와, 상기 각각의 복수의 게임 제어부를 연결해주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하는 게임기에서 상기 각각의 게임 제어부의 보너스 게임 제공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현재 수행되는 게임 종료에 따라 게임의 결과를 체크하고, 상기 게임 결과가 기설정된 보너스 게임 제공 조건 부합되는지를 판단하는 제 1프로세스와;
    상기 판단 결과, 보너스 게임 제공 조건에 부합할 경우, 보너스 게임 제공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에 출력하는 제 2프로세스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으로부터 게임 실행 신호 입력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보너스 게임을 실행하는 제 3프로세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프로세스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키입력 조건에 따라 게임 실행 대기 상태로 세팅하고, 상기 동전 및/또는 지폐 투입 신호가 지정된 시간 내에 입력될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프로세스는
    다수의 기준치에 의해 보너스 게임을 제공하되, 상기 기준치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게임 수행후 획득한 점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27.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프로세스는
    다수의 기준치에 의해 보너스 게임을 제공하되, 상기 기준치는 사용자가 게임 수행 후 통과한 프로세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28.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프로세스는
    다수의 기준치에 의해 보너스 게임을 제공하되, 상기 기준치는 상기 게임기가 2 인용일 경우, 상기 게임에서 승리한 사용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29.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프로세스는
    상기 보너스 게임 제공 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보너스 게임으로 제공받을 복수의 게임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출력 수단에 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30. 제 24항 또는 제 25항 또는 제 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로세스는
    상기 보너스 게임 제공 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을 상기 복수의 게임 중 하나를 보너스 게임으로 선택받도록 사용자 키입력 대기 상태로 세팅시키는 프로세스(2-1);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으로부터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른 보너스 게임 실행 명령 신호가 출력되는지를 판단하는 프로세스(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010028671A 2001-05-24 2001-05-24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 및 그제어 방법과, 그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KR200200897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671A KR20020089779A (ko) 2001-05-24 2001-05-24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 및 그제어 방법과, 그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671A KR20020089779A (ko) 2001-05-24 2001-05-24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 및 그제어 방법과, 그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779A true KR20020089779A (ko) 2002-11-30

Family

ID=27706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8671A KR20020089779A (ko) 2001-05-24 2001-05-24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 및 그제어 방법과, 그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9779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2254A (ja) * 1998-05-18 1998-10-13 Sega Enterp Ltd クイズゲーム装置
JPH11319320A (ja) * 1998-05-21 1999-11-24 Gazelle:Kk ゲーム装置
KR20000033208A (ko) * 1998-11-20 2000-06-15 임동근 호환이 가능한 게임기용 경품지급장치
KR200202404Y1 (ko) * 2000-06-02 2000-11-15 김병률 여러종류의 게임이 내장된 오락용 경품게임기
JP2000334162A (ja) * 1999-05-27 2000-12-05 Namco Ltd ゲーム装置及び情報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2254A (ja) * 1998-05-18 1998-10-13 Sega Enterp Ltd クイズゲーム装置
JPH11319320A (ja) * 1998-05-21 1999-11-24 Gazelle:Kk ゲーム装置
KR20000033208A (ko) * 1998-11-20 2000-06-15 임동근 호환이 가능한 게임기용 경품지급장치
JP2000334162A (ja) * 1999-05-27 2000-12-05 Namco Ltd ゲーム装置及び情報記憶媒体
KR200202404Y1 (ko) * 2000-06-02 2000-11-15 김병률 여러종류의 게임이 내장된 오락용 경품게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82460A2 (en) Gaming machine
EP1764753A2 (en) Gaming machine
AU2003246008B2 (en) Game machine
US20080248864A1 (en) Dice Game Machine And Dice Game Method
JP2001300065A (ja) 遊技機
JP2008154715A (ja) ゲームマシン及びゲームマシンの制御方法
JP2009189797A (ja) ゲーミングマシン
JP2006263221A (ja) 遊技機
US20080132306A1 (en) Gam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20089779A (ko) 다른 종류의 보너스 게임 제공 가능한 게임 장치 및 그제어 방법과, 그 프로그램 소스를 기록한 기록 매체
JP2002018014A (ja) 遊技機
JP5152266B2 (ja) 遊技機
JP2009254531A (ja) 遊技機
JP2009045311A (ja) レース開始前とレース中とで配当が異なるゲーミングマシン
JP2002018038A (ja) 遊技機
JP2000116845A (ja) ゲーム装置
WO2007010962A1 (ja) 遊技機
US20080132307A1 (en) Gam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80305863A1 (en) Gaming machine, control method thereof and playing method of card game
US20080161084A1 (en) Gaming machine, control method thereof and playing method of card game
JP2009233250A (ja) パチンコ遊技機
JP2009189796A (ja) ゲーミングマシン
JP2003169928A (ja) 遊技機
JP4037796B2 (ja) 遊技機
JP2002018018A (ja) 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